KR102343516B1 -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16B1
KR102343516B1 KR1020200121437A KR20200121437A KR102343516B1 KR 102343516 B1 KR102343516 B1 KR 102343516B1 KR 1020200121437 A KR1020200121437 A KR 1020200121437A KR 20200121437 A KR20200121437 A KR 20200121437A KR 102343516 B1 KR102343516 B1 KR 10234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yarn
parts
antiviral
distil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정
천명옥
Original Assignee
김유정
천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정, 천명옥 filed Critical 김유정
Priority to KR102020012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벌토와 산호분(珊瑚粉)을 이용하여 원사(原絲, yarn)에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부여한 것으로, 갯벌토 및 산호분의 열처리 및 증류를 통하여 추출된 농축분을 원사 제조시 투입함으로써, 섬유 조직과 항바이러스, 소취 및 항균성 제제가 고도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 유효 성분이 섬유 원사 조직내 일체화되어 그 효과가 섬유의 가용 연한내 안정적으로 유지 및 발현되는 원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ANTIVIRAL AND DEODORANT YAR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갯벌토와 산호분(珊瑚粉)을 이용하여 원사(原絲, yarn)에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부여한 것으로, 갯벌토 및 산호분의 열처리 및 증류를 통하여 추출된 농축분을 원사 제조시 투입함으로써, 섬유 조직과 항바이러스, 소취 및 항균성 제제가 고도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환경 파괴와 인구 증가, 도시화 및 주거 형태 과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바이러스성 질병 등 감염성 질병에 대한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교통 수단의 발달 및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지역간 및 국가간 인구 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감염성 질병의 발생시 그 규모 및 확산 속도가 전례없이 폭증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각종 의류 및 마스크 등 신체 착용이 전제되는 제품은 물론, 침구, 가구를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 각종 포장재, 내·외장재 및 다양한 분야의 산업용 소재로 활용되는 섬유에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노력이 다각도로 경주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302488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302488호를 비롯한 종래의 항균성 내지 항바이러스성 섬유류 제조 방법은 주로 섬유류 원료, 반제품 또는 완제품을 항균성 내지 항바이러스성 액제에 침지하여 유효 성분을 침투시키는 방식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항균성 내지 항바이러스성 제제 자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고도의 화학적 처리가 요구될 뿐 아니라, 고가의 원료 물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원료 물질의 생산 및 정제 과정에서 다량의 오염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조 과정상 문제점 및 원료 수급상의 애로점은 결국 항균성 내지 항바이러스성 섬유 제품의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항균성 내지 항바이러스성 섬유 제품에 대한 수요 폭증에도 불구하고 그 보급이 부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 겸비 원사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와, 정제담수 및 해수를 혼합하고 비등상태로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는 예비가열단계(S10)와, 상기 정제점토에 정제담수를 혼합하고 증류기에 투입하여 비등상태로 가열함으로써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초벌증류단계(S21)와, 초벌증류액과 산호분을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재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재벌증류단계(S22)와, 재벌증류액을 농축하여 미세 분말상의 농축분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30)와, 원사 원료 100중량부와 농축분 1중량부 내지 8중량부를 혼합하여 원사를 형성하는 원사형성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예비가열단계(S10)에서는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 100중량부, 정제담수 50중량부 및 해수 50중량부를 혼합하고 비등상태로 1시간동안 가열하여 휘발성 불순물이 제거된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고, 초벌증류단계(S21)에서는 상기 정제점토 5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와, 정제담수 100중량부를 증류기에 투입하여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비등상태로 가열하여, 투입된 정제담수 중량의 12중량% 내지 15중량% 중량의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며, 재벌증류단계(S22)에서는 상기 초벌증류액 10중량부와 산호분 100중량부를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투입된 초벌증류액 중량의 80중량% 내지 100중량%의 재벌증류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원사형성단계(S40)에서는 원사 원료인 폴리에스터 섬유 원료 100중량부와 농축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하여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한 후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원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 유효 성분이 섬유 원사 조직내 일체화되어 그 효과가 섬유의 가용 연한내 안정적으로 유지 및 발현되는 원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유효 제제의 제조 공정이 간소하고 공정 전반에 고도의 처리 설비가 소요되지 않을 뿐 아니라, 원료의 조달이 용이하여, 종래 기술 대비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겸비한 기능성 섬유 제품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갯벌토와 산호분(珊瑚粉)을 이용하여 원사(原絲, yarn)에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광물성 고형물인 갯벌토 및 산호분 자체가 섬유 원사에 혼입되는 것이 아니라, 갯벌토 및 산호분의 열처리 및 증류를 통하여 추출된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 제제를 원사 제조시 미량 투입하는 것이다.
즉, 갯벌토 및 산호분의 열처리 및 증류를 통하여 추출된 유효 제제로서, 미세 분말상 농축분을 형성하고, 이를 원사 제조시 합입시키는 것으로, 천연 섬유의 경우 섬유 원료의 처리 과정에서 본 발명의 미세 분말상 농축분을 투입하고, 합성섬유의 경우 원료의 용융물에 본 발명의 미세 분말상 농축분을 투입함으로써, 섬유 조직내 유효 성분이 고도로 일체화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면 원사의 경우 상기 농축분을 원면(cotton)에 혼합, 교반하여 원료내 균질 확산 및 섬유 조직내 함침을 유도한 후, 방적 공정을 거쳐 원사를 생산하게 되고, 양모 역시 스테이플(staple) 상태의 원료에 농축분을 혼합, 교반한 후 방적하는 과정을 거쳐 원사를 생산하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와 정제담수(精製淡水) 및 해수(海水)를 혼합하고 비등(沸騰)상태로 가열하여 휘발성 불순물이 제거된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는 예비가열단계(S10)로 개시된다.
여기서 포화상태란 갯벌토의 채취 상태 그대로의 습윤상태, 즉 갯벌토내 해수가 충분히 침투되어 일체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이토질 갯벌토란 사질토 또는 사질토가 다량 함유된 갯벌토가 아닌 이토(泥土)가 주종을 이루는 갯벌토로서,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주로 채취될 수 있는 점성 갯벌토를 의미한다.
이러한 예비가열단계(S10)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배합비는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 100중량부당, 정제담수 30중량부 내지 70중량부 및 해수 30중량부 내지 70중량부 범위의 배합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배합비로는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 100중량부, 정제담수 50중량부 및 해수 50중량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예비가열단계(S10)의 혼합물 구성에 있어서, 정제담수 및 해수는 원료인 갯벌토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전술한 비등상태 가열시 원활한 유동 및 교반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유효 성분의 용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용매 내지 희석제라 할 수 있는데, 갯벌토 100중량부당 정제담수 및 해수를 각각 3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충분한 유동성이 부여되지 않음은 물론, 갯벌토내 용존상태로 함유된 광물성 내지 금속성 함유물이 예비가열단계(S10) 또는 후술할 각 단계의 수행과정에서 석출되면서 유효 성분의 추출 및 휘발 작용을 억제하거나 부반응을 야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열용 용기 또는 배관 등에 상기 광물성 또는 금속성 함유물이 침착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갯벌토 100중량부당 정제담수 및 해수가 각각 70중량부를 초과하도록 혼입되는 경우, 처리 대상물의 총량이 과다하게 증량됨에 따라 처리 설비의 용량 확보 및 가열 등 처리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과도한 소모가 초래되어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예비가열단계(S10)를 통하여 형성되는 정제점토내 고형물 및 유효 성분 농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예비가열단계(S10)의 수행에 앞서, 원료인 갯벌토를 조목(粗目) 스크린 등의 망체(網體)를 활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조립질 고형 오염물 또는 각종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비가열단계(S10)에서의 가열은 비등상태로 약 1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열을 통하여 휘발성 유해 불순물 또는 유기 불순물이 제거 내지 분해된 반액반고상(半液半固狀)의 정제점토가 형성된다.
예비가열단계(S10)가 완료되어 정제점토가 완성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정제점토에 정제담수를 혼합하고 증류기에 투입하여 비등상태로 가열함으로써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초벌증류단계(S21)가 수행된다.
초벌증류단계(S21)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배합비는 상기 정제점토 5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와, 정제담수 100중량부 범위의 배합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배합비로는 정제점토와 정제담수가 동량(同量)으로, 즉 정제점토 100중량부와 정제담수 100중량부의 배합비가 적용될 수 있다.
초벌증류단계(S21)에서 정제점토와 혼합되는 정제담수 역시 비등상태로 처리되는 혼합물에 유동성을 부여하고 유효 성분의 용출 및 휘발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담수 100중량부당 50중량부 미만의 정제점토가 혼합되는 경우 초벌증류액내 유효 성분 함량의 부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정제담수 100중량부당 150중량부를 초과하는 정제점토가 혼합되는 경우 원활한 비등상태 처리 및 유효 성분 용출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초벌증류단계(S21)에서의 가열은 상기 구성요소를 증류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비등상태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투입된 정제담수 중량의 12중량% 내지 15중량% 중량의 초벌증류액이 수득된다.
초벌증류단계(S21)가 완료되면, 초벌증류액과 산호분을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재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재벌증류단계(S22)가 수행된다.
재벌증류단계(S22)에서 사용되는 산호분은 최소 200메쉬(mesh) 이하의 미세 분말상의 산호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벌증류액 10중량부와 산호분 100중량부를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투입된 초벌증류액 중량의 80중량% 내지 100중량%의 재벌증류액을 수득하게 된다.
즉, 사실상 초벌증류액을 산호분에 흡수시킨 상태에서 가열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초벌증류액 자체가 기화 내지 휘발됨과 동시에, 산호분내 함유된 유효 성분이 동반 기화 내지 휘발되어 재벌증류액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재벌증류단계(S22)가 완료되어 재벌증류액이 확보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재벌증류액을 농축하여 미세 분말상의 농축분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30)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 적용 원사의 원료에 혼입되는 미세 분말상 제제인 농축분이 완성된다.
농축단계(S30)의 수행은 재벌증류액을 가열 및 증발시켜 고형물을 석출시킨 후 건조하는 방식은 물론, 회전감압농축기 등을 활용한 고속 농축 및 건조 처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농축분의 미립도(微粒性)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볼밀(ball mill) 등을 활용하여 미세 분말상으로 분쇄하는 후처리 공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렇듯 형성된 농축분은 후속되는 원사형성단계(S40)에서 원사의 원료에 혼입된다.
원사형성단계(S40)에서는 원사 원료 100중량부와 농축분 1중량부 내지 8중량부를 혼합하여 원사를 형성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천연 섬유의 경우 스테이플(staple) 상태의 원료에 농축분을 혼합하고 맹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원료 자체에 농축분이 충분히 함침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용융 처리가 가능한 합성섬유의 경우 원료 용융단계에서 미세 분말상의 농축분을 첨가하게 된다.
특히, 원사 원료로서 용융 및 압출 성형이 용이한 폴리에스터가 적용되는 경우, 원사형성단계(S40)에서 원사 원료인 폴리에스터 섬유 원료 100중량부와 전술한 농축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하여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한 후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농축분이 균질 혼합되고 고도로 일체화된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제조 과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충청남도 서산시 해안에서 채취된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 100kg과, 정제담수 50kg 및 충청남도 서산시 해안에서 채취된 해수 50kg을 혼합하고 비등상태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는 예비가열단계(S10)를 수행하였다.
예비가열단계(S10)에서 사용된 갯벌토는 사전에 조립질 고형물 및 협잡물을 제거하였으며, 해수 역시 사전 여과하여 부유 고형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반액반고상 정제점토 100kg과 정제담수 100kg을 혼합하고 증류기에 투입하여 2시간 동안 비등상태로 가열함으로써 13kg의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초벌증류단계(S21)를 수행하였다.
상기 수득된 초벌증류액 중 10kg을 취하여 200메쉬의 미세 분말상 산호분 100kg과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10kg의 재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재벌증류단계(S22)를 수행하였다.
재벌증류액 10kg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0.25kg의 농축분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30)를 수행하였다.
폴리에스터 섬유 원료 100중량부당 농축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하여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한 후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원사를 형성하는 원사형성단계(S40)를 수행하였다.
이렇듯, 실시예 1을 통하여 제조된 원사의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1 내지 실험3을 수행하였다.
실험1. 살바이러스 효과 실험
본 발명 적용 원사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과 실험에는 공시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8/34(H1N1)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하여 10일령 SPF 종란에서 48시간 증식하여 -80℃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의 원사로 가로 3cm, 세로 3cm, 중량 0.1g의 부직포를 제작하여 실험군 부직포로 적용하고, 동일한 크기 및 중량의 면제 부직포를 대조군 부직포로 적용하였다.
실험군 부직포 및 대조군 부직포에 각각 108.0EID50/㎖ 농도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3회 분사하였다.
실험군 부직포 및 대조군 부직포에 대한 바이러스 분사 후 존치 시간인 반응시간을 각각 1분, 5분 및 15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반응시간 경과 후 바이러스를 회수하였다.
즉, 실시예 1의 원사로 제작된 가로 3cm, 세로 3cm, 중량 0.1g의 실험군 부직포 3개와, 동일한 크기 및 중량의 면제 부직포인 대조군 부직포 3개를 준비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 공히 바이러스 분사후 존치 시간 1분, 5분 및 15분에 대한 실험을 각각 실시한 것이다.
반응시간 경과후의 바이러스 회수는 1% 겐타마이신(gentamycin) 함유 멸균 PBS 완충액 2㎖에 실험군 부직포 또는 대조군 부직포를 각각 충분히 함침하여 반응액을 취출함으로써 바이러스를 회수하였다.
이후, 취출된 반응액을 멸균 PBS 완충액으로 500배 희석하여 희석액을 형성한 후, 실험군 및 대조군의 각 반응시간별로 10일령 SPF 종란에 각각 0.1㎖씩 접종하였다.
즉, 총 6개의 10일령 SPF 종란을 준비하고, 실험군 1분 반응, 실험군 5분 반응, 실험군 15분 반응, 대조군 1분 반응, 대조군 5분 반응 및 대조군 15분 반응에 대한 접종 및 배양을 실시하는 것이다.
접종된 종란은 37℃ 인큐베이터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닭 혈구를 이용한 혈구 응집반응 및 도트 면역분석(Dot immunoassay)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의 표 1과 같은 바이러스 농도가 검측되었다.
반응시간별 배양후 바이러스 농도
반응시간 1분 반응시간 5분 반응시간 15분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102.5EID50/㎖ 107.0.EID50/㎖ 100.0EID50/㎖ 106.1EID50/㎖ 100.0EID50/㎖ 105.9EID50/㎖
104.2EID50/㎖ 107.2.EID50/㎖ 101.2EID50/㎖ 106.4EID50/㎖ 100.0EID50/㎖ 106.0EID50/㎖
103.3EID50/㎖ 107.2.EID50/㎖ 102.5EID50/㎖ 106.6EID50/㎖ 100.0EID50/㎖ 105.2EID50/㎖
상기 표 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사가 적용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한 살바이러스 효과를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2. 소취 효과 실험
본 발명 적용 원사에 대한 소취 효과 실험은 가스검지관법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전술한 실시예 1의 원사로 가로 10cm, 세로 10cm, 중량 2g의 편물을 제작하여 시료로 적용하였다.
온도 20℃, 습도 65%의 조건에서 실험 시간은 30분을 적용하였고, 실험용 가스로는 500㎍/㎖ 농도의 암모니아(NH3)가 적용되었으며, 1,000㎖ 체적의 실험용 용기가 활용되었다.
소취율(%)은 [(Blank 가스 농도 - Sample 가스 농도) / Blank 가스 농도 ] × 100으로 산출되었으며, 실험 결과 99% 이상의 소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3. 항균 효과 실험
본 발명 적용 원사에 대한 항균 효과 실험은 텍스타일 재료의 항균성 시험방법인 KS K 0693:2016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의 원사로 가로 10cm, 세로 10cm, 중량 2g의 편물을 제작하여 시료로 적용하였으며, 대조편으로는 표준면포가 적용되었다.
시험균종은 총 2종의 시험균에 대하여 실시되었으며, 시험균 1은 폐렴간균인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이고, 시험균 2는 병원 감염 유발 메티실린 내성균으로 알려진 Staphylococcus aureus[{i(Staphylococcus aureus(MRSA))i} ATCC 33591]이다.
접종균액의 농도는 시험균 1에 대하여는 0.7×105CFU/㎖가 적용되었고, 시험균 2에 대하여는 1.0×105CFU/㎖가 적용되었으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접종균액의 0.05%의 Tween 80이 첨가되었다.
실험결과, 시험균 1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99.9%인 것으로 나타났고, 시험균 2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99.9%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적용 원사의 우수한 항바이러스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사내 유효 성분은 원사 조직과 고도로 일체화된 상태로 균질 분포되므로, 그 효과가 섬유의 가용 연한내 안정적으로 유지 및 발현될 수 있다.
S10 : 예비가열단계
S21 : 초벌증류단계
S22 : 재벌증류단계
S30 : 농축단계
S40 : 원사형성단계

Claims (3)

  1.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와, 정제담수 및 해수를 혼합하고 비등상태로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는 예비가열단계(S10)와;
    상기 정제점토에 정제담수를 혼합하고 증류기에 투입하여 비등상태로 가열함으로써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초벌증류단계(S21)와;
    초벌증류액과 산호분을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재벌증류액을 수득하는 재벌증류단계(S22)와;
    재벌증류액을 농축하여 미세 분말상의 농축분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30)와;
    원사 원료 100중량부와 농축분 1중량부 내지 8중량부를 혼합하여 원사를 형성하는 원사형성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예비가열단계(S10)에서는 포화상태의 이토질 갯벌토 100중량부, 정제담수 50중량부 및 해수 50중량부를 혼합하고 비등상태로 1시간동안 가열하여 휘발성 불순물이 제거된 반액반고상의 정제점토를 형성하고;
    초벌증류단계(S21)에서는 상기 정제점토 50중량부 내지 150중량부와, 정제담수 100중량부를 증류기에 투입하여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비등상태로 가열하여, 투입된 정제담수 중량의 12중량% 내지 15중량% 중량의 초벌증류액을 수득하며;
    재벌증류단계(S22)에서는 상기 초벌증류액 10중량부와 산호분 100중량부를 혼합 교반한 후 증류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투입된 초벌증류액 중량의 80중량% 내지 100중량%의 재벌증류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사형성단계(S40)에서는 원사 원료인 폴리에스터 섬유 원료 100중량부와 농축분 5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하여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한 후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원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KR1020200121437A 2020-09-21 2020-09-21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KR10234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37A KR102343516B1 (ko) 2020-09-21 2020-09-21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37A KR102343516B1 (ko) 2020-09-21 2020-09-21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16B1 true KR102343516B1 (ko) 2021-12-24

Family

ID=7917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37A KR102343516B1 (ko) 2020-09-21 2020-09-21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573A (ja) * 1999-05-31 2000-12-05 Kooyoo Something:Kk マイナスイオン発生の繊維製品とその製造法
KR20010091673A (ko) * 2000-03-17 2001-10-23 이선옥 점토 또는 운모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JP2003166117A (ja) * 2001-11-27 2003-06-13 Kazuhiko Goto 繊維および繊維製品
JP2019178451A (ja) * 2018-03-30 2019-10-17 常陽化成株式会社 機能性綿状樹脂ファイバ、及び機能性綿状樹脂ファイ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573A (ja) * 1999-05-31 2000-12-05 Kooyoo Something:Kk マイナスイオン発生の繊維製品とその製造法
KR20010091673A (ko) * 2000-03-17 2001-10-23 이선옥 점토 또는 운모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JP2003166117A (ja) * 2001-11-27 2003-06-13 Kazuhiko Goto 繊維および繊維製品
JP2019178451A (ja) * 2018-03-30 2019-10-17 常陽化成株式会社 機能性綿状樹脂ファイバ、及び機能性綿状樹脂ファイ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322B2 (en) Method for preparing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having anti-bacteria, anti-mite and anti-mould functions and the use thereof
EP1927286B1 (de) Verwendung eines textilen mikrobioziden Speichers
CN106944473A (zh) 一种牧草‑微生物联合修复铀污染土壤的方法
KR20060108281A (ko) 미네랄을 다량 포함하는 활성용액의 제조방법
KR102432601B1 (ko) 천연유황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21507A (zh) 一种天然抗菌护肤聚丙烯纤维及其制备方法
EP3780955A1 (de) Biokompatible siloxane zur formulierung von mikroorganismen
CN113337903A (zh) 一种抗病毒聚丙烯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6900768A (zh) 一种蔬菜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6192057A (zh) 一种含有海泥的多功能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05524619A (zh) 一种酸性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JP2017025271A (ja) 農業環境改良資材とその製造方法
CN108689776A (zh) 生物炭基肥、其制备方法以及修复土壤的方法
CN105475303A (zh) 一种含春雷霉素和金核霉素的农药组合物
CN105532735A (zh) 一种解淀粉芽孢杆菌和苦参碱的杀菌杀虫组合物
KR102343516B1 (ko) 항바이러스성 및 소취성 원사 제조방법
CN104372446A (zh) 一种干法氨纶纺丝油剂
CN105237247A (zh) 一种蚕沙复合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CN102715158A (zh) 一种含辛菌胺和春雷霉素的杀菌组合物及应用
CN113207915A (zh)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30054074A (ko) 광화석 분말을 함유한 다기능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N109749744A (zh) 土壤改良专用矿物质水的制备方法
RU2655789C1 (ru) Способ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яровых зерновых (варианты)
CN106179236B (zh) 一种高比表面三聚氰胺蚕沙复合炭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061037B (zh) 一种含改性城市污泥的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