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492B1 -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492B1
KR102343492B1 KR1020210110546A KR20210110546A KR102343492B1 KR 102343492 B1 KR102343492 B1 KR 102343492B1 KR 1020210110546 A KR1020210110546 A KR 1020210110546A KR 20210110546 A KR20210110546 A KR 20210110546A KR 102343492 B1 KR102343492 B1 KR 10234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fermented food
unit
suppor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회
Original Assignee
(주)유성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피앤디 filed Critical (주)유성피앤디
Priority to KR102021011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가스를 배출하는 발효식품을 보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POUCH FOR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발효식품은 포장 이후 유통 과정 등에서 발효가 진행되므로 가스가 배출된다. 아울러, 발효식품 외에도, 식료품 및 공산품 등 각종 제품에서는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제품이 보관되는 파우치 등의 포장 수단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는 파우치 등의 포장 수단 파손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효식품 제조업체에서는 포장 수단에 가스흡수제를 부착하거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포장 수단의 제품투입구 일부를 밀봉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 수단에 가스흡수제를 부착하는 경우, 발효식품의 액상 물질에 의해 가스흡수제 조직 표면의 미세공이 막히거나 가스흡수제의 흡수한계를 넘어설 때 더 이상의 가스 흡수를 기대할 수 없어 발효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포장 수단의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고, 포장 수단의 제품투입구 일부를 밀봉하지 않는 경우, 발효식품의 액상물질이 미밀봉 부위를 통해 유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품투입구의 양측으로 가스 배출을 위한 미로구조를 형성한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가스를 배출하는 발효식품을 보관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발효식품이 상기 몸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선단이 실링 처리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품투입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미로 구조로 형성되는 통로부를 제외하고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 양측을 실링하여 형성되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투입구;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 및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미로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보관중인 상기 발효식품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통로부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를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측면이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 홈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벽면에 내장 설치되는 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에서 세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소정의 주입 튜브가 접속되며, 상기 주입 튜브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주입부와 연통하여 상기 주입부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되는 순환 통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에서 상기 주입부와 대응하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순환 통로의 타단부가 연통하여 상기 순환 통로를 통과한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되는 회수 통로; 및 상기 회수 통로의 단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회수 튜브가 접속되며,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회수 통로로 회수되는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외부 장치로 배출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통로는, 요부와 철부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주름지게 접힌 복수의 호일을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의 세로 방향으로 적층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호일 간에 요부와 철부가 맞닿도록 적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몸체부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품투입부와 가스배출부가 별도로 형성됨에 따라 수작업으로만 몸체부에 발효식품을 투입하여야 하는 종래의 파우치 구조와는 달리, 몸체부의 상단에 제품투입부와 가스배출부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제품투입부를 통해 몸체부로 발효식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배출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1000)은 몸체부(10), 제품투입부(20) 및 가스배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일정한 용량의 발효식품이 보관될 수 있다.
발효식품은 제품 보관(생산, 유통, 판매)시 가스가 배출되는 식품으로, 가루 또는 액상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김치, 장류, 젓갈, 낫또, 절임, 발효유, 발효주일 있다.
제품투입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몸체부(10)의 상단 중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투입부(20)를 통해 발효식품이 몸체부(10)로 투입될 것이다.
제품투입부(20)는 발효식품이 몸체부(10)로 투입된 뒤 선단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가스배출부(30)는 몸체부(10)의 상단에서 제품투입부(2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배출부(30)는 몸체부(20)의 상단에서 제품투입부(20)의 양측을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실링하여 형성되되,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통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배출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배출부(30)는 미로 구조로 형성되는 통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35)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보관중인 발효식품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부(35)는 몸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투입구(35a),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35b) 및 투입구(35a)와 배출구(35b)를 연결하는 미로 실링부(35c)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보관중인 발효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투입구(35a)를 통해 미로 실링부(35c)를 통과하여 배출구(35b)로 배출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1000)는 발효식품이 보관되는 몸체부(10)와 연통되는 통로부(35)를 포함하여 발효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몸체부(1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1000)는 제품투입부(20)와 가스배출부(30)가 별도로 형성됨에 따라 수작업으로만 몸체부(10)에 발효식품을 투입하여야 하는 종래의 파우치 구조와는 달리, 몸체부(10)의 상단에 제품투입부(20)와 가스배출부(30)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제품투입부(20)를 통해 몸체부(10)로 발효식품을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1000)는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10), 제품투입부(20) 및 가스배출부(30)의 구성에 더하여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몸체부(10)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여 몸체부(10)에 발효식품을 투입하거나 몸체부(10)로부터 발효식품을 꺼낼 때에 몸체부(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상측면이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 홈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홈에 몸체부(10)의 하부가 내입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벽면에 순환부(550)를 내장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순환부(550)는 지지부(500)를 소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몸체부(10)에 보관되어 있는 발효식품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순환부(550)는 주입부(551), 순환 통로(552), 회수 통로(553) 및 회수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551)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부(500)의 일측 벽면에서 세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부(551)는 소정의 주입 튜브가 접속될 수 있으며, 주입 튜브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주입될 수 있다.
순환 통로(552)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부(500)의 일측 벽면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순환 통로(552)의 일단부는 주입부(551)와 연통하여 주입부(551)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될 수 있다. 열매체 또는 냉매체는 순환 통로(552)를 통과하면서 지지부(500)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회수 통로(553)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부(500)의 일측 벽면에서 주입부(551)와 대응하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회수 통로(553)에는 순환 통로(552)의 타단부가 연통하여 순환 통로(552)를 통과한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될 수 있다.
회수부(555)는 회수 통로(553)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수부(555)는 소정의 회수 튜브가 접속될 수 있으며, 회수 튜브를 통해 회수 통로(553)로 회수되는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외부 장치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순환 통로(552)는 주름진 복수의 호일을 다수의 층으로 적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환 통로(552)는 요부와 철부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주름지게 접힌 복수의 호일을 지지부(500)의 일측 벽면의 세로 방향으로 적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호일 간에 요부와 철부가 맞닿도록 적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순환 통로(552)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이면서도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몸체부(10)는 양측단이 열접합 실링되는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 사이에 게재되고,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의 하단부와 각각 맞닿은 부분의 일부가 열접합됨으로써 제1 시트부 및 제2 시트부가 벌어지는 경우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면은 지지부(5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지지 홈에 삽입되는데, 지지부(500)는 바닥면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지지 홈에 형성되는 푸시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푸시부(200)는 푸시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본체(220)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홈에 삽입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푸시본체(220)는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직각 방향으로 제1 보호 부재(221a)와 제2 보호 부재(221b)를 결합한다.
푸시본체(220)는 하면 테두리를 따라 제1 랙기어(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랙기어(222)에 기어 맞물려 결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223)를 구비한 육면체 형태의 제1 푸시 블록(225)을 포함한다.
제1 푸시 블록(225)의 내부에는 제1 피니언 기어(223)에 제1 모터(224)가 결합되어 제1 피니언 기어(223)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푸시 블록(225)의 하부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2 랙기어(230)가 수직 세워진다.
제1 모터(224)가 구동되면, 제1 피니언 기어(22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푸시 블록(225)은 제1 피니언 기어(223)에 맞물려 있는 제1 랙기어(222)를 따라 원호 방향으로 좌우 이동된다.
상기 제2 랙기어(230)는 제2 피니언 기어(232)가 기어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232)가 포함된 육면체 형태의 제2 푸시 블록(23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제2 푸시 블록(234)의 내부에는 제2 피니언 기어(232)에 제2 모터(233)가 결합되어 제2 피니언 기어(232)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 모터(233)가 구동되면, 제2 피니언 기어(23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푸시 블록(234)은 제2 피니언기어(232)에 맞물려 있는 제2 랙기어(23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푸시부(200)는 외부 조작 버튼을 통해 제1 모터(224) 및 제2 모터(23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부(500)에 몸체부(10)를 삽입한 상태에서 몸체부(10) 내부의 발효식품을 꺼내는 경우, 제1 모터(224) 및 제2 모터(233)를 제어하여 몸체부(10)의 바닥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몸체부(10) 내부의 발효식품을 보다 쉽게 꺼낼 수 있다.
이때, 푸시 본체(220)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보호 부재(221a) 및 제2 보호 부재(221b)를 포함함으로써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10: 몸체부
20: 제품투입부
30: 가스배출부
35: 통로부

Claims (3)

  1.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가스를 배출하는 발효식품을 보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발효식품이 상기 몸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선단이 실링 처리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품투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품투입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미로 구조로 형성되는 통로부를 제외하고 역 직각삼각형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 양측을 실링하여 형성되는 가스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투입구;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구; 및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미로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보관중인 상기 발효식품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통로부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고,
    상기 몸체부를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세워진 상태로 설치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측면이 중심부를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 홈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벽면에 내장 설치되는 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에서 세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소정의 주입 튜브가 접속되며, 상기 주입 튜브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주입부와 연통하여 상기 주입부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되는 순환 통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에서 상기 주입부와 대응하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의 모서리 부분을 거쳐 형성되고, 상기 순환 통로의 타단부가 연통하여 상기 순환 통로를 통과한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유입되는 회수 통로; 및
    상기 회수 통로의 단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회수 튜브가 접속되며, 상기 회수 튜브를 통해 상기 회수 통로로 회수되는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외부 장치로 배출하는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통로는,
    요부와 철부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주름지게 접힌 복수의 호일을 상기 지지부의 일측 벽면의 세로 방향으로 적층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호일 간에 요부와 철부가 맞닿도록 적층한 형태로 형성되는,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0546A 2021-08-20 2021-08-20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KR10234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46A KR102343492B1 (ko) 2021-08-20 2021-08-20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46A KR102343492B1 (ko) 2021-08-20 2021-08-20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492B1 true KR102343492B1 (ko) 2021-12-27

Family

ID=7917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546A KR102343492B1 (ko) 2021-08-20 2021-08-20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4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94A (zh) * 1993-05-06 1996-07-24 马克·D·詹姆森 柔性袋压敏气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94A (zh) * 1993-05-06 1996-07-24 马克·D·詹姆森 柔性袋压敏气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488B1 (ko) 에어 패킹 기구의 구조체
US741005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EP2930123B1 (en) Cushioning package
US7422109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20130305535A1 (en) Folded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20090257685A1 (en) Flexible storage bag with vent between two zipper
CN109890725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US20030128898A1 (en) Inflatable insulating liners including phase change material
EP1966062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CN107250002A (zh) 流体容器及其截止阀和制造方法
KR102343492B1 (ko) 발효식품 보관용 파우치
CN105197414B (zh) 流体包装袋及其应用
CN109969610B (zh) 一种立体折叠式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00273622A1 (en) Split vacuum bag
US10689174B2 (en) Method for producing packing sheet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storage properties
KR101984085B1 (ko) 지퍼밸브가 부착된 지퍼팩
WO2008039178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JP2002240866A (ja) 電子レンジ加熱対応包装袋および食品
JP2005263253A (ja) 中空構造部材、断熱部材及び緩衝部材
JPH09240683A (ja) フレキシブル容器
EP2778581A2 (en) Folded vacuum insulated structure
JP2003118771A (ja) 緩衝包装袋
CN206345231U (zh) 无充气阀的o型缓冲包装装置
KR102078311B1 (ko) 기능성 지퍼가 부착된 김치 포장재
JP2003118773A (ja) 緩衝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