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81B1 -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81B1
KR102342881B1 KR1020210123404A KR20210123404A KR102342881B1 KR 102342881 B1 KR102342881 B1 KR 102342881B1 KR 1020210123404 A KR1020210123404 A KR 1020210123404A KR 20210123404 A KR20210123404 A KR 20210123404A KR 102342881 B1 KR102342881 B1 KR 10234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unch
module
hole
s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옥
Original Assignee
윤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옥 filed Critical 윤명옥
Priority to KR102021012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7/00Making railway appurtenances; Making vehicle parts
    • B21K7/12Making railway appurtenances; Making vehicle parts parts for locomotives or vehicles, e.g. frames, underframes
    • B21K7/14Making railway appurtenances; Making vehicle parts parts for locomotives or vehicles, e.g. frames, underframes brake rigging or bra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조 공정에서 피가공물의 내경 홀 및 외경 각면을 성형할 수 있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10); 피가공물(A) 양측 단부에 제 1, 2 피어싱홈(1)(1')을 성형하는 피어싱홈 성형파트(100); 피어싱홀(2)을 성형하는 피어싱홀 성형파트(200); 환형 띠부(3)를 성형하는 띠부 성형파트(300); 및 환형 띠부(3)에 각면(4)이 성형되는 각면 성형파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를 이용하면,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의 각면 성형공정과 취출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되어, 단조 금형장치의 기계적 부하를 줄이고 소착현상으로 인한 성형 불량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Cold forging tool for SUS connector}
본 발명은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조 공정에서 피가공물의 내경 홀 및 외경 각면을 균일한 품질로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간 단조는 상온에서 소성가공하여 성형하는 단조방법으로,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완성된 제품의 치수정밀도가 우수하며, 완성 제품의 표면 사상층이 좋아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이 불필요하며, 가공 경화에 의하여 제품의 기계적인 성질이 향상되는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냉간 단조에 의한 성형물이 복잡할수록 단조 공정이 여러 단계로 다분화되므로 생산성이 낮고, 특히 성형 압력으로 인해 다이스부 및 펀치부 수명이 단축되어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275016호에서, 각기 서로 마주하는 고정금형과 펀치로 이루어진 제1, 2, 3, 4, 5단조부에 의해 순차적인 단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제3단조부 및 제4단조부가 갖는 펀치는 각각 케이스와 속핀으로 분리구성하여 그 사이에 에어배출을 위한 틈이 형성되게 한 자동차 유압브레이크용 연결구의 연결관 냉간단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단조부 및 제4단조부의 펀치가 갖는 속핀은 각각 케이스와 걸림테에 의한 걸림으로 케이스로부터의 돌출이 제어되는 펀칭부 및 지지부로 분리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지만, 단조품이 고정금형의 성형실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가압 성형된 후, 역방향으로 취출됨에 따라 단조품이 성형실 내에 소착되어 성형불량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210889호에서, ECAP유닛에 의하여 선재를 전단변형시켜 제1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ECAP 단계와; 상기 제1 예비가공품을 압출유닛에 의하여 압출하여 머리를 갖는 제2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압출 단계와; 상기 제2 예비가공품을 업세팅유닛에 의하여 업세팅하여 머리를 갖는 제3 예비가공품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예비가공품을 제1 헤딩유닛에 의하여 1차 헤딩하여 머리를 갖는 기계요소로 가공하는 1차 헤딩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지만, 펀치의 펀칭력에 의해 제3 예비가공품의 머리가 각봉형태로 압축 성형되고, 이때 펀치가 머리부분과 소착되어, 펀치가 분리된 후 성형면이 뜯기거나 변형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275016 B1 (2013.06.10.) KR 10-1210889 B1 (2012.12.0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의 각면 성형공정과 취출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기계적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각면이 성형될 때 피가공물의 이동방향과 배출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여 소착현상으로 인한 성형 불량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를 구성하되, 고정측부(12)와, 고정측부(12)와 대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는 가동측부(14)와, 고정측부(12)와 가동측부(14) 사이에 설치되어 SUS 재질의 피가공물(A)을 이송하는 반송부(16)로 구성되는 금형조립체(1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는 제 1 다이스모듈(1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는 제 1 펀치모듈(120)의 펀칭작동에 의해 피가공물(A) 양측 단부에 제 1, 2 피어싱홈(1)(1')을 성형하는 피어싱홈 성형파트(10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제 1 피어싱홈(1)에 삽입되도록 다이스핀(212)이 구비되는 제 2 다이스모듈(2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의 단면을 가압하여 피어싱홀(2)을 성형하도록 펀치핀(222)이 구비되는 제 2 펀치모듈(220)을 포함하는 피어싱홀 성형파트(20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 형성을 위한 환형 형틀(312)이 구비되는 제 3 다이스모듈(3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를 성형하도록 압축 펀치(322)가 구비되는 제 3 펀치모듈(320)을 포함하는 띠부 성형파트(300); 및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 4 다이스모듈(4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이 내측으로 이동 배출되는 중에 환형 띠부(3)에 각면(4)이 성형되도록 다각형 펀치부(422)가 형성되는 제 4 펀치모듈(420)로 구성되는 각면 성형파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3 펀치모듈(320)의 압축 펀치(322)는, 피가공물(A)의 피어싱홀(2)에 삽입되는 이너핀(323)과, 이너핀(323)과 동심원상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을 수용 지지하는 아우터부시(324)와, 이너핀(323)과 아우터부시(324) 사이에 설치되어, 이너핀(323)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피가공물(A) 일측 단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시(325)와, 압축부시(325)를 제 3 펀치모듈(320) 외측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구동핀(3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펀치모듈(420)의 다각형 펀치부(422)는, 피가공물(A)의 환형 띠부(3)가 수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로딩홀(422a)과, 로딩홀(422a)에 연결되고, 피가공물(A)이 통과하는 중에 환형 띠부(3) 외주면에 복수의 각면(4)을 성형하도록 구비되는 각홀(422b)과, 각홀(422b)을 통과한 피가공물(A)을 제 4 펀치모듈(420)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구(4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의 각면 성형공정과 취출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각면 성형 시 다이스모듈과 펀치모듈이 충돌하면서 전달되는 기계적 부하와 충격량을 저감할 수 있어서 금형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의 각면 성형공정과 취출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은 물론 각면이 성형될 때 피가공물의 이동방향과 배출방향이 동일하므로, 피가공물이 금형 안에 머무는 시간지연이 없어 소착현상으로 인한 성형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각면 성형 중에 생성되는 이물질(버어)이 피가공물과 함께 지속적으로 배출 처리되면서 완성품에 대한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 의해 피가공물이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각 파트별 성형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띠부 성형파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각면 성형파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각면 성형파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종래 금형장치에 의해 생산되어 소착현상이 발생한 피가공물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 의해 피가공물이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각 파트별 성형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의 각면 성형공정과 취출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조 개선된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 관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금형조립체(10), 피어싱홈 성형파트(100), 피어싱홀 성형파트(200), 띠부 성형파트(300) 및 각면 성형파트(40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가공물은 SUS 커넥터를 일예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조립체(10)는 고정측부(12)와, 고정측부(12)와 대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는 가동측부(14)와, 고정측부(12)와 가동측부(14) 사이에 설치되어 SUS 재질의 피가공물(A)을 이송하는 반송부(16)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측부(12)는 후술하는 제 1, 2, 3, 4 다이스모듈(110)(210)(310)(4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동측부(14)는 제 1, 2, 3, 4 펀치모듈(120)(220)(320)(420)를 탑재한 상태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이 구동부에 의해 고정측부(12) 측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부(16)는 고정측부(12)와 가동측부(14)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어되면서 각각의 성형파트를 거친 피가공물(A)을 이웃하는 다음 성형파트로 일괄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상기 반송부(16)는 각 파트에서 취출되는 피가공물(A)을 수용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셔틀홈이 형성되고, 반송부(16)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 왕복운동에 의해 피가공물(A)이 셔틀홈에 수용된 상태로 다음 파트로 일괄 전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홈 성형파트(100)는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는 제 1 다이스모듈(1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는 제 1 펀치모듈(120)의 펀칭작동에 의해 피가공물(A) 양측 단부에 제 1, 2 피어싱홈(1)(1')을 성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1 다이스모듈(110)은 피가공물(A)이 수용되도록 중심부에 다이스홀이 형성되고, 다이스홀 중앙에 제 1 피어싱홈(1) 가공을 위한 다이스핀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펀치모듈(120)은 피가공물(A) 단부 중앙부를 가압하여 제 2 피어싱홈(1')을 성형하기 위한 펀치핀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펀치모듈(120)의 펀치핀 외주면에 펀치부시가 설치되고, 펀치부시는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상기 펀치핀이 제 2 피어싱홈(1')에 깊이 진입하더라도 펀치부시가 이동하여 피가공물을 가압하므로 피가공물이 다이스홀에서 빠지지 않고 펀치핀이 신속하게 강제 취출되므로 다단계의 피어싱홈 성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어싱홈 성형파트(100)는 단조 성형 시 기계적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다이스모듈(110)과 제 1 펀치모듈(120)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바, 일예로서 도 2 (a) 내지 (c)와 같이 제 1 다이스모듈(110)과 제 1 펀치모듈(120)은 3단계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도 1 (a) 내지 (c)처럼 각 성형 단계 별로 제 1, 2 피어싱홈(1)(1') 성형 깊이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홀 성형파트(200)는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제 1 피어싱홈(1)에 삽입되도록 다이스핀(212)이 구비되는 제 2 다이스모듈(2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의 단면을 가압하여 피어싱홀(2)을 성형하도록 펀치핀(222)이 구비되는 제 2 펀치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다이스모듈(210)은, 피가공물(A)이 수용되는 피어싱부시와, 피어싱부시 내부에 설치되어 제 1, 2 피어싱홈(1)(1')을 관통하는 다이스핀(212)과, 피어싱부시와 다이스핀(212) 사이에 설치되고, 구동부에 의해 직선 이송되면서 피어싱홀(2) 성형이 완료된 피가공물(A)을 가압 취출하는 가변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d)에서, 상기 제 2 펀치모듈(220)의 펀치핀(222)은 내부에 상기 다이스핀(21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펀치홀이 형성되어, 제 2 피어싱홈(1')이 형성되는 피가공물(A) 단면에 국부적으로 가압 지지되고, 다이스핀(212)에 의해 피어싱(따내기)되는 버림 소재(예컨대, 제 1, 2 피어싱홈(1)(1') 사이에 잔류하는 격판)는 펀치홀을 타고 제 2 펀치모듈(22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도 3은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띠부 성형파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띠부 성형파트(300)는,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 형성을 위한 환형 형틀(312)이 구비되는 제 3 다이스모듈(3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를 성형하도록 압축 펀치(322)가 구비되는 제 3 펀치모듈(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3 펀치모듈(320)의 압축 펀치(3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A)의 피어싱홀(2)에 삽입되는 이너핀(323)과, 이너핀(323)과 동심원상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을 수용 지지하는 아우터부시(324)와, 이너핀(323)과 아우터부시(324) 사이에 설치되어, 이너핀(323)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피가공물(A) 일측 단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시(325)와, 압축부시(325)를 제 3 펀치모듈(320) 외측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구동핀(327)을 포함한다.
도 3 (a)와 같이 상기 제 3 다이스모듈(310)과 제 3 펀치모듈(320)이 펀칭 작동되어 환형 띠부(3)가 성형된다.
이후 제 3 펀치모듈(32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구동핀(327)에 의해 압축부시(325)가 제 3 펀치모듈(320)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너핀(323)과 아우터부시(324) 사이에 맞물린 피가공물(A)이 제 3 펀치모듈(320) 상에서 강제 취출되어 도 3 (b)처럼 피가공물(A)이 제 3 다이스모듈(310)의 다이스홀에 삽입된 상태를 갖는다.
이 후 도 3 (c)와 같이 제 3 다이스모듈(310)의 다이스핀이 인출되면 피가공물(A)이 제 3 다이스모듈(310) 상에서 취출되어, 반송부(16)에 의해 그 다음공정(각면 성형파트)로 전달된다.
이처럼 상기 띠부 성형파트(300)에서 환형 띠부(3)가 성형된 후, 환형 형틀(312)에 압입된 피가공물(A)이 제 3 다이스모듈(310)과 제 3 펀치모듈(320)의 형개 작동에 의해 자동 취출 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성형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금형장치에 적용하여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의 각면 성형파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각면 성형파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각면 성형파트(400)는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 4 다이스모듈(4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이 내측으로 이동 배출되는 중에 환형 띠부(3)에 각면(4)이 성형되도록 다각형 펀치부(422)가 형성되는 제 4 펀치모듈(420)로 구성된다.
도 4에서, 상기 제 4 펀치모듈(420)의 다각형 펀치부(422)는, 피가공물(A)의 환형 띠부(3)가 수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로딩홀(422a)과, 로딩홀(422a)에 연결되고, 피가공물(A)이 통과하는 중에 환형 띠부(3) 외주면에 복수의 각면(4)을 성형하도록 구비되는 각홀(422b)과, 각홀(422b)을 통과하여 각면이 성형된 피가공물(A)을 제 4 펀치모듈(420)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구(42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홀(422b)은 다각형으로 관통홀 구조로 형성된다. 각홀(422b)의 가장 큰 내경은 적어도 로딩홀(422a)의 내경과 취출구(422c)와 연결되는 각홀(422b) 후단부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며, 각홀(422b) 전, 후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환형 띠부(3)가 각홀(422b) 중심으로 진입되도록 안내된다.
상기 제 4 펀치모듈(420)의 다각형 펀치부(422)와 대응하는 제 4 다이스모듈(410)에는 피가공물(A)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다이스핀이 구비되고, 다이스핀은 다각형 펀치부(422)의 로딩홀(422a) 및 각홀(422b) 영역까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도 5 (a)와 같이 다각형 펀치부(422)의 로딩홀(422a)에 피가공물(A)의 환형 띠부(3)가 수용된 상태로 준비되면, 도 5 (b)처럼 가동측부(14)에 의해 제 4 펀치모듈(420)이 제 4 다이스모듈(410) 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피가공물(A)이 제 4 다이스모듈(410)의 다이스핀에 의해 가압되어 각홀(422b) 영역을 통과하면서 환형 띠부(3) 외주면에 복수의 각면(4)이 성형된다. 즉, 상기 환형 띠부(3)는 좌측방향으로 강제 이동되면서 복수의 각면(4)에 의해 다각형 너트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각홀(422b)을 통과한 피가공물(A)은 도 5 (c)와 같이 제 4 펀치모듈(420) 내부에서 각홀(422b) 후방에 연장 형성되는 취출구(422c)를 타고 바로 배출된다.
종래의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서와 같이 만약 피가공물(A)이 제 4 다이스모듈(410)의 다이스홀에 삽입된 상태로 각면이 성형되면 펀칭 시 충격량이 그대로 금형장치에 전달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그 충격 에너지가 피가공물(A)의 각면을 성형시킨 후 배출시키는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므로 단조 성형 과정 시 다이스모듈과 펀치모듈이 충돌하면서 전달되는 기계적 부하와 충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 금형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에 의하면, 각면 성형이 고정측부(12)인 제 4 다이스모듈(410)에서 이루어진 다음 취출되는 것이 아니라, 가동측부(14)인 제 4 펀치모듈(420)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출됨에 따라 종래 고정측부에서 각면이 성형된 다음 반대방향으로 취출할 때 자주 발생하던 소착현상(도 6 참조, SUS 제품을 단조로 생산 시, 최종 단계에서 단조에 의해 형성된 성형면 일부가 눌어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단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피가공물(A)이 다각형 펀치부(422)를 통과하면서 각면(4)이 성형됨과 동시에 취출구(422c)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조 개선됨에 따라 각면의 성형방향과 피가공물의 배출방향이 동일하고, 성형과 배출 사이에 시간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서 소착현상으로 인한 성형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어서 투입되는 피가공물(A)이 다각형 펀치부(422)를 통과하는 중에 이전 단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어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함께 취출구(422c)를 통해 배출 처리되므로, 완성품에 대한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1': 제 1, 2 피어싱홈
2: 피어싱홀 3: 환형 띠부 4: 각면
10: 금형조립체
12: 고정측부 14: 가동측부
16: 반송부
100: 피어싱홈 성형파트
110: 제 1 다이스모듈 120: 제 1 펀치모듈
200: 피어싱홀 성형파트
210: 제 2 다이스모듈 212: 다이스핀
220: 제 2 펀치모듈 222: 펀치핀
300: 띠부 성형파트
310: 제 3 다이스모듈 312: 환형 형틀
320: 제 3 펀치모듈 322: 압축 펀치
323: 이너핀 324: 아우터부시
325: 압축부시 327: 구동핀
400: 각면 성형파트
410: 제 4 다이스모듈 420: 제 4 펀치모듈
422: 다각형 펀치부 422a: 로딩홀
422b: 각홀 422c: 취출구

Claims (3)

  1. 고정측부(12)와, 고정측부(12)와 대향하게 설치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는 가동측부(14)와, 고정측부(12)와 가동측부(14) 사이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을 이송하는 반송부(16)로 구성되는 금형조립체(1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는 제 1 다이스모듈(1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는 제 1 펀치모듈(120)의 펀칭작동에 의해 피가공물(A) 양측 단부에 제 1, 2 피어싱홈(1)(1')을 성형하는 피어싱홈 성형파트(10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제 1 피어싱홈(1)에 삽입되도록 다이스핀(212)이 구비되는 제 2 다이스모듈(2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의 단면을 가압하여 피어싱홀(2)을 성형하도록 펀치핀(222)이 구비되는 제 2 펀치모듈(220)을 포함하는 피어싱홀 성형파트(200);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 형성을 위한 환형 형틀(312)이 구비되는 제 3 다이스모듈(3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에 환형 띠부(3)를 성형하도록 압축 펀치(322)가 구비되는 제 3 펀치모듈(320)을 포함하는 띠부 성형파트(300); 및
    상기 고정측부(12)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 4 다이스모듈(410)과, 가동측부(14)에 설치되어 피가공물(A)이 내측으로 이동 배출되는 중에 환형 띠부(3)에 각면(4)이 성형되도록 다각형 펀치부(422)가 형성되는 제 4 펀치모듈(420)로 구성되는 각면 성형파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펀치모듈(320)의 압축 펀치(322)는,
    피가공물(A)의 피어싱홀(2)에 삽입되는 이너핀(323)과,
    이너핀(323)과 동심원상에 설치되고, 피가공물(A) 외주면을 수용 지지하는 아우터부시(324)와,
    이너핀(323)과 아우터부시(324) 사이에 설치되어, 이너핀(323)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피가공물(A) 일측 단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시(325)와,
    압축부시(325)를 제 3 펀치모듈(320) 외측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구동핀(3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펀치모듈(420)의 다각형 펀치부(422)는,
    피가공물(A)의 환형 띠부(3)가 수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로딩홀(422a)과,
    로딩홀(422a)에 연결되고, 피가공물(A)이 통과하는 중에 환형 띠부(3) 외주면에 복수의 각면(4)을 성형하도록 구비되는 각홀(422b)과,
    제 4 펀치모듈(420) 내부에서 각홀(422b) 후방에 연장 형성되어 각홀(422b)을 통과한 피가공물(A)을 제 4 펀치모듈(420) 외부로 배출하는 취출구(422c)를 포함하며,
    각면(4)이 성형될 때 피가공물(A) 이동방향과 취출구(422c)로의 배출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KR1020210123404A 2021-09-15 2021-09-15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KR10234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04A KR102342881B1 (ko) 2021-09-15 2021-09-15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04A KR102342881B1 (ko) 2021-09-15 2021-09-15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81B1 true KR102342881B1 (ko) 2021-12-23

Family

ID=7917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04A KR102342881B1 (ko) 2021-09-15 2021-09-15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9548A (zh) * 2023-12-11 2024-01-16 辽宁博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品质模具钢的锻造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89B1 (ko) 2011-07-14 2012-12-11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KR101275016B1 (ko) 2013-02-18 2013-06-18 주식회사 부강정밀 자동차 유압브레이크용 연결구의 연결관 냉간단조장치
KR101996076B1 (ko) * 2019-01-10 2019-07-03 윤명옥 냉간 단조에 의한 sus 캡너트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89B1 (ko) 2011-07-14 2012-12-11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강소성 가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선재의 가공방법
KR101275016B1 (ko) 2013-02-18 2013-06-18 주식회사 부강정밀 자동차 유압브레이크용 연결구의 연결관 냉간단조장치
KR101996076B1 (ko) * 2019-01-10 2019-07-03 윤명옥 냉간 단조에 의한 sus 캡너트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9548A (zh) * 2023-12-11 2024-01-16 辽宁博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品质模具钢的锻造设备
CN117399548B (zh) * 2023-12-11 2024-02-13 辽宁博通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品质模具钢的锻造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752A (en) Method and system for warm or hot high-velocity die forging
KR20100022448A (ko) 방사상 외부윤곽 특히 스크류 또는 쓰레드된 볼트를 구비하는 패스닝 또는 패스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13131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forging blank
KR102342881B1 (ko) Sus 커넥터용 냉간 단조 금형장치
JP5632671B2 (ja) 鍛造用金型装置
JP2007229738A (ja) 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JP5056631B2 (ja) 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2017164755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KR20080102033A (ko) 후방가압형 냉간성형장치를 이용한 압출단조품 제조방법
KR101592255B1 (ko) 냉간포머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핀치요크 제조방법
KR101473948B1 (ko) 플랜지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13319238B (zh) 一种复杂铝合金传动轴锻件多向锻造成形的方法
US2762108A (en) Method for forming shell blanks
CN102689149A (zh) 一种汽车保持架零件的连续冲锻精密成形工艺
JPH11244983A (ja) 軸受素形材の製造方法
US9566641B2 (en) Forging apparatus
KR0174782B1 (ko) 봉부재의 헤드부 홈 냉간단조방법
CN215508811U (zh) 一种偏心轴生产用冷镦模具
CN114535486B (zh) 一种不等厚壳体件板锻造成形方法及模具
JPH01162535A (ja) 歯付き軸の鍛造方法
KR102021566B1 (ko) 파이프 단조 장치
CN214719460U (zh) 挤压装置
KR101772617B1 (ko) 다단 성형을 이용한 칼라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9980013633A (ko) 쇽업소오버 패킹캡 및 그 가공방법 및 그 금형
US3262303A (en) Extruding metal tubes prom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