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616B1 - 연결 요소 - Google Patents

연결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16B1
KR102342616B1 KR1020197004430A KR20197004430A KR102342616B1 KR 102342616 B1 KR102342616 B1 KR 102342616B1 KR 1020197004430 A KR1020197004430 A KR 1020197004430A KR 20197004430 A KR20197004430 A KR 20197004430A KR 102342616 B1 KR102342616 B1 KR 10234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usbars
interior
contact element
conne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915A (ko
Inventor
안드레아 마스트로비토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2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연결 요소(1)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결 요소(1)는 내부(20) 및 이 내부(20)에 장착된 접촉 요소(3)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3)는 하나 이상의 탄성 접촉 웹(32)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39)을 형성한다. 접촉 요소(3)는 평면(39)을 따라 내부(20)를 제 1 버스바(4)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 공간(21) 및 제 2 버스바(5)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 공간(22)으로 분할하고, 접촉 요소(3)는 하나 이상의 접촉 웹(32)에 의해 제 1 버스바(4)와 제 2 버스바(5) 사이의 전기 접촉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연결 요소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청구된 바와 같은 2 개의 버스바 사이의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접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2 개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버스바와 같은 2 개의 도체 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많은 이러한 접촉 요소도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대응하는 제품을 여기서 언급할 수 있다.
버스바는, 예를 들면, 차량에서 고정된 전기 도체 요소로서 사용되며, 이 도체 요소는 인버터 모듈과 같은 다른 요소의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버스바는 승용차, 트럭, 대중 교통 차량, 또는 전기 자전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화석 연료 및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모터의 사용에서, 버스바가 승용차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바는 또한 전기 자전거의 추진과 관련하여 접촉부로서 점증적으로 사용되어왔다.
버스바의 연결에 대한 많은 연결 해결책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는 나사 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되며, 이는 접촉점이 표면 접촉에 의해 부적절하게 형성되므로 큰 가압력을 제공해야한다. 이러한 이유로,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향상시키는 접촉 블레이드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2 개의 버스바와 접촉 블레이드 사이의 나사에 의한 연결은 비용이 많이 들고, 이것은 특히 제조 중에 짧은 사이클 시간이 요구되는 자동차 산업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문제는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2 개의 버스바의 연결을 위한 연결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문제는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연결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문제는 청구항 1의 연결 요소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는 내부 및 이 내부에 장착되는 접촉 요소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2 개의 버스바의 각각은 삽입 방향을 따라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접촉 요소는 평면을 따라 내부를 제 1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수용 공간 및 제 2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 공간으로 분할한다. 접촉 요소는 제 1 버스바와 제 2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한다. 접촉 요소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 개의 지지점에 의해 장착된다. 지지점 중 하나 이상은 측벽으로부터 내부 내로 돌출하고, 측벽은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횡단 평면에 놓이고, 접촉 요소의 지지점은 하나 이상의 병진 방향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지지점의 이러한 배치는 지지점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하우징의 다른 벽이 크게 약해지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2 개의 수용 공간이 버스바의 삽입 공정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가능한 최소의 지지점으로 폐색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스탬핑 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므로 제조 비용이 유리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접촉 요소로 내부가 구획됨으로써, 각각의 버스바가 적절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는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진 방향은 상기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즉, 접촉 요소에 대한 이동 제한은 평면을 향하여 그리고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횡단 평면으로 배향되는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지지점의 하중에 대하여 유리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삽입 사이클의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인 상기 병진 방향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모든 지지점은 상기 횡단 평면으로 배향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용어 "버스바"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강성 접촉 요소를 의미한다. 버스바의 단면의 크기 및 길이는 연결 요소의 사용에 중요하지 않다.
용어 "이동 제한"은 지지점이 대응하는 방향으로 접촉 요소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 정지부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제한은 접촉 요소의 이동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제한이나, 접촉 요소가 그 내부에 이동할 수 있는 유격(play)이 생성되는 제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는 상기 지지점에서 부상(floating)되도록, 즉 유격을 가지고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점 중 하나는상기 접촉 요소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에 대한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이중 지지점이다.
따라서, 상기 이중 지지점은 단독으로 위치되어 있으므로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즉, 단일 지지점으로 지지점에 연결된 접촉 요소의 이동이 이개병방으로 제한될 수 있다.
대응하는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1 개 이상의 이중 지지점의 형성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 시스템이 이중 지지점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즉, 이중 지지점은 유리한 이중 기능을 나타내는 2 개의 자유도로 지지 시스템의 기능을 취한다.
이중 지지점은 또한 단일 지지점이 상기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경우에 제조시 및 작동시에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2 개의 다른 요소가 서로에 대해 배향될 필요는 없다.
용어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은 2 개의 병진 방향이 서로에 대해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점은 음의 병진 방향 뿐만 아니라 양의 병진 방향으로 접촉 요소의 중간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이동 제한을 제공하며, 양의 병진 방향 및 음의 병진 방향은 동일한 축선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해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점 중 하나는 접촉 요소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의 병진 방향으로 상기 접촉 요소의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이중 지지점과 단일 지지점 둘 모두 또는 이중 지지점만 또는 단일 지지점만 동일한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3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이중 지지점이 배치된다. 2 개의 이중 지지점은 동일 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한다. 1 개의 이중 지지점 또는 2 개의 이중 지지점이 상기 측벽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모든 이중 지지점은 특히 접촉 요소의 중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으로 접촉 요소에 대한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 1 개 이상의 이중 지지점 및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제공된다. 제 1 측벽으로부터 1 개 이상의 이중 지지점이 내부로 돌출한다. 제 1 측벽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내부로 돌출한다.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병진 방향 중 하나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반대측 병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4 개의 단일 지지점이 제공된다. 제 1 측벽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내부로 돌출하고, 여기서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하나의 병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반대측 병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 1 측벽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내부로 돌출하고, 여기서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하나의 병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반대측 병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실시형태에서, 내부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의 2 개의 지지점이 존재하고, 접촉 요소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는 2 개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지지점은 접촉 요소에 대해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병진 방향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하고, 제 2 병진 방향은 삽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지지점은 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된 제 1 병진 방향에 관하여, 그리고 종축선 또는 삽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된 그리고 평면에 대해 평행한 제 2 병진 방향에 관하여 접촉 요소에 대해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이중 지지점의 경우 2 개의 그룹의 지지점이 함께 대응하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종축선을 횡단하는 방향에 관하여, 하나의 그룹은 출발 위치로부터 양의 방향 및 반대측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중 지지점은 접촉 요소의 캐리어 스트립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다. 특히, 접촉 요소의 연부 영역, 특히 캐리어 스트립의 연부 영역 또는 전체 캐리어 스트립은 지지점의 슬롯 내로 돌출하고, 따라서 슬롯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에 슬롯은 양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은, 슬롯과 접촉 요소 사이에 유격이 제공되도록,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인 일 방향에서 접촉 요소의 두께, 특히 캐리어 스트립의 두께보다 더 넓게 구성된다. 즉, 접촉 요소는 제 2 방향의 방향으로 슬롯 내에 유격을 가지고 지지된다. 슬롯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제한을 제공하며, 접촉 요소는 상기 유격의 범위 내의 이러한 이동 제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단일 지지점은 지지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요소는 지지면에 접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그룹의 지지점 내의 슬롯 또는 지지면은 평면에 관하여 서로 오프셋된다. 오프셋 배치로 인해, 접촉 요소는 내부에서 약간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이로 인해 버스바의 삽입 공정이 더 용이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입구에 더 근접하여 놓인 슬롯 또는 지지면은 입구로부터 더 멀리 놓인 슬롯 또는 지지면보다 버스바와 접촉하는 벽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실시형태에서 지지점은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굴곡된, 그리고 내부로 돌출하는 웹(web)이고, 이 웹은 하우징의 하나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웹은 단일 부재로서 하우징과 관련하여 입설(standing)되어 있고, 웹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소성 변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슬롯은 웹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며, 자유 단부를 폐쇄하는 단부면에서 웹 내로 연장된다. 슬롯은 단부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즉, 접촉 요소는 단부면을 통해 슬롯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면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웹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웹은 종축선에 대해 어떤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이 각도는 10° 내지 170°, 특히 30° 내지 150°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는 삽입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2 개의 제 3 병진 방향으로 내부에서 부상하도록 장착되어, 접촉 요소가 단부 정지부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한계 내에서 제 3 병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벽, 이 벽으로부터 반대측 연부에 형성된, 그리고 이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2 개의 측벽, 및 이 측벽 상에 형성된 측연부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점 또는 웹은 하우징 상에 단일 부재로서 주조성형되고, 측벽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하고, 지지점은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설치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는 공구를 위해 캐리어 스트립에의 액세스가 생성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설치 개구는 공구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관통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 특히 캐리어 스트립은 공구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설치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접촉 요소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금속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펀칭 및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하우징은 단일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추가의 임의선택적인 특징 또는 장점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접촉 웹은 이것이 버스바들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할 때 각각의 버스바에 대해 복원력을 가한다. 이로 인해 내구성 있는, 그리고 명확한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는 버스바가 각각의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할 때 제 1 버스바와 제 2 버스바 사이에 높이도록 배치된다.
접촉 요소는 지지점 또는 지지점들에 의해 제공되는 한정된 한계 내에서 제 2 수용 공간을 향해 또는 제 2 수용 공간을 향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는 변위가능하도록 내부에 부상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정된 한계는, 예를 들면, 허용오차의 균등화를 의미할 수 있다. 부상 장착(floating mount)은 허용오차를 자동으로 균등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접촉 요소는 다양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접촉 요소는 버스바들 사이에 내구성 있는 접촉이 생성될 수 있도록 탄성 접촉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례에서, 접촉 요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접촉 요소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종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캐리어 스트립 및 2 개의 캐리어 스트립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접촉 웹을 포함한다. 캐리어 스트립은 내부를 2 개의 수용 공간으로 분할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접촉 요소는 평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 스트립과 관련하여 입설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접촉 앱은 스트립에 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특히 회전가능하도록 또는 선회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캐리어 스트립과 관련하여 입설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웹은 평면에 대해 어떤 각도로 놓이며, 접촉 요소는 각각의 수용 공간 내로 버스바의 삽입 시에 각도가 더 작아지도록 내부에 위치되지만 접촉 웹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웹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 평면의 양측 상에서 연장되고, 평면의 각각의 측면을 넘어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웹은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에 의해 하나 이상의 캐리어 스트립과 관련하여 입설되어 있다.
연결 요소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례는 2 개의 수용 공간 각각이 하나 이상의 입구를 가지며, 이 입구를 통해 각각의 버스바가 대응하는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하고, 제 1 수용 공간은 제 1 면으로부터 제 1 입구를 통해, 그리고 제 2 수용 공간은 제 2 면으로부터 제 2 입구를 통해 액세스가능하고, 제 1 면은 바람직하게는 제 2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요소의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례는 각각의 수용 공간이 접촉 요소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 요소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 요소를 갖고, 각각의 버스바는 단부 정지 요소에 저해 있고, 각각의 단부 정지 요소에 대해 버스바를 가압하는 접촉 요소로부터의 힘은 탄성 접촉 웹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정지 요소는 상기 벽 또는 상기 측연부의 형상을 갖는다.
연결 요소의 추가의 바람직한 변형례는 하우징이 또한 버스바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 요소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 요소는 각각의 입구를 통과하지 않는 버스바가 상승하여 단부 정지 요소에 접하도록 입구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요소의 추가의 바람직한 변형례는 하우징이 입구의 영역 내에 버스바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요소의 추가의 바람직한 변형례는 제 1 수용 공간 내의 접촉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제 2 수용 공간냉의 접촉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또는 제 1 수용 공간 내의 접촉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접촉 요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레이아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요소, 제 1 버스바 및 이 제 1 버스바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버스바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버스바는 제 1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하고, 제 2 버스바는 제 2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하고, 2 개의 버스바 사이에서 제 1 수용 공간과 제 2 수용 공간 사이에 배치된 접촉 요소에 의해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추가의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나타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며, 이것은 설명의 역할만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버스바가 없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요소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 요소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버스바가 없는 도 1의 연결 요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버스바가 있는 도 1의 연결 요소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이중 지지점으로서 구성된 지지점을 가진 도 1의 연결 요소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b는 단일 지지점으로서 구성된 지지점을 가진 도 1의 연결 요소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버스바가 아직 삽입되지 않은 도 1의 연결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버스바가 삽입된 도 6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추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이 형성될 수 있는 연결 요소(1)를 도시한다. 연결 요소는 기본적으로 하우징(2) 및 이 하우징(2) 내에 배치되는 접촉 요소(3)를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버스바 사이에서 전기 접촉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연결 요소(1)의 단면을 도시한다. 하우징(2)은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 액세스가능한 내부(20)를 포함하며, 내부는 접촉 요소(3)에 의해 제 1 수용 공간(21) 및 제 2 수용 공간(22)으로 분할된다. 내부(20)는 벽(240), 이 벽(240)으로부터 반대측의 연부에 형성된 그리고 벽(24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2 개의 측벽(242), 및 측벽(242) 상에 형성된 측연부(24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다시 말하면, 벽(240), 측벽(242) 및 측연부(241)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개구(28, 29)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터널형 내부(20)를 제공한다고도 할 수 있다. 터널형 내부(20)는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완전히 포위될 수도 있고, 그러면 측연부(241)는 마찬가지로 벽으로서 형성되거나 서로에 관련하여 입설되고, 개구(28, 29)는 마찬가지로 내부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벽(240)과 측연부(241) 각각은 평평한 평면 내에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 간격은 내부의 공간 폭(L)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는 입방체이다.
2 개의 수용 공간(21, 22)은 기본적으로 각각의 버스바(4, 5)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수용 공간(21)은 제 1 입구(28)를 통해, 그리고 제 2 수용 공간(22)은 제 2 입구(29)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버스바(4, 5)는 이들 입구(28, 29)를 통해 각각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된다.
접촉 요소(3)는 평면 내에 놓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20)를 통해 연장되는 평면(39)을 형성한다. 평면(39)은 2 개의 버스바들 사이의 중간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이들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평면(39)은 접촉 요소(3)의 중간을 통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접촉 요소(3)는 특히 바람직한 접촉 요소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례이다. 그러나 또한 마찬가지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탄성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다른 접촉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하 내부에서 접촉 요소의 장착을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접촉 요소(3)는 지지점(23)에 의해 내부(20)에 유지된다. 지지점(23)는 하우징과 함께 단일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20) 내로 돌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중 지지점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지지점(23)은 접촉 요소(3)의 중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R1, R1')으로 접촉 요소(3)의 이동 제한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접촉 요소(3)는 이것이 고정되거나 지지점(23)에 의해 제공되는 유격 내에 있거나 이동 제한 내에 유지되도록 지지점(23)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접촉 요소(3)는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지지점(23)에 장착된다.
병진 방향(R1, R1')은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본 경우에는 평면(39)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2 x 2 개의 지지점(23)이 내부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이들 2 개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점(23)은 접촉 요소(3)의 중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병진 방향(R2, R2')으로 접촉 요소의 이동 제한을 제공한다. 제 2 병진 방향(R2, R2')은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평면(3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지지점(23)의 개수에 관하여, 여기서는 총 4 개의 지지점(23)이 존재하고, 매번 일 그룹의 2 개의 지지점(23)은 동일한 면으로부터 내부(20) 내로 돌출한다. 2 개의 그룹의 2 개의 지지점(23)은 각각 내부(20)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지지점(23)은 캐리어 스트립(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슬롯(230)을 갖는다. 도 5a에서 캐리어 스트립(2)의 영부 영역이 슬롯(230) 내로 어떻게 돌출되는지를 잘 알 수 있다.
도 5b는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지지면(236)을 포함하는 지지점의 대안적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변형례에서, 슬롯(230)은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인 일 방향에서 캐리어 스트립의 두께보다 넓게 구성된다. 폭은 슬롯과 캐리어 스트립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정도의 폭이다. 즉, 캐리어 스트립(31) 및 나아가서 접촉 요소(3) 자체가 슬롯(230) 내의 유격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 유격으로 인해, 접촉 요소(3)가 제 1 버스바가 삽입될 때에는 제 1 버스바로부터 강제로 약간 멀어지고, 다른 버스바가 삽입될 때에는 강제로 제 1 버스바를 향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버스바(4, 5)의 두께 또는 수용 공간의 공간 폭의 허용초차가 균등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접촉 요소(3)가 접촉 공정 중에 항상 2 개의 버스바(4, 5) 사이의 중간에 놓이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롯(230)은 유격이 전혀 생기지 않도록 캐리어 스트립(2)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서 슬롯(230)은 한 그룹의 지지점(23) 내에서 평면(39)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어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슬롯(230)은 우측 슬롯(230)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E1, E2)에서 볼 때, 입구(28, 29)에 더 근접하여 놓인 슬롯(230)은 입구(28, 29)로부터 더 멀리 있는 슬롯보다 버스바(4, 5)와 접촉하는 벽(240)으로부터 더 먼 거리(A1, A2)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접촉 요소가 내부(20)에서 약간 경사져 있으므로 버스바(4, 5)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점(23)은 내부(20) 내로 굴곡된 웹으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지지점(23)은 측벽(242)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측벽(24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슬롯(230)은 웹의 자유 단부(231)에 배치되며, 자유 단부(231)를 폐쇄하는 단부면(232)에서 웹 내로 연장된다. 슬롯은 단부면(232)에서 개방되어 있다.
웹은 종축선(L)에 대해 어떤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이 각도는 10° 내지 170°, 특히 30° 내지 150°이다.
또한, 접촉 요소(3)는 삽입 방향(E1, E2)에 때해 또는 종방향(L)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2 개의 제 3 병진 방향(R3, R3')으로 내부(20)에서 부상하도록 장착되어, 접촉 요소(3)가 단부 정지부(234)에 의해 제공되는 정의된 한계 내에서 이 제 3 병진 방향(R3, R3')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단부 정지부(234)는 삽입 보조구(281, 291)에 의해 제공된다.
특히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2)은 수 개의 설치 개구(233)를 가지며, 이들은 공구를 위한 캐리어 스트립(2)에의 액세스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캐리어 스트립(31)은 또한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평평한 설치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 개구(235)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은 입설되어 있거나, 제 1 버스바(4) 및 제 2 버스바(5)와 연결된 연결 요소(1)를 도시한다. 2 개의 버스바(4, 5)는 여기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종축선(A1, A2)을 따라 연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종축선(A1, A2)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로부터 오프셋된다. 또한, 종축선(A1, A2)은 전술한 평면(39)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된다. 버스바는 서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거나, 뚜께 또는 폭이 다를 수 있다. 2 개의 버스바의 각각은 단부면(40, 50), 2 개의 측벽(41, 51), 접촉 요소(3)에 대면하는 접촉면(42, 52), 및 하우징(2)에 대면하는 표면(43, 53)을 갖는다. 여기서 접촉면(42, 52)은 계단형 표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요소(3)는 종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2 개의 캐리어 스트립(31) 및 복수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접촉 웹(32)을 갖는 접촉 블레이드로서 표시되어 있다. 접촉 웹(32)은 캐리어 스트립(31)과 관련하여 양면 상에 입설되어 있다. 캐리어 스트립(31)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평면(39)을 형성한다. 접촉 웹(32)은 이 경우에 캐리어 스트립(31)과의 연결 영역에서 비틀림 부분으로 인해 탄성을 갖는다. 비틀림 부분은, 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로 부를 수 있다. 접촉 요소(3)는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2 개의 버스바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 정지부에 접촉하는 탄성 요소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접촉 요소(3)는 캐리어 스트립(31) 또는 종방향(A) 또는 평면(39)에 대해 수직인 스프링 힘을 가할 수 있는 탄성 요소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복수의 규정된 접촉점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접촉 웹(32)은 양 버스바(4, 5)와 관련하여 항상 서 있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2 개의 버스바(4, 5)는, 이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접촉 요소(3)가 정지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이들이 하우징(2) 내로 돌출하는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오프셋된 상태로 연장된다. 즉, 접촉면(42, 52)은 평면(39)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버스바(4, 5)의 접촉면(42, 52)은 접촉 웹(32)과 관련하여 입설되어 있으며, 즉 접촉 웹(32)은 제 1 버스바(4)의 접촉면(42) 및 제 2 버스바(5)의 접촉면(52)에 대해 접촉되어 있고, 따라서 2 개의 버스바(4, 5) 사이에 전기 접촉을 확립한다.
용어 버스바는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전류를 전도하는 임의의 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버스바는,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승용차, 또는 대중 교통 차량과 같은 차량에서 에너지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100 내지 1000 암페어의 전류가 운반된다. 특히 전기 자전거의 분야세, 저전류도 고려될 수 있다.
용어 탄성은 스프링 힘 또는 복원력의 작용을 의미한다. 복원력은 접촉 웹이 그 원래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 또는 접촉 위치로 이동될 때 접촉 웹 상에 작용한다. 즉, 복원력은 접촉 웹과 버스바 사이의 접촉 시에 작용한다.
접촉 요소(3)는 2 개의 버스바(4, 5) 사이의 중간에 놓이게 되므로 캐리어 스트립(2)이 평면(39) 내에 위치한다거나, 이 평면(39)을 형성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접촉 웹(32)은 평면(39) 또는 캐리어 스트립(31)으로부터 볼 때 평면(39) 위 및 평면(39) 아래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는, 다시 말하면, 적어도 비접촉 상태에 있는 접촉 웹(32)이 평면(39) 또는 캐리어 스트립(31)의 양측으로 연장되거나 양측 상으로 돌출함을 의미한다.
접촉 웹(32)은 평면(39) 또는 캐리어 스트립(31)에 대해 각도(α)로 입설된다.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α)는 2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접촉 웹(32)은 캐리어 스트립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입설된다. 즉, 모든 접촉 웹(32)은 적어도 비접촉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접촉 요소(2)는 스프링 청동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4는 버스바(4, 5)가 삽입된 연결 요소(1)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버스바가 없는 연결 요소(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의 수용 공간(21, 22)의 각각은 평면(39)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 요소(3)로부터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 요소(24)를 갖는다. 각각의 버스바는 단부 정지 요소(24)에 접촉해 있으며, 탄성 접촉 웹(32)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의해 접촉 요소(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버스바는 대응하는 단부 정지 요소(24)에 대해 가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단부 정지 요소(24)는 한편으로 벽(240)의 형상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 측연부(241)의 형상을 갖는다. 벽(240)은 제 2 버스바(5)에 대한 단부 정지 요소의 역할을 하고, 2 개의 측연부(241)는 제 1 버스바(4)에 대한 단부 정지 요소의 역할을 한다.
벽(240)은 또한 하우징 벽으로 불릴 수 있으며, 2 개의 측벽(242)은 2 개의 대향 연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입설되고, 하나의 측연부(241)는 측벽(242)의 자유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2 개의 수용 공간(21, 22)의 각각은 각각의 버스바(4, 5)의 두께보다 작은 공간 폭(L1, L2)을 갖는다. 공간 폭은 접촉 웹(32)의 상연부(33) 또는 하연부(35)와 단부 정지 요소(24)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더 작은 공간 폭을 선택함으로써, 연결 시에 접촉 웹(32)의 스프링 작용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폭은 삽입되는 버스바의 두께로 정의된다.
제 1 버스바(4)가 삽입될 때, 접촉 요소(3)는 부상 장착으로 인해 약간 상승되지만, 접촉 웹(32)은 편향되지 않거나 약간만 편향된다. 다음에, 제 2 버스바(5)가 삽입되면, 버스바(5)가 상연부(33)에 의해 각각의 접촉 웹을 회전시키므로 접촉 웹(32)이 회전된다. 회전은 접촉 블레이드 또는 접촉 요소(3)의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에서 발생된다.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의 구성으로 인해, 접촉 블레이드가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로부터의 예응력(prestressing force)으로 인해 그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버스바(4)와 제 2 버스바(5) 상에 일정한 힘이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버스바(4)는, 제 2 버스바(5)가 삽입될 때,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에 의해 제공된 힘에 의해 단부 정지부(234)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나, 치수에 따라 제 1 버스바(4)의 삽입 시에 접촉 웹(32)이 회전될 수도 있는데, 이는 버스바(4)가 하연부(35)에 의해 접촉 웹의 각각을 변위시키기 때문이다.
제 2 버스바(5)가 삽입될 때, 제 1 버스바(4)가 제 2 수용 공간(22) 내에 이미 존재하면, 제 2 버스바(5)는 상연부(33)를 가로 질러 접촉 웹(32)과 접촉한다. 버스바(4, 5)의 치수는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에 의해 제공된 힘이 버스바(4, 5)의 모두에 항상 작용하도록, 그리고 버스바들을 외측으로, 즉 단부 정지 요소(24)에 대해 가압하도록 선택된다.
2 개의 버스바의 지정에 관계없이, 제 1 버스바(4)에 앞서 제 2 버스바(5)가 삽입될 수도 있고, 전술한 프로세스는 동등하게 적용될 것이다.
여기서 접촉 요소(3)는, 버스바가 삽입될 때, 접촉 웹(32)과 캐리어 스트립 사이의 각도(α)가 감소하도록 내부에 배치된다. 접촉 웹(32)은 버스바가 캐리어 스트립(2) 또는 평면(39)을 향산 스위블 이동에 의해 각각의 접촉 웹(32)을 가압하도록 버스바에 관하여 위치된다. 삽입 공정 중에, 버스바(4, 5)는 단부면(40) 및 접촉면(42)에 의해 형성되는 연부에 의해, 연부와 대면하는 접촉 웹(32)의 표면과 접촉하고, 다음에 이것을 캐리어 스트립에 가압하고, 그 결과 접촉 웹(32)은 대응하는 상연부(33) 또는 하연부(35)에 의해 접촉면(42)에 놓인다.
다시 말하면, 2 개의 버스바(4, 5)는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34)에 의해 서로로부터 강제로 멀어지고, 버스바(4, 5)는 각각의 단부 정지 요소(24)에 지지된다고 말할 수 있다. 버스바(4, 5), 수용 공간(21, 22) 및 접촉 요소(3)의 치수는 접촉 요소(3)로부터 버스바(4, 5) 상으로 힘이 실질적으로 항상 작용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2 개의 버스바 사이의 거리가, 버스바에 대해 수직으로 보았을 때, 접촉 웹의 상연부(33)와 하연부(35)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하우징(2)의 안정성으로 인해, 이 힘은 전체 사용 기간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는 접촉 웹(32)과 버스바(4, 5)의 각각의 접촉면(42, 52) 사이의 명확한 접촉에 관하여 매우 유리하다. 명확한 접촉은 전체 내용년수에 걸쳐 양호하고 일정한 전기 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각각의 수용 공간은 각각의 종축선(A1 또는 A2)의 방향으로 대응하는 경계 요소(27)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경계 요소(27)는, 각각의 수용 공간(21, 22)이 이 경계 요소(27)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각각의 단부 정지 요소(24)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어떤 각도로 연장된다. 경계 요소(27)는 기본적으로 2 가지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 경계 요소(27)는 버스바(4, 5)에 대한 단부 정지부(234)를 구성한다.
입구(28, 29)의 영역에는 삽입 보조부(280, 290)가 제공될 수 있다. 2 개의 삽입 보조부(280, 290)는 종축선(A)에 대해 어떤 각도로 입설되므로, 내부(20)에서 보았을 때, 입구(28, 29)의 공간 폭은 입구(28, 29)의 단부를 향해 증대되고, 각각의 버스바가 삽입될 때, 단면 또는 공간 폭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탭 형태의 측면 삽입 보조부(281, 291)는 내부(20)의 좌 및 우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삽입 보조부(280, 281, 290, 291)는 대응하는 경계 요소(27)와 관련하여 입설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안정성이 전체 내용년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우징(2)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금속 재료의 선택은 또한 2 개의 버스바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부터의 열이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은 또한 냉각 요소의 역할을 한다. 하우징은, 예를 들면, 펀칭, 굽힘가공 및/또는 성형에 의해 금속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우징의 변형이 전기 접촉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형상 안정성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역시 적절한 플라스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2)은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단부 정지 요소(24)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2 개의 버스바를 안내하고 위치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 1 단계에서, 연결 요소는 제 1 버스바(4)를 통해 삽입되고, 그로인해 제 1 수용 공간(21) 내로 돌출할 수 있다. 접촉 웹(32)은 원래 위치로부터 스위블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제 2 단계에서, 제 2 버스바(5)는 제 2 수용 공간(22) 내로 압입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2 버스바(5)도 마찬가지로 접촉 웹과 접촉한다.
대안적으로, 제 2 버스바가 제 2 수용 공간(22) 내로 돌출하고, 다음에 제 1 버스바(4)가 제 1 수용 공간(21) 내로 삽입되도록, 연결 요소를 최초에 제 2 버스바(5)에 의해 압입시키는 연결을 행하는 가역 프로세스도 가능하다. 제 1 버스바(4)가 삽입되는 경우, 접촉 웹(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블 이동에 의해 원래 위치로부터 회전되거나 스위블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일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며, 위의 설명이 참조된다.
또한, 추가의 실시형태는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결정 탭(300)을 포함한다. 위치결정 탭(300)은 하우징(2)이 정확한 위치를 취하도록 상위 시스템 내에 하우징(2)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요소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접촉 요소(3)는 다른 방법으로 하우징(2)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2) 및 접촉 요소(3)는 설치 개구를 갖지 않는다. 접촉 요소(3)는 공구에 의해 내부(20) 내로 인입되고, 당ㅁ에 내부(20)에 이미 형성된 지지점(23)과 접촉한다. 접촉 요소는 방향(R3 또는 R3')으로 인입된다.
접촉 요소(3)가 내부(20)에 위치되면, 단부 정지부(234) 및 그 위에 형성된 깔대기 탭(237)은 굴곡되므로 연결 요소(1)는 마찬가지로 방향(R3 또는 R3')으로의 이동에 대항하여 내부(20)에 고정된다. 깔때기 탭(237)는 임의선택적이다. 즉 이들은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1 연결 요소
2 하우징
3 접촉 요소
4 제 1 버스바
5 제 2 버스바
20 내부
21 제 1 수용 공간
22 제 2 수용 공간
23 지지점
24 단부 정지 요소
27 경계 요소
28 제 1 입구
29 제 2 입구
31 캐리어 스트립
32 접촉 웹
33 상연부
34 비틀림 스프링 조인트
35 하연부
39 평면
40 단부면
41 측벽
42 접촉면
43 표면
50 단부면
51 측벽
52 접촉면
53 표면
230 슬롯
231 자유 단부
232 단부면
233 설치 개구
234 단부 정지부
235 설치 개구
236 지지면
237 깔때기 탭
240 벽
241 측연부
242 측벽
280 삽입 보조부
290 삽입 보조부
281 측면 삽입 보조부
291 측면 삽입 보조부
300 위치결정 탭
L 수용 공간의 공간 폭
L1 제 1 수용 공간의 공간 폭
L2 제 2 수용 공간의 공간 폭
E1 삽입 방향
E2 삽입 방향

Claims (16)

  1.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1)로서,
    상기 연결 요소(1)는 내부(20)를 갖는 하우징(2) 및 상기 내부(20)에 장착되는 접촉 요소(3)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버스바의 각각은 삽입 방향(E1, E2)을 따라 상기 하우징(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촉 요소(3)는 평면(39)을 따라 상기 내부(20)를 제 1 버스바(4)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수용 공간(21) 및 제 2 버스바(5)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 공간(22)으로 분할 하고,
    상기 접촉 요소(3)는 상기 제 1 버스바(4)와 상기 제 2 버스바(5) 사이의 전기 접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접촉 요소(3)는 상기 하우징(2)의 내부(20)에서 수 개의 지지점(23)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지지점(23) 중 하나 이상은 측벽(242)으로부터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고, 상기 측벽(242)은 상기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횡단 평면(Q)에 놓이고, 상기 접촉 요소(3)의 지지점은 하나 이상의 병진 방향(R1, R1')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하고,
    상기 병진 방향(R1, R1')은 상기 평면(39)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지지점에서 부상(floating)하도록 장착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23) 중 하나는 상기 접촉 요소(3)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병진 방향(R1, R1')에 대한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이중 지지점이고; 및/또는
    상기 지지점(23) 중 하나는 상기 접촉 요소(3)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의 병진 방향(R1, R1')으로 상기 접촉 요소(3)의 이동 제한을 제공하는 단일 지지점인,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3 개 이상의 이중 지지점(23)이 배치되고, 2 개의 이중 지지점(23)은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20)로 돌출되고, 1 개의 이중 지지점(23) 또는 2 개의 이중 지지점(23)은 상기 제 1 측벽(242)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20)로 돌출하고; 또는
    제 1 측벽(242)으로부터 1 개 이상의 이중 지지점이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 1 측벽(242)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하나의 상기 병진 방향(R1)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반대측 병진 방향(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또는
    제 1 측벽(242)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상기 하나의 병진 방향(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반대측 병진 방향(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 1 측벽(242)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벽으로부터 2 개 이상의 단일 지지점이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하나는 상기 하나의 병진 방향(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2 개의 단일 지지점 중 다른 하나는 반대측 병진 방향(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관하여 서로 반대측의 2 개의 지지점(23)이 존재하고, 상기 접촉 요소(3)의 중간 위치로부터 출발하는 상기 2 개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지지점(23)은 상기 접촉 요소에 대해 2 개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병진 방향(R2, R2')으로 이동 제한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병진 방향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평면(3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지지점(23)은 상기 접촉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230)을 갖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30)은 상기 슬롯과 상기 접촉 요소 사이에 유격(play)이 제공되도록 상기 평면에 대해 직각인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접촉 요소의 두께보다 넓게 구성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지지점은 지지면에 의해 제공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일군의 지지점(23) 내의 슬롯(230) 또는 지지면은 상기 평면(39)에 관하여 서로 오프셋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E1, E2)으로 볼 때, 입구(28, 29)에 더 근접하여 놓인 상기 슬롯(230) 또는 지지면은 상기 입구(28, 29)로부터 더 멀리 놓인 상기 슬롯 또는 지지면보다 상기 버스바(4, 5)와 접촉하는 벽(240)으로부터 더 먼 거리(A1, A2)에 위치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23)은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외부로 굴곡되어, 상기 내부(20) 내로 돌출하는 웹(web)이고, 상기 웹은 종축선(L)에 대해 10° 내지 170°인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30)은 상기 웹의 자유 단부(231)에 배치되고, 상기 자유 단부를 폐쇄하는 단부면(232)에서 상기 웹 내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230)은 상기 단부면(232)에서 개방되고, 및/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웹의 자유 단부(231)에 배치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3)는 상기 삽입 방향(E1, E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2 개의 제 3 병진 방향(R3, R3')으로 상기 내부(20)에서 부상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접촉 요소가 단부 정지부(234)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한계 내에서 상기 제 3 병진 방향(R3, R3')으로 이동될 수 있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벽(240), 상기 벽으로부터 반대측 연부에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벽(24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2 개의 측벽(242), 및 상기 측벽(242) 상에 형성되는 측연부(241)에 의해 제공되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공구를 위한 상기 접촉 요소(3)에의 액세스(access)가 생성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 개구(233)를 가지며, 및/또는 상기 접촉 요소(3)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설치 개구(235)를 갖는,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입구의 영역에 상기 버스바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요소(280, 281, 290, 291)를 가지며, 상기 단부 정지부는 상기 가이드 요소(280, 281, 290, 291)의 일부인,
    2 개의 버스바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소.
  16. 삭제
KR1020197004430A 2016-07-18 2017-07-06 연결 요소 KR102342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9977 2016-07-18
EP16179977.0 2016-07-18
PCT/EP2017/066934 WO2018015170A1 (de) 2016-07-18 2017-07-06 Verbindung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915A KR20190026915A (ko) 2019-03-13
KR102342616B1 true KR102342616B1 (ko) 2021-12-23

Family

ID=5641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430A KR102342616B1 (ko) 2016-07-18 2017-07-06 연결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0848B2 (ko)
EP (1) EP3485538A1 (ko)
JP (1) JP6951413B2 (ko)
KR (1) KR102342616B1 (ko)
CN (1) CN109478737B (ko)
WO (1) WO2018015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3278B2 (ja) * 2017-02-10 2021-08-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板状導電部材の接続構造及び板状導電路
JP7177121B2 (ja) 2020-06-03 2022-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WO2022076233A1 (en) * 2020-10-08 2022-04-14 Interplex Industries, Inc. Bus bar connector
EP4210204A1 (de) * 2022-01-10 2023-07-12 Valeo eAutomotive Germany GmbH Elektrischer antrieb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2657A (en) * 1980-04-18 1984-07-31 Eaton Corporation Compliant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s
US4637677A (en) * 1984-12-18 1987-01-2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627680A (en) * 1985-05-08 1986-12-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Bridging joint for electric power busway
US4679872A (en) * 1986-01-27 1987-07-14 Coe Larry D Cylindrical back plane structure for receiving printed circuit boards
US4886940A (en) * 1988-09-06 1989-12-12 Westinghouse Canada Inc. Bus duct joint
JPH0348857Y2 (ko) * 1989-01-24 1991-10-18
US4981449A (en) * 1990-04-27 1991-01-01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multi-layer blade-shaped members
EP0520950B1 (de) * 1991-06-27 1996-06-05 Sotax Ag Kontaktorg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ontaktorgans
FR2686458B1 (fr) * 1992-01-21 1996-01-26 Telemecanique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de barres conductrices de canalisations electriques.
US5486651A (en) * 1993-03-25 1996-01-2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ulti-neural electrical busway
US5619014A (en) * 1993-03-25 1997-04-0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Busway busbar with plug-in tab
US5442135A (en) * 1993-03-25 1995-08-1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and housing
US5466889A (en) * 1993-03-25 1995-11-1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lectrical power busway and insulator assembly
US6336828B1 (en) * 2000-08-17 2002-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bus bar docking mechanism
US6435888B1 (en) * 2001-05-18 2002-08-20 Square D Company Captive splice assembly for electrical bus and method for using same
DE50107201D1 (de) * 2001-06-11 2005-09-29 Abb Schweiz Ag Isolator für ein elektrisches Verschienungssystem sowie ein Isolatorsystem mit solchen Isolatoren
CA2377853C (en) * 2002-03-21 2009-06-16 General Electric Canada Inc. Isolated phase bus duct joint assembly
EP1986272B1 (en) * 2007-04-26 2011-08-10 Multi-Holding AG Contact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flat current carrying line elements
WO2009059440A1 (de) * 2007-11-07 2009-05-14 Multi-Holding Ag Stecker und steckverbindung für roboter
US7819681B1 (en) * 2009-06-19 2010-10-26 Rodrigues Carlton R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CN102035109B (zh) * 2009-09-24 2014-11-05 日立金属株式会社 连接结构
US8033850B2 (en) * 2009-12-03 2011-10-11 O'leary Timothy P Joint-pack integrated spacers
CH702863B1 (de) 2010-03-30 2014-12-15 Multi Holding Ag Verbindungselement.
CN201937019U (zh) * 2010-12-09 2011-08-17 潘敏 一种用于接插件的触头单元
JP5732330B2 (ja) * 2011-06-27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JP6150370B2 (ja) * 2012-04-06 2017-06-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146905A1 (de) * 2013-03-18 2014-09-25 Multi-Holding Ag Kontaktelement
JP6297904B2 (ja) * 2014-04-21 2018-03-20 矢崎総業株式会社 被支持部材と支持体との係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8737B (zh) 2020-11-03
EP3485538A1 (de) 2019-05-22
JP2019522327A (ja) 2019-08-08
US10770848B2 (en) 2020-09-08
CN109478737A (zh) 2019-03-15
WO2018015170A1 (de) 2018-01-25
KR20190026915A (ko) 2019-03-13
US20190288467A1 (en) 2019-09-19
JP6951413B2 (ja)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616B1 (ko) 연결 요소
US7775840B2 (en) Female connector terminal with internal plate spring
US9806320B2 (en) Traction battery assembly
US8992269B2 (en) Connecting device for a solar module
US4451109A (en) Connector terminal
WO2018216523A1 (ja) 端子モジュール
KR102227471B1 (ko) 전력 단자 커넥터
US20210091484A1 (en)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busbar having a conduct arrangement, which is connected to the said busbar, and a clip element
CN104701791A (zh) 母线联接装置组件
KR101315664B1 (ko) 퓨즈 유닛
US11217981B2 (en) Busway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JP6539695B2 (ja) コネクタ装置
JP5800624B2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JP2017112031A (ja) コネクタ
US978047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1209935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の接続構造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KR101569777B1 (ko)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WO2017082016A1 (ja) 端子金具、コネクタ
KR102615842B1 (ko) 전기자동차 커넥터용 접촉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전기자동차 커넥터
CN220106808U (zh) 电连接器
CN220527253U (zh) 一种大电流端子的组装结构
US11784422B2 (en) Junction box
CN219873928U (zh) 电连接器
JP201709183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