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602B1 -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 Google Patents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02B1
KR102342602B1 KR1020190127919A KR20190127919A KR102342602B1 KR 102342602 B1 KR102342602 B1 KR 102342602B1 KR 1020190127919 A KR1020190127919 A KR 1020190127919A KR 20190127919 A KR20190127919 A KR 20190127919A KR 102342602 B1 KR102342602 B1 KR 10234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logistics
overseas
server
logistics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577A (ko
Inventor
조호성
Original Assignee
조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호성 filed Critical 조호성
Priority to KR102019012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6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 업체 현황, 가격정책, 배송방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해외 물류업체 정보가 저장된 저장모듈;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이용고객 현황, 제품종류, 제품수량, 제품무게, 판매지 정보, 배송희망일자, 희망배송방법 및 이용고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이용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입력모듈; 상기 이용고객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를 매칭하는 매칭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LOCAL LOGISTICS PROVIDER PLATFORM}
본 발명은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해외 직접판매업을 영위하는 개인 또는 기업의 판매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해외직접판매란 국내 판매자가 국경을 넘어 외국 소비자에게 물건을 직접 판매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직접판매시장은 2010년대 초부터 B2C 크로스보딩 무역에 유리한 여러 상황들, 예를 들어 물류 통합 시스템, 온라인 오픈마켓 플랫폼의 성장 등의 상황들이 급속도로 갖추어지면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해외직접판매 시장의 경우 정부 산하의 여러 기관 및 협회 등에서 해외직접판매 셀러 양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등 정부 차원에서도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시장이다.
한편, 해외직접판매 시장에서의 구매자들은 제품이 다소 비싸더라도 빠른 배송을 희망하는 경향이 많아서 현지 배송업체가 직접 배송하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외직접판매를 진행하고자 하는 개인 및 소기업은 판매국가의 현지 물류서비스(제3자물류)를 이용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3자물류의 이용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며, 언어장벽, 전문용어 등의 이유로 제3자물류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선행기술문헌은 국제복합물류운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936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해외직접판매를 하고자하는 이용고객이 제3자 물류업체와의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지 제3자 물류업체와의 소통의 원활성을 담보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 업체 현황, 가격정책, 배송방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해외 물류업체 정보가 저장된 저장모듈;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이용고객 현황, 제품종류, 제품수량, 제품무게, 판매지 정보, 배송희망일자, 희망배송방법 및 이용고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이용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입력모듈; 상기 이용고객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를 매칭하는 매칭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모듈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상기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물류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물류업체 리스트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는 물류업체 추천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물류업체 리스트에 포함된 물류업체 중 어느 하나의 물류업체의 선정을 요청하는 물류업체 선정 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가 물류업체를 선정하면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매칭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매칭완료 통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칭모듈은,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정보, 상기 이용고객의 정보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이전 진행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예상비용을 결정하는 예상비용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업체 리스트에는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정보 및 상기 예상비용이 함께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이용고객의 언어 및 해외 물류업체의 언어를 상호 번역하는 번역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칭된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사이의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체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체결모듈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상기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세 견적서 생성을 요청하는 견적서 생성 요청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세 견적서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세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을 요청하는 견적서 확인 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서 상기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이 완료되면, 상기 이용고객 정보,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견적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계약서 초안을 생성하는 계약서 초안 생성부; 상기 생성된 계약서 초안을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계약서의 확인을 요청하는 계약서 초안 확인요청부; 및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가 상기 계약서 초안 확인이 완료되면, 정식 계약서를 생성한 후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계약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계약완료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계약된 상기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간의 물류 정보 확인 및 물류 이동 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물류정보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정보 확인모듈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요청내역을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수신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수신지정보 제공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수신지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발송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물류발송정보 제공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진행완료내역을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전달하는 물류발송내역 확인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도착내역 및 검사내역을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 전달한는 물류입고내역 확인부;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고객 제품의 재고 현황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물류재고내역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배송 요청 및 배송 진행상황 파악을 수행하는 배송정보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정보 확인모듈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 전달하고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접수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제품의 배송진행상황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는 배송진행상황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물류저장 및 배송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처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처리모듈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용고객에 대한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발생 비용에 기초하여 비용 청구서를 생성하는 청구서 생성부; 상기 비용 청구서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비용 청구서에 기초한 송금 확인증의 등록을 요청하는 송금확인 요청부; 상기 송금 확인증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사용료에 대한 인보이스를 생성 및 전달하는 플랫폼 사용료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복수의 상기 이용고객에 대한 물류재고 현황, 입고현황 및 출고현황을 시각화하기 위한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은, 상기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 상기 복수의 이용고객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가 보유한 상기 이용고객 물품의 재고현황을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 표시하는 재고현황 표시부; 특정 해외 물류업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고객의 물품 입고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물류업체 입고현황 표시부; 특정 이용고객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로의 물품 출고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이용고객 출고현황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이용고객에게 각 국가별 해외 현지 제3자물류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적합한 제3자물류업체를 매칭시키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용고객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용고객과 해외 제3자물류업체 간의 매뉴얼화된 여러 여러 모듈들을 제공하고, 나아가 번역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언어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물류재고 현황, 입고현황 및 출고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매칭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계약체결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물류정보 확인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배송정보 확인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비용처리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의 구성 중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에 의하여 표시되는 시각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제공 서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외직접판매를 하고자하는 이용고객측 서버(20)와 해외 제3자 물류업체 서버(30) 사이를 연계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이러한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모듈(100), 입력모듈(200), 매칭모듈(300), 번역모듈(400), 계약체결모듈(500), 물류정보 확인모듈(600), 배송정보 확인모듈(700), 비용처리모듈(800) 및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9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모듈(100)은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해외 물류업체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여기에서 해외 물류업체 정보는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 업체현황, 가격정책, 배송방법 및 소개자료 등을 들 수 있다.
입력모듈(200)은 이용고객 서버(20)로부터 이용고객 정보를 전달받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에서 이용고객 정보는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이용고객 현황, 제품종류, 제품수량, 제품무게, 판매지 정보, 배송희망일자, 희망배송방법 및 이용고객에 대한 소개자료 등을 들 수 있다.
매칭모듈(300)은 저장모듈(100)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의 정보 및 입력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매칭모듈(300)은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업체 추천부(310), 물류업체 선정 요청부(320), 매칭완료 통지부(330), 예상비용 결정부(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물류업체 추천부(310)는 저장모듈(100)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입력모듈(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고객 서버(20)에게 저장모듈(100)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30) 중 복수 개의 물류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물류업체 추천리스트를 이용고객 서버(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업체 선정 요청부(320)는 이용고객 서버(20)에게 물류업체 리스트에 포함된 물류업체 중 어느 하나의 물류업체의 선정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물류업체 리스트에는 저장모듈(100)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 정보 뿐만 아니라 후술할 예상비용 결정부(340)에서 결정한 예상비용이 함께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고객 서버(20)가 추천된 해외 물류업체 중 어느 하나의 해외 물류업체를 선정하게 되면, 매칭완료 통지부(330)는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매칭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술한 예상비용 결정부(340)는 해외 물류업체의 정보, 이용고객의 정보 및 해외 물류업체의 이전 진행 이력, 즉 유사한 사례의 진행 이력을 참조하여 이용고객의 제품 물류 담당시 발생하는 예상비용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번역모듈(400)은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및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를 고려하여 이용고객의 소재지 국가 언어 및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국가 언어를 상호 번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이용고객의 소재지가 한국이고,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가 독일인 경우, 이용고객 서버(20)의 기본언어는 한국어로 설정되고,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의 기본언어는 독일어로 설정된다.
이때 이용고객이 이용고객 서버(20)를 이용하여 입력모듈(200)로 전송하는 이용고객 정보는 한국어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번역모듈(400)이 한국어를 독일어로 번역한 후 독일어로 번역된 이용고객 정보를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 전송한다.
반대로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를 이용하여 저장모듈(100)로 전송하는 해외 물류업체 정보는 독일어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번역모듈(400)이 독일어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한국어로 번역된 해외 물류업체 정보를 이용고객 서버(20)로 전송한다.
계약체결모듈(500)은 매칭된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사이의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적서 생성 요청부(510), 견적서 확인 요청부(520), 계약서 초안 생성부(530), 계약서 초안 확인요청부(540) 및 계약완료 통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견적서 생성 요청부(510)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세 견적서 생성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견적서 확인 요청부(520)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상세 견적서를 이용고객 서버(20)로 전달하고, 이용고객 서버(20)에게 상세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용고객 서버(20)에서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이 완료되면, 계약서 초안 생성부(530)는 이용고객 정보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견적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계약서 초안을 생성하는데, 계약서 초안은 이용고객 국가의 사용언어, 해외 물류업체 국가의 사용언어 및 영어가 모두 병기되도록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약서 초안 확인요청부(540)는 계약서 초안 생성부(530)에서 생성한 계약서 초안을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 전달하여 계약서의 확인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가 계약서 초안 확인을 완료하면, 계약완료 통지부(550)는 정식 계약서를 생성한 후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계약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이때 정식 계약서 또한 계약서 초안과 마찬가지로 이용고객 국가의 사용언어, 해외 물류업체 국가의 사용언어 및 영어가 모두 병기되도록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류정보 확인모듈(600)은 상호 계약된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간의 물류정보 확인하고, 물류의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지정보 제공요청부(610), 물류발송정보 제공요청부(620), 물류발송내역 확인부(630), 물류입고내역 확인부(640) 및 물류재고내역 확인부(6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지정보 제공요청부(610)는 이용고객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요청내역을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 전달하고,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수신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물류발송정보 제공요청부(620)는 이용고객 서버(20)에게 수신지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발송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발송내역 확인부(630)는 이용고객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진행완료내역을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물류입고내역 확인부(640)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도착내역 및 검사내역을 이용고객 서버(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재고내역 확인부(650)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부터 이용고객 제품의 재고 현황을 전달받고 이를 이용고객 서버(2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해외 물류업체 내에 이용고객 제품의 재고가 미리 설정된 수량 이하일 경우 이용고객 서버(20)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에서의 제3자 물류업체는 물류의 보관 뿐만 아니라 이용고객이 전달한 제품 구매자에게 제품을 배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송정보 확인모듈(700)은 이용고객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에게 배송을 요청하고 및 배송 진행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접수부(710) 및 배송진행상황 확인부(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배송접수부(710)는 이용고객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 전달하고 배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송진행상황 확인부(700)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로부터 구매제품의 배송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이를 이용고객 서버(20)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서 해외 물류업체의 배송수단에 GPS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은 투명한 비용 정산을 위하여 비용처리모듈(800)을 구비하는데, 비용처리모듈(800)은 해외 물류업체의 물류저장 및 배송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구서 생성부(810), 송금확인 요청부(820) 및 플랫폼 사용료 요청부(8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청구서 생성부(81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이용고객에 대한 해외 물류업체의 발생 비용에 기초하여 비용 청구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송금확인 요청부(820)는 청구서 생성부(810)가 생성한 비용 청구서를 이용고객 서버(20)에게 전달하고 비용 청구서에 기초한 송금 확인증의 등록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랫폼 사용료 요청부(830)는 이용고객이 이용고객 서버(20)를 통하여 송금 확인증의 등록을 완료할 경우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 중 적어도 하나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사용료에 대한 인보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900)은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의 복수의 이용고객에 대한 물류재고 현황, 입고현황 및 출고현황을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현황 표시부(910), 물류업체 입고현황 표시부(920) 및 이용고객 출고현황 표시부(9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재고현황 표시부(910)는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 복수의 이용고객 및 각 해외 물류업체가 보유한 이용고객 물품의 재고현황을 3차원 직교좌표계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재고현황 표시부(910)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9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직교좌표계의 x축은 이용고객을 표시하기 위한 축이고, y축은 물류업체를 표시하기 위한 축이고, z축은 재고물량을 표시하기 위한 축이다.
따라서 도 9의 p 그래프는 물류업체 C에 이용고객 D의 제품 재고가 N개가 있음을 표시하고 있으며, q 그래프는 물류업체 C에 이용고객 B의 제품 재고가 M개가 있음을 표시하고 있으며, r 그래프는 물류업체 A에 이용고객 D의 제품 재고가 N개가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즉, 도 9에서는 물류업체 A에는 이용고객 D의 제품 재고가 N개가 있으며, 물류업체 C에는 이용고객 B의 제품 재고 M개 및 이용고객 D의 제품 재고 N개가 있음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류업체 입고현황 표시부(920)는 특정 해외 물류업체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이용고객의 물품 입고 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용고객 출고현황 표시부(930)는 특정 이용고객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로의 물품 출고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9의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서 물류업체 C를 선택하면, 물류업체 입고현황 표시부(920)는 도 10의 원통좌표계를 출력하는데, 여기에서 각도 θ에 의하여 이용고객이 구분되고, 반지름인 r은 입고량을 의미하고, z축은 시간 경과를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특정 물류업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여러 이용고객의 제품입고 현황을 시계열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9의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서 이용고객 B를 선택하면, 이용고객 출고현황 표시부(930)는 도 10의 원통좌표계를 출력하는데, 여기에서 각도 θ에 의하여 해외 물류업체가 구분되고, 반지름인 r은 출고량을 의미하고, z축은 시간 경과를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특정 이용고객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여러 해외 물류업체로의 제품출고 현황을 시계열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제공 서버(10)는 이용고객 서버(20)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HTTPS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추가로 구성하여 데이터 통신 루트(Route)를 이원화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통한 데이터 확보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프라가 원활하지 못하거나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제공 서버(10)와 이용고객 서버(20) 또는 해외 물류업체 서버(30)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가 멀어서 동시성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에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HTTP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여 백엔드(Back-End)로 데이터가 원활히 전송되지 못할 경우, 현재 수집된 데이터를 블록체인화 시킴으로써 추후에라도 데이터 처리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을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경우 일반적인 중앙 집중적인 서버 인프라 방식에만 의존하지 않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탈중앙화된 플랫폼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제공 서버
20: 이용고객 서버
30: 해외 물류업체 서버
100: 저장모듈
200: 입력모듈
300: 매칭모듈
400: 번역모듈
500: 계약체결모듈
600: 물류정보 확인모듈
700: 배송정보 확인모듈
800: 비용처리모듈
900: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

Claims (7)

  1.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 업체 현황, 가격정책, 배송방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해외 물류업체 정보가 저장된 저장모듈;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이용고객 현황, 제품종류, 제품수량, 제품무게, 판매지 정보, 배송희망일자, 희망배송방법 및 이용고객 소개자료를 포함하는 이용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입력모듈;
    상기 이용고객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를 매칭하는 매칭모듈; 및
    복수의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복수의 상기 이용고객에 대한 물류재고 현황, 입고현황 및 출고현황을 시각화하기 위한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매칭모듈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상기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해외 물류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물류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물류업체 리스트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는 물류업체 추천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물류업체 리스트에 포함된 물류업체 중 어느 하나의 물류업체의 선정을 요청하는 물류업체 선정 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가 물류업체를 선정하면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매칭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매칭완료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상황 종합분석 표시모듈은,
    상기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 상기 복수의 이용고객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가 보유한 이용고객 물품의 재고현황을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 표시하는 재고현황 표시부;
    상기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 선택된 특정 해외 물류업체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이용고객의 물품 입고 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물류업체 입고현황 표시부; 및
    상기 3차원 직교좌표계 상에 선택된 특정 이용고객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해외 물류업체로의 물품 출고현황을 3차원 원통좌표계 상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이용고객 출고현황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3차원 직교좌표계는 x축 및 y축에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를 각각 표시하고, z축은 재고물량을 표시하고,
    상기 3차원 원통좌표계는 각도 θ에 의하여 이용고객 또는 해외 물류업체가 구분되고, 반지름인 r은 입고량 또는 출고량을 의미하며, z축은 시간 경과를 의미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용고객의 소재지 정보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소재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이용고객의 언어 및 해외 물류업체의 언어를 상호 번역하는 번역모듈;을 더 포함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사이의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체결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체결모듈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상기 이용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세 견적서 생성을 요청하는 견적서 생성 요청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세 견적서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세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을 요청하는 견적서 확인 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서 상기 견적서의 확인 및 수락이 완료되면, 상기 이용고객 정보, 해외 물류업체 정보 및 견적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계약서 초안을 생성하는 계약서 초안 생성부;
    상기 생성된 계약서 초안을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계약서의 확인을 요청하는 계약서 초안 확인요청부; 및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가 상기 계약서 초안 확인이 완료되면, 정식 계약서를 생성한 후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계약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계약완료 통지부;
    를 포함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계약된 상기 이용고객 및 해외 물류업체 간의 물류 정보 확인 및 물류 이동 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물류정보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정보 확인모듈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요청내역을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수신지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수신지정보 제공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상기 수신지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발송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물류발송정보 제공요청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발송 진행완료내역을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전달하는 물류발송내역 확인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물류도착내역 및 검사내역을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 전달하는 물류입고내역 확인부;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이용고객 제품의 재고 현황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물류재고내역 확인부;
    를 포함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에게 배송 요청 및 배송 진행상황 파악을 수행하는 배송정보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정보 확인모듈은,
    상기 이용고객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구매자 정보 및 구매제품 정보를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 전달하고 배송을 요청하는 배송접수부;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제품의 배송진행상황을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 전달하는 배송진행상황 확인부;
    를 포함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물류저장 및 배송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처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용처리모듈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용고객에 대한 상기 해외 물류업체의 발생 비용에 기초하여 비용 청구서를 생성하는 청구서 생성부;
    상기 비용 청구서를 상기 이용고객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비용 청구서에 기초한 송금 확인증의 등록을 요청하는 송금확인 요청부;
    상기 송금 확인증의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이용고객 서버 및 상기 해외 물류업체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사용료에 대한 인보이스를 생성 및 전달하는 플랫폼 사용료 요청부;
    를 포함하는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7. 삭제
KR1020190127919A 2019-10-15 2019-10-15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KR10234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19A KR102342602B1 (ko) 2019-10-15 2019-10-15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19A KR102342602B1 (ko) 2019-10-15 2019-10-15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77A KR20210044577A (ko) 2021-04-23
KR102342602B1 true KR102342602B1 (ko) 2021-12-22

Family

ID=7573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19A KR102342602B1 (ko) 2019-10-15 2019-10-15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67B1 (ko) * 2018-09-13 2019-07-15 (주)웰브릿지 재고 쉐어링을 이용한 역직구 쇼핑몰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95A (ko) * 2000-08-14 2002-02-20 강문선 화물 운송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9590A (ko) * 2001-02-26 2002-09-05 글로팩스코리아(주) 수출입 물류중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98785B1 (ko) * 2012-01-26 2013-08-26 주식회사 온라인차이나 해외 매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6053A (ko) * 2012-07-30 2014-02-07 주식회사 한진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KR20190099363A (ko) 2018-02-17 2019-08-27 (주)델리넷 국제복합물류운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67B1 (ko) * 2018-09-13 2019-07-15 (주)웰브릿지 재고 쉐어링을 이용한 역직구 쇼핑몰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77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9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urning one or more items via an attended delivery/pickup location
TWI676144B (zh) 用於促成物品的遞送之方法、裝置與製成品
US20160292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nding of Items
KR101859904B1 (ko) 택배 방법
CN104766196A (zh) 一种基于第三方支付网上购物的智能物流方法及系统
KR101791625B1 (ko) 스마트 무역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025802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사업자간 매매정보 교류 및 전자결제시스템
KR20090132260A (ko) 국내외에서의 주문과 배송 시작 후 교환 반품 등이용이하게 하게하며, 배송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KR102342602B1 (ko) 현지 제3자 물류업체 서비스 이용 플랫폼
US20030163385A1 (en) Commodity order acceptance and transport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15363B1 (ko)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60217B1 (ko) 부동산 전대차 전자거래 시스템
KR101046602B1 (ko) 사업자 간의 유통 절차 관리 시스템
KR2016002133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선박용품(선용품) 거래 중계 방법 및 대금 결제 시스템
KR20100007511A (ko)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한 제2국상품 판매방법
JP6450412B2 (ja) 販売管理システム、及び販売管理方法
KR20220167949A (ko) 해외물류 공동 구매 대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914A (ko) 무역 원스탑 솔루션
KR20110037226A (ko) 상품정보의 온라인 제공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Buxmann et al. Electronic Marketplaces: Concepts and SAP Solutions
KR20130104748A (ko) 선 판매 후 생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