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56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569B1
KR102342569B1 KR1020150024055A KR20150024055A KR102342569B1 KR 102342569 B1 KR102342569 B1 KR 102342569B1 KR 1020150024055 A KR1020150024055 A KR 1020150024055A KR 20150024055 A KR20150024055 A KR 20150024055A KR 102342569 B1 KR102342569 B1 KR 10234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ensor
inlet
cabine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463A (ko
Inventor
정재림
정세관
김종활
김태덕
박윤석
손선희
임영석
정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569B1/ko
Priority to US14/951,812 priority patent/US10139121B2/en
Publication of KR2016010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15/1404Fluid conditioning in flow cytometers, e.g. flow cells; Supply; Control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2015/1493Particle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먼지감지유닛, 캐비닛에 마련되며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먼지감지유닛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 제1먼지감지센서를 통과한 먼지를 감지하도록 제1먼지감지센서와의 사이에 먼지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먼지감지센서로 인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근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공기 정화를 위하여 실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실내의 공기 오염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근래에는 환경의 변화로 지름 10μm 이하의 미세먼지와 지름 2.5μm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필요성이 늘고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부가적으로 먼지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으나 근래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에 대해서는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서가 장착되는 유입구에 크기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필터를 장착하였다. 이러한 경우 공기조화기의 제작에 있어서 번거로우며 미관상의 품질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크기가 상이한 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먼지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먼지감지유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통과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의 사이에 먼지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보다 크기가 큰 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보다 크기가 작은 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먼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에 마련되는 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의 내부로 이동하며, 바닥에서 상기 유입구까지의 최소 높이와 바닥에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의 연통구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결합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먼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먼지감지유닛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와 상기 먼지감지유닛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먼지감지유닛,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먼지감지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먼지가 이동하는 연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먼지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와 상기 연통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입구는 먼지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후 연통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통과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직렬로 배치되는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유입구로 먼지를 유입시켜 상기 먼지감지유닛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먼지감지센서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감지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먼지감지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먼지감지센서로 먼지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인해 먼지가 이동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분지된 제2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로 먼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하면에 결합되어 먼지를 상기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에서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로 먼지가 이동하는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먼지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먼지감지센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바닥까지의 최소높이와 상기 연통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먼지감지센서로 인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먼지감지센서와 유입구의 결합구조로 인해 제품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이와 동시에 큰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먼지감지센서에 장착되는 송풍팬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가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므로 종래에 비해 실내 공기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의 캐비닛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된 전면패널(20, 22)과 전면패널(20, 2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21, 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0, 22)은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0)가 마련된 상부전면패널(22)과 내부에 냉매관(미도시)이 연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하부전면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패널(21, 23) 또한 상부후면패널(23)과 하부후면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패널(21, 23)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후면패널(23)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미도시)와 토출구(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팬(미도시)은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열을 교환한 공기가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되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후 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0)로 유입되는 먼지가 유입되도록 먼지감지유닛(40)은 캐비닛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먼지감지유닛(40)은 캐비닛의 후면패널(21, 23)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감지유닛(40)은 후면하부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구(30)는 후면하부패널(21)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30)는 캐비닛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30)는 캐비닛의 후면하부패널(21)의 표면으로부터 후면하부패널(2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31)에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31)는 후면하부패널(21)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31)의 하면에 유입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먼지는 유입구(30)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먼지감지유닛(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섬유먼지, 애완동물의 털과 같은 중량이 큰 이물질은 유입구(30)로 유입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유입구(30)로 유입되는 물질을 크기에 따라 거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감지유닛(40)은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를 포함한다.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는 각각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먼지감지센서(42)에서 지름 10μm 이하의 미세먼지를 감지하고 제2먼지감지센서(43)에서 지름 2.5μm이하의 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제1먼지감지센서에서 초미세먼지를 감지하고 제2먼지감지센서에서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먼지감지센서(43)는 제2먼지감지센서하우징(44)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먼지감지센서하우징(44)의 본체(44a)는 제1먼지감지센서(42)를 통과한 먼지를 제2먼지감지센서(43)의 감지부(미도시)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덕트(44b, 44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4b, 44c)는 제1가이드 덕트(44b)와 제2가이드 덕트(4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덕트(44b)는 제2가이드 덕트(44c)보다 제1먼지감지센서(42)에 근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덕트(44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제1먼지감지센서(42)가 제2먼지감지센서(43)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먼지감지센서(42)를 지난 먼지를 제2먼지감지센서(43)로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제2가이드 덕트(44c)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먼지가 이동하는 유로의 분기점이 마련되며 이로 인해 먼지 중 일부는 제2가이드 덕트(44c)를 지나며 다른 일부는 제2먼지감지센서(43)의 감지부(미도시)로 이동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40)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팬(4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45b)은 팬하우징(45a)에 수용되어 송풍팬유닛(45)을 구성한다. 송풍팬유닛(45)은 제2먼지감지센서(43)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먼지감지센서(4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팬 유닛(45)은 제2먼지감지센서(43)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유입구(30)를 통해 먼지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먼지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먼지센서(42)와 제2먼지센서(43)에서 먼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입구(30)와 먼지감지유닛(4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부재(46)가 결합될 수 있다. 씰링부재(46)는 유입구(30)와 먼지감지유닛(40)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46)는 먼지감지유닛(4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완충하여 외부로 소음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씰링부재(46)는 유입구(30)와 먼지감지유닛(40)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의 후면하부패널(21)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씰링부재(46)에 마련되는 홀(46a)은 유입구(3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유입구(30)로 유입된 먼지는 씰링부재(46)의 홀(46a)을 통과하여 제1먼지감지센서(42)의 연통구(42a)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는 케이싱(41)에 수용된다. 케이싱(41)은 캐비닛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41)은 제1먼지감지센서(42)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41a)와 제2먼지감지센서(43)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1)은 송풍팬유닛(45)이 수용되는 제3수용부(41c)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의 제1수용부(41a)와 제2수용부(41b)는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41)은 캐비닛의 후면하부패널(21)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41d, 41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41)의 상부에는 두 개의 제1체결부(41d)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두개의 제2체결부(41e)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체결부(41d)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후면하부패널(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41e)는 후크체결방식을 통해 후면하부패널(21)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41)에는 먼지가 제1먼지감지센서(42)에서 제2먼지감지센서(43)로 이동하는 연결유로(41f)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41f)는 제2먼지감지센서(43)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유로(41f)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먼지감지센서(42)를 지나온 먼지가 제2먼지감지센서(43)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케이싱(41)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먼지감지센서(42, 43)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싱(41)이 탄성력있는 소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먼지감지센서(42, 43)와 송풍팬(45)이 케이싱(41)에 수용되는 것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싱(41)은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케이싱(41)은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먼지감지센서(42)는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며, 제2먼지감지센서(43)는 제1먼지감지센서(42)를 통과한 먼지의 일부분을 감지하도록 제1먼지감지센서(42)와의 사이에 먼지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41f)가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는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먼지감지센서(43)의 상면에 제1먼지감지센서(42)가 결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먼지감지센서(42)의 일측면에 제2먼지감지센서(43)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먼지감지센서(42)와 제2먼지감지센서(43)가 직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먼지가 유입되는 유입구(30)는 하나 있어도 제1먼지감지센서(42)에서 제2먼지감지센서(43)로 먼지가 이동하여 공기의 오염 정도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30)가 복수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먼지감지유닛(4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30)와 연통구(42a)는 수평하게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입구(30)와 연통구(42a)는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바닥에서 유입구(30)까지의 최소 높이(h1)는 바닥에서 제1먼지감지센서(42)의 연통구(42a)까지의 최소 높이(h2)는 상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입구(30)가 연통구(42a)보다 낮은 높이에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닥에서 유입구(30)까지의 최소 높이(h1)는 바닥에서 제1먼지감지센서(42)의 연통구(42a)까지의 최소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구가 연통구보다 높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입구(30)가 연통구(42a)보다 높이가 낮게 마련되는 경우 먼지가 유입구(30)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상방으로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크기가 큰 먼지는 중력에 의해 유입구(30)로 유입되지 않고 낙하한다(도 6, d2).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송풍팬(45b)의 흡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유입구(30)로 유입된다(도 6, d1). 이와 같이 유입구(30)와 연통구(42a)의 구조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먼지를 1차적으로 거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먼지감지유닛(40)으로 유입된 먼지의 이동을 설명한다.
송풍팬(45b)의 작동으로 인해 유입구(30)로 유입된 먼지는 먼지감지유닛(40)을 지나 하방으로 이동한다. 먼지가 이동하는 유로는 제1유로(f1)와 제1유로(f1)에서 분지된 제2유로(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f1)는 연통구(42a)와 연결유로(41f)를 통해 제2먼지감지센서(43)로 먼지가 이동하는 유로이다. 제2먼지감지센서(43)의 가이드덕트(44b, 44c)로 이동한 먼지 중 일부는 송풍팬(45b)의 작동으로 인해 제1유로(f1)로 이동하나, 입자가 작은 초미세먼지 중 일부는 제1유로(f1)에서 분지되어 마련된 제2유로(f2)로 인해 제2먼지감지센서(43)의 연통구(43a)로 유입된다. 제2유로(f2)로 유입된 먼지는 제2먼지감지센서(43)에서 감지된 후 송풍팬(45b)의 작동으로 인해 제2먼지감지센서(43)를 통과하여 송풍팬유닛(45)을 통과하여 낙하한다.
제1유로(f1)를 통해 유입된 먼지는 제1먼지감지센서(42)에 의해 감지되며, 제1유로(f1)에서 제2유로(f2)로 유입된 먼지는 제2먼지감지센서(43)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입구(30)로 유입된 먼지를 통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송풍팬(45b)으로 인해 먼지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후면패널을 분리하여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한다. 캐비닛은 공기조화기(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20)과 전면패널(120)에 결합되어 공기조화기(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은 바닥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바닥패널(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20)에는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흡입구(110)는 전면패널(120)의 전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되는 복수개의 흡입홀(1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120)의 흡입구(110)는 외부 공기가 캐비닛의 전면으로부터 캐비닛의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0)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12, 11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구(112, 115)는 제1토출구(112)와 제2토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12)는 캐비닛의 후면패널(121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토출구(115)는 캐비닛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30)는 후면패널(121a)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30)는 후면패널(121a)에 마련되는 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140)은 유입구(130)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후면패널(121a)의 측면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구(130)와 먼지감지유닛(14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감지유닛(140)은 케이싱(141)과, 케이싱(141)에 수용되는 제1먼지감지센서(142), 제2먼지감지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먼지감지센서(143)는 제2먼지감지센서하우징(144)을 포함하며, 제2먼지감지센서하우징(144)의 본체(144a)에는 제1가이드 덕트(144b)와 제2가이드 덕트(144c)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먼지감지센서(143)에는 송풍팬 유닛(145)이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 유닛(145)은 팬하우징(145a)과 송풍팬(145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30)와 먼지감지유닛(14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부재(146, 147)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씰링부재(146)와 제2씰링부재(147)가 유입구(130)와 먼지감지유닛(14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씰링부재(146)는 유입구(130)와 연통되도록 캐비닛의 후면 패널(121a)의 내측에 결합되며, 제2씰링부재(147)는 제1씰링부재(146)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씰링부재(146)에는 유입구(130)와 연통되는 제1홀(146a, 146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씰링부재(147)에는 제1씰링부재(146)의 제1홀(146a, 146b)과 제1먼지감지센서(142)의 연통구(142a)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2홀(147a)이 마련될 수 있다. 먼지는 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어 제1홀(146a, 146b)과 제2홀(147a)을 통과하여 연통구(142a)를 통해 먼지감지유닛(140)으로 유입된다.
제1홀(146a, 146b)은 제1영역(146a)과 제2영역(14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146a)은 제2홀(147a)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2영역(146b)은 제1영역(146a)에서 연장되며 제2홀(146b)보다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홀(146a)은 제2홀(146b)에 비해 홀의 직경이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30)가 연통구(142a)보다 하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유입구(130)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유입구(13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연통구(142a)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홀(146a, 146b)은 제1영역(146a)과 제2영역(146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유입구(130)로 유입되어 제1홀(146a, 146b)로 유입된 먼지는 송풍팬(145b)의 흡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2홀(147a)을 통과하여 제1먼지감지센서(142)의 연통구(142a)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30)와 바닥까지의 최소거리(h1)는 연통구(142a)와 바닥까지의 최소거리(h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기가 큰 먼지는 중력에 의해 유입구(130)로 유입되지 못하고 낙하한다(도 10, d2). 반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와 같은 크기가 작은 먼지는 유입구(130)로 유입되어(도 10, d1) 제1유로(f1)와 제2유로(f2)를 통과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130)가 캐비닛에 형성된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연통구(142a)가 유입구(130)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크기가 큰 먼지를 걸러냄과 동시에 공기조화기(100)의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먼지감지유닛이 캐비닛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유입구(231)와 먼지감지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240)은 케이싱(241)과, 케이싱(241)에 수용되는 제1먼지감지센서(242), 제2먼지감지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231)와 먼지감지유닛(240) 사이에는 제1씰링부재(246)와 제2씰링부재(24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먼지감지센서(242)는 초미세먼지를 감지하며 제2먼지감지센서(243)는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싱(241)의 내측에는 제1먼지감지센서(242)에서 제2먼지감지센서(243)로 이동하는 먼지의 유로인 연결유로(241f)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먼지감지센서(243)는 제2먼지감지센서하우징(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먼지감지센서(243)에는 송풍팬 유닛(245)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된 먼지는 제1씰링부재(246)과 제2씰링부재(247)을 통과하여 연통구(242a)를 통해 먼지감지유닛(240)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1유로(f1)와 제2유로(f2)를 통해 먼지가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공기조화기 20: 전면하부패널
21: 후면하부패널 22: 전면상부패널
23: 후면상부패널 30, 130, 231: 유입구
31: 절곡부 40, 140, 240: 먼지감지유닛
41, 141, 241: 케이싱 42, 142, 242: 제1먼지감지센서
43, 143, 243: 제2먼지감지센서 45, 145, 245: 송풍팬 유닛
46: 씰링부재 146, 246: 제1씰링부재
147, 247: 제2씰링부재

Claims (2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먼지감지유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구;
    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통과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의 사이에 먼지가 이동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제2먼지감지센서;
    를 포함하며
    먼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에 마련되는 연통구를 통해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의 내부로 이동하며,
    바닥에서 상기 유입구까지의 최소 높이와 바닥에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의 연통구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보다 크기가 큰 먼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보다 크기가 작은 먼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결합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먼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먼지감지유닛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와 상기 먼지감지유닛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먼지감지유닛;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먼지감지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먼지가 이동하는 연통구;
    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먼지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먼지감지유닛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와 상기 연통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먼지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후 연통구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통과한 먼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직렬로 배치되는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유입구로 먼지를 유입시켜 상기 먼지감지유닛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먼지감지센서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먼지감지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먼지감지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먼지감지센서로 먼지를 유입시키는 송풍팬;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먼지감지센서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먼지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먼지감지센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바닥까지의 최소높이와 상기 연통구와 바닥까지의 최소 높이는 상이하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인해 먼지가 이동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분지된 제2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로 먼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감지하는 제2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는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의 하면에 결합되어 먼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와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제1먼지감지센서에서 상기 제2먼지감지센서로 먼지가 이동하는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3. 삭제
KR1020150024055A 2015-02-17 2015-02-17 공기조화기 KR10234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55A KR102342569B1 (ko) 2015-02-17 2015-02-17 공기조화기
US14/951,812 US10139121B2 (en) 2015-02-17 2015-11-25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55A KR102342569B1 (ko) 2015-02-17 2015-02-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63A KR20160101463A (ko) 2016-08-25
KR102342569B1 true KR102342569B1 (ko) 2021-12-23

Family

ID=5662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55A KR102342569B1 (ko) 2015-02-17 2015-02-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39121B2 (ko)
KR (1) KR102342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6481A (zh) * 2017-12-08 2018-05-15 武汉四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质量检测装置及交通工具
KR20200017105A (ko) * 2018-08-08 2020-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519A1 (ja) * 2013-07-17 2015-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粒子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334B1 (en) * 1999-11-19 2003-02-25 Fleetguard,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osion caused by particles in a fluid
EP1681550A1 (de) * 2005-01-13 2006-07-19 Matter Engineer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von Anzahlkonzentration und mittlerem Durchmesser von Aerosolpartikeln
KR101152459B1 (ko) 2005-04-27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70075509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0061327A1 (en) * 2008-11-25 2010-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nsor for sensing airborne particles
US9791361B2 (en) * 2015-10-26 2017-10-17 Dekati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erosol particles of exhaust g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8519A1 (ja) * 2013-07-17 2015-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粒子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8509A1 (en) 2016-08-18
KR20160101463A (ko) 2016-08-25
US10139121B2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JP6263381B2 (ja) 空気清浄機
US20160186761A1 (en) Air conditioner
CN110637197B (zh) 具有冷媒检测传感器的空气调节装置的室内单元
CN207831574U (zh) 换气装置
KR101006820B1 (ko) 공기 청정기
KR102342569B1 (ko) 공기조화기
JP2011016072A (ja) 空気清浄機
CN106560660B (zh) 空调
CN109458667A (zh) 空气调节机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KR20170083793A (ko)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0268204A (zh) 空气调节机
CN112833465A (zh) 空气调节机的室内机
CN110785305B (zh) 车辆用空调装置
JP5598915B2 (ja) 画像表示装置
JP7017136B2 (ja) 車両用粉塵計測装置
JP2006118856A (ja) 空気調和機の取っ手構造
KR102278182B1 (ko) 공기조화기
US20210199323A1 (en) Air purifier
KR20090020962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006322704A5 (ko)
KR20150020341A (ko) 그리스 필터
KR20180124641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CN109579143A (zh) 空气调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