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88B1 -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 Google Patents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88B1
KR102342388B1 KR1020150119587A KR20150119587A KR102342388B1 KR 102342388 B1 KR102342388 B1 KR 102342388B1 KR 1020150119587 A KR1020150119587 A KR 1020150119587A KR 20150119587 A KR20150119587 A KR 20150119587A KR 102342388 B1 KR102342388 B1 KR 102342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function
projector
unit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393A (ko
Inventor
이동철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1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위한 도킹 스피커로 기능을 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는, 사용자 단말로서의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와 연결되는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연결부; 스피커 기능 및 프로젝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메인 회로부; 상기 USB 연결부의 상기 USB 단자와 상기 메인 회로부 간을 특정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1 연결이라 칭함)하거나 상기 특정 저항을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2 연결이라 칭함)하기 위한 스위칭부; 사용자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되,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버튼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스피커 기능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간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Beam projector integrated docking speaker}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 기능을 탑재한 도킹(docking)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도킹 스피커로 기능을 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 감상을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기기와 프로젝터를 USB 또는 WiFi로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빔 프로젝터에 장착되는 스피커는 성능이 좋지 않아, 좀더 실감나는 음향을 위해서는 프로젝터를 별도의 스피커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영상 감상을 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프로젝터와 스피커라는 두 개의 디바이스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게다가,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오디오(audio)를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에 블루투스 음원 스트리밍 기능을 넣거나, AUX output 기능을 추가하여 스피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하여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별도의 블루투스 스피커나 AUX input 을 지원하는 스피커를 프로젝터와 연결하는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불편도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video/audio sync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많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1203호(2006.07.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위한 도킹 스피커로 기능을 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는, 사용자 단말로서의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와 연결되는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연결부; 스피커 기능 및 프로젝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메인 회로부; 상기 USB 연결부의 상기 USB 단자와 상기 메인 회로부 간을 특정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1 연결이라 칭함)하거나 상기 특정 저항을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2 연결이라 칭함)하기 위한 스위칭부; 사용자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되,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버튼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스피커 기능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간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 기능이 온되면 상기 스피커 기능도 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프로젝터 기능도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시 상기 제1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 상기 제2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USB 연결부의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PCM 음원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제2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USB 연결부의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기능은 음악용 이퀄라이저(equalizer) 기능 및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시에는 음악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에는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연결부의 상기 USB 단자의 VBUS pin의 전압(voltage)을 5V -> 0V 로 변경했다가 특정 시간 이후에 다시 5V로 올려서 스마트 기기가 USB 인식을 다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동작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피커의 음원 입력(input) 방식을 USB, Bluetooth, 및 AUX를 통한 입력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동작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젝터의 미러링 입력(input) 방식을 slimport, HDMI, 및 Miracast를 통한 입력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위한 도킹 스피커로 기능을 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빔 프로젝터로도 활용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는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수 있고, 거치된 스마트 기기와 스피커 또는 빔 프로젝터를 USB 단자로 연결하여, 음원 송출을 위한 스피커 기능과 영상 송출을 위한 빔 프로젝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스피커에 연결하여 음악을 듣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순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스피커 모드에는 USB 모드, bluetooth 모드, AUX 모드 등 스피커로 음원을 입력할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터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모드를 선택하면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받는 빔 프로젝터로 동작하여, 연결된 스마트 기기의 영상은 빔 프로젝터로 투사되고 소리는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으며, 빔 프로젝터는 미러링 방식에 따라 MHL/HDMI 모드, slimport 모드, MIRACAST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와 스피커라는 두 개의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오디오(audio)를 스피커에 전달하기 위해 프로젝터에 별도의 블루투스 음원 스트리밍 기능을 넣거나 AUX output 기능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프로젝터에 블루투스 스피커나 AUX input을 지원하는 스피커를 별도로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해 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의 개념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가 도킹 스피커에 일체로 구성된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에 스마트 기기(100)가 도킹된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의 구성도로, 도 1의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부(210), 메인 회로부(230), 스위칭부(250), 키입력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USB 연결부(210)는 사용자 단말로서의 스마트 기기(100)의 USB 단자와 연결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의 USB 단자가 형성된 것으로, 도킹 스피커(200)의 USB 단자는 통상적으로 도킹 스피커(200)의 스마트 기기 수용부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회로부(230)는 스피커 기능 및 빔 프로젝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및 빔 프로젝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50)는 제어부(29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USB 연결부(210)와 메인 회로부(23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와 메인 회로부(230) 간을 특정 저항(R)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라인(251),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와 메인 회로부(230) 간을 특정 저항(R)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 라인(252), 및 제어부(290)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를 제1 연결 라인(251) 또는 제2 연결 라인(252)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S)를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270)는 사용자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메인 회로부(230)의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또는 모드 전환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버튼(또는 버튼 A라 칭함) 및 메인 회로부(230)의 빔 프로젝터 기능의 온/오프 또는 모드 전환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버튼(또는 버튼 B라 칭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키입력부(2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인 회로부(230)의 스피커 기능 및 빔 프로젝터 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하고 또한 스위칭부(250)의 스위치(S)의 제1 연결라인(251) 및 제2 연결라인(252) 간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키입력부(270)를 통해 메인 회로부(230)의 프로젝터 기능이 온되면 스피커 기능도 온되도록 제어하고 스피커 기능이 오프되면 프로젝터 기능도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예로 키입력부(270)를 통해 메인 회로부(230)의 스피커 기능의 온 시에는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가 스위칭부(250)의 제1 연결라인(251)에 연결되도록 스위치(S)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키입력부(270)를 통해 메인 회로부(230)의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에는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가 스위칭부(250)의 제2 연결라인(251)에 연결되도록 스위치(S)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회로부(230)의 스피커 기능은 음악용 이퀄라이저(equalizer) 기능 및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290)는 스피커 기능의 온 시에는 음악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에는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가 스위칭부(250)의 제1 연결라인(251)에 연결된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자신의 USB 단자를 통해 특정 저항(R)에 의해 인가된 전압을 인식하여 스피커에 연결된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PCM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PCM 음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가 스위칭부(250)의 제2 연결라인(252)에 연결된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자신의 USB 단자를 통해 특정 저항(R)에 의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인식하여 빔 프로젝트에 연결된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킹 스피커(200)는 단순 스피커 모드(USB/Bluetooth/AUX 등)와 프로젝터 모드(MIRACAST/HDMI 등)로 나눌 수 있으며, 키입력부(270)에 구비된 스피커용 버튼 A 및 프로젝터용 버튼 B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1) 버튼 A를 길게 (long key로) 누르면 메인 회로부(230) 스피커 기능이 ON 되면서 스피커 모드로 시작하고 이때의 동작은 스피커로서만 동작한다.
2) 전술한 1)번 상태에서 버튼 A를 짧게 (short key로) 누르면 스피커의 음원 입력(input)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음원 입력 방식은 USB, Bluetooth, AUX 등을 통한 입력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3) 전술한 1)번 상태에서 버튼 B를 길게 (long key로) 누르면 메인 회로부(230)의 프로젝터 기능이 ON 되면서 프로젝터 모드가 되고, 연결된 단말 미러링을 하는 프로젝터로 동작한다. 디바이스가 연결되면 화면이 투사되고, 소리는 스피커로 나온다. 이때의 소리 볼륨, 이퀄라이저와 같은 기능은 스피커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따른다.
4) 전술한 3)번 상태에서 버튼 B를 짧게 (short key로) 누르면 프로젝터의 미러링 입력(input)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미러링 입력 방식은 slimport, HDMI, Miracast 등을 통한 입력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5) 전술한 4)번 상태에서 버튼 A를 짧게 short key로 누르면 스피커 모드로 변환된다.
6) 전술한 5)번 상태에서 버튼 B를 short key로 누르면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된다.
7) 스피커와 프로젝터가 모두 ON 상태일때, 버튼 A를 long key로 누르면 스피커와 프로젝터가 모두 OFF 된다.
8) 스피커와 프로젝터가 모두 ON 상태일때, 버튼 B를 long key로 누르면 프로젝터만 OFF 된다.
9) 제어부(290) 스피커를 ON 해도 프로젝터를 자동으로 ON 시키지는 않으나, 프로젝터가 ON 되면 스피커가 ON 되어야 한다. 또한 스피커를 OFF 시키면 프로젝터도 함께 OFF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는 제어부(290)의 제어를 통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모드 변환이 가능하데, 예를 들어, 유선 미러링 포트 (예. HDMI, slimport) 로 신호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젝터 모드로 자동 변환하고, 무선 미러링을 위한 무선 접속 (예. Miracast)이 감지되면 프로젝터 모드로 자동 변환하며, 무선 음악 감상을 위한 무선 접속 (예. Bluetooth A2DP 프로파일 접속)이 감지되면 스피커 모드로 자동 변환하고, 유선 음악 감상을 위한 신호 입력이 감지되면(예. USB 도킹시 AOA(Android Open Accessory) protocol로 접속후 PCM 데이터 입력) 스피커 모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200)는 스피커 모드와 프로젝터 모드간 변경 시 도 3과 같은 스위칭부(250)의 구성에 의해 USB 연결부(210)의 USB 단자(211)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기기(100)가 USB 단자(211)로 어떤 데이터(PCM 음원 또는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를 전송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일 예로, 스피커 모드를 ON 하면, 도킹 스피커(200)의 제어부(290)는 스위칭부(250)에서 USB 단자(211)의 ID pin에 연결된 회로에 특정 저항(R)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USB 단자(211)의 VBUS pin의 전압(voltage)을 5V -> 0V 로 변경했다가 특정 시간 이후에 다시 5V 로 올려서 스마트 기기(100)가 USB 인식을 다시 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해당 특정 저항(R)에 의해 ID pin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인식하여, 스피커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그 이후로는 USB를 통해 PCM 음원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른 예로, 프로젝터 모드를 ON 하면, 도킹 스피커(200)의 제어부(290)는 스위칭부(250)에서 USB 단자(211)의 ID pin에 연결된 회로에 특정 저항(R)이 연결되지 않도록 스위칭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USB 단자(211)의 VBUS pin의 전압(voltage)을 5V -> 0V 로 변경했다가 특정 시간 이후에 다시 5V 로 올려서 스마트 기기(100)가 USB 인식을 다시 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ID pin에 특정 저항(R)에 의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인식하여, 프로젝터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그 이후로는 USB를 통해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도킹 스피커(200)에는 두 가지 모드의 이퀄라이저(equalizer)가 세팅되어 있다. 하나는 음악용 equalizer 이고 다른 하나는 영화용 equalizer 이다. 제어부(290)는 스피커 모드 시에는 음악용 equalizer 로 자동 세팅되도록 제어하고, 프로젝터 모드 시에는 영화용 equalizer로 자동 세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기기
200: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또는 도킹 스피커라 약칭함)
210: USB 연결부
211: USB 단자
230: 메인 회로부
250: 스위칭부
270: 키입력부
290: 제어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로서의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와 연결되는 USB 단자가 형성된 USB 연결부;
    스피커 기능 및 프로젝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메인 회로부;
    상기 USB 연결부의 상기 USB 단자와 상기 메인 회로부 간을 특정 저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1 연결이라 칭함)하거나 상기 특정 저항을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연결(이하, 제2 연결이라 칭함)하기 위한 스위칭부;
    사용자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되,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버튼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오프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스피커 기능 및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및 제2 연결 간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연결부의 상기 USB 단자의 VBUS pin의 전압(voltage)을 5V -> 0V 로 변경했다가 특정 시간 이후에 다시 5V로 올려서 스마트 기기가 USB 인식을 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프로젝터 기능이 온되면 상기 스피커 기능도 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 기능이 오프되면 상기 프로젝터 기능도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시 상기 제1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 상기 제2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USB 연결부의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PCM 음원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제2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USB 연결부의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의 USB 단자로부터 출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기능은 음악용 이퀄라이저(equalizer) 기능 및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시에는 음악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시에는 영화용 이퀄라이저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특정 저항에 의해 상기 전압이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기능이 온 된 것으로 판단하고 PCM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특정 저항에 의해 상기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기능이 온 된 것으로 판단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스피커 기능의 온 동작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피커의 음원 입력(input) 방식을 USB, Bluetooth, 및 AUX를 통한 입력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회로부의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온 동작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젝터의 미러링 입력(input) 방식을 slimport, HDMI, 및 Miracast를 통한 입력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KR1020150119587A 2015-08-25 2015-08-25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KR102342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87A KR102342388B1 (ko) 2015-08-25 2015-08-25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587A KR102342388B1 (ko) 2015-08-25 2015-08-25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93A KR20170024393A (ko) 2017-03-07
KR102342388B1 true KR102342388B1 (ko) 2021-12-24

Family

ID=5841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587A KR102342388B1 (ko) 2015-08-25 2015-08-25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57B1 (ko) * 2020-10-07 2021-07-23 김종대 휴대용 빔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음원출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29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이스틱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81203A (ko) 2005-01-07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도킹 스테이션
KR100919096B1 (ko) * 2008-01-18 2009-09-28 클리오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통합제어시스템
KR20120060092A (ko) * 2010-12-01 2012-06-11 박영남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KR20140093520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월드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93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63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ging box and wireless earpiece
US9761129B2 (en) Intelligent infrared remote pairing
US201703030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method for setting initialization mod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60259649A1 (en) Interfac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46041B2 (en) Audio and video processors
US959134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bi-directional HDMI port
TW201448584A (zh) 通用環境擴展器、發送機及其通用環境擴展器系統
JP656313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1217316A (ja) 携帯情報処理装置
KR20170093508A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JP201407143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40129863A (ko) 음성 입력 경로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509554B2 (en) Method for outputting target content and terminal therefor
KR102342388B1 (ko)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CN104682908A (zh) 控制音量的方法及装置
KR101391553B1 (ko) 스마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WO2017113188A1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991866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TWM468099U (zh) 具有遙控功能之電子裝置
KR20130125112A (ko) 오디오 출력 관리 가능한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관리 방법
JP5947932B2 (ja) 電子機器
JP2016181869A (ja)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8187510A (ja) 入出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入出力兼用端子装置
KR100736469B1 (ko) 다기능 연결 단자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4930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