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010B1 -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 Google Patents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010B1
KR102342010B1 KR1020190166981A KR20190166981A KR102342010B1 KR 102342010 B1 KR102342010 B1 KR 102342010B1 KR 1020190166981 A KR1020190166981 A KR 1020190166981A KR 20190166981 A KR20190166981 A KR 20190166981A KR 102342010 B1 KR102342010 B1 KR 10234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ceiling
hydroponic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645A (ko
Inventor
한승원
김광진
윤형권
정나라
유수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0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천부의 벽면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구성해줌으로써, 상기 벽천부에 식재된 수경식재부의 생육을 위한 관수 작업이 필요 없어 관리가 용이하고,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WALL FOUNTAIN TYPE HYDROPONIC VEGETATION SYSTEM}
본 발명은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착 및 제거할 수 있는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은 사람의 호흡과정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소비하고 사람에게 유익한 산소를 생산해줌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증발산작용을 통한 습도조절은 건조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환경 개선에 효과적이다.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공기정화 성능은 잎의 호흡작용이나 광합성 작용 및 토양과 관련되어 있다. 토양은 공극과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을 돕고 식물뿌리의 활착을 원활하게 하고 아울러 공극을 갖는 토양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므로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근래 공기의 질은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어 미세 먼지를 줄이려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에 사용되는 장치들은 공기 정화에 전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식물을 생육하는 화분은 주로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식물의 자체 자정 작용을 통해 공기 정화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분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줘야 한다. 이에 따라 자칫 관리가 소홀할 경우 식물이 고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147호(공개일: 2019.04.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벽천부의 벽면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구성해줌으로써, 상기 벽천부에 식재된 수경식재부의 생육을 위한 관수 작업이 필요 없어 관리가 용이하고,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은, 상부에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부에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납된 물이 벽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벽천공간이 마련되는 벽천부; 상기 벽천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납되는 물을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다시 순환 이동시켜주는 펌프가 구비되는 물순환부; 상기 벽천공간의 벽면을 따라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이 적층되되, 상기 수경 식생블럭에 식재된 식물의 근부가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수경식재부; 및 상기 벽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통과시켜 물에 유입된 지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석재층이 구비된 제1정화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벽천공간의 벽면에는, 상기 벽면을 따라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착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수경 식생블럭의 근부가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천부의 상부에는, 상기 물순환부를 통해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수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수질정화식물이 식재되는 제2정화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순환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 또는 제2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는 물의 수위가 기준치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해주는 수위센서를 포함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된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기준치까지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은, 시스템 전체에 지속적으로 물이 순환되는 형태로 벽천부의 벽면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상기 벽천부에 식재된 수경식재부의 생육을 위한 별도의 관수 작업이 필요 없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벽천부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상기 벽면에 식재된 수경 식생블럭을 통해 미세먼지 흡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천부의 상, 하부에 정화필터부를 구비해줌으로써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지용성 및 수용성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를 본 발명에 따른 수경식재부의 부분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천부 및 수경식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 식생블럭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를 본 발명에 따른 수경식재부의 부분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100)은, 벽천부(110), 물순환부(120), 수경식재부(130), 제1정화필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천부(110)는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100)의 주된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벽천부(110)는 상부에 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제1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제2수용공간(113)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 사이의 중심부에는 제1수용공간(111)에 수납된 물이 벽면(115a)을 따라 흘러내린 후 제2수용공간(113)에 수납될 수 있도록 벽천공간(115)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벽천공간(115)에는 벽면(115a)을 따라 후술할 수경식재부(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131)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프레임(117)은 수경 식생블럭(131)의 근부가 벽면(115a)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W)과 상시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벽면(115a)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프레임(117)에 수경 식생블럭(131)이 안착되는 구성은 후술할 수경식재부(130)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물순환부(120)는 벽천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수용공간(113) 내에 수납되는 물을 제1수용공간(111)으로 다시 순환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순환부(120)는 제1수용공간(111)과 제2수용공간(113)을 연결해주는 연결관(121)과, 상기 연결관(121)을 통해 제2수용공간(113)에 수납된 물을 제1수용공간(111)으로 순환 이동시켜주는 펌프(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순환부(120)는 제1수용공간(111) 또는 제2수용공간(113) 내에 수납되는 물의 수위가 기준치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해주는 수위센서를 포함한 물공급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된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기준치까지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공급부(125)가 제1수용공간(111)에 구비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물순환부(120)가 벽천부(110)의 일측에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물순환부(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벽천부(110)의 내부에 은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수경식재부(130)는 벽천공간(115)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 안착프레임(117) 내에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131)이 적층되는 것으로, 이러한 수경 식생블럭(131)은 미세먼지를 흡착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수경식재부(130)는 수경 식생블럭(131)에 식재된 식물의 근부가 벽천공간(115)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경 식생블럭(131)의 근부가 물과 상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경 식생블럭(131)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별도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수경 식생블럭(131)은 벽천공간(115)의 벽면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프레임(117) 내에 간단히 안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경 식생블럭(131)을 고정해주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수경 식생블럭(131)의 적층구조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상기 수경 식생블럭(131)은 위에서 아래로 근부발달층(131a)과 근부생장층(131b)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부발달층(131a)은 삽목묘(1)가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근부발달층(131a)은 벽면(115a)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W)을 이용한 관수를 통해 항상 수분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근부발달층(131a)은 삽목묘(1)의 근부(3) 생성을 유도하고 제조된 수경 식생블럭(10)을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100)에 설치 시 지속적인 수분 함습과 물 넘침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근부발달층(131a)은 삽목묘(1)의 근부(3)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용이하게 함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컷팅이 용이하도록 스펀지, 원예용 발포제, 압축 코코피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근부생장층(131b)은 근부발달층(131a)의 하부에 적층 형성되는 것으로, 근부발달층(131a)에 삽목된 삽목묘(1)의 생장에 필요한 근부(3) 생장을 지속적으로 유도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부생장층(131b)은 공극이 많은 맥반석이나 마사토를 포함한 석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근부생장층(131b) 내부에 복수의 공극이 형성됨에 따라 삽목묘(1)의 하부에서 생성되는 근부(3)가 공극을 통해 하방으로 용이하게 뻗어나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정화필터부(140)는 벽천부(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정화필터부(140)는 벽천공간(115)의 벽면(115a)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W)을 통과시켜 물(W)에 유입된 지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제1정화필터부(140)는 석재층(14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석재층(141)은 토양 공극이 많은 석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석재층(141)은 지용성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해줄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정화필터부(140)는 미세먼지 여과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석재층(141)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정화필터부(140)는 제2수용공간(113)의 내부 상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 설치되거나, 또는 제2수용공간(113) 내에 석재층(141)이 충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천부(110)의 상부에는 물순환부(120)를 통해 순환 이동되는 물(W)에 포함된 수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수질정화식물(151)이 식재되는 제2정화필터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정화필터부(150)는 제1수용공간(111)의 내부 상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 설치되거나, 또는 제1수용공간(111) 내에 수질정화식물(151)을 식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질정화식물(151)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수용성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효율적으로 흡착 제거해줄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100)은, 벽천부(110)의 벽면을 따라 물이 흐르도록 구성하여 벽천부(110)에 식재된 수경식재부(130)의 생육을 위한 별도의 관수 작업이 필요 없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벽천부(110)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상기 벽면에 식재된 수경 식생블럭(131)을 통해 미세먼지 흡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천부(110)의 상, 하부에 제1, 2정화필터부(140)(150)를 구비해줌으로써,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지용성 및 수용성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110 : 벽천부
111 : 제1수용공간 113 : 제2수용공간
115 : 벽천공간 115a : 벽면
117 : 안착프레임 120 : 물순환부
121 : 연결관 123 : 펌프
125 : 물공급부 W : 물
130 : 수경식재부 131 : 수경 식생블럭
131a : 근부발달층 131b : 근부생장층
140 : 제1정화필터부 141 : 석재층
150 : 제2정화필터부 151 : 수질정화식물

Claims (5)

  1. 상부에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부에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납된 물이 벽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벽천공간이 마련되는 벽천부;
    상기 벽천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납되는 물을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다시 순환 이동시켜주는 펌프가 구비되는 물순환부;
    상기 벽천공간의 벽면을 따라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이 적층되되, 상기 수경 식생블럭에 식재된 식물의 근부가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수경식재부;
    상기 벽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통과시켜 물에 유입된 지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석재층이 구비된 제1정화필터부; 및
    상기 벽천공간의 벽면에는,
    상기 벽면을 따라 복수의 수경 식생블럭이 적층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안착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수경 식생블럭의 근부가 상기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벽면에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천부의 상부에는,
    상기 물순환부를 통해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수용성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수질정화식물이 식재되는 제2정화필터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부는,
    상기 제1수용공간 또는 제2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는 물의 수위가 기준치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해주는 수위센서를 포함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감지된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기준치까지 물을 공급해주는 것인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KR1020190166981A 2019-12-13 2019-12-13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KR10234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81A KR102342010B1 (ko) 2019-12-13 2019-12-13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81A KR102342010B1 (ko) 2019-12-13 2019-12-13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45A KR20210075645A (ko) 2021-06-23
KR102342010B1 true KR102342010B1 (ko) 2021-12-22

Family

ID=7659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981A KR102342010B1 (ko) 2019-12-13 2019-12-13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945B1 (ko) * 2012-03-19 2012-10-18 배종근 자연 생태 환경을 이용한 연못의 수질정화정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27B1 (ko) * 2011-06-16 2013-03-26 주식회사 예건 녹화 벽면이 구비된 파고라
KR101441040B1 (ko) * 2012-08-13 2014-09-18 주식회사 세파란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20180117301A (ko) * 2017-04-19 2018-10-29 박대득 식생매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KR102083078B1 (ko) * 2018-04-16 2020-02-28 (주) 상림원 식물 재배장치
KR102160879B1 (ko) 2019-03-29 2020-09-28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945B1 (ko) * 2012-03-19 2012-10-18 배종근 자연 생태 환경을 이용한 연못의 수질정화정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45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684B2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and a growing device
JP4589773B2 (ja) 立体水耕栽培装置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US20140223818A1 (en) Filtration system for use in aquariums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101485824B1 (ko) 수직정원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US8720110B2 (en) Hydroponics equipment cleaning method
KR200474733Y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US20210059140A1 (en) Hydroponic grow system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062017B1 (ko) 수경 수족관
KR102342010B1 (ko) 벽천형 수경식생시스템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0810996B1 (ko)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JP7004370B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200297407Y1 (ko)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
KR102168614B1 (ko) 미세먼지 저감 및 습도 조절을 위한 다단형 식물 재배 장치
KR0138050B1 (ko) 폐기가스의 생물학적 탈취방법 및 장치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JPH0631887Y2 (ja) 養液栽培用ベッド
WO2019131233A1 (ja) 水耕栽培装置,そのフィルタ,その方法
KR20080003376U (ko) 수경재배 식물 식재용 내화분
JP2736333B2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