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324B1 -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324B1
KR102341324B1 KR1020210089791A KR20210089791A KR102341324B1 KR 102341324 B1 KR102341324 B1 KR 102341324B1 KR 1020210089791 A KR1020210089791 A KR 1020210089791A KR 20210089791 A KR20210089791 A KR 20210089791A KR 102341324 B1 KR102341324 B1 KR 10234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one
compressed air
pinion gear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섭
Original Assignee
최경섭
(주)재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섭, (주)재관산업 filed Critical 최경섭
Priority to KR102021008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 콘부, 파쇄 맨틀부를 구비하여 골재를 분쇄하고, 과부하가 걸린 경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인가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콘부 회전장치 및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이 구비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Cone crusher device for crushing aggregate}
본 발명은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 콘부, 파쇄 맨틀부를 구비하여 골재를 분쇄하고, 과부하가 걸린 경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인가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콘부 회전장치 및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이 구비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의 채취과정은 채석장이나 광산 등의 장소에서 다이너마이트등과 같은 폭발물을 이용하여 바위를 터뜨린 후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다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과정을 갖는다.
그 분쇄기로는 비교적 큰 덩어리의 골재를 분쇄하는 죠 크러셔와, 그 죠 크러셔로부터 분쇄된 골재를 더 작은 크기로 분쇄시키는 콘 크러셔 등이 있다.
이 중, 콘 크러셔는 콘(cone) 형상의 멘틀과, 고정된 콘 케이브 사이에 골재를 투입하여, 편심 회전하는 멘틀과 콘 케이브 사이에 투입된 골재를 마찰 및 압력에 의해 분쇄하는 장치로, 건설 폐기물로부터 작은 크기의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콘 크러셔는 분쇄된 골재의 입자가 고르지 않아 콘 크러셔를 이용한 분쇄 공정을 여러 번 수행해야 되며, 골재를 분쇄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어 이물질 선별 등의 부가 공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순환골재의 생산 공정을 단축시키면서도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콘 크러셔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쇄 콘부, 파쇄 맨틀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구비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재 분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인가하는 콘부 회전장치를 구비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이 구비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는 콘형을 가지고 편심 회전하는 파쇄 콘부, 상기 파쇄 콘부 위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파쇄 동작을 위해 배치된 파쇄 맨틀부, 상기 파쇄 콘부를 둘러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상부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파쇄 콘부를 둘러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 콘부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을 가진 콘부 본체, 상기 콘부 본체 중앙 상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부 본체가 회전장치 몸체에 의해 하강할 때 탄성체를 밀면서 상기 콘부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상기 콘부 본체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조립되어 상기 콘부 본체를 편심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콘부 본체가 편심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내륜에 상기 중심축이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콘부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콘부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베어링, 상기 콘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홈에서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지지대,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대에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중심축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내륜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제1 베어링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콘부 본체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체와 볼이 수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는, 상기 파쇄 콘부와 결합하여 골재가 상기 파쇄 콘부 및 상기 파쇄 맨틀부에 과부하를 일으킬 경우 상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가하는 콘부 회전장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부 회전장치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구비되는 회전장치 몸체,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하부에 회전체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저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결합부,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하는 보조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전원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 베어링 및 제3 베어링,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 콘부를 수용부에 의해 수용하며 회전하여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회전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콘부 회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피니언 기어는, 일정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보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보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2개의 도관으로 나누어진 압축공기 흐름관,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의 상면에 천공되어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압축공기 분출구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관,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에 형성된 상기 분출구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고, 압축공기를 투입하는 압축공기 투입구, 상기 압축공기 투입구로 투입된 공기를 증폭하여 배출하는 압축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보조관, 상기 압축공기 배출구가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의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말단에 연결되어 또 다른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공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으로 투입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공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서로 수직으로 만나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 콘부, 파쇄 맨틀부를 구비하여 골재를 분쇄하고, 과부하가 걸린 경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인가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콘부 회전장치 및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이 구비된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또 다른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또 다른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콘부 회전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제거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는 파쇄 콘부(1), 파쇄 맨틀부(2), 상부 프레임(3), 하부 프레임(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또 다른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의 또 다른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파쇄 콘부(1)는 콘부 본체(110), 완충 부재(120), 중심축(130), 제1 베어링(140), 제1 베어링 지지대(170), 볼트(150), 결합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콘부 본체(110)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120)는 상기 콘부 본체 중앙 상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부 본체가 회전장치 몸체(210)에 의해 하강할 때 탄성체를 밀면서 상기 콘부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중심축(130)은 상기 콘부 본체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조립되어 상기 콘부 본체를 편심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베어링(140)은 상기 콘부 본체가 편심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내륜에 상기 중심축이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콘부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콘부 본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베어링 지지대(170)는 상기 콘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홈(171)에서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볼트(150)는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대에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중심축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내륜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판(160)은 상기 제1 베어링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콘부 본체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완충 부재(120)는 하우징(121) 내부에 탄성체(123)와 볼(122)이 수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콘부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파쇄 콘부(1)는 골재가 콘크레샤 장치에 투입되면 중심축(130)에 의해 편심회전을 한다.
이때, 콘부 본체(110)와 파쇄 맨틀부(2) 사이의 공간에 골재가 위치하게 되어 중심축(130)이 편심회전하면서 골재를 잘게 부순다.
잘게 부서진 골재는 하부 프레임(4)을 따라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된다.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는 콘부 회전장치(200), 분진 제거 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파쇄 콘부 및 콘부 회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콘부 회전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콘부 회전장치(200)는 상기 파쇄 콘부와 결합하여 골재가 상기 파쇄 콘부 및 상기 파쇄 맨틀부에 과부하를 일으킬 경우 상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콘부 회전장치(200)는 회전장치 몸체(210), 피니언 기어(220), 회전체 결합부(230), 보조 피니언 기어(224), 걸림부(250), 탄성체(270), 제2 베어링 및 제3 베어링(221, 222), 회전체(280), 전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 몸체(210)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 몸체(210a) 및 하부 몸체(210b)로 구비되며, 상기의 콘부 회전장치의 구성들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20)는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 결합부(230)는 하부에 회전체(28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저면에 피니언 기어 결합홈(231)을 형성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 피니언 기어(224)는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설치되고 ,전원부(24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보조 피니언 기어(224)는 일정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보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여 같은 방향을 회전하도록 하는 보조 기어(22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50)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스토퍼(260)를 형성하여 전원부(24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탄성체(270)는 상기 걸림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베어링 및 제3 베어링(221, 222)은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체(280)는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 콘부를 수용부(281)에 의해 수용하며 회전하여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전원부(240)는 상부 하우징(240a)과 하부 하우징(240b)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콘부 회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부 회전장치(200)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체(280)의 수용부(281)에 파쇄 콘부(1)의 완충부재(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부(240)의 전원공급에 의해 피니언기어(220), 보조 피니언 기어(224), 보조 기어(225)가 회전하면서 회전체(280)가 파쇄 콘부(1)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파쇄 맨틀부(2)와의 연동 작용으로 파쇄 콘부(1)는 투입된 골재를 분쇄시킨다.
만약 파쇄 맨틀부(2)와 파쇄 콘부(1) 사이의 분쇄 공간에서 골재가 쌓이거나 끼여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회전체(280)가 파쇄 콘부(1)를 밀어서 하강하는 힘을 인가한다.
이때, 완충 부재(120)와 수용부(281)의 사이가 멀어지면서 파쇄 맨틀부(2)와 파쇄 콘부(1) 사이의 공간이 종래의 범위보다 더 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순간적으로 골재를 더 많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회전체(280)가 파쇄 콘부(1)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할 때, 완충 부재(120)의 볼(122)이 그 힘을 인가받아 하강하면서 탄성체(123)를 밀어내고 탄성체(123)는 그 힘을 흡수하여 파쇄 콘부(1) 전체에 그 힘을 분산시켜 파쇄 콘부(1)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스토퍼(260)를 동작하여 걸림부(250)에 피니언 기어(220)가 걸려 회전을 제어받게 됨으로써 회전체(280)의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제거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분진 제거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분진 제거 모듈(290)은 압축공기 흐름관(310), 압축공기 분출구(3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관(300), 압축공기 투입구(340), 압축공기 배출구(35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보조관(330), 공기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흐름관(310)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2개의 도관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압축공기 분출구(320)는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의 상면에 천공되어 압축공기를 분출할 수 있다.
압축공기 공급관(300)은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310) 및 상기 압축공기 분출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투입구(340)는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에 형성된 상기 분출구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고, 압축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압축공기 배출구(350)는 상기 압축공기 투입구로 투입된 공기를 증폭하여 배출할 수 있다.
공기관(360)은 상기 압축공기 배출구가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의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말단에 연결되어 또 다른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할 수 있다.
분진 제거 모듈(290)은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으로 투입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공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서로 수직으로 만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모듈(290)의 동작 원리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분진 제거 모듈(290)은 하부 프레임(4)의 측면에 설치되고 파쇄 맨틀부(2)와 파쇄 콘부(1) 사이의 공간으로 강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골재 분쇄 공정 시에 발생하는 많은 분진들이 콘크레샤 장치에 쌓이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공기관(360)을 통해 강한 바람이 인가되고, 압축공기 흐름관(310)에서는 압축공기가 인가되어 압축공기 보조관(330)을 타고 흐르면서 압축공기 배출구(350)로 유동되면서 순간적으로 강한 압축공기를 형성하여 공기관(360)을 따라 배출됨으로써 증폭된 압축공기를 공기관(360)에서 하부 프레임(4)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파쇄 콘부(1)와 파쇄 맨틀부(2) 사이의 공간으로 강한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골재 분쇄시에 발생하는 분진들이 콘크레샤 장치 외부로 빠져나가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골재 분쇄 공정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 파쇄 콘부
2 : 파쇄 맨틀부
3 : 상부 프레임
4 : 하부 프레임
110 : 콘부 본체
120 : 완충 부재
130 : 중심축
140 : 제1 베어링
150 : 볼트
160 : 결합판
170 : 제1 베어링 지지대
200 : 콘부 회전장치
210 : 회전장치 몸체
220 : 피니언 기어
230 : 회전체 결합부
240 : 전원부
250 : 걸림부
260 : 스토퍼
270 : 탄성체
280 : 회전체
290 : 분진 제거 모듈
300 : 압축공기 공급관
310 : 압축공기 흐름관
320 : 압축공기 분출구
330 : 압축공기 보조관
340 : 압축공기 투입구
350 : 압축공기 배출구
360 : 공기관

Claims (4)

  1. 콘형을 가지고 편심 회전하는 파쇄 콘부;
    상기 파쇄 콘부 위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파쇄 동작을 위해 배치된 파쇄 맨틀부;
    상기 파쇄 콘부를 둘러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상부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파쇄 콘부를 둘러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하부 외관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는,
    상기 파쇄 콘부와 결합하여 골재가 상기 파쇄 콘부 및 상기 파쇄 맨틀부에 과부하를 일으킬 경우 상기 파쇄 콘부를 회전하여 하강하는 힘을 가하는 콘부 회전장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제거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쇄 콘부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을 가진 콘부 본체;
    상기 콘부 본체 중앙 상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콘부 본체가 회전장치 몸체에 의해 하강할 때 탄성체를 밀면서 상기 콘부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상기 콘부 본체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조립되어 상기 콘부 본체를 편심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콘부 본체가 편심회전할 때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내륜에 상기 중심축이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콘부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콘부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베어링;
    상기 콘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홈에서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지지대;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대에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중심축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내륜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제1 베어링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콘부 본체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결합판;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체와 볼이 수용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특징
    을 포함하고,
    상기 콘부 회전장치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구비되는 회전장치 몸체;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하부에 회전체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저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결합부;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내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하는 보조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전원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장치 몸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 베어링 및 제3 베어링;
    상기 회전장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 콘부를 수용부에 의해 수용하며 회전하여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회전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상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콘부 회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피니언 기어는,
    일정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보조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보조 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모듈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2개의 도관으로 나누어진 압축공기 흐름관;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의 상면에 천공되어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압축공기 분출구;
    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관;
    상기 압축공기 흐름관에 형성된 상기 분출구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고, 압축공기를 투입하는 압축공기 투입구;
    상기 압축공기 투입구로 투입된 공기를 증폭하여 배출하는 압축공기 배출구;
    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보조관;
    상기 압축공기 배출구가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의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말단에 연결되어 또 다른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공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보조관으로 투입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공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서로 수직으로 만나도록 하는 특징
    을 포함하는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89791A 2021-07-08 2021-07-08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KR10234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91A KR102341324B1 (ko) 2021-07-08 2021-07-08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91A KR102341324B1 (ko) 2021-07-08 2021-07-08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324B1 true KR102341324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91A KR102341324B1 (ko) 2021-07-08 2021-07-08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148B1 (ko) 2023-02-14 2023-07-19 천지환경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볼 밀링 연속 공정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 장치
KR20230111380A (ko) 2022-01-18 2023-07-25 이명숙 광물 분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431A (ja) * 2001-07-27 2003-02-13 Nippon Steel Chem Co Ltd 発泡樹脂製品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342131B1 (ko) * 2013-06-10 2013-12-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기류에 의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콘 크러셔
JP2016137441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ゼロテクノ 粉体破砕ユニット及び粉体破砕装置
KR20170051662A (ko) * 2015-10-30 2017-05-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임펠러
KR101976677B1 (ko) * 2018-11-19 2019-05-09 시지엔지니어링(주) 경량혼합토 제조용 원료토 전처리호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431A (ja) * 2001-07-27 2003-02-13 Nippon Steel Chem Co Ltd 発泡樹脂製品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342131B1 (ko) * 2013-06-10 2013-12-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기류에 의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콘 크러셔
JP2016137441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ゼロテクノ 粉体破砕ユニット及び粉体破砕装置
KR20170051662A (ko) * 2015-10-30 2017-05-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임펠러
KR101976677B1 (ko) * 2018-11-19 2019-05-09 시지엔지니어링(주) 경량혼합토 제조용 원료토 전처리호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380A (ko) 2022-01-18 2023-07-25 이명숙 광물 분쇄기
KR102556148B1 (ko) 2023-02-14 2023-07-19 천지환경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볼 밀링 연속 공정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324B1 (ko)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US20200094259A1 (en) Agitator Ball Mill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gitator Ball Mill
JP6778763B2 (ja) 篩処理装置
US7963470B2 (en) Discharge from grinding mills
CN102755924A (zh) 圆锥式破碎机组
EP1839753A4 (en) PROCESS FOR CRUSHING IN AN ECCENTRIC CONE CRUSHER
US5062601A (en) Mill screen apparatus
CN107413427A (zh) 一种药材粉碎装置
CN106423841A (zh) 一种车载集成式土壤修复装置的筛选机
US4347986A (en) Self-attritioning pulverizer
CN108339630A (zh) 一种药学用药品粉碎装置
KR20170114330A (ko) 패각분쇄기
CN101816970B (zh) 双层粉碎机
CN110586259A (zh) 一种通风循环球磨机
JP2008272829A (ja) 圧縮成形機
CN211099269U (zh) 一种矿山用的岩石破碎机
CN209905950U (zh) 一种振动给料机
JP6235114B2 (ja) 回転式圧力篩い処理装置
JP4470038B2 (ja) 粉砕装置
CN110586247A (zh) 一种矿山用的岩石破碎机
CN105080660A (zh) 一种低震动的垃圾粉碎装置
KR102534459B1 (ko) 콘 파쇄기 헤드를 위한 스핀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292671Y1 (ko) 재활용 부순 모래의 배출이 용이한 임팩트 크러셔
KR101631865B1 (ko) 음식물처리기 및 이에 연결되는 배수관 막힘방지 구조
KR200186068Y1 (ko) 중화처리용 분말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