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876B1 - 단열박스 - Google Patents
단열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0876B1 KR102340876B1 KR1020210038639A KR20210038639A KR102340876B1 KR 102340876 B1 KR102340876 B1 KR 102340876B1 KR 1020210038639 A KR1020210038639 A KR 1020210038639A KR 20210038639 A KR20210038639 A KR 20210038639A KR 102340876 B1 KR102340876 B1 KR 102340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insulation box
- insulation
- present
- ne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30)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발포성형 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단열박스로서, 상기 단열재의 측면는 최하단의 제1측면(131)과 가운데의 제2측면(132) 최상단의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제3측면은 각각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면서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131)은 제1내측면(131-1)과 제1외측면(131-2)를 갖고, 제2측면(132)은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를 갖고, 제3측면(133)은 제3내측면(133-1)과 제3외측면(133-2)를 갖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단열박스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더 확대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어져서 네스팅시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여 보냉 또는 보온 밀폐공간을 갖도록 한 단열박스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단열박스를 이너박스와 아웃박스로 구성하고 이들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사이에는 그 내면의 형상에 정확히 일치하는 면을 갖는 단열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내부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고, 또한 보관시에는 단열박스 각각이 상하로 서로 적층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박스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유제품 등과 같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보관하거나 운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포장 수단이다.
종래, 보냉박스(또는 단열박스)의 형태로는 상자 내부에 냉매와 함께 보냉이 필요한 식품 등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하고 벽체는 단열을 위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보냉 상자에 대한 종래기술의 한 예로, 특허 제10-1910860호(2018.10.17)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보면, 보냉 상자를 이루는 벽체의 내측에 하부 단열 부재, 측면 단열 부재, 상부 단열 부재 등을 벽체에 배치하고 내부에 냉각 부재를 구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보냉박스는 단열 성능 발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열부재들이 각각 분리되어 있고, 단열상자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단열부재의 분리구조로 인해서 분리된 단열부재가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위에서 열전달을 차단하는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사이에 배치하되,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사이 공간에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열박스 내부 공간의 단열성능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단열박스를 서로 겹쳐서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30)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발포성형 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단열재의 측면는 최하단의 제1측면(131)과 가운데의 제2측면(132) 최상단의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제3측면은 각각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면서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131)은 제1내측면(131-1)과 제1외측면(131-2)를 갖고, 제2측면(132)은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를 갖고, 제3측면(133)은 제3내측면(133-1)과 제3외측면(133-2)를 갖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단열박스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더 확대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어지는 단열박스로서 네스팅시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내측면(131-1)과 제2내측면(132-1) 사이에는 제1내부단턱(13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면(132-1)과 제3내측면(133-1) 사이에는 제2내부단턱(13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외측면(132-2) 사이에는 제1외부단턱(13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측면(132-2)과 제3외측면(133-2) 사이에는 제2외부단턱(133-22)이 형성된다.
네스팅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하단 모서리가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1내부단턱(132-11)에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제1외부단턱(132-22)이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2내부단턱(133-11)에 위치하여 서로 간섭없이 네스팅된다.
상기 단열재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박스의 내측면과 일치하고,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박스의 외측면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단열박스의 구조를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및 이들 사이의 공간에 꼭 맞도록 구비되는 단열재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단열재를 분할된 복수 개가 아닌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일체형으로 발포성형함으로써 박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박스를 빈 박스 상태에서 보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 적층(네스팅)이 가능한 구조이며서 적층되는 상하 단열박스의 측벽 사이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단열박스 측벽을 3단 구조의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네스팅 효율을 극대화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종단면도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분리 사시도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종단면도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아웃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네스팅 적층된 단면 모습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아웃박스와 이너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며,
도 11 내지 도 13은 측벽이 두꺼운 단열박스를 적층하는 경우 측벽사이에 발생하는 간섭회피를 위한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측벽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종단면도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분리 사시도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종단면도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아웃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네스팅 적층된 단면 모습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아웃박스와 이너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며,
도 11 내지 도 13은 측벽이 두꺼운 단열박스를 적층하는 경우 측벽사이에 발생하는 간섭회피를 위한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측벽의 단면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종단면도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분리 사시도의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단열재의 종단면도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구성인 아웃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네스팅 적층된 단면 모습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단열박스의 아웃박스와 이너박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며, 도 11 내지 도 13은 측벽이 두꺼운 단열박스를 적층하는 경우 측벽사이에 발생하는 간섭회피를 위한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의 측벽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열 효율 극대화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단열박스(10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와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너박스(110)와 아웃박스(1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너박스와 아웃박스가 결합되되 이 사이에 접하는 면의 형상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단열재(130)를 배치하여 단열 성능을 높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3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발포성형 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캡(150) 역시 발포성형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단열박스는 본체와 캡 모두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어서 재사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소재인 것이 특징이다.
단열재(130)의 형상은, 단열박스의 외측면이 상기 아웃박스의 내측면과 일치하고, 상기 단열박스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박스의 외측면과 일치하도록 발포성형된 후, 조립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조립시에 이들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하여 단열성능이 높아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열박스는 측벽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자형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고, 세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하였다. 즉, 이너박스(110)와 아웃박스(120)와 단열재(130)의 측벽이 모두 세부분으로 구획되는 구조이다. 이를 단열재(130)만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열재의 측면의 구성이 최하단의 제1측면(131)과 가운데의 제2측면(132) 최상단의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제1측면의 두께(131a) 및 제3측면의 두께(133a)는 상기 제2측면의 두께(132a) 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 공간 활용성을 높이면서 네스팅이 가능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단열박스를 빈 박스로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하면서 일정 부분이 겹치도록 상하로 적층하게 되는데 이를 편의상 네스팅(nesting)이라고 한다(도 7 참조).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단열박스의 측벽의 구간별 두께를 달리 구성하여 네스팅함으로써 적층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단열재의 제2측면(132)과 제3측면(133)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네스팅용 턱(160)이 아웃박스에 형성되고, 단열박스 상하 네스팅 적층시, 상측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네스팅용 턱(160)에 하측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이너박스 상단부(110-1)가 위치한다(도 7 참조). 본 발명에서는 단열박스의 측벽의 구간별 두께를 달리하고 또한 외측으로 계단형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는 박스의 측벽 사이 간섭을 제거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캡(150)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외부에 노출되는 상면(151)과 내부공간을 덮는 하면(15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캡은 발포성형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아웃박스의 바닥의 외부면(121)에는 리브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바닥에 리브가 없는 평평한 구조를 택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바닥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도 보강용 리브를 바닥의 내측면에 형성하였다. 즉, 상기 아웃박스 바닥의 내부면(123)에 리브(123a)가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30) 바닥의 외부면(135)에는 상기 리브(123a)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브홈(135a)이 형성되어 결합성 조립성이 높아지게 하였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단열박스에서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가 존재하되, 외부에는 돌출되지 않는 구조가 되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즉, 리브가 존재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단열박스의 외부 바닥면에도 리브가 노출되지 않고, 단열박스의 내부 바닥(즉, 이너박스 내부 바닥)에도 리브가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내부 바닥에도 리브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물건)이 단열박스에 담기는 경우, 내부 바닥에 리브가 없어서 제품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편리하게 된다. 또한, 외부바닥에도 리브가 존재하지 않아서 컨베이어 벨트 이송 과정에도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단열박스 내부와 외부 실링을 위하여, 상기 아웃박스의 상단부(120-1)에는 테두리를 따라 오링(129)이 체결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상기 오링이 배치되게 한다. 오링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박스의 상단부(110-1)가 아웃박스의 상단부(120-1)를 완전히 덮으면서 상호 결합된다.
아웃박스와 이너박스의 결합은 각각의 상단부에서 후크와 체결홈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아웃박스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28)가 구비되고, 상기 이너박스 상단부에는 저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28)에 체결되는 후크(118)가 구비되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체결부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단열박스의 체결과정은 도 10에서 (a) (b) (c) (d) 순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본체와 캡 모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단일 성분으로만 성형되어서 재사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소재인 것이 특징이다.
폴리프로필렌은 강도,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회수 반복사용 가능하고, 내열성, 비흡수성으로 세척 및 열소독 후 재사용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소각시 유독가스(다이옥신 등)발생이 없으며, 연소 열량이 높아 폐열회수에 유리하며, 파손 회수된 제품은 분쇄후 신재와 혼합하여 새롭게 성형이 가능(Recycle)한 유리한 점이 있다.
[적층시 측벽 간섭 회피 구조]
발명은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측벽을 두껍게 형성한 박스이며, 두꺼운 측벽을 가진 단열박스이면서도 상하 적층(네스팅)시 측벽에서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한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단열박스는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 보다 더 큰 구조이어서 네스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측벽을 3단으로 구획되도록 하였으며, 이너박스(110)와 아웃박스(120)와 단열재(130)의 측벽이 모두 3단으로 구획되는 구조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측벽이 두꺼운 단열박스를 적층하는 경우 측벽사이에 발생하는 간섭회피를 위한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다만 이중 단열재의 측벽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여 간섭 회피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단열재에 이너박스와 아웃박스는 동일한 형상으로 내외면에서 서로 조립되기 때문에 간섭 회피 원리는 동일함).
도 11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얇은 벽(W1,W2)의 상자가 네스팅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벽의 상자는 벽이 얇기 때문에 네스팅 과정에서도 이들 벽(W1,W2) 사이에 공간(S)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벽과 벽사이에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도 12와 같이 벽이 두꺼운 단열상자인 경우 상하로 적층되는 네스팅 과정에서 벽(W3)과 벽(W4)사이에서 서로 간섭이 되는 간섭부위(F)가 생긴다. 그러므로, 두꺼운 벽을 가진 박스는 이러한 간섭부위(F)로 인해서 네스팅이 어려워진다.
도 13에서는 이러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이 도출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림에서 편의상 A로 표기한 부분은 네스팅시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벽(이하, '제1벽')이며, B로 표기한 부분은 네스팅시 위쪽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벽(이하, '제2벽')이다. 본 발명은 네스팅 효율과 간섭회피를 위해 벽을 3단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제1벽과 제2벽은 동일한 형상의 단열박스의 벽이며, 상하로 네스팅되는 관계이다.
상기 제1벽(A)은 3단으로 구성되고, 위에서 아래로 각각 제A-1단(A1), 제A-2단(A2), 제A-3단(A3)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벽(B)은 3단으로 구성되고, 위에서 아래로 각각 제B-1단(B1), 제B-2단(B2), 제B-3단(B3)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3단 구조로 형성하여 네스팅하는 것을 편의상 1/3 네스팅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1/3 네스팅을 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제1벽(A)의 제A-1단(A1)과 제2벽(B)의 제B-2단(B2) 사이에 서로 간섭이 되는 간섭부위(F1)가 발생하고(도 13(a) 참고), 제1벽(A)의 제A-2단(A2)과 제2벽(B)의 제B-3단(B3) 사이에 서로 간섭이 되는 간섭부위(F2)가 발생한다(도 13(b) 참고). 본 발명은 이러한 간섭부위(F1, F2)에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이를 계단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벽(A)의 제A-3단(A3)은 상하 네스팅 과정에서 간섭이 생기는 부위가 아니므로, 단열효과를 높이고 강도 보강을 위해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내측면이 더 내측으로 위치하게 한 것이다(도 13(c)참조).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박스 측벽의 단면이 이루어진 것이다.
도 5와 도 7과 도 14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와 도 14는 단열재(130)의 측벽만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단열재 내외면에 이너박스와 아웃박스가 함께 도시된 것이다.
도 5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열재(130)를 살펴보면, 본 발명 단열재의 측면의 구성이 최하단의 제1측면(131)과 가운데의 제2측면(132) 최상단의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제1측면의 두께(131a) 및 제3측면의 두께(133a)는 상기 제2측면의 두께(132a) 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여, 단열박스의 상하 네스팅 적층이 가능하면서도 단열박스 내외부의 단열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1측면에서 제2측면 및 제3측면으로 가면서 단열박스의 외측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되게 하였다. 즉, 제2 내지 제3측면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구간별 두께를 다르게 구성하면서 계단형으로 측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도 13에서 언급한 상하 네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섭부위(F1, F2)를 회피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단열재(130)의 측벽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보면, 아래에서 위쪽으로 제1측면(131)과 제2측면(132)과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측면(131)은 제1내측면(131-1)과 제1외측면(131-2)를 갖고, 제2측면(132)은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를 갖고, 제3측면(133)은 제3내측면(133-1)과 제3외측면(133-2)를 갖는다. 여기서 제1내측면(131-1) 내지 제3내측면(133-1) 및 제1외측면(131-2) 내지 제3외측면(133-2)은 모두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박스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더 확대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단열박스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더 확대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네스팅 시에 서로 접하는 면이므로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네스팅시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내측면(131-1)과 제2내측면(132-1) 사이에는 제1내부단턱(13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면(132-1)과 제3내측면(133-1) 사이에는 제2내부단턱(13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외측면(132-2) 사이에는 제1외부단턱(13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측면(132-2)과 제3외측면(133-2) 사이에는 제2외부단턱(133-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의해 상하 네스팅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하단 모서리가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1내부단턱(132-11)에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제1외부단턱(132-22)이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2내부단턱(133-11)에 위치하여 서로 간섭없이 네스팅 된다.
그리고,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측면(131)의 제1내측면(131-1)과 제1외측면(131-2)사이의 폭(두께)은 네스팅 되는 박스의 간섭과는 상관없으므로, 벽두께에 따른 단열 효과와 박스 내부 공간 효용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열박스는 보관시 상하 측벽 사이에 간섭이 회피되면서 적층되고 동시에 내부 공간 활용성도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 이너박스와 아웃박스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30)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발포성형 과정을 통해 상기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와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단열재의 측면은 최하단의 제1측면(131)과 가운데의 제2측면(132) 최상단의 제3측면(13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과 제3측면은 각각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면서 계단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131)은 제1내측면(131-1)과 제1외측면(131-2)를 갖고, 제2측면(132)은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를 갖고, 제3측면(133)은 제3내측면(133-1)과 제3외측면(133-2)를 갖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단열박스 상부의 폭이 하부보다 더 확대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내측면(132-1)과 제2외측면(132-2) 및 제3내측면(133-1)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고,
상기 제1내측면(131-1)과 제2내측면(132-1) 사이에는 제1내부단턱(13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측면(132-1)과 제3내측면(133-1) 사이에는 제2내부단턱(13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면(131-2)과 제2외측면(132-2) 사이에는 제1외부단턱(13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측면(132-2)과 제3외측면(133-2) 사이에는 제2외부단턱(133-22)이 형성되어서,
네스팅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하단 모서리가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1내부단턱(132-11)에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제1외부단턱(132-22)이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박스의 상기 제2내부단턱(133-11)에 위치하여 서로 간섭없이 네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박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박스의 내측면과 일치하고, 상기 단열재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박스의 외측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639A KR102340876B1 (ko) | 2021-03-25 | 2021-03-25 | 단열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639A KR102340876B1 (ko) | 2021-03-25 | 2021-03-25 | 단열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0876B1 true KR102340876B1 (ko) | 2021-12-20 |
Family
ID=7903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8639A KR102340876B1 (ko) | 2021-03-25 | 2021-03-25 | 단열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087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5787A (ja) * | 2000-04-28 | 2001-11-13 | Seikatsu Club Consumers'co-Operative Union | 積み重ね容器 |
KR200384004Y1 (ko) * | 2004-12-14 | 2005-05-11 | 이승화 | 절약형 용기속 용기 |
KR20130047267A (ko) * | 2011-10-31 | 2013-05-08 | 엔피씨(주) | 식별이 용이한 상자 |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8639A patent/KR1023408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5787A (ja) * | 2000-04-28 | 2001-11-13 | Seikatsu Club Consumers'co-Operative Union | 積み重ね容器 |
KR200384004Y1 (ko) * | 2004-12-14 | 2005-05-11 | 이승화 | 절약형 용기속 용기 |
KR20130047267A (ko) * | 2011-10-31 | 2013-05-08 | 엔피씨(주) | 식별이 용이한 상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5394B1 (ko) | 이너박스와 아웃박스의 결합구조를 갖는 상자 | |
JP4960113B2 (ja) | 宅配用保冷容器 | |
KR200471021Y1 (ko) |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 |
JP6627244B2 (ja) | 発泡合成樹脂製冷蔵輸送容器 | |
KR101910860B1 (ko) | 보냉용 포장 상자 | |
KR102340876B1 (ko) | 단열박스 | |
KR102065038B1 (ko) | 보냉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 |
KR102351533B1 (ko) |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 |
US3473690A (en) | Fruit packing box | |
JP2005350080A (ja) | 予冷用発泡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 |
JP6420118B2 (ja) | 保冷容器 | |
JP6966068B2 (ja) | 鮮魚輸送容器 | |
JP2009161237A (ja) | 保冷容器 | |
KR102319485B1 (ko) | 친환경 포장박스 | |
JP3204455U (ja) | 集合包装容器 | |
KR20150000671U (ko) |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 |
JP2002332026A (ja) | 紙製保冷箱 | |
JP6691413B2 (ja) |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 |
KR200458786Y1 (ko) | 신선식품 보관용 상자 | |
EP0015097B1 (en) | Crate with partitioning grid | |
JP6175150B2 (ja) |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 |
JPH0224748Y2 (ko) | ||
KR102605028B1 (ko) | 경량화 되면서 강도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보냉상자 | |
KR200464830Y1 (ko) | 농산물 포장상자 | |
JP2007062765A (ja) | 発泡樹脂製輸送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