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62B1 -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 Google Patents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562B1
KR102340562B1 KR1020210044756A KR20210044756A KR102340562B1 KR 102340562 B1 KR102340562 B1 KR 102340562B1 KR 1020210044756 A KR1020210044756 A KR 1020210044756A KR 20210044756 A KR20210044756 A KR 20210044756A KR 102340562 B1 KR102340562 B1 KR 10234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water
unit
refrigeran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용
Original Assignee
박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용 filed Critical 박한용
Priority to KR102021004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가스 형태로 순환되는 냉매를 공기와 냉각수를 이용해 복합적으로 냉각하여 액화할 수 있어서 기계실에 지장을 주지 않고 순환되는 냉매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는, 내부에 냉매의 냉각을 위한 구성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켜 케이싱 내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유입팬 및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외기 유입팬의 하부로 설치되어 냉각수 분사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키며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Outdoor unit for livestock with separate machine room and capable of complex cooling}
본 발명은 축사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가스 형태로 순환되는 냉매를 공기와 냉각수를 이용해 복합적으로 냉각하여 액화할 수 있어서 기계실에 지장을 주지 않고 순환되는 냉매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다수의 가축들을 함께 사육함에 따라 가축의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가축의 체온으로 인해 축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축의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고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가축은 폐사에 이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내 공기에 분뇨에 의한 유해가스 및 다수의 가축들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증가로 내기를 순환시켜 쾌적하게 유지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유입시켜 필터에 의해 정화한 후 유입된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순환시키는 순환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컨 등 공기 조화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는데 축사 내부에 설치될 경우 축사 내부의 온도에 의해 냉각 효율이 저하되고,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실내에 영향을 미쳐 축사 내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에어컨은 냉매 가스를 이용해 내기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기계장비들은 실외기에 설치되어 냉매를 냉각하여 순환시키면서 기계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축사는 규모가 대규모이고 가정식 에어컨으로는 공기 정화 및 냉각 기능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550823 혼합식 실외기)에서는 수냉 방식과 공랭 방식을 혼합하여 냉각 효율을 높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기계장비들을 함께 제작하여 기계장비들로 물이 유입되어 부식이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규모가 작은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축사와 같은 대형 실내 공간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되는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계실의 영향에 의해 분무 및 송풍에 의한 냉각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550823 혼합식 실외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실을 별도로 마련하고 실외기에서는 냉각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순한될 때 냉매가 순환되는 관을 지그제그형태로 연장하여 체류 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냉각 효율을 높이고, 냉매가 순환되며 냉각되는 냉매 순환관 측으로 냉각수를 고르게 분산되도록 분사하면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냉각수에 의한 냉각과 송풍에 의한 냉각 및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외기 유입 시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어 이물질 유입에 따른 냉각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는, 내부에 냉매의 냉각을 위한 구성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켜 케이싱(100) 내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유입팬(200) 및 케이싱(100)의 내부에 상기 외기 유입팬(200)의 하부로 설치되어 냉각수 분사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키며 냉각하는 냉각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에서 외기 유입팬(200)이 설치되는 하부에는 이물질이 냉각부(4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는 다수개의 필터 구조체(310)가 적층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400)는, 케이싱(100) 내부에 지그제그 형태를 이루며 코일 형태로 연속 절곡되게 구비되어 냉매를 냉각부(400) 내부에서 지연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관(411)과 상기 냉매 순환관(411)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냉매 순환관(411)으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412)을 포함하는 방열부(410)와, 상기 방열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방열부(410)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420) 및 냉각수 분사부(420)의 바로 아래쪽에 구비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고르게 퍼트리며 방열부(410) 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냉각수 분산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계실을 별도로 구비하여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시 기계 장비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고장이 발생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냉각수를 공기 순환관 측으로 분사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노즐로 냉각수를 분사하면 냉각수를 분산시키며 냉매 순환관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송풍하면서 냉각수의 증발 효율을 높여줌에 따라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냉각수가 회수되거나 저장되는 냉각수 저장조 바로 위쪽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외기 송풍 시 냉각수의 수면과 공기가 접촉되며 통기공으로 배출되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서 전면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 방열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차양부가 더 구비된 상태에서 차양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차양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축사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어 기계장치와 상관없이 내부에서는 송풍과 냉각수 분사에 의해 복합적으로 순환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작업만을 할 수 있어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기가 유입되어 송풍될 때 이물질이 유입되어 냉각에 지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여 연결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계실(500)이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배관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기계장치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순환되는 가스 형태의 냉매를 냉각시켜 액화함에 따라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된 냉매를 축사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측으로 공급하여 축사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서 전면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냉매 냉각을 위한 구성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켜 케이싱(100) 내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유입팬(200), 상기 케이싱(100)에서 외기 유입팬(200)이 설치되는 하부에 구비되어 나뭇잎, 풀, 낙엽 등의 이물질이 냉각부(4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 및 케이싱(100)의 내부에 상기 외기 유입팬(200)의 하부로 설치되어 냉각수 분사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들은 별도로 제작된 기계실(500)과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케이싱 내부에서는 냉매의 냉각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0)은, 상부에 개방된 상태로 상기 외기 유입팬(200)이 고정 설치되는 팬 설치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 하부에는 외기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를 설치할 수 있는 필터 설치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싱(100)의 가장 아래쪽에는 냉각부(400)에서 냉각에 사용된 냉각수를 회수하면서 다량의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조(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저장조(130)의 바로 위쪽에는 케이싱(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공(1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40)은, 외기 유입팬(200)으로부터 외기가 송풍되면 송풍은 냉각부를 거쳐 순환되는 냉매를 냉각시키고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면과 접촉되며 통기공(140)을 통해 배출되어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외기 유입팬(200)은 케이싱(100)의 상부 면적에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는, 입체적으로 돌출되거나 절곡되게 틀 형태로 형성된 필터 구조체(310)가 적층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게 되고, 탈착이 용이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걸려있을 경우 분리하여 간단히 세척함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400)는, 압축기에 의해 높은 온도로 기화된 냉매를 지그제그 형태로 순환시켜 체류시키면서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410)와, 상기 방열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방열부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420) 및 상기 냉각수 분사부(420)의 바로 아래쪽에 구비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상기 방열부(410) 측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분산하는 냉각수 분산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410)는, 지그제그를 이루며 코일 형태로 연속 절곡되어 냉매를 체류시키면서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관(411) 및 상기 냉매 순환관(411)에 얇은 판 형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매 순환관(411)으로부터 열을 분산시켜 방출시키는 방열판(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분사부(420)는, 방열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방열부(410)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421)과, 상기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된 냉각수를 분사 노즐(421) 측으로 연속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관(422) 및 상기 냉각수 순환관(422)으로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된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 펌프(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 분산부(430)는, 다수개의 분산판(431)이 적층되며 구비되어 분사 노즐(421)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를 고르게 퍼트리며 방열부(410) 측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계실(500)에는 냉매 탱크와 냉매를 압축하여 기화시키는 콤프레샤가 구비되며, 기화되어 순환되면서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된 냉매는 축사 내부의 송풍기 측으로 공급하여 송풍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추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계실(500) 내부의 콤프레샤와 전기장치 등을 제외한 전체 구성들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하여 축사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성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액상의 냉매를 압축에 의해 기화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순환시키면서 냉각수와 송풍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액화시킴에 따라 냉매의 온도를 보다 낮게 공급하여 효율적인 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계실(500)로부터 냉매가 기화되어 유입되면 냉매는 냉매 순환관(411)을 통해 냉각부(400) 내부에서 순환된다.
이때, 방열부(410)는 다수개의 방열판(412)이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게 구비되어 냉매 순환관(411)으로부터 열을 방출하여 냉매 순환관(411)을 통해 순환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그리고 방열부(410)의 상부에서는 냉각수 저장조(13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하여 분사 노즐(421)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분사 노즐(421)을 통해 분사된 냉각수는 방열부(410) 측으로 분사되고, 냉각수가 방열판(412)으로 떨어지며 냉각수의 온도에 의해 냉매의 온도를 낮추게 되고, 외기 유입팬(200)에 의해 유입된 공기의 송풍에 의해 냉각수가 증발하며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하여 냉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때, 분사 노즐(421)의 하부에는 분사된 냉각수가 방열부(41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분산시켜 낙수 시키는 냉각수 분산부(430)에 의해 분산되면서 방열판 사이로 고르게 유입된다.
이에 따라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순환관(411)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열을 흡수하여 증발함에 따라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방열부(410)로 낙수되어 냉각에 사용되고 그 하부로 흘러내리는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 저장조(130)로 회수되어 저장된다.
저장된 냉각수는 냉각수 저장조(130)로 회수되면서 냉각수에 의해 방열부(410)로부터 흡수한 열을 식히면서 다시 분사 노즐(421)로 이송되어 분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냉각수 저장조에 냉각수 방열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수 저장조(130)의 하부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는 다수개의 방열핀(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131)은 냉각수 저장조(130)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핀 형태로 다수개가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각 방열핀(131)들은 냉각수 저장조(130)의 하부까지 이어지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100)에 의해 그늘이 형성되고, 지면 측으로 근접하게 연장된 방열핀(131)의 하부 끝부분은 비교적 저온 상태로 유지되어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되는 냉각수가 방열부(410)를 통과하며 높아진 수온을 상기 방열핀(131)에 의해 온도가 낮은 지면 측으로 열을 방출하여 냉각수 저장조(130)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온을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차양부가 더 구비된 상태에서 차양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에 차양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양부(600)는, 케이싱(100)의 상부에서 직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양판(610)과, 상기 차양판(610)을 케이싱(100)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프레임(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판(610)은, 케이싱(100)이 위치된 내측으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611)가 구비되고, 외측으로는 태양광 패널(6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 패널(612)은 외기 유입 팬(200)이나 냉각수 분사부(420)의 순환 펌프(423)와 연결되어 태양광을 이용해 구동시킬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 프레임(620)은 상기 차양판(6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케이싱(10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 외측과 대응되는 케이싱 설치홈(621)이 형성되고, 케이싱(100)의 상부 모서리 측에는 각각 설치 프레임(620)을 케이싱(10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브라켓(62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차양판(610)에는 우천 시 우수를 회수하여 냉각수 저장조(130)로 유입시켜 냉각수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 유입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 유입부(630)는 차양판(630) 상부의 태양광 패널(612)이 한쪽 방향으로 모여지도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때, 태양광 패널(612)은 모여지면서 경사면을 이루어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태양광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여 전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우수 유입부(630)는 태양광 패널(612)이 모여지는 지점에 유입된 우수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홀(6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홀(631)의 하부로는 유입된 우수를 냉각수 저장조(130)로 유도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유도관(6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집홀(631)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수집홀(63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 스크린(631a)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케이싱(100)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활용할 수 있어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우천 시에는 우수를 수집하여 냉각수로 사용함에 따라 우천 시에는 별도의 냉각수 보충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서, 내부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축사 내부의 공기 순환 팬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가 기계실과 개별 설치 구조로 이루어져 기계실의 열기나 기능에 상관없이 냉각부에서 냉매의 냉각 작용만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고, 송풍과 냉각수 분사를 함께 사용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면서 증발에 의한 열교환이 가능하여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축사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으로 공급함에 따라 축사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100 : 케이싱 110 : 팬 설치부
120 : 필터 설치부 130 : 냉각수 저장조
131 : 방열핀 140 : 통기공
200 : 외기 유입팬 300 :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
310 : 필터 구조체 400 : 냉각부
410 : 방열부 411 : 냉매 순환관
412 : 방열판 420 : 냉각수 분사부
421 : 분사 노즐 422 : 냉각수 순환관
423 : 순환 펌프 430 : 냉각수 분산부
431 : 분산판 500 : 기계실
600 : 차양부 610 : 차양판
611 : 단열재 612 : 태양광 패널
620 : 설치 프레임 621 : 케이싱 설치홈
622 : 고정 브라켓 630 : 우수 유입부
631 : 수집홀 631a : 이물질 유입 방지 스크린
632 : 저장 유도관

Claims (3)

  1. 내부에 냉매의 냉각을 위한 구성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켜 케이싱(100) 내측으로 송풍하는 외기 유입팬(200); 케이싱(100)의 내부에 상기 외기 유입팬(200)의 하부로 설치되어 냉각수 분사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키며 냉각하는 냉각부(400); 및 냉매 탱크와 냉매를 압축하여 기화시키는 콤프레샤가 설치되는 별도의 기계실(5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에서 외기 유입팬(200)이 설치되는 하부에는 이물질이 냉각부(4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300)는 다수개의 필터 구조체(310)가 적층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400)는, 케이싱(100) 내부에 지그제그 형태를 이루며 코일 형태로 연속 절곡되게 구비되어 냉매를 냉각부(400) 내부에서 지연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관(411)과 상기 냉매 순환관(411)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냉매 순환관(411)으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412)을 포함하는 방열부(410)와, 상기 방열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방열부(410)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부(420) 및 냉각수 분사부(420)의 바로 아래쪽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분산판(431)이 적층 구비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고르게 퍼트리며 방열부(410) 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냉각수 분산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는 냉각에 사용된 냉각수를 회수하여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조(130)가 더 구비되되,
    냉각수 저장조(130)의 하부에는 냉각수 저장조(130)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핀 형태로 다수개가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냉각수 저장조(130)의 하부 외측까지 연장되는 다수개의 방열핀(13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044756A 2021-04-06 2021-04-06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KR10234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56A KR102340562B1 (ko) 2021-04-06 2021-04-06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56A KR102340562B1 (ko) 2021-04-06 2021-04-06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562B1 true KR102340562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756A KR102340562B1 (ko) 2021-04-06 2021-04-06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5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23B1 (ko) 1998-12-17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혼합식 실외기
JP5757640B1 (ja) * 2014-10-31 2015-07-29 有限会社アクアテック 凝縮器の補助冷却システムにおける水量調整装置
KR101983606B1 (ko) * 2019-03-18 2019-09-03 (주)주일테크 축사용 냉온 환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23B1 (ko) 1998-12-17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혼합식 실외기
JP5757640B1 (ja) * 2014-10-31 2015-07-29 有限会社アクアテック 凝縮器の補助冷却システムにおける水量調整装置
KR101983606B1 (ko) * 2019-03-18 2019-09-03 (주)주일테크 축사용 냉온 환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205B2 (en) Hydronic rooftop cooling systems
KR101710586B1 (ko) 버섯재배 시스템
JP4972106B2 (ja) 温室空気の除湿用装置と方法及び温度
BRPI0817401B1 (pt) Método de controle das condições do ar no interior de um recinto de estufa destinado ao cultivo de plantas e sistema destinado ao cultivo de plantas
US8622372B2 (en) Fan cooling tower design and method
KR100877335B1 (ko) 공기조화기
WO2015087035A1 (en) Passive cooling system for wind tower
CN104197741A (zh) 一种中央空调用横流式冷却塔
KR100357285B1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KR102340562B1 (ko)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CN105571097B (zh) 一种空调室内机进风格栅以及空调
EP3354993A1 (en)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KR101923123B1 (ko) 증발식 냉각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RU26146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в аппаратах воздуш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JP6453197B2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EP2708836A2 (de)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N210292911U (zh) 暖气模块消雾冷却塔
CN114151873A (zh) 蒸发冷却装置及其控制方法、空调器
JP2017062073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KR100849197B1 (ko) 환기장치
CN216522506U (zh) 一种v型风冷散热装置
CN214038741U (zh) 自然冷空调系统
KR100809025B1 (ko) 제습가온기
CN219868026U (zh) 一种冷凝水处理装置及安装有该装置的制冷式吸油烟机
CN219833511U (zh) 一种散热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