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33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335B1
KR100877335B1 KR1020047013469A KR20047013469A KR100877335B1 KR 100877335 B1 KR100877335 B1 KR 100877335B1 KR 1020047013469 A KR1020047013469 A KR 1020047013469A KR 20047013469 A KR20047013469 A KR 20047013469A KR 100877335 B1 KR100877335 B1 KR 100877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plenum
room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020A (ko
Inventor
부스헬무트
스텔만스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한자 벤틸라토렌 운트 마쉬넨바우 노이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자 벤틸라토렌 운트 마쉬넨바우 노이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자 벤틸라토렌 운트 마쉬넨바우 노이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4010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745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rooms for removing heat from cabinets, e.g. by air condition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6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using low temperature external supply air to assist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열을 발생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의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비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에 위치되며 실내(1)로 향하여 위치하는 공기 배기구 및 유입구(33, 34)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 개구(100) 내로 대면하는 하우징 개구(24)를 포함하는 설비 하우징(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개구는 공기 배기구(31), 주위 공기 유입구(32) 및 배기 공기 팬(41)을 갖는 결합식 배기 공기 및 주위 공기 플리넘(21)으로 안내된다. 설비 하우징(20)은, 제어 및 조절 장치(9) 외에, 공기 흐름을 생성 및 안내하고 공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추가의 장치 모두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1년 내내 경제적으로 최적 상태로 동작될 수 있고, 최소의 치수 및 소형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한편, 치수가 큰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공기 흐름 을 생성, 안내하며 공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치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는 저비용 및 시간을 적게 소비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공기조화기, 설비 케이싱, 공기 배출구, 공기 유입구, 케이싱 개구, 외부 공기 유입구,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 제어 및 조절 장치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ING UNIT}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특히 열을 발생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실내의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환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및 환기 기능을 갖지 않은 공기조화기로 분리되므로, 환기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이송하며 이 외부 공기를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유입하는 장치를 갖는 반면 환기 기능을 갖지 않은 순환식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이송하거나 유입하지 않는다. 두 가지 유형의 공기조화기는 4가지 열역학적 공기 처리 기능, 즉 가열, 냉각, 습윤화,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진다. 상기 4가지 열역학적 공기 처리 기능은 단일 단계 또는 다단계 형태의 상이한 필터 품질 카테고리로 공기를 여과시킴으로써 보완될 수 있다.
EP 0 294 730 B1에는 별개의 유입 공기 및 배출 공기 흐름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유입 공기 및 배출 공기 통풍기, 응축기, 증발기 및 히트 파이프는 물론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밸브를 가진 밸브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밸브는 외부 공기 연결부 및 추출 공기 연결부 양자 모두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 온도 및 문제 영역의 원하는 공기 온도 및 습기에 따라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 통풍기 흡입쪽에서 외부 공기와 추출 공기 흐름을 혼합시킴으로써 각각의 적당한 비율의 공기만이 배출 공기 통풍기 또는 유입 공기 통풍기를 거쳐 공급되는 것이 보장된다. 공기조화기에 공급된 복귀 공기 또는 추출 공기를 흡입쪽에서 조절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효율이 개선되고, 이로써 에너지 비용 및 동작 비용의 감소는 물론 공기조화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기술적 애플리케이션 방법을 통하여 상이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한다. 분리된 설비로서의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냉각 및 습윤화를 위해 냉각수가 외부에 장착된 냉각수 발생기(냉각수 세트)로부터 계속해서 공급되는 냉각수 냉각기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시스템에는 두 개의 장치, 즉 한편으로는 공기 냉각기를 구비한 공기처리기 및 다른 한편으로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각수 발생기와 냉각 과정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를 제거하는 응축기를 필요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는 더 사용되지 않고 응축기-통풍기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각 에너지가 열 전달기를 통해 냉각 수단으로부터 냉각수로 전달되는 냉각수 냉각기 및 외부에 장착된 냉각수 발생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와는 달리, 이러한 전환없이 직접 증발 시스템이 사용된다. 상기 직접 증발 시스템에서, 냉각 수단은 증발기(공기 냉각기)의 파이프 시스템에서 직접 증발되므로, 냉각 에너지는 통풍기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로 이동 즉 이송되는 공기 흐름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냉각 과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제거하는 응축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들 시스템은 냉각을 위하여 응축기를 또한 포함하는 압축기와 나란히 외부에 장착된다.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실내의 공기 조절을 위하여, 예를 들면 스위치 기구와 같이, 1년 내내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기후 조건에 맞고 신뢰성있게 동작하는 에너지 최적의 경제적인 모드 동작이 제공되는 설비가 필요하다. 에너지 최적의 경제적인 모드 동작은 외부 공기와 추출 공기의 임의의 혼합물에 의한 자유로운 냉각 및 기후 조건이 임의의 자유 냉각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 필요한 냉방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대응하는 외부 공기를 언제라도 추출 공기 흐름에 추가함으로써 냉방 장치의 복귀 냉각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공기 및 온도에 도달시키는 것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전술한 문제점 외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및 전자 장치가 위치되어 있는 좁은 실내의 공기 조절을 최적으로 하기 위하여, 1년 내내 최적 상태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투자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며, 획득, 운반 및 설치 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치수가 보다 소형인 공기조화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1년 내내 경제적으로 최적의 동작을 용이하게 할 뿐더러 저비용 및 시간으로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제작 및 설치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1년 내내 경제적으로 최적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보다 큰 치수의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모는 장치와 결합되고, 저비용 및 시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설치될 수 있는 치수가 보다 소형인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장치, 특히 유입 공기 및 배출 공기 통풍기 장치 뿐만 아니라 공기 처리에 필요한 모든 장치, 즉 압축기, 증발기 및 응축기와 같은 냉풍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구성품을 갖추고 있다. 공기 처리에 필요한 장치 모두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내측에 배치된 설비 케이싱 내, 또는 설비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결합식 외부 공기/배출 공기 플리넘(plenum)의 내측에 콤팩트 방식으로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치수가 소형임에도 불구하고, 냉각 장치의 복귀 냉각은 배출 공기 흐름을 통해 보장된다. 또한, 자유 냉각을 완전하게 또는 충분하게 최적인 방식, 특히 무제한의 가변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의 임의의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자유 냉각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유입 공기 흐름에 공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응하는 양의 외부 공기를 배출 공기에 언제라도 추가함으로써 공기 처리 장치의 냉각 장치를 복귀 냉각시키는데 필요한 양의 공기 및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는 소형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킬 때 및 공기조화기를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설치할 때 상당한 장점을 제공하는 구조적인 변수에 대한 조건을 제공한다.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장치를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으로 안내되는 케이싱 개구와 케이싱 개구 하측에 배치된 공기 유입구 사이에 공기 흐름 방향으로 서로 후방으로 배치함으로써, 소형 공기조화기 내로 공기가 함께 공급되고 공기조화기의 상부 영역에서는 냉풍 및 온풍 흐름이 혼합되는 한편 공기조화기의 하부 영역의 공기 유입구로 흘러나가는 영역에서는 공기조화기의 금속 구성품 상에 응축될 위험이 없도록 안내된다.
공기 추출구를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으로 안내되는 케이싱 개구에 케이싱 개구와 동일한 높이로 대향하여 배치할 뿐만 아니라 설비 케이싱을 상기 설비 케이싱에 대응하는 벽 개구를 포함하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 상에 공기 유입구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바닥에 근접하여 배향되고 공기 추출구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천정에 근접하여 배향되도록 설비 케이싱을 수직 정렬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하부 영역으로는 유입 공기가 흐르고 상부 영역으로는 복귀 공기 또는 추출 공기가 흐르는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된다. 이로써 냉각된 공기는 바닥에 근접한 영역 내에 분산되며,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열을 발생하는 전기 및 전자 장치의 열이 상승하는 열 영향 때문에 상기 실내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설치하여 열을 빼앗고 가열된 공기를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장치의 영향으로 복귀 및 배출 공기로 흐르게 하는 상황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다른 특징은 유입 공기가 공기 유입구로부터 저속으로 빠져 나가고, 유입 공기와 공기조화기의 공기 추출구에 의하여 흡입된 복귀 공기 사이에 전혀 혼합이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제한적으로 혼합되도록 배향된다는 점이다.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소형 공기조화기의 구조 및 배치에 따른 전술한 특징을 가진 공기 흐름을 사용함으로써,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본래의 온도차 및 열 성질이 하측으로부터 서서히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열 발생 장치의 열을 빼앗고, 상측으로 향하여 흐르는 도중에 열이 풍부하게 되며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상부 영역에서 열을 제거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흐름 경로를 본래의 온도 조건에 적용함으로써, 열이 가능한 많이 흡수 및 제거되는 것이 보장된다.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은 설비 케이싱의 케이싱 개구에 부착되고,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장치의 배출 공기 통풍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특히 벽 장착용으로 적합하고 외부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용으로 단지 중앙의 케이싱 개구만 요구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를 조립 및 설치하는 것이 설비를 조립하는 작업자의 자격에 대한 특정의 요구 조건없이 상당히 간단하다. 조립 및 설치에 고도의 기술을 가진 전문가가 요구되는 분리된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경우와는 달리, 일반적인 설치 기사의 능력 및 경험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를 조립 및 설치하는데는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은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배출 공기 플리넘의 공기 배출구는 수평으로 배향되는 배출 공 기 흐름으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 플리넘은 하측으로 배향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를 갖도록 배출 공기 플리넘이 외부 공기 플리넘의 상측에 배치된다.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열 단락 회로, 즉 배출 공기가 외부 공기 연결부를 통해 흡입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이로써 더운 추출 공기/배출 공기는 열 조건을 통해 상측으로 멀리 흐르는 반면 외부 공기는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의 하부 영역 내로 흡입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결합식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플리넘으로 인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공기 유입구를 하측으로 향하여 정렬시킴으로써 특히 비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한편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 배출구 상에 내후성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비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때문에 특정의 비바람 및 비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동시에 보호된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 외에, 벽 개구로부터 공기 배출구로 경사진 바닥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내후성 플레이트를 거쳐 외측으로 영구적으로 흐르는 배출 공기 흐름이 비에 맞대어 또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이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 개구를 벽의 표준 벽 강도에 적합한 소정의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과 설비 케이싱 사이의 플랜지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의 표준화를 통하여, 매우 간단하게 조립되는 외에 효과적인 생산 비용으로 제작되는 상기 유형의 공기조화기의 제공이 보장된다.
필요한 경우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의 고효율 감쇠기와 함께 설비 케이싱의 상부에는 공진 시트를 배치하고 설비 케이상의 하부에는 흡수재로 라이닝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배기 및 체적 양자 모두와 관련하여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에서의 소음 형성이 최적화된다. 이로써 효율적인 특정 감쇠기가, 특히 공기 흡입구 영역에서 소리 레벨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이것은 결합된 거주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데 상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시스템이 설비 케이싱의 상부 영역의 공기 배출구, 공기 유입구 및 케이싱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 시스템에 의한 공기 혼합은 공기조화기의 상부 영역에서 냉풍과 온풍이 설비 케이싱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 공기 유입구로 흘러나가는 영역에서 금속 구성품 상에 응축될 위험이 없도록 혼합된다는 취지의 전술한 장점 외에, 밸브 시스템은 자유 냉각 사용을 항상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분리된 공기조화기로 는 불가능한 냉각 장치 또는 기계식 냉풍기의 필요한 복귀 냉각이 보장된다.
밸브 시스템은, 외부 공기, 배출 공기, 혼합 공기 및 순환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4개의 밸브로 구성되고, 공기 배출구 및 케이싱 개구와 정렬된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의 개구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밸브 시스템과 유입 공기 통풍기 사이에 특히 필터면이 크고 품질이 양호한 포켓 필터로 구성되는 유입 공기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형 공기조화기 내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와 같이 배열된 필터의 실시예를 통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압력 손실이 종래의 필터와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되며, 포켓 필터는 소형 구조에 최적의 효과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기 유입구가 냉각 장치 증발기의 공기 배출구 단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 장치의 증발기를 공기 유입구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증발기가 전체 배출구 단면부에 걸쳐 저속의 배출 속도가 달성되도록 정류기로서 작용할 때 공기 흐름 상에 소정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배치 및 흐름 성질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 및 상기 실내의 사람에 대한 전체 흐름 성질에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 소스 공기 배출구와 유사한다.
응축기 및 증발기가 커다란 응축기 및 증발기 교환 영역을 갖는다는 냉각 장치의 효과가 증가된다.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배치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충분한 열을 발생하지 않는 열 발생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열 레지스터가 유입 공기 흐름 통로. 바람직하게는 냉각 장치 증발기의 공기 유입구 단면부 전방에 열 요구량이 증가할 때 유입 공기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특징은 제어 및 조절 장치가 밸브 시스템의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밸브를 공기조화기가 각각의 동작 상태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외부 온도에 따라 조정한다는 점이다.
설비의 상기 특징에 의하여, 소형 공기조화기는 조절 및 제어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밸브를 가장 바람직하게 효과적인 상태가 항상 선택되도록 외부 온도에 따라 조정하는데 최적이다.
제어 및 조절 장치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를 계속해서 기록하고, 자유 냉각이 사용되며 무한정하게 가변적인 방식으로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의 임의의 혼합물이 생성되어 유입 공기 흐름에 공급되며 또한 밸브 시스템을 거쳐 외부 공기를 배출 공기에 추가함으로써 냉각 장치의 복귀 냉각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밸브 시스템 및/또는 냉각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및 내부 온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이 결과로부터 내부 및 외부 영역의 얼마나 높은 기후 파라미터가 에너지, 즉 온도 및 공기 습도에 로드되어 있는가를 결정함으로써, 제어 및 조절 장치는 필요한 공기 흐름이 최소 에너지 리소스로 세트되도록 밸브 시스템을 조정한다.
밸브 시스템의 밸브를 단계없이 조절하고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이렇게 하여 생성된 공기를 외부 공기, 유입 공기, 복귀 공기 및 배출 공기 사이로 흐르게 함으로써, 최적의 에너지 절약 공기 조절이 외부 기후 조건 및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냉각 로드에 따라 달성된다. 밸브를 원활하게 조절하고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1년 내내 분포된 기후 조건에서 자유 냉각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에너지 소모가 높은 기계식 냉각 사용을 가능한 중단함으로써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소형 구조로 인하여 설비 케이싱 내의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장치가 파이프 형태로 완전하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가 적어도 하나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동작 준비가 되도록 전기 케이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과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설비 케이싱으로 분리시킴으로써 물류관리 목적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조립 및 운반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은 배출 공기 통풍기와 함께 하나의 구성품으로 형성되는 한편, 설비 케이싱 형태의 다른 구성품은 다른 장치 모두를 수용하며 내측에 동작을 완전하게 준비하는데 필요한 모든 와이어 및 케이블을 가지며, 모든 작용기 및 센서는 물론 전원 장치는 스위치 패널, 및 제어 및 조절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품 양자 모두는 플랜지 커넥션에 의하여 어려움없이 간단한 수단과 지식으로 현장에서 함께 나사로 조여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를 활성 전원 공급부에 조립 및 연결시킨 후, 공기조화기는 모든 기능이 제조업자에 의하여 검사될 수 있고 문제없는 동작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동작될 수 있다.
종래의 분리된 공기조화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형성하고, 장치 모두는 동작이 준비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극저온 조립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공기조화기의 다른 특징은 통풍기, 및 제어 및 조절 장치가 직류 전압원, 바람직하기로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한편, 냉각 장치의 압축기는 교류 전류 또는 3상 전류 네트워크에 연결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2개의 피더 공급부, 즉 실재하는 교류 전류 또는 3상 전류 네트워크로부터의 피더를 통하는 압축기용의 하나의 피더 및 압축기를 제외한 공기조화기의 모든 다른 장치용의 특히 배터리를 통한 제2 피더를 갖는다.
상기 전원으로 인하여 영구적인 여분이 용이해지고, 네트워크 전원 차단된 경우 영구 공급이 차단없이 배터리로부터 실행되기 때문에 차단없는 전력 공급이 배터리 파워로 동작되는 통풍기를 통하여 보장된다. 따라서, 구역 전원이 차단된 경우, 예를 들면 통풍기의 속도를 최대한 증가시킴으로써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열을 자유 냉각을 사용하여 멀리 이송시킬 수 있고, 제어 및 조절 장치에 또한 배터리 파워가 공급되기 때문에 조절이 계속된다.
제어 및 조절 장치 내의 특정의 접촉으로 인하여, 교류 전류 및 3상 전류 네트워크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냉각 장치의 압축기는 상당한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이 확실하다. 이러한 이유로 압축기는 교류 전류 및 3 상 전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통풍기 및 제어 및 조절 장치에만 공급하는 배터리가 아닌 상기 네트워크에 의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원이 차단된 경우, 배터리 전력이 공급된 제어 및 조절 장치는 여전히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며 네트워크 전원 차단 상태를 표시 및 알려준다.
공진 제어를 제어 및 조절 장치 내에 일체로 구성하고 전술한 유형의 복수의 소형 공기조화기를 공진 설비 또는 캐스케이드에 연결시킴으로써 단차 전환이 용이해지고, 공기조화기에는 N + 1 원리에 따라 작용하는 제2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즉 공기 조절하려는 실내의 공기 조절에 필요한 공기조화기 외에 제2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력 요구에 따른 캐스케이드 전환이 복수의 공기조화기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배치가능함으로써 전체 영역을 통한 양호한 분포 및 흐름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아이디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에 고정된 소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소형 공기조화기가 벽 개구를 통해 돌출되어 있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케이싱 의 연결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중앙 유럽의 기후 조건을 나타내는 h, x 도표이다.
도 1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10)에 형성된 벽 개구(100) 내에 삽입되어 벽(10)에 연결된 소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로서, 상기 소형 공기조화기(2)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배치된 설비 케이싱(20) 및 벽 개구(100)를 통해 외부 영역으로 돌출하는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으로 구성된다. 전방, 즉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배향된 쪽의 설비 케이싱(20)에는 공기 흡입구(33) 및 공기 토출구(34)가 배치되어 있고, 공기 토출구(34)는 바닥에 근접하는 설비 케이싱(20) 영역에 배치되는 한편 공기 흡입구(33)는 설비 케이싱(20)의 상부 영역, 특히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과 일렬로 제공되어 있다.
공기 흡입구(33)와 공기 토출구(34) 사이에는, 설비 케이싱에 부착될 수 있는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구비한 스위치 패널(9)이 배치되어 있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은 공기 흡입구(33),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은 물론 하측으로 배향된 외부 공기 유입구(32)의 축 내에 배치된 공기 배출구(31)를 포함한다.
배출 공기 흐름(FL)은 공기 배출구(31)로부터 반드시 수평 방향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 공기 흐름(FL)은 자체의 열 함유량 때문에 상측으로 배향되는 한편 외부 공기 흐름(AL)은 외부 공기 유입구(32)를 거쳐 하측으로부터 흡입된다. 상이하게 배향된 공기 배출구 및 외부 공기 유입구(31, 32)로 인하여, 더운 흡입 공기/배출 공기(FL)가 열 조건을 통해 상측으로 흘러 나가는 한편 외부 공기 흐름(AL)이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의 하부 영역 내로 흡입될 때 열 단락이 방지된다. 이로써 상측으로 배향된 외부 공기 유입구(32)로 인하여 비바람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동시에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한 습기가 공기조화기(2)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흡입 공기/복귀 공기 흐름(RL)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부터 흡입 공기 배출구(33)를 거쳐 흡입되어 공기조화기(2)의 외부 공기 동작에서 배출 공기 흐름(FL)으로서 방출되거나 또는 공기조화기(2)의 순환 공기 동작에서 토출 공기 흐름(ZL)으로서 공기 토출구(34)를 거쳐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방출된다. 혼합 동작부에서, 흡입 공기/복귀 공기 흐름(RL)은 배출 공기 흐름(FL)으로서 방출되고, 그 중 일부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흐름(AL)에 토출 공기 흐름(ZL)으로서 가해진다.
장치 케이싱(20)의 하측 말단에는, 공기 토출구(34) 영역에 배치된 증발기 하측에 제공된 응축물 탱크에 연결되는 응축물 배출구(64)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소형 공기조화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품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하나의 부분은 장치 케이싱(20)에 의하여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부분은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현장에서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과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10)에 고정될 설비 케이싱(20) 사이를 연결시키는 것만 필요하기 때문에 물류 관리, 운반 및 조립 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은, 공기 배출구(31), 외부 공기 유입구(32) 및 외부 공기 채널과 배출 공기 채널 사이의 분리벽 외에, 외부 공기 흐름(FL)을 생성하는 배출 공기 통풍기는 물론 대응하는 공기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한편 설비 케이싱(20)은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다른 장치 모두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및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단면도로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열 장치(15), 예를 들면, 전기 및 전자 장치가 선반식으로 배열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케이싱(20) 장착용 측벽(10), 케이싱용 천정(11) 및 케이싱용 바닥(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과 정렬되고 플랜지 또는 소켓 조인트(25)에 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케이싱 개구(24)를 가진 설비 케이싱(20)의 상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과 설비 케이싱(20)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을 벽 개구(100) 내에 삽입하고 실내(1)의 내측으로부터 설비 케이싱(20)과 연결시킨다.
공기조화기를 상이한 벽 두께(10)에 맞추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길이의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이나 상기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에 연결되는 연장 프레임을 설비 케이싱(20)과 연결시키기 전 에 제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의 단일 구성품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은 설비 케이싱(20)에 연결되고 상기 설비 케이싱을 벽(10)에 맞대어 위치시킬 때 벽 개구(100)를 통해 안내된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은 배출 공기 채널을 가진 배출 공기 플리넘(211) 및 분리벽(23)에 의하여 배출 공기 플리넘(211)과 분리된 외부 공기 플리넘(212)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벽은 배출 공기 플리넘(211)으로 유입되는 임의의 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케이싱 개구(24)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공기 배출구(31) 영역에는 비바람 충격을 방지하는 내후성 플레이트(22)가 추가로 제공된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과 설비 케이싱(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0 내에 배치된 배출 공기 통풍기(41)는 벽 개구(100) 영역에 위치되고, 공기 토출구(34) 바로 전방에 배치된 증발기 및 응축기(61)와 증발기(62) 사이에 배치된 압축기(63)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의 응축기(61)와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결합식 외부 공기 및 배출 공기 플리넘(21)의 외부 공기 채널과 흡입 공기 배출구(33)의 라인에, 서로 교차하는 4개의 밸브(51, 52, 53, 54)를 포함하는 밸브 시스템(5)이 배치되고, 상기 밸브 시스템의 도움으로 배출 공기 흐름(FL) 또는 토출 공기 흐름(ZL)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AL) 및 복귀 공기(RL)가 임의로 혼합될 수 있다. 밸브 시스템(5)은 자유 냉각을 광범위하게 사용, 즉 발열 장치(15)에 의하여 방출된 열 로드의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기후 조건을 최적으로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밸브 위치에서 밸브(51)는 개방되어 있는 한편 밸브(52, 54)는 폐쇄되어 있다. 상기 밸브 위치는 순환 공기 동작에 해당하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외부 공기는 배출 공기로 안내되고 흡입 공기는 냉각 장치의 증발기(63)를 거쳐 토출 공기로 안내된다.
밸브 시스템(5) 하측에 형성된 흐름 통로에는 좁은 공간 상에서 최적의 효율을 갖는 필터면이 크고, 수명이 길며, 먼지 저장 능력이 큰 포켓 필터(8)가 배치된다.
포켓 필터(8)와 압축기(63) 사이에는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구비한 스위치 패널(9)이 인간 환경 공학적으로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된다.
압축기(63) 높이에는 후방으로 만곡된 반경방향 통풍기로서 형성된 토출 공기 통풍기(42)가 제공된다. 토출 공기 통풍기에 의하여 생성된 토출 공기 흐름(ZL)은 필요한 경우 제공되는 열 레지스터(7)를 거쳐 방출되며 증발기(62)로부터 공기 토출구(34)를 거쳐 바닥(12) 영역의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로 방출된다. 증발기 표면을 공기 토출구(34)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냉각된 토출 공기(ZL)가 바닥에 근접한 영역에 분포되며 도 2에 도시된 흐름(S1, S2)에 따라 전자 장치(15)에 의하여 방출된 열을 통하여 상측으로 상승함으로써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열이 풍부해지며 추출열 배출구(33)의 영역 상측에서 공기조화기(2)로 방출되도록 큰 면적의 느린 토출 공기 흐름이 달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2)에 의하여 생성된 흐름은 자연적인 온도 조건, 즉 자연적인 온도차에 적합하고,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열 성질을 이용하여 열 흡수를 최대한 가능하게 확보함으로써 소형 공기조화기(2)의 열을 가능한 최대로 제거할 수 있다.
h, x 도표를 통하여 도 4에는 예를 들어 중앙 유럽의 1년 동안의 상이한 기후 조건을 명확한게 나타내고 있다. 이들 기후 경계 조건을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소모가 월등히 많은 공기조화기(2)를 가짐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효율에 바람직하지 못한 냉각 장치는 최소로 사용하면서 공기조화기를 1년 내내 에너지를 최적으로 사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내(1)는 18℃ 이하의 온도 영역에 위치되고 1년 중 3570시간의 기간에 걸쳐 1년 동안의 동작 중 40,7%를 자유 냉각을 용이하게 사용하며, 소형 공기조화기는 충분하게 따뜻한 복귀 공기가 외부 공기에 추가되어 18℃의 일정한 온도의 토출 공기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로 유입되도록 밸브 시스템(5)의 밸브를 제어한다.
영역(2)에서, 원하는 토출 공기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따뜻한 복귀 공기가 차가운 외부 공기에 추가되는 한 1년 중 다른 3495시간 동안, 즉 1년 동안의 동작 중 39.5%를 자유 냉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영역(1, 2)은 1년 동작의 80% 커버한다. 공기의 습도를 원하는 경우 계속해서 영역(2)을 약간 습윤화시킨다.
영역(3)에는, 외부 공기가 18℃ ~ 28℃ 사이의 온도 영역에 위치하므로 여전히 흡입 공기 온도 이하이다. 1년 중 약 1000시간, 즉 1년 동작 중 11%에 걸쳐 일어나는 일기 상황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원하는 토출 공기 온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냉각 장치로 냉각시킨다.
영역(4.1, 4.2, 4.3, 4.4)은 특히 에너지 면에서 습기가 상당히 많고, 외부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상당히 큰 냉각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흡입 공기 온도는 외부 공기 온도보다 상당히 낮고 흡입 공기에는 습도가 높은 외부 공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밸브 시스템을 통한 순환 공기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들 영역에 가장 낮은 신선한 공기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의 동작에서 외부 공기 통풍기는 밸브 시스템을 통해 외부 공기를 이송하므로 통풍기와 정렬된 응축기(61)의 복귀 냉각이 확보된다. 영역(4.1, 4.2, 4.3, 4.4)은 함께 1년 중 679시간, 즉 1년 동작의 7.35%에 해당한다.
외부 온도가 18℃ 이하인 경우 소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은 임의의 기계적인 냉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외부 공기 비율은 외부 공기 온도를 통한 가장 낮은 신선한 공기 비율의 경계까지 멀리 결정되고, 즉 외부 공기 비율은 외부 공기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순환 공기 비율은 온도가 하강하며 증가되고 토출 공기를 통해 조절되며, 온도 조절은 외부 공기외 순환 공기의 혼합 온도가 18℃ 이하를 항상 유지하도록 밸브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외부 공기 비율과 같이, 흡입 공기 비율은 제어 및 조절 장치를 거쳐 조정되거나 또는 외부 공기의 일부는 추가되고 외부 공기 비율의 크기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다른 부분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압력 초과 또는 압력 미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 공기 통풍기(41)를 거쳐 제거되도록 밸브 시스템을 거쳐 조정된다.
따라서, 밸브 시스템(5)의 밸브(51 내지 54) 및 공기 흐름(ZL, AL, RL, FL)이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 외부의 기후 조건에 따라 제어 및 조절 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Claims (35)

  1.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가 설치된 실내(1)의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2)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2)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개구(10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제1 장치들(5, 7, 8, 41, 42, 61, 62, 63),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를 향하여 위치하는 공기 흡입구(33)와 공기 토출구(34), 및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위치된 공기 배출구(31)와 외부 공기 유입구(32)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 공기 배출구(31) 및 외부 공기 유입구(32)를 포함하는,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plenum)(21) 및
    -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에 배치된 설비 케이싱(20)
    을 포함하고,
    상기 설비 케이싱은
    - 상기 실내(1)를 향하여 위치하는 공기 흡입구(33) 및 공기 토출구(34),
    - 공기를 조절하려는 상기 실내의 벽 개구와 정렬되고,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으로 안내되며, 배출 공기 통풍기(41)의 높이에 배치되어 배출 공기 흐름(FL)을 생성하는 하우징 개구(24),
    - 상기 하우징 개구(24)와 상기 하우징 개구(24) 하측에 배치된 상기 공기 토출구(34) 사이에 하류측으로 배치된,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제2 장치들(42; 5; 61, 62, 63; 7; 8) 및
    -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상기 제1 장치들(41, 42; 5; 61, 62, 63; 7; 8)을 제어하는 제어 및 조절 장치(9)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41)는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41)는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상기 벽 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치들 중 냉방 장치(61, 62, 63)의 응축기(61)와 직접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 장치(61, 62, 63)의 상기 응축기(61)는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의 흡입쪽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통풍기는 압력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기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되며, 상기 설비 케이싱(20) 및 상기 설비 케이싱(20)의 상기 하우징 개구(24)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케이싱(20)과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 또는 플랜지 커넥션(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 개구(100)를 갖는 벽(10)의 표준 벽 두께와 일치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의 벽 개구(100)를 갖는 벽(10)의 벽 두께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에 연결가능한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은, 배출 공기 플리넘(211)이 외부 공기 플리넘(21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 공기 플리넘(211)의 공기 배출구(31)는 상기 배출 공기 흐름(FL)을 수평으로 배향된 방식으로 릴리스하며 상기 외부 공기 플리넘(212)은 하측으로 배향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32)를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케이싱(20)은, 상기 벽 개구(100)를 가진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벽(10) 상에 고정되며,
    상기 설비 케이싱(20)은, 상기 공기 토출구(34)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바닥(12)에 근접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33)가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천정(11)에 근접하여 배향되도록,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토출 공기 흐름(ZL)은 상기 공기 토출구(34)를 저속으로 빠져 나가고,
    상기 공기조화기(2)의 공기 흡입구(33)에 의하여 흡입된 흡입 공기 또는 복귀 공기 흐름(RL)과 상기 토출 공기 흐름(ZL) 사이에 전혀 혼합이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제한적으로 혼합이 일어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33) 및 상기 공기 토출구(34)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31) 상에는 내후성 플레이트(22)가 배치되고,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은, 상기 배출 공기 플리넘(211)과 상기 외부 공기 플리넘(212) 사이에 상기 벽 개구(100)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21)로 경사진 분리 벽(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케이싱(20)의 상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시트(resonance sheet)를 갖고 상기 설비 케이싱(20)의 하단부는 흡수재로 라이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33), 상기 공기 토출구(34) 및 상기 하우징 개구(24) 사이에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시스템(5)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시스템(5)은 상기 설비 케이싱(20)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스템(5)은 외부 공기, 배출 공기, 혼합 공기 및 순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서로 교차하는 4개의 밸브(51, 52, 53,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스템(5)은 상기 공기 흡입구(33)의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 공기 및 외부 공기 겸용 플리넘(21)의 개구는 상기 하우징 개구(24)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자유 냉각을 사용하여 상기 밸브 시스템(5)을 거쳐, 외부 공기(AL)와 흡입 공기(RL)의 임의의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스템(5)과 상기 공기 토출구(34) 사이에 토출 공기 통풍기(4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공기 통풍기(42)는 후측방향으로 아치형의 방사상 통풍기(radial ventilator arched backwards)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스템(5)과 상기 토출 공기 통풍기(42) 사이에 토출 공기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공기 필터(8)는 포켓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34)는 상기 제2 장치들 중 냉방 장치(61, 62, 63)의 증발기(62)의 공기 배출 단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7. 제26에 있어서,
    상기 냉방 장치(61, 62, 63)의 압축기(63)는 상기 토출 공기 통풍기(42)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 장치(61, 62, 63)의 응축기(61) 및 증발기(62)는 교환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9. 제1항에 있어서,
    토출 공기의 흐름 통로에 히트 레지스터(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조절 장치(9)는, 상기 공기조화기(2)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 되도록 외부 온도에 따라 밸브 시스템(5)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밸브(51, 52, 53, 54)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조절 장치(9)는 공기를 조절하려는 실내(1)의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를 계속해서 기록하고,
    자유 냉각을 사용하는 한편 무제한의 가변 방식으로 외부 공기와 흡입 공기의 혼합물을 생성하여 토출 공기 흐름에 공급하고, 또한 밸브 시스템(5)을 거쳐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 공기에 추가함으로써 냉방 장치(61, 62, 63)의 복귀 냉각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양의 공기 및 온도가 달성되도록 상기 밸브 시스템(5) 및/또는 상기 냉방 장치(61, 62, 6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케이싱(20) 내에 배치된 공기 흐름을 생성, 안내 및 처리하는 장치들(33, 34; 42; 5; 61, 62, 63; 7; 8)은 완전히 파이프 형태이며 전기 케이블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공기조화기가 적어도 하나의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동작 준비가 되도록 상기 장치들(33, 34; 42; 5; 61, 62, 63; 7; 8)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및 조절 장치(9)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기(41, 42) 및 상기 제어 및 조절 장치(9)는 직류 전압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장치들 중 냉방 장치(61, 62, 63)의 압축기(63)는 교류 전류 또는 3상 전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조절 장치(9)에는 예비 제어부(redundancy control)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 조화기는 예비 설비(redundancy installation)를 제공하도록 서로 연결되거나, 함께 작동하도록 직렬(cascade)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7013469A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 KR100877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E2002/000740 WO2003073012A1 (de) 2002-02-27 2002-02-27 Klima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020A KR20040102020A (ko) 2004-12-03
KR100877335B1 true KR100877335B1 (ko) 2009-01-07

Family

ID=2776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469A KR100877335B1 (ko) 2002-02-27 2002-02-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877335B1 (ko)
AU (1) AU2002250808A1 (ko)
DE (1) DE10296577D2 (ko)
WO (1) WO200307301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3014A2 (en) * 2011-01-26 2012-08-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nclosure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ing ambient air
KR101307597B1 (ko) * 2011-06-15 2013-09-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터리 큐비클 에어컨
WO2017070259A1 (en) * 2015-10-20 2017-04-27 Michalski Steven Air mix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195A (ja) * 2002-03-28 2003-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却装置
DE102005045871A1 (de) * 2005-09-22 2007-03-29 Ltg Ag Dezentrale raumlufttechnische Einrichtung
NL1032450C2 (nl) 2006-09-06 2008-03-07 Uptime Technology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t behulp van recirculatielucht koelen van een ruimte in een datacentrum.
DE102008020941B4 (de) * 2008-04-25 2020-09-24 Ventomaxx Gmbh Luftführungselement zum Zuführen und/oder Abführen von Luft
PT2246634E (pt) * 2009-04-27 2014-12-16 Stulz Gmbh Arrefecimento natural directo
BE1019118A5 (fr) 2009-12-21 2012-03-06 Cofely Services Unite,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air.
JP5533155B2 (ja) * 2010-04-02 2014-06-25 富士通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US8408019B2 (en) * 2010-12-07 2013-04-02 Tai-Her Yang Air conditioning device utilizing temperature differentiation of exhausted gas to even temperature of external heat exchanger
MX2012003013A (es) * 2011-12-07 2013-06-14 Yang Taiher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que utiliza diferenciacion de temperatura del gas de escape para igualar la temperatura del cambiador de calor externo.
DE202012104638U1 (de) 2012-09-24 2013-02-08 dc-ce Berlin-Brandenburg GmbH Anordnung zur Klimatisierung eines Rechenzentrums
US9713289B2 (en) 2013-01-28 2017-07-18 Ch2M Hill Engineers, Inc. Modular pod
USD754664S1 (en) 2013-03-15 2016-04-26 Ch2M Hill Engineers, Inc. Modular pod
CN103747640A (zh) * 2013-12-16 2014-04-23 天津云立方科技有限公司 拼接模块化数据中心基础设施及其拼接模块化数据中心
CN108184322B (zh) * 2018-01-22 2023-08-29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热管的vrv机房一体化散热系统及其控制方法
JP7355993B2 (ja) * 2019-03-28 2023-10-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箱
WO2022247958A1 (zh) * 2021-05-28 2022-12-01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二次负压送入新风房间新风系统及全屋新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241A (ko) * 2000-11-13 2003-07-07 우리 코렌 실내형 공기 조화기
KR100505164B1 (ko) * 2003-07-22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 및 이를 사용한 강도보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928A (en) * 1936-04-23 1942-05-2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Air conditioning apparatus
GB520641A (en) * 1938-10-26 1940-04-30 Alexander Reginald Young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ntilating apparatus
US3158082A (en) * 1961-05-10 1964-11-24 Theodore L Dillingham Air conditioning system and ventilator therefor
JPS61256130A (ja) * 1985-05-09 1986-11-13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AT391933B (de) * 1986-08-14 1990-12-27 Altexa Lueftungstechnische Anl Klima- und lueftungsgeraet zum einbau in eine wand, fenster oder dergleichen
DE3719392A1 (de) * 1987-06-08 1988-12-29 Hansa Ventilatoren Masch Raumlufttechnisches geraet
DE9218368U1 (de) * 1992-12-16 1994-01-05 Hansa Ventilatoren Masch Klimagerät
DE4343610C2 (de) * 1992-12-16 1998-05-07 Hansa Ventilatoren Masch Vorrichtung zur Speisung von Ventilatoren eines Klimagerätes
DE20101676U1 (de) * 2001-01-19 2001-03-29 Hansa Ventilatoren Und Maschb Klimagerät zur Luftbehandlung eines Raum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241A (ko) * 2000-11-13 2003-07-07 우리 코렌 실내형 공기 조화기
KR100505164B1 (ko) * 2003-07-22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브레이스 및 이를 사용한 강도보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3014A2 (en) * 2011-01-26 2012-08-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nclosure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ing ambient air
WO2012103014A3 (en) * 2011-01-26 2012-10-2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nclosure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ing ambient air
KR101307597B1 (ko) * 2011-06-15 2013-09-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터리 큐비클 에어컨
WO2017070259A1 (en) * 2015-10-20 2017-04-27 Michalski Steven Air mixing device
CN108369023A (zh) * 2015-10-20 2018-08-03 斯蒂文·米哈尔斯基 空气混合装置
US10935276B2 (en) 2015-10-20 2021-03-02 Steven Michalski Air mixing device
US11906193B2 (en) 2015-10-20 2024-02-20 Steven Michalski Air mo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50808A1 (en) 2003-09-09
DE10296577D2 (de) 2005-01-05
KR20040102020A (ko) 2004-12-03
WO2003073012A1 (de)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335B1 (ko) 공기조화기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71912B1 (ko) 환기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US8490293B2 (en) Flat surface dryer
US20080203866A1 (en) Rooftop modular fan coil unit
WO2007095846A1 (fr)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température, dispositif de gestion de température, et système et procédé associés
CN109028391A (zh) 空调设备和空调设备的控制方法
CN107676892B (zh) 一种空调器及控制方法
CN106594930A (zh) 一种节能机房空调系统
GB2297152A (en) Cooling device for cooling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batteries in a switch cabinet
CN201218572Y (zh) 大空间集散式空调机组
CN206469396U (zh) 一种节能机房空调系统
US5646825A (en) Cooling device for cooling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batteries in a switch cabinet
CN210717849U (zh) 一种新风空调一体机
CN100483033C (zh) 吊顶式空气调节装置
CN1908532B (zh) 空气调节器
JP2005114274A (ja) 空気調和機
CN101726070B (zh) 电气控制室室内空气温度的调节方法
CN108286761B (zh) 平面辐射空调机组
CN112004386A (zh) 一种计算机机房综合防护装置
CN107917482B (zh) 一种平面辐射空调系统
CN213300286U (zh) 一种塔吊空调
CN218179113U (zh) 数据机房专用双源一体式水源热泵新风机组
CN213428291U (zh) 一种整体式空气加热烤烟机
CN113167490B (zh) 带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