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043B1 - Led용 분배 케이블 - Google Patents

Led용 분배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043B1
KR102340043B1 KR1020200073679A KR20200073679A KR102340043B1 KR 102340043 B1 KR102340043 B1 KR 102340043B1 KR 1020200073679 A KR1020200073679 A KR 1020200073679A KR 20200073679 A KR20200073679 A KR 20200073679A KR 102340043 B1 KR102340043 B1 KR 10234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ap
cable
coupled
input c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주)대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대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20007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케이블과 복수의 LED 모듈을 연결하여 각 LED 모듈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입력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 상기 단자와 각 LED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선케이블;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지선케이블을 감싸는 몰딩부; 상기 단자 및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상기 몰딩부에 결합되는 제1 방수캡; 및 상기 제1 방수캡이 상기 입력케이블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방수캡에 결합되는 제2 방수캡을 포함하는, 분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용 분배 케이블{POWER DISTRIBUTION CABLE FOR LED}
본 발명은 LED용 분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를 뜻하는 것으로, 종래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고강도를 발하며 고속응답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다양한 조명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LED용 분배 케이블은 직류변환되어 입력된 DC 파워를 LED 모듈로 분배 공급하여 LED가 점등되게 하는 것이다. LED용 분배 케이블은 직류변화된 DC파워가 입력되는 입력케이블과 상기 입력케이블과 결선되는 다수의 지선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케이블과 지선케이블은 결선되어 있다.
기존의 LED용 분배 케이블의 경우, 입력케이블과 지선케이블은 결선 지점에 있어서, 방수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습기 또는 이물이 결선 지점으로 유입되면 도선이 부식되거나, 불필요한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방수 기능을 향상시킨 LED용 분배 케이블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LED용 분배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케이블과의 결합이 용이한 LED용 분배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케이블과 복수의 LED 모듈을 연결하여 각 LED 모듈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입력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 상기 단자와 각 LED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선케이블;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지선케이블을 감싸는 몰딩부; 상기 단자 및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상기 몰딩부에 결합되는 제1 방수캡; 및 상기 제1 방수캡이 상기 입력케이블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방수캡에 결합되는 제2 방수캡을 포함하는, 분배 케이블이 제공된다.
상기 제2 방수캡은 상기 제1 방수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1 방수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방수캡의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는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캡은, 상기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몰딩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수캡이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부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입력케이블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임부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임유닛 간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조임유닛 각각은 상기 입력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임유닛의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임유닛은 내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캡 내측의 상기 조임유닛의 단부와 닿는 면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용 분배 케이블 내부로 수분과 이물의 침투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쉽게 입력케이블과 LED용 분배 케이블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의 방수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을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1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은, 입력케이블(10)과 복수의 LED 모듈을 연결하여 각 LED 모듈로 전력을 분배한다. 즉, LED용 분배 케이블은 일단에는 입력케이블(10)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LED 모듈이 연결된다.
입력케이블(10)은 직류 또는 교류의 전원을 분배 케이블로 입력할 수 있다. 입력케이블(10)은 와이어(W)와 이를 둘러싸는 쉬이즈(sheath)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절연체로 피복된 도선으로, 도선은 실질적으로 전원 공급을 하는 전도체이다. 와이어(W)의 말단부는 절연체 없이 도선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쉬이즈는 와이어(W)를 감싸는 외장재로서, PVC 등의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VCC 라인 및 GND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쉬이즈는 복수의 와이어(W)를 한꺼번에 감싼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은 단자(T), 복수의 지선케이블(100), 몰딩부(200) 및 방수캡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T)는 입력케이블(10)과 연결되는 전도체이다. 단자(T)는 수용부(R)와 볼트(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R)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B)는 수용부(R)에 결합되며, 볼트(B)는 수용부(R)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수용부(R)로 삽입되며, 볼트(B)의 헤드는 수용부(R)의 일측면 상에 놓인다.
단자(T)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T)의 개수는 와이어(W)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W)가 VCC 라인 및 GND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단자(T)도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단자(T)는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T)가 3개 이상인 경우, 복수의 단자(T)는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력케이블(10)의 와이어(W)(특히 도선)는 수용부(R) 내의 수용공간(S)에 삽입된 후에, 볼트(B)가 수용부(R)에 결합되면, 볼트(B)가 와이어(W)의 도선을 가압하여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선케이블(100)은 단자(T)와 각 LED 모듈 사이를 연결한다. 하나의 LED 모듈에 하나의 지선케이블(100)이 연결될 수 있다.
지선케이블(100)은 입력케이블(10)과 마찬가지로 피복된 전선을 감싸는 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지선케이블(100)의 전선은 단자(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T)를 통해 입력케이블(10)과 지선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선케이블(100) 각각의 전선은 단자(T)로 수렴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입력케이블(10)을 통해 입력되는 파워는 각 지선케이블(100)을 따라 각 LED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LED 모듈은 LED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에는 LED가 실장될 수 있고, 전원단자가 형성된다. 각 LED와 전원단자는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 LED 모듈은 모듈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모듈케이블은 LED 모듈의 기판의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선케이블(100)의 일단은 단자(T)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체결구조물(11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물(110)은 모듈케이블의 단부구조물과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구조물(110)에 의하면 지선케이블(100)과 모듈케이블 간에 물리적 연결이 가능하여, 지선케이블(100)과 모듈케이블 사이의 강력한 체결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체결구조물(110) 내부에서는 지선케이블(100)과 모듈케이블 간의 전기적 연결도 이루어진다. 한편, 체결구조물(110)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리하면, 입력케이블(10)-단자(T)-지선케이블(100)-모듈케이블-전원단자-LED의 경로를 따라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몰딩부(200)는 단자(T)를 지지하고, 복수의 지선케이블(100)을 감싸는 부분이다. 몰딩부(200)는 단자(T)를 지지하는 한편, 지선케이블(100)과 단자(T)의 결합(결선)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몰딩부(200)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몰딩부(200)는 단자(T)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홈을 포함하고, 상술한 링 형상의 수용부(R)는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볼트(B)는 홈 내로 수용되지 않고, 홈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링 형상의 수용부(R) 내로 입력케이블(10)의 와이어(W)가 삽입되고, 볼트(B)가 수용부(R)에 결합됨에 따라, 볼트(B)가 와이어(W)를 고정할 수 있다.
몰딩부(200)에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결합부위(제1 결합부위(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위(220)는 후술하는 제1 방수캡(300)이 결합되는 부위이다. 한편, 단자(T)를 지지하는 지지부(210)는 제1 결합부위(220)보다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입력케이블(10)의 와이어(W)를 단자(T)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의 방수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몰딩부(200)에는 방수캡이 결합될 수 있다. 방수캡은 제1 방수캡(300)과 제2 방수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수캡(300)은 몰딩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방수캡(400)은 제1 방수캡(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캡은 부도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수캡(300)은 단자(T) 및 입력케이블(10)을 둘러싸도록 몰딩부(200)에 결합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방수캡(300)은, 제1 커버부(310)와 제2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는 단자(T)를 둘러싸도록 몰딩부(200)에 결합된다. 제1 커버부(310)는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는 몰딩부(200)의 제1 결합부위(220)를 둘러싸면서 몰딩부(200)에 결합된다. 몰딩부(200)의 제1 결합부위(220)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커버부(310)는 상기 제1 결합부위(22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에 연결되고, 입력케이블(10)을 둘러싸며, 제2 방수캡(400)이 결합된다. 제2 커버부(320)는, 탄성부재(321), 조임부(322), 결합부위(제2 결합부위(32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2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통 형상의 탄성부재(321)는 입력케이블(10)을 둘러쌀 수 있다. 탄성부재(321)는 외측에서 가압되면 직경이 감소될 수 있고, 입력케이블(10)을 꽉 조일 수 있다.
조임부(322)는 탄성부재(321)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탄성부재(321)를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조임부(322)는 탄성부재(321)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유닛(U)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유닛(U)은 얇은 사각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유닛(U) 각각은 입력케이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유닛(U)은 입력케이블(10)의 길이 방향으로 더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조임유닛(U)의 일단은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조임유닛(U)의 타단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조임유닛(U)의 타단은 탄성부재(321)의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임유닛(U)의 일단은 몰딩부(200) 측에 위치하고, 조임유닛(U)의 타단은 그 반대편에 위치한다.
조임유닛(U)은 내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임유닛(U)은 내측으로 가압되면 내측으로 더욱 굴곡되면서 탄성부재(321)를 가압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위(323)는 제2 방수캡(400)이 결합되는 부위이다. 제2 결합부위(323)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은 제2 결합부위(323)를 둘러싸면서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위(323)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방수캡(400)은 제2 결합부위(323)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은 제1 방수캡(300)이 입력케이블(10)을 구속하도록 제1 방수캡(300)에 결합된다. 즉, 제2 방수캡(400)이 없다면, 제1 방수캡(300)과 입력케이블(10)은 서로 헐겁게 결합되지만, 제1 방수캡(300)에 제2 방수캡(400)이 결합되면, 제1 방수캡(300)과 입력케이블(10)은 서로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이 제1 방수캡(30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방수캡(300)의 입력케이블(10)을 둘러싸는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특히, 제2 방수캡(400)이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제2 커버부(320)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커버부(320)는 탄성부재(321)를 포함하고, 제2 방수캡(400)이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321)는 입력케이블(10) 측으로 가압되고, 탄성부재(321)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입력케이블(10)을 타이트하게 조일 수 있다.
제2 커버부(320)가 조임부(322)를 포함하고, 제2 방수캡(400)이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322)가 탄성부재(321)를 가압할 수 있다. 조임부(322)는 복수의 조임유닛(U)을 포함하고, 복수의 조임유닛(U)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이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조임유닛(U)의 서로간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조임유닛(U)의 일단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되, 복수의 조임유닛(U)의 타단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데, 복수의 조임유닛(U)의 타단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은 제1 방수캡(30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간은 돔 형상의 굴곡면(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유닛(U)이 내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방수캡(400)의 내측의 조임유닛(U)의 단부(타단)과 닿는 면은 굴곡지게 돔 형상의 굴곡면(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방수캡(4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20)이 형성되며, 제2 방수캡(400)의 나사산(420)에 의해, 제2 방수캡(400)은 제2 커버부(320)의 제2 결합부위(32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용 분배 케이블과 입력케이블(10)을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케이블(10)은 분배 케이블의 단자(T)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입력케이블(10)의 와이어(W)가 단자(T)의 수용부(R)에 삽입되고, 볼트(B)가 수용부(R)에 결합됨으로써 와이어(W)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이 상태에서는 단자(T)와 와이어(W)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며, 습기와 이물 침투에 매우 취약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수캡(300)이 몰딩부(200)에 결합된다. 제1 방수캡(300)은 몰딩부(200)의 제1 결합부위(2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1 방수캡(300)에 의하면, 단자(T)와 와이어(W)는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습기와 이물 침투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방수캡(300)과 입력케이블(10)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있으므로, 완벽한 방수와 이물 차단이 어렵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방수캡(400)이 제1 방수캡(300)에 결합된다. 제2 방수캡(400)은 제1 방수캡(300)의 제2 결합부위(32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방수캡(400)이 제1 방수캡(300)에 결합되면, 제1 방수캡(300)의 입력케이블(10)을 둘러싸는 부분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유닛(U) 간 간격이 좁아지면서, 조임부(322)는 탄성부재(321)를 가압할 수 있고, 탄성부재(321)는 입력케이블(10)을 조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방수캡(300)과 입력케이블(10) 간의 미세한 간격이 매우 좁아지므로, 방수와 이물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서, 제2 방수캡(400) 내측에서 보이는 조임유닛(U) 간 간격이 최대로 좁아졌고, 조임부(322)가 탄성부재(321)를 가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입력케이블
W: 와이어
T: 단자
R: 수용부
S: 수용공간
B: 볼트
100: 지선케이블
110: 체결구조물
200: 몰딩부
210: 지지부
220: 제1 결합부위
300: 제1 방수캡
310: 제1 커버부
320: 제2 커버부
321: 탄성부재
322: 조임부
U: 조임유닛
323: 제2 결합부위
400: 제2 방수캡
410: 굴곡면
420: 나사산

Claims (8)

  1. 입력케이블과 복수의 LED 모듈을 연결하여 각 LED 모듈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입력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
    상기 단자와 각 LED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선케이블;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지선케이블을 감싸는 몰딩부;
    상기 단자 및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상기 몰딩부에 결합되는 제1 방수캡; 및
    상기 제1 방수캡이 상기 입력케이블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 방수캡에 결합되는 제2 방수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캡은,
    상기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몰딩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수캡이 결합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입력케이블을 둘러싸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유닛 각각은 상기 입력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임유닛의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보다 상기 입력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임유닛은 내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캡 내측의 상기 조임유닛의 단부와 닿는 면은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캡이 상기 제2 커버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임유닛의 단부는 내측으로 더욱 굴곡되어 상기 복수의 조임유닛 간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케이블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몰딩부에는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내부에 상기 입력케이블의 와이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입력케이블의 와이어를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캡은 상기 몰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방수캡은 상기 제1 방수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수캡은 상기 제1 결합부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방수캡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캡은 상기 제2 결합부위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부위보다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케이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73679A 2020-06-17 2020-06-17 Led용 분배 케이블 KR10234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79A KR102340043B1 (ko) 2020-06-17 2020-06-17 Led용 분배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79A KR102340043B1 (ko) 2020-06-17 2020-06-17 Led용 분배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43B1 true KR102340043B1 (ko) 2021-12-16

Family

ID=7903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79A KR102340043B1 (ko) 2020-06-17 2020-06-17 Led용 분배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0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472B2 (ja) * 2009-08-20 2013-06-19 行田電線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KR200484405Y1 (ko) *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KR20190091279A (ko) * 2016-11-14 2019-08-05 암페놀 코포레이션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5472B2 (ja) * 2009-08-20 2013-06-19 行田電線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200468474Y1 (ko) * 2012-08-09 2013-08-14 김수현 멀티미디어용 복합 케이블
KR20190091279A (ko) * 2016-11-14 2019-08-05 암페놀 코포레이션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200484405Y1 (ko) *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752B2 (en) Module connector
US8410990B2 (en) Antenna with integrated RF module
US11670925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elded cable
ATE241861T1 (de) Elektrische klemmverbindungsvorrichtung
KR20110008445A (ko) 접지겸용 커넥터
DE69916100D1 (de) Elektrischer verbinder hoher dichte
US7887229B2 (en) Waterproof module for LED lamp
CA2530826A1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CN110890353B (zh) 发光二极管封装件
KR102340043B1 (ko) Led용 분배 케이블
US8322890B2 (en) Light module
JP5478665B2 (ja) コネクタ
WO2012051896A1 (zh) 一种电源线缆组件
RU2005133826A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S2230456T3 (es) Elemento de acoplamiento para la aplicacion en un cable electrico apantallado y procedimiento para su aplicacion en un cable.
JP2002165351A (ja) ケーブル端末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終端接続部
US20090153408A1 (en) Antenna with integrated rf module
JP2019133924A (ja) 照明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KR100859907B1 (ko) 전선 연결 장치
KR100942049B1 (ko) 동축케이블 조립체
DE69902947D1 (de) Koaxiale kabelverbindungseinrichtung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20210156026A (ko) 전원 공급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조립체
US9705245B2 (en) Plug-in connection having a fixed line
KR200203544Y1 (ko)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외부용 멀티 전원 콘센트 및전원코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