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488B1 -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488B1
KR102339488B1 KR1020200033738A KR20200033738A KR102339488B1 KR 102339488 B1 KR102339488 B1 KR 102339488B1 KR 1020200033738 A KR1020200033738 A KR 1020200033738A KR 20200033738 A KR20200033738 A KR 20200033738A KR 102339488 B1 KR102339488 B1 KR 10233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nit
moving
set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486A (ko
Inventor
김덕기
고재남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4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N2002/0268
    • B60N2002/02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91Preparing for s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시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시트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지수단의 기전력 변화, 정전용량 변화 등을 이용하여 시트의 기울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어,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Sea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using Gradient Change}
본 발명은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기술 및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파워시트모듈(Power Seat Module: PSM)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파워시트모듈은 자동차 시트(Seat)의 위치를 버튼만으로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운전자가 탑승 시 자동으로 운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시트 및 등받이를 이동시킨다. 이처럼 파워시트모듈은 시트 주변 공간을 넓히거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시트 및 등받이를 탑승자의 체형 및 자세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의 피로도 감소와 함께 안전 운전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고급 차량에는 해부학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 하중을 잘 견딜수 있도록 하는 무중력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무중력 시트는 무중력 환경하에서 인체가 취하는 가장 편안한 자세로서, 종아리와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 지면에 대해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 상체와 하체가 이루는 상/하체 각도 및 상체가 지면과 이루는 상체 수평 각도를 최적화하여, 관절의 부담을 덜고 신체 균형을 잡아주는 자세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중력 시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대한 인체가 이루는 각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시트의 틸팅이나 등받이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파워시트모듈은 모터 동작시 발생하는 홀 센서의 펄스 수를 통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이므로, 이는 모터 동작에 따른 미세한 차이가 발생되어, 파워시트모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5483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신호 또는 실행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에 장착되어 시트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등받이이동부 및 시트의 좌석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좌석이동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는 등받이감지부 및 시트의 좌석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시트의 좌석에 장착되는 좌석감지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 이후, 상기 감지수단이 현재 시트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현재위치정보와 설정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는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1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는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고,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아니면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n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시트가 기준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 입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으면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정과정;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는 전달과정;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자동조절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동조절과정 이후, 상기 감지수단이 현재 시트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확인과정;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 현재위치정보와 설정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추가조절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과정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설정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1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 2 입력과정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확인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현재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동조절과정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과정;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제어 과정; 및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과정은,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아니면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n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과정 이전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입력받는 세팅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세팅준비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시트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지수단의 기전력 변화, 정전용량 변화 등을 이용하여 시트의 기울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의 좌석 및 등받이를 운전자 및 동승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기 저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 및 동승자가 본인 체형에 맞는 편안한 자세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운전에서 오는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시트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장시간 운전으로 인하여 시트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시트의 위치를 운전자가 미리 지정한 위치로 다시 이동되도록 자동 보정할 수 있어, 운전자는 장시간 운전하는 내내 항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현재 정차 중인지 아니면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시트를 이동시키거나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탑승자의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시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현재 이동 중인 경우라 하더라도,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 즉, 후석에 앉은 탑승자가 제 2 입력부를 조작한 상태라면, 시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중력 시트를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의 제 1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트를 기준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의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중력 시트를 구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중력 시트는 무중력 상태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편안한 자세를 갖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무중력 시트를 차량의 시트(S)에 적용하면, 시트(S)의 좌석(S1) 및 등받이(S2)를 운전자 및 동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체중이 신체 곳곳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장시간 운전에서 오는 피로를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트(S)를 무중력 시트(S)로 구현하도록 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의 제 1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S) 제어 시스템은 차량용 시트(S)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00), 세팅입력부(110), 이동수단(120), 감지수단(130), 저장부(140), 상태검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시트(S)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S1)과,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S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승자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포함하고, 시트(S)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탑승자는 운전자라 하고, 시트(S)는 운전석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입력부(100)는 제 1 입력부(102) 및 제 2 입력부(104)를 포함한다. 제 1 입력부(102)는 예를 들면 운전석에 위치되는 도어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시트(S)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입력부(102)의 기능을 예를 들면, 시트(S)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조절 기능, 시트(S)의 좌석(S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 조절 기능, 시트(S)의 좌석(S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능, 시트(S)의 등받이(S2)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가 제 1 입력부(102)를 조작하면 제 1 입력부(102)는 운전자의 조작에 해당하는 설정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설정신호는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 2 입력부(104)는 제 1 입력부(102)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시트(S)의 위치를 운전자가 기 설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실행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실행신호는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세팅입력부(110)는 제 2 입력부(104)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시트(S)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세팅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세팅신호는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세팅입력부(110)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00)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동수단(120)으로 전달한다.
이동수단(120)은 제어부(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S)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S)의 등받이(S2)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등받이이동부(122) 및 제어부(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S)의 좌석(S1)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좌석이동부(124)를 포함한다. 즉, 운전자가 직접 제 1 입력부(102)를 조작하면, 설정신호가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이송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이송수단이 시트(S)의 좌석(S1) 및 등받이(S2)를 운전자가 편하게 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시트(S)의 위치는 운전자가 직접 제 1 입력부(102)를 조작하여 시트(S)의 좌석(S1) 및 등받이(S2)를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은 무중력 상태로 이동시킨 위치가 될 수 있다.
감지수단(130)은 이동수단(120)이 이동시킨 시트(S)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감지수단(130)은 시트(S)에 장착되어 시트(S)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시트(S)의 등받이(S2) 기울기를 감지하여 등받이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시트(S)의 등받이(S2)에 장착되는 등받이감지부(132) 및 시트(S)의 좌석(S1) 기울기를 감지하여 좌석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시트(S)의 좌석(S1)에 장착되는 좌석감지부(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등받이감지부(132) 및 좌석감지부(134)는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시트(S)의 등받이(S2) 및 좌석(S1)의 기울어진 각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수단(130)이 생성하는 등받이위치정보 및 좌석위치정보는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트(S)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시트(S)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지수단(130)의 기전력 변화, 정전용량 변화 등을 이용하여 시트(S)의 기울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수단(130)은 시트(S)의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저장부(142) 및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제 2 저장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시트(S)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시트(S)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운전자는 제 2 입력부(104)를 조작하여 시트(S)의 위치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가 제 2 입력부(104)를 조작하면 제 2 입력부(104)는 실행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00)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120)이 시트(S)의 등받이(S2) 및 좌석(S1)을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각각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이동수단(120)은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트(S)의 좌석(S1) 및 등받이(S2)를 운전자 및 동승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기 저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 및 동승자가 본인 체형에 맞는 편안한 자세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운전에서 오는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 입력부(104)가 실행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하더라도, 시트(S)가 차량의 전석에 위치한 경우라면,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이동시키는 도중 전석 즉, 1열 시트(Sa)에 앉은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앞으로 튀어나가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태검출부(150)를 구비하여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만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태검출부(150)는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상태검출부(150)는 파킹감지센서(152) 또는 속도감지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파킹감지센서(152)는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에 위치하였는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어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속도감지센서(154)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계기판, 내비게이션 등과 연결되어, 차량의 현재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파킹감지센서(152)가 검출하는 기어 정보 또는 속도감지센서(154)가 검출하는 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어의 위치가 P(Parking)에 위치되거나 또는 차량의 속도가 3Km/h 이하인 경우,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어의 위치가 P(Parking)가 아닌 다른 곳에 위치되거나 또는 차량의 속도가 3Km/h 초과하는 경우,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이동수단(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이동수단(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이 현재 정차 중인지 아니면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시트(S)를 이동시키거나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탑승자의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시트(S)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에 구비되는 시트(S)는 일반 승용차의 경우 전석에 구비되는 1열 시트(Sa) 및 전석의 후방 즉, 후석에 구비되는 2열 시트(Sb)를 포함한다. 승합차의 경우 3열 시트 이상의 시트가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1열 시트(Sa)를 제외한 1+n열 시트(Sb)는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가 전달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 중인 경우,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그 위치상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낮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상태검출부(150)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Sa)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아니면 차량의 1+n열 시트(Sb)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Sa)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이동수단(120)이 1열 시트(Sa)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반면,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n열 시트(Sb)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이동수단(120)이 1+n열 시트(Sb)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이 현재 이동 중인 경우라 하더라도,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 즉, 후석에 앉은 탑승자가 제 2 입력부(104)를 조작한 상태라면, 시트(S)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시트(S)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트를 기준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입력부(102)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직접 시트(S)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이동시키기 전에, 시트(S)는 기준위치로 이동되어 영점 조정이 되어야 한다. 시트(S)가 기준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감지수단(130)이 시트(S)의 등받이(S2) 및 좌석(S1)의 이동되는 경사각 즉, 기울기를 측정하면,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시트(S)의 등받이(S2) 및 좌석(S1)의 정확한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팅입력부(110)를 구비한다. 세팅입력부(110)는 차량의 시트(S)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세팅신호는 제어부(160)로 전달된다.
제어부(160)는 세팅입력부(110)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기 설정된 기준위치라 함은 등받이(S2)가 최전방으로 경사진 위치 및 좌석(S1)이 최하방으로 경사진 위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기준위치를 영점으로 잡고, 이 상태에서 이동수단(120)이 이동시키는 등받이(S2) 및 좌석(S1)의 위치를 감지수단(130)이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의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장시간 운전을 하다 보면 운전자의 하중이 시트(S)에 지속적으로 가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시트(S)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된 시트(S)의 위치는 운전자가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이동시킨 시트(S)의 위치가 아니므로, 운전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안전 운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 이후,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감지수단(130)이 현재 시트(S)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수단(130)의 등받이감지부(132)는 시트(S)의 등받이(S2)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등받이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고, 감지수단(130)의 좌석감지부(134)는 시트(S)의 좌석(S2)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좌석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를 저장부(140)의 제 2 저장부(144)에 저장한다. 한편,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는 이미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와 비교하여 구분이 어려울 수도 있고, 동일한 신호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제 1 입력부(102)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감지수단(130)이 생성하는 정보는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제 1 저장부(142)에 저장하고,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감지수단(130)이 생성하는 정보는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제 2 저장부(144)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60)는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와 제 2 저장부(144)에 저장된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 등받이설정위치정보와 등받이현재위치정보 간이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좌석설정위치정보와 좌석현재위치정보 간이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동수단(120)이 해당 등받이(S2) 또는 좌석(S1)을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또는 좌석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이동수단(120)은 해당 등받이(S2) 또는 좌석(S1)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장시간 운전으로 인하여 시트(S)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시트(S)의 위치를 운전자가 미리 지정한 위치로 다시 이동되도록 자동 보정할 수 있어, 운전자는 장시간 운전하는 내내 항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는 세팅입력부(110)로부터 차량의 시트(S)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입력받는다(S100). 그리고 세팅입력부(110)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제어부(160)는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S102).
그 후, 제어부(160)는 제 1 입력부(102)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S110), 제 1 입력부(102)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60)는 시트(S)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동수단(120)으로 전달한다(S112). 그러면, 이동수단(120)이 제어수단에 해당하는 위치로 시트(S)를 이동시킨다. 그 후, 감지수단(130)은 이동수단(120)이 이동시킨 시트(S)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S114). 제어부(160)는 감지수단(130)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위치정보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한다(S116).
그 후, 제어부(160)는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제 2 입력부(104)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150)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판단한다(S122).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S124), 제어부(16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동수단(120)으로 전달하고,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이동수단(120)은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126).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제어에 의하여 시트(S)의 위치가 운전자가 기 설정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운전자는 본인 체형에 맞는 편안한 자세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S124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어부(160)는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160)는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이므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가 스피커(미도시)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시트(S)가 이동되지 않는 이유를 안내해주도록 한다(S128). 상기 스피커는 차량에 기 설치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S126단계에서, 이동수단(120)이 시트(S)를 이동시킨 이후, 제어부(160)는 감지수단(130)이 현재 시트(S)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130). 그리고 제어부(160)는 감지수단(130)이 생성한 현재위치정보를 제 2 저장부(144)에 저장하고, 제 2 저장부(144)에 저장한 현재위치정보와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를 비교한다(S132). 상기 S132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현재위치정보와 설정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134), 제어부(160)는 현재 시트(S)의 각도가 운전자의 지속적인 하중 등으로 인하여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보다 많이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재차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동수단(12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이동수단(120)은 시트(S)를 제 1 저장부(142)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136).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시트(S)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운전자의 하중에 의하여 시트(S)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시트(S)의 위치는 운전자가 미리 지정된 위치로 다시 이동되도록 자동 보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장시간 운전하는 내내 항상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입력부 102: 제 1 입력부
104: 제 2 입력부 110: 세팅입력부
120: 이동수단 122: 등받이이동부
124: 좌석이동부 130: 감지수단
132: 등받이감지부 134: 좌석감지부
140: 저장부 142: 제 1 저장부
144: 제 2 저장부 150: 상태검출부
152: 파킹감지센서 154: 속도감지센서
160: 제어부

Claims (13)

  1.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신호 또는 실행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에 장착되어 시트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등받이이동부 및 시트의 좌석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좌석이동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는 등받이감지부 및 시트의 좌석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시트의 좌석에 장착되는 좌석감지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신호 또는 실행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에 장착되어 시트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 이후, 상기 감지수단이 현재 시트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현재위치정보와 설정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는 등받이설정위치정보 및 좌석설정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1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은 이후에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는 등받이현재위치정보 및 좌석현재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신호 또는 실행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에 장착되어 시트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고,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아니면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n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7.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신호 또는 실행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설정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에 장착되어 시트의 기울어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시트가 기준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 입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으면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정과정;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는 전달과정;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자동조절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조절과정 이후,
    상기 감지수단이 현재 시트의 위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확인과정;
    상기 감지수단이 생성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 현재위치정보와 설정위치정보 간의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추가조절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과정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저장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설정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1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 2 입력과정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확인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현재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부의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
  11. 삭제
  12.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 입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으면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정과정;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는 전달과정;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자동조절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조절과정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가 검출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지 또는 이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과정;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제 1 제어 과정; 및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 과정은, 상기 판단 과정의 판단 결과, 현재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아니면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행신호가 차량의 1+n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실행신호이면, 상기 이동수단이 1+n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
  13.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 입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으면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시트를 설정신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정과정;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시킨 시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설정위치정보를 전달받는 전달과정;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설정위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수단으로 전달하는 자동조절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과정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시트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설정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입력과정 이전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팅신호를 입력받는 세팅입력과정;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세팅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동수단이 시트를 기 설정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세팅준비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방법.
KR1020200033738A 2020-03-19 2020-03-19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3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38A KR102339488B1 (ko) 2020-03-19 2020-03-19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38A KR102339488B1 (ko) 2020-03-19 2020-03-19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86A KR20210117486A (ko) 2021-09-29
KR102339488B1 true KR102339488B1 (ko) 2021-12-16

Family

ID=7792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38A KR102339488B1 (ko) 2020-03-19 2020-03-19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4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704A (ja) * 2001-07-03 2003-01-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座席駆動制御装置
JP2008290653A (ja) * 2007-05-28 2008-12-04 Mitsuba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1143885A (ja) 2010-01-18 2011-07-2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234A (ja) * 1991-05-20 1993-04-06 Tachi S Co Ltd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KR950008221A (ko) * 1993-09-07 1995-04-17 정몽원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54839B1 (ko) 2017-06-19 2019-03-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시트 구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704A (ja) * 2001-07-03 2003-01-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座席駆動制御装置
JP2008290653A (ja) * 2007-05-28 2008-12-04 Mitsuba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1143885A (ja) 2010-01-18 2011-07-28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86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38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vehicle display based on user orientation
US8145388B2 (en) Automatic driving position adjust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450530B1 (en) Seating system with optimum visibilty
KR20190031699A (ko) 자율주행차량의 회전형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166094A1 (en) Vehicle seat
US10773609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seat of a vehicle
US20190299814A1 (en) Seat adjustment limiter and method of control
US1058964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10271459A (zh) 可调节的交通工具座椅组件
US10232740B1 (en) Adjustable seatback recline angle and warning system
US10239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vehicle seat
US20170282754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storage
US20170355282A1 (en) Seat position detection for seat assemblies
KR101746464B1 (ko) 차량용 전후석 시트의 간섭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5385A (ko)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JP2020059349A (ja) 乗物用シート
JPS60197436A (ja) 車両用着席姿勢支持装置
CN110271463A (zh) 座椅装置
US20180304771A1 (en) Method for adjusting a seat of a vehicle
KR102339488B1 (ko) 기울기 변화를 이용하는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34213A1 (en) Vehicle Seat
US20200324669A1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US1149845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system for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safety system for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US8818644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eat occupancy
KR20150019200A (ko)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