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380B1 -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 Google Patents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380B1
KR102339380B1 KR1020160113172A KR20160113172A KR102339380B1 KR 102339380 B1 KR102339380 B1 KR 102339380B1 KR 1020160113172 A KR1020160113172 A KR 1020160113172A KR 20160113172 A KR20160113172 A KR 20160113172A KR 102339380 B1 KR102339380 B1 KR 10233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active mode
display
display window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276A (ko
Inventor
공준상
Original Assignee
공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886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8440B1/ko
Application filed by 공준상 filed Critical 공준상
Priority to KR102016011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76A/ko
Priority to KR1020210071717A priority patent/KR102422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80B1/ko
Priority to KR1020220081787A priority patent/KR102618569B1/ko
Priority to KR1020220138711A priority patent/KR102628417B1/ko
Priority to KR1020230149099A priority patent/KR20230154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 프로그램을 갖는 이동통신기기는 절전 기능으로 큰 화면을 갖는 휴대폰/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에서 세미활성모드를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경우, 크기를 최소화한 작은 창의 형태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상시 표시 정보(메뉴, 음량/진동, 네트워크 상태 표시, 배터리 잔량,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미수신 통화 여부, 날짜/요일, 시계,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의 창 닫기)를 계속 표시하는‘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이 표시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ON 외의 나머지 스크린 부분을 오프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전체 디스플레이 오프에 따른 상시 표시 정보 오프의 불편함을 줄이게 된다.

Description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ow-power consuming status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풀터치방식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를 오프(OFF)할 경우, 일부 중요 정보만을 창의 크기를 최소화한 형태로 계속 표시하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생성시켜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게 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을 오프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디스플레이를 오프함에 따른 불편함을 줄이는,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은 이동통신기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오프하는 경우가 많은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시계나 배터리 잔량 표시, 진동모드여부, 음량크기, 문자메시지 수신, 미수신전화 여부 등을 알려주는 상태 표시 아이콘들을 볼 수가 없는 불편함이 상존한다. 물론, 강제로 이동통신기기의 상시 디스플레이를 온(ON)할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가 문제되기 때문에 실제 상시 디스플레이 켜짐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이동통신기기(휴대폰, 스마트폰, PDA폰)의 화면은 커질수록 이동통신기기의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킬 필요성은 더욱 커지는 반면, 사용자가 자주 모니터링해야 할 정보는 오히려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즉, 이동통신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된 상태에서 음량/진동, 네트워크 상태 표시(3G 데이터통신,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가 온(ON) 되어 있는지 표시), 배터리 잔량 표시,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 미수신 통화 여부, 날짜/요일, 시계 등 사용자가 자주 모니터링해야하는 정보를 상시 표시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큰 화면을 갖는 휴대폰/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에서 세미활성모드를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오프할 경우, 크기를 최소화한 작은 창의 형태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상시 표시 정보만을 계속 표시하도록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스크린 부분을 오프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전체 디스플레이 오프에 따른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로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되, 세미활성모드에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음성통화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모뎀;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세미활성모드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에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출력한 뒤 계속되도록 유지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 상태를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고, 터치화면의 작동이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는, 대화면을 갖는 휴대폰/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에서 세미활성모드를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오프(OFF)할 경우, 크기를 최소화한 작은 창의 형태로서 상시 표시가 요구되는 여러 정보(음량/진동, 네트워크 상태, 배터리 잔량,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미수신 전화 여부, 날짜/요일, 시계)를 계속 표시하는'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이 생성되어 표시되고, 이러한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을 오프 또는 최소전력 상태로 유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여러 정보를 상시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면의 예시를 2가지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서,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로서, 디스플레이가 OLED인 경우의 기본 블록도이다.
도 5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로서, 디스플레이가 LCD인 경우의 기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는, 기기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오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킨 상태에서, 시계나 배터리 잔량 표시, 진동모드여부, 음량크기, 문자메시지 수신, 미수신전화 여부 등의 상시 표시가 요구되는 정보를 볼 수 없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크기를 최소화한 작은 창의 형태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상시 표시 요구 정보(음량/진동, 네트워크 상태, 배터리 잔량,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미수신 전화 여부, 날짜/요일, 시계)를 계속 표시하는‘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을 오프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상시 표시가 요구되는 주요 정보의 제공이 계속되게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대화면의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데, 절전효과 면에서는 AMOLED(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OLED나 FED(Field Emmission Display: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방식)와 같은 자체 발광형 평판디스플레이에 응용할 때 더욱 효과적이지만, 백라이트가 요구되는 LCD 디스플레이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다.
첫번째 실시예로,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로서 자체발광 평판 디스플레이(OLED, FED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모드(OFF 또는 블랙 상태)로 유지한다.
두번째 실시예로, 상기 이동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로서 백라이트 유닛(BLU:Back Light Unit)을 수반하는 LCD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특히 백라이트 유닛이 복수개의 백라이트 발광원(가령 LED)을 사용할 경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표시창을 생성하고 LCD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며, LCD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은 LCD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유지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생성된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1개 또는 2개의 백라이트 발광원(LED)만을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나머지 백라이트 발광원은 오프 상태가 되도록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절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의 절전을 위해 디스플레이를 오프 시킬 경우, 본 발명의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창에 표시할 정보에는 특히 아래와 같이 것이 있다.
- 시계: 반드시 상시 표시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요구 정보이다. 특히 휴대폰으로 손목시계를 대체하는 생활 방식의 확산으로 이제는 휴대폰에 별도의 ON 조작이 없이도 항상 시간을 표시해주지 못하면 불편을 느끼는 사람이 많으므로 더욱 중요하다. 한편 시계는 다른 아이콘보다 좀 더 크게 만들거나 만들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 날짜 및 요일
- 미수신통화(받지 못한 통화: missed call)가 있는지의 여부 표시
- 문자메시지: 문자메시지 수신 후 열어보지 않은 메시지가 있는지 표시
- 벨소리나 기기의 음량 표시, 또는 진동모드일 경우 진동모드임을 표시
- 배터리 잔량 표시
- 네트워크 상태 표시: 인터넷(WiFi)이나 블루투스(Bluetooth), 3G 데이타통신이 ON 되어 있는지 표시 (기기의 전력소모 및 데이터요금과 관련되므로 중요)
- 그 외 인터넷을 통한 이메일 수신 여부, 스마트폰의 전화기 기능이 켜져 있는지의 여부 등 표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후에 표시되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각 항목은 실제로는 아이콘(가령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여러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콘들의 배열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나, 디스플레이에 따른 구동 전력을 최소화하려면 도2에서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도2에서는 해당 항목들을 비교적 크게 표시했으나 실제로는 식별이 가능한 한도내에서 최대한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이 절전 효과상 바람직하다. 도2에 표시된 아이콘을 제외한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의 픽셀들은 발광이 오프가 되거나 오프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절전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은 음량/진동, 네트워크 상태, 배터리 잔량,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미수신 전화 여부, 날짜/요일, 시계 등의 이동통신기기용 상시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맨 위에는 슬라이딩 터치에 의해 절전상태를 종료하고 디스플레이 온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표시하는 슬라이딩 터치(언락)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3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은 시간, 날짜, 요일등과 배터리 잔량, 네트워크 상태, 안테나 수신상태, 미수신전화 여부확인, 미수신 문자 확인 등을 보여주고 있어,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많은 정보를 손쉽게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를 온(on) 하는 횟수가 획기적으로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상시정보표시창은 한위치에 오랫동안 디스플레이 됨으로 인해 생기는 특정위치의 편중사용을 막기 위해 수시로 위치를 바꾸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4은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의 기본블록도로서, 사용자의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100);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B:Baseband Processor)로서 마이컴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마이컴을 포함)(101);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2);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음성통화 및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CDMA 또는 GSM 등의 모뎀(103);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OLED 디스플레이(10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오프 명령이 실행되면, 제어부(101)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체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킨 후, 메모리(102)에 기 저장된 상기 정보 표시창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그 결과 크기를 최소화한 절전(power-saving)형의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디스플레이(104) 상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표시할 디스플레이의 주사선과 신호선 부분만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의 아이콘에 해당하는 OLED의 픽셀만이 발광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OLED 디스플레이는 모두 발광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에 의한 정보는 계속 이용이 가능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폰 등의 이동통신기기의 기본블록도로서, 사용자의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100);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B: Baseband Processor)로서 마이컴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마이컴을 포함)(101);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2);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음성통화 및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CDMA 또는 GSM 등의 모뎀(103); 제어부(101)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백라이트유닛과 LCD 디스플레이부(20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기기에서 세미활성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명령이 실행되면, 제어부(101)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체 디스플레이를 오프(OFF)시킨 후, 메모리(102)에 저장된 상기 정보 표시창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그 결과 크기를 최소화한 절전(power-saving)형의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LCD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표시할 디스플레이의 주사선과 신호선 부분만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이외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부분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소수의 백라이트 발광원(LED),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2개의 백라이트 발광원만을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나머지 백라이트 발광원은 오프 상태가 되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한다.
따라서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에 의해 필요한 정보는 계속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면서도 LCD 디스플레이와 백라이트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키 입력부 101 : 제어부
102 : 메모리 103 : CDMA/GSM 모뎀
104 : OLED 디스플레이

Claims (2)

  1.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기능에 의해 입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되, '세미활성모드'에서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세미활성모드 상시정보 표시창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음성통화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모뎀;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은, 휴대폰이 완전히 켜져 있는 완전한 정상상태인 '활성모드'와, 휴대폰의 화면이 꺼지고 마이컴이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슬립모드로 들어가는 꺼짐 상태인 '비활성모드'와, 전력소모 측면에서 상기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의 중간 상태인 '세미활성모드' 중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세미활성모드'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전원의 꺼짐(OFF)이 이루어질 때 또는 절전유지를 위한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전원의 자동 꺼짐(OFF)이 이루어질 때 실행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세미활성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전원이 꺼짐(OFF) 상태인 상기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에 일부 표시 정보만을 표시하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크기가 작은 창의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디스플레이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작동은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부 표시 정보는 전화기의 착신시 진동/전화벨 여부 표시, 네트워크 상태 표시, 배터리 잔량 표시,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미수신 전화 존재 표시, 날짜 및 요일 표시, 시계 표시 중 하나 이상으로 하여, 상기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만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휴대폰.










  2. 삭제
KR1020160113172A 2011-09-01 2016-09-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33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72A KR102339380B1 (ko) 2011-09-01 2016-09-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210071717A KR102422057B1 (ko) 2016-09-02 2021-06-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220081787A KR102618569B1 (ko) 2016-09-02 2022-07-04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220138711A KR102628417B1 (ko) 2016-09-02 2022-10-25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230149099A KR20230154785A (ko) 2016-09-02 2023-11-01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625A KR101658440B1 (ko) 2011-09-01 2011-09-01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160113172A KR102339380B1 (ko) 2011-09-01 2016-09-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625A Division KR101658440B1 (ko) 2011-09-01 2011-09-01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36A Division KR20170118665A (ko) 2017-10-16 2017-10-16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0210071717A Division KR102422057B1 (ko) 2016-09-02 2021-06-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76A KR20160108276A (ko) 2016-09-19
KR102339380B1 true KR102339380B1 (ko) 2021-12-13

Family

ID=7883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72A KR102339380B1 (ko) 2011-09-01 2016-09-02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1683B (zh) * 2017-12-20 2020-1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工作模式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99B1 (ko) * 2002-09-24 2004-11-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76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440B1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20130025228A (ko) 화면알리미 모드에서 상시 표시 아이콘 그룹을 생성하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US1107983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6357880B (zh) 一种双屏移动终端及其系统控制方法
US11048109B2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058132B1 (ko) 단말장치 및 기억매체
JP2003098992A (ja) 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その回路及び携帯用電子機器
US200701732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pad backlight of mobile phone
KR20190000097U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JP2007148104A (ja) 表示装置
WO2016007425A1 (en) Automatically activated visual indicators on computing device
JP2008219659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111959B1 (ko) 절전형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CN102917109A (zh) 一种带有部分显示功能的移动终端设备及其显示方法
CN105259990A (zh) 一种手持终端的背面显示装置及显示方法
KR102339380B1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102422057B1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200451981Y1 (ko)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상시 표시 아이콘 그룹을 생성하는 이동통신기기
KR20120053655A (ko)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02538U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KR20170118665A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US9268388B2 (en) Power saving method
CN111163508A (zh) 一种消息通知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30081592A (ko) 이동단말의 배터리정보 알림장치
JP2020057196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0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8

Effective date: 201905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4819;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10000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611

Effective date: 2020082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