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175B1 -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 Google Patents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175B1
KR102339175B1 KR1020210049026A KR20210049026A KR102339175B1 KR 102339175 B1 KR102339175 B1 KR 102339175B1 KR 1020210049026 A KR1020210049026 A KR 1020210049026A KR 20210049026 A KR20210049026 A KR 20210049026A KR 102339175 B1 KR102339175 B1 KR 10233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rone
arms
coupl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석
김기범
이병수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서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석 filed Critical 서광석
Priority to KR102021004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75B1/ko
Priority to PCT/KR2021/012638 priority patent/WO20222203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6Frames; Stringers; Longerons ; Fuselage sections
    • B64C1/061Frames
    • B64C1/063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e.g. foldable tail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6Flying platforms with five or more distinct rotor axes, e.g. octo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7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UAV body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암을 수용하여 결합하도록 다수의 암 결합부가 형성된 드론 몸체 및 로터와 프로펠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에 수용되어 상기 드론 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는 상기 드론 몸체의 측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각각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암은 상기 암 결합부에 수용되어 결합될 시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Assembled drone with variable number and length of arms}
본 발명은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드론에 결합되는 암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드론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및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드론(target drone), 정찰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드론(surveillance drone)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 그리고 농약을 살포하거나,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배달업계 내지는 마니아나 키덜트를 공략한 제품으로써 드론의 활용 분야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드론은 대부분 본체, 모터 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형태를 변경하거나 드론 본체에 별도의 주변기기를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드론의 구비된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목적에 맞는 드론을 조립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427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가 형성된 드론 몸체; 및 로터 및 프로펠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에 결합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암은 상기 암 결합부 세트에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내부 방향을 따라 다수의 암 결합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에 상기 다수의 암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암이 상기 암 결합부에서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몸체는 평면상에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최대 2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는 서로 각각 15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드론 몸체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에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암이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상부 암의 로터와, 상기 하부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암의 로터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로터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몸체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암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암은 상기 암 고정부로 삽입되고, 상기 암 고정부는 상기 암을 고정시켜 상기 드론 몸체와 상기 암을 조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하게 드론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드론 몸체에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다. 드론에서 암은 로터 및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부품으로써, 드론에 구비된 암의 개수는 드론의 비행 능력과 직결되는 요인이다. 따라서 드론의 암의 개수가 많다는 것은 드론의 비행 능력이 우수하여 하중이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무거운 촬영장비로 촬영을 수행하는 등 특수한 임무 또는 업무에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드론의 비행 능력이 우수할 정도로 필요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에게는 드론에 구비된 암의 개수가 적은 편이 드론을 조종하고 관리하기가 편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드론의 암의 개수를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하게 드론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다양한 암의 개수로 드론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조립을 위해 드론 몸체에 결합되는 암의 길이를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쿼드콥터, 헥사콥터 뿐만 아니라 암의 개수가 8개에서 24개까지 폭넓은 개수로 암을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드론 몸체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에 길이 조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 결합부와 길이 조절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드론 몸체에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의 길이를 가변하여 드론 몸체에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상부 몸체에 상부 암이, 하부 몸체에 하부 암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하나의 암을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고정하고, 하나의 암에 상하로 로터 및 프로펠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원형의 파이프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암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조립된 형태의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조립된 형태의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드론 몸체(10) 및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 몸체(10)는 드론을 구동시키는 제어부, 받침대, 암(20) 등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드론 몸체(10)는 소정의 두께가 있는 사각형, 오각형 등을 비롯한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드론 몸체(10)에는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가 형성되어 있다.
암 결합부 세트(100)는 드론의 암(2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는 드론 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드론 몸체(10)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 결합부(101)는 다수 개가 모여 하나의 암 결합부 세트(100)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암 결합부(10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20)은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와 결합되어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를 지지하는 막대 또는 긴 직사각형의 판 형태의 구성이다. 또한, 암(20)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암(20)은 다수 개가 드론 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암(20)은 드론 몸체(10)의 테두리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암 결합부 세트(100)와 중첩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 등으로 드론 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암(20)은 로터(200)의 위치와 반대인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결합부(220)는 암 결합부(101)와 동일한 크기와 간격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암 결합부(101)에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중첩되어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드론 몸체(10)에 암(20)이 결합되는 길이가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개수에 따라 프로펠러(210)가 4개인 쿼드콥터 또는 6개인 헥사콥터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자가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드론 몸체(10)에는 상단에 추가적으로 드론 몸체(10)가 조립되어 드론의 제어부, 디스플레이 등 드론과 관련된 각종 부품이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드론에서 드론 몸체(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드론 몸체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드론 몸체(10)는 가장 바람직하게 원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드론 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드론 몸체(10)의 표면에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는 서로 이웃하는 암 결합부 세트(100)의 사이에 15도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 몸체(10)를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암 결합부(101)는 예를 들어 15도의 간격으로 최대로 총 24개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암 결합부 세트(100)는 드론 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다수의 암 결합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암 결합부(101)는 암의 길이 조절 결합부(220)와 결합하여 암을 드론 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암 결합부 세트(100)에서 각각의 암 결합부(101)는 이웃하는 서로 다른 암 결합부(10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간격은 최소 5mm부터 최대 10mm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암 결합부 세트(100)에서 암 결합부(101)의 개수는 실시하기에 따라 최소 5개의 세트에서 최대 8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드론에서 암(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의 표면에 길이 조절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20)은 막대, 긴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20)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파이프의 형태일 수도 있다. 아울러, 암(20)의 로터(200)가 결합되는 분의 반대쪽은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결합부(220)는 암 결합부(101)와 동일한 크기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 결합부(220)는 실시하기에 따라 최대 8개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 결합부와 길이 조절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암 결합부(101)와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드론 몸체(10)에 암(20)이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20)은 드론 몸체(10)에 위치하여 암 결합부(101)와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중첩하게 되고, 중첩된 암 결합부(101)와 길이 조절 결합부(220)를 나사 결합 또는 끼움부재에 의한 끼움 결합으로 고정시키면, 드론 몸체(10)와 암(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 때 드론 몸체(10)와 암(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암 결합부(101)와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중첩된 부분에 대하여 나사 결합이나 끼움 결합을 하나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사 결합이나 끼움 결합을 복수로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20)과 드론 몸체(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드론 몸체(10)에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드론 몸체에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드론 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에 다수의 암(20)이 결합되는 개수를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 드론 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 중에서 12시, 3시, 6시, 9시 방향에 구비된 암 결합부 세트(100)에만 각각 암(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 몸체(10)와 암(20)은 쿼드콥터로써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서 드론 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100) 중에서 12시, 2시, 4시, 6시, 8시, 10시 방향에 구비된 암 결합부 세트(100)에만 각각 암(2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드론 몸체(10)와 암(20)은 헥사콥터로써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드론 몸체(10)에 형성된 암 결합부 세트(100)는 24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개수는 최대 24개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론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드론 몸체(10)에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암(20)의 길이를 가변하여 드론 몸체(10)에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암의 길이를 가변하여 드론 몸체에 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20)은 암 결합부(101)에 결합될 시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조립될 수 있다. 즉, 암 결합부 세트(100)에 형성된 암 결합부(101) 중에서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길이를 가변시켜 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암 결합부(102) 및 제2 암 결합부(103)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 결합부(220)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암 결합부(102)는 암 결합부 세트(100)에서 드론 몸체(10)의 테두리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암 결합부(103)는 암 결합부 세트(100)에서 드론 몸체(10)의 중심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길이 조절 결합부(220)의 끝단을 제1 암 결합부(102)에 중첩하여 결합시키면, 드론 몸체(10)로부터 암(20)의 길이가 긴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고, 길이 조절 결합부(220)의 끝단을 제2 암 결합부(103)에 중첩하여 결합시키면, 드론 몸체(10)로부터 암(20)의 길이가 짧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드론 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깊숙이 형성된 암 결합부(101)와 결합할수록 드론 몸체(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암(20)의 길이가 짧아지고, 암(20)에 결합된 프로펠러(210)가 드론 몸체(10)와 가까워져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길이 조절 결합부(220)가 드론 몸체(10)의 중심 방향과 멀어져 형성된 암 결합부(101)와 결합할수록 드론 몸체(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암(20)의 길이가 길어지고, 암(20)에 결합된 프로펠러(210)가 드론 몸체(10)와 멀어져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개수가 드론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 드론 몸체(10)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고,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면,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개수가 증가할 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암(20)끼리 프로펠러(210)의 회전반경에 중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드론 몸체(10)에 프로펠러(210)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암(20)에 결합되어 있는 프로펠러(210)끼리는 회전반경이 중첩되어 드론 몸체(10)에는 많은 암(20)을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20)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드론 몸체(10)로부터 암(20)이 결합되는 길이를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드론 몸체(10)에 다수의 암(20)을 가변적으로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론의 사용 목적에 따라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드론 몸체(10)에 암(20)의 길이를 변경하여 결합함에 따라 드론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대 또는 랜딩기어(이하 받침대)를 크기 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받침대는 드론의 암(20)의 길이에 대응하여 그 크기 또는 길이가 결정되어야 한다. 암(20)의 길이가 긴데 받침대가 작거나 짧으면 암(20)의 하중에 제대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드론의 착지가 매우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암(20)의 길이를 변경함에 따라 받침대의 크기 또는 길이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론 몸체(10)가 상부 및 하부로 구비되어 다수의 암(20)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상부 몸체에 상부 암이, 하부 몸체에 하부 암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시하기에 따라 상부 및 하부에 암을 결합하여 드론을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드론 몸체(10)는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는 몸체 고정부(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몸체 고정부(130)는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의 중앙 부분에서 하단으로는 하부 몸체(120)와, 상단으로는 상부 몸체(11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에는 각각 암이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에는 각각 암 결합부(1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몸체(110)의 암 결합부(101)에 상부 암(230)이 결합되고, 하부 몸체(120)의 암 겸합부에는 하부 암(2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암(230) 및 하부 암(2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의 개수를 변경하여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에 길이를 변경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 암(230) 및 하부 암(240)은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결합될 시 상부 암(230)의 로터(200) 및 하부 암(240)의 로터(200)를 지지하는 로터 고정부(2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 고정부(250)는 상부 암(23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하부 암(240)의 상단까지 연결됨으로써 로터(2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다른 형태로 로터 및 프로펠러가 상하로 구비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하나의 암을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고정하고, 하나의 암에 상하로 로터 및 프로펠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서 원형의 파이프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암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암 고정부(140)가 결합되어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암 고정부(140)은 암(20)의 최대 조립 가능한 개수만큼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암(20)을 결합시키는 것은 암 고정부(140)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암 고정부(140)는 도 9와 같이 최초에는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가 이격되어 있으나, 암 고정부(14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나사를 조여줌으로써 이격된 상하가 가운데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구비된 암 고정부(140)의 가운데 부분에 암(20)이 삽입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서 암 고정부(140)의 상단 및 하단의 나사를 조여줌으로써, 암 고정부(140)의 가운데 부분이 암(20)을 단단히 고정시키게 되어 암(20)이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암 고정부(140)는 도 8에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중심 부분에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의 중심 부분과 테두리 부분에서 암(2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된 암(20)에는 상단 및 하단에 2개의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암(20)에 2개의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된 암(20)에는 상단 및 하단에 로터 고정부(25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 고정부(250)는 암 고정부(14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며,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나사를 조여줌으로써 이격된 상하가 가운데로 이동하여 암(20)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로터 고정부(250)는 암(20)의 끝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2개가 고정되고, 2개의 로터 고정부(250)에는 암(20)의 상단 및 하단으로 각각 2개의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암(20)에 2개의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조립되는 형태의 드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조립된 형태의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조립된 형태의 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은 앞서 도 5에 도시된 조립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몸체(10) 및 암(20)은 4개의 암(20)을 활용하여 십자 모양의 Quad plus 형태나, X자 모양의 Quad X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6개의 암(20)을 활용하여 눈 결정 모양의 Hexa plus 형태나 Hexa X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고, 4개의 암(20)은 X자 형태로 드론 몸체(10)에 길게 조립되고, 2개의 암(20)은 가로로 짧게 드론 몸체(10)에 결합되는 Hexa H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으며, 3개의 상부 암(230)과 3개의 하부 암(240)이 각각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에 Y자 형태로 결합되는 Hexa coax 형태나 Hexa coax reversed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또, Hexa X의 조립 형태에서 각각 하나의 로터(200) 및 프로펠러(210)가 더 추가된 Hexa Coax X 형태로도 조립될 수 있다.
또한, 8개의 암(20)을 활용하여 드론 몸체(10)에 모두 동일한 길이로 조립한 Octo plus 형태 또는 Oxto X 형태로 조립할 수 있고, 드론 몸체(10)에 4개의 암(20)은 길고, 4개의 암(20)은 짧게 결합된 Octo square X 형태나 Octo square plus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으며, 2개의 암(20)이 중첩된 Octo colinear plus 형태나 Octo colinear X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고, 4개의 상부 암(230)과 4개의 하부 암(240)이 각각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에 조립되는 Octo coax plus 형태 또는 Octo coax X 형태로도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드론은 다양한 형태로 드론 몸체(10)와 암(20)을 조립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드론 몸체
100 : 암 결합부 세트
101 : 암 결합부
102 : 제1 암 결합부
103 : 제2 암 결합부
110 : 상부 몸체
120 : 하부 몸체
130 : 몸체 고정부
140 : 암 고정부
20 : 암
200 : 로터
210 : 프로펠러
220 : 길이 조절 결합부
230 : 상부 암
240 : 하부 암
250 : 로터 고정부

Claims (8)

  1.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에 있어서,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가 형성된 드론 몸체; 및
    로터 및 프로펠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에 결합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암은 상기 암 결합부 세트에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내부 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멍으로 형성된 다수의 암 결합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일렬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에 상기 다수의 암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암이 상기 암 결합부에서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드론 몸체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암은 직사각형의 판 형태 또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드론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판의 평면상에서,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의 제 1 종단들은 상기 드론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에서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의 제 2 종단들은 상기 원형의 판의 테두리에 배열되며,
    하나의 암 결합부 세트는 상기 제 1 종단부터 상기 제 2 종단에 이르는 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인은 상기 드론 몸체를 4분면에서 보았을 시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4분면에 복수 개 배열된 라인은 각각 상기 4분면에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각도가 동일한,
    조립식 드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몸체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암 결합부 세트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에는 각각 상기 다수의 암이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되는 것인,
    조립식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에 결합되는 상부 암의 로터와, 상기 하부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암의 로터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로터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조립식 드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몸체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암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암은 상기 암 고정부로 삽입되고,
    상기 암 고정부는 상기 암을 고정시켜 상기 드론 몸체와 상기 암을 조립시키는,
    조립식 드론.
KR1020210049026A 2021-04-15 2021-04-15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KR10233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26A KR102339175B1 (ko) 2021-04-15 2021-04-15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PCT/KR2021/012638 WO2022220345A1 (ko) 2021-04-15 2021-09-15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26A KR102339175B1 (ko) 2021-04-15 2021-04-15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175B1 true KR102339175B1 (ko) 2021-12-14

Family

ID=7893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26A KR102339175B1 (ko) 2021-04-15 2021-04-15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9175B1 (ko)
WO (1) WO202222034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0028A1 (en) * 2014-01-20 2016-11-24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KR20170110922A (ko) * 2016-03-24 2017-10-12 김진규 다층 구조의 회전날개 유닛을 가지는 멀티콥터
KR20170126127A (ko) * 2016-05-09 2017-11-17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자체적으로 무게 중심을 조정하는 드론
KR20180027914A (ko) * 2016-09-07 2018-03-15 이승희 드론
KR101942750B1 (ko) 2018-03-06 2019-01-28 주식회사 에코리아 조립식 드론
KR20190057056A (ko) * 2016-09-26 2019-05-27 장태정 다목적 비행체
US20200324889A1 (en) * 2017-12-15 2020-10-1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Fligh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10B1 (ko) * 2012-09-03 2014-02-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콥터
KR101860021B1 (ko) * 2016-05-31 2018-05-21 김성남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0028A1 (en) * 2014-01-20 2016-11-24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KR20170110922A (ko) * 2016-03-24 2017-10-12 김진규 다층 구조의 회전날개 유닛을 가지는 멀티콥터
KR20170126127A (ko) * 2016-05-09 2017-11-17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자체적으로 무게 중심을 조정하는 드론
KR20180027914A (ko) * 2016-09-07 2018-03-15 이승희 드론
KR20190057056A (ko) * 2016-09-26 2019-05-27 장태정 다목적 비행체
US20200324889A1 (en) * 2017-12-15 2020-10-1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Flight vehicle
KR101942750B1 (ko) 2018-03-06 2019-01-28 주식회사 에코리아 조립식 드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multipurpose modular drone with adjustable arms produced via the FDM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2016.5.2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45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589B2 (en) Foldable drone
US20170313418A1 (en) Unmanned vehicle
US10696394B2 (en) Shape-reconfigurable drone
US10279898B2 (en) Rocket or ballistic launch rotary wing vehicle
US20190351992A1 (en) Uav mounting system
CN104669964A (zh) 一种水陆空三栖无人侦查装置
KR101998799B1 (ko)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KR102339175B1 (ko) 암의 개수 및 길이가 변경 가능한 조립식 드론
CN109159894A (zh) 一种陆空两栖球形无人机
KR102292103B1 (ko) 폴딩형 수송용 드론
KR101793389B1 (ko) 가변 프레임을 구비하는 비행체
KR20160051163A (ko) 무인 비행체
JPWO2020136803A1 (ja) 無人航空機
KR101665236B1 (ko) 무인 비행체의 멀티 로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의 조립 방법
KR101884673B1 (ko) 결합형 대형 멀티콥터
KR102248289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US20190300207A1 (en) Artificial satellite and satellite propulsion method
US11987403B2 (en) Method for destroying the enemy's targets using missiles launched from multicopter drones carried inside soldiers' backpacks
KR20160023285A (ko) 틸트-큐브 무인기
KR102508583B1 (ko) 편대 유지 기구
CN109264018A (zh) 一种紧凑储运无人机快速拆装结构布局
KR20200031836A (ko)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Nedelcut Coanda effect UAV-a new born baby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family
KR101776949B1 (ko) 고정익 드론의 날개결합장치
KR101699966B1 (ko) 무인비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