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836A -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 Google Patents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836A
KR20200031836A KR1020180110788A KR20180110788A KR20200031836A KR 20200031836 A KR20200031836 A KR 20200031836A KR 1020180110788 A KR1020180110788 A KR 1020180110788A KR 20180110788 A KR20180110788 A KR 20180110788A KR 20200031836 A KR20200031836 A KR 2020003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pump
proximity sensor
k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환
Original Assignee
임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환 filed Critical 임상환
Priority to KR102018011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836A/ko
Publication of KR2020003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간단한 조립으로 드론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애물 형태와 훈련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 드론 비행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되어 드론의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형성하기 위한 키트로서, 동일 길이 및 다른 길이를 갖고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과 조합되게 조립되어 기하학적 형태나, 입방체 형태 또는 돔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능 프레임; 및 상기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어 부가 장애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MODULE TYPE OBSTACLES KIT FOR DRON FLIGHT TRAINING}
본 발명은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간단한 조립으로 드론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애물 형태와 훈련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 드론 비행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 무인비행체)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이다.
드론은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드론, 정찰드론, 감시드론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
이러한 드론의 조종은 최근 들어 개인의 취미활동으로부터 동호회를 조직하는 등 점차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하나로 국내외에서 각종 드론레이싱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드론레이싱은 드래그 레이싱이나 플래그 레이싱 등 장애물 코스나 깃발코스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개인이 드론 조종의 연습을 위하여 실내에서나 운동장 등에서 코스를 연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장애물이나 깃발 등의 코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에 드론 조종 연습을 위한 장애물 코스의 하나로 비행하는 드론을 통과시키는 원형이나 반원형의 키트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키트는 설치나 해체가 불편하고 부피가 커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야외에서 드론의 조종을 연습할 때에 바람에 의하여 키트가 고정되지 않고 이리저리 흔들리게 되면 드론의 비행 중에 충돌이 잦아져 드론의 망실을 유발하게 되고, 드론을 통과시키는 원형의 장애물 키트의 사이즈별로 준비해야 하거나 원형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일정 공간 내에서 장애물 코스를 이루도록 복수의 장애물이 설치된 비행경기장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장애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이착륙하며 정해진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도록 참가자의 조종에 의해 비행하는 무인비행체와; 상기 무인비행체가 출발지점으로부터 출발한 시간부터 상기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는 코스 통과 시간 정보를 측정하는 타임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3647(2018.08.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8065(2018.05.1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42159(2018.03.26.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간단한 조립으로 드론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애물 형태와 훈련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 드론 비행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조립되어 드론의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형성하기 위한 키트로서, 동일 길이 및 다른 길이를 갖고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과 조합되게 조립되어 기하학적 형태나, 입방체 형태 또는 돔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능 프레임; 및 상기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어 부가 장애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단부에 무게추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능 프레임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단부 요철 결합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몸체 요철 결합부가 구성되며, 선형, 아치형, 원형,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 프레임은 상기 몸체 요철 결합부를 제외한 외면에 피복되는 완충 부재 또는 커버되는 에어 튜브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기능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의 타단부의 요철 결합부 중 하나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튜브 및 에어 공급-흡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구비되지 않은 기능 프레임의 양단부의 요철 결합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의 타단부의 요철 결합부 중 하나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튜브 및 에어 공급-흡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구비되지 않은 기능 프레임의 양단부의 요철 결합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상기 제어회로모듈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에어 공급-흡입 펌프의 실행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능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와,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와,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와,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기능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와,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및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서브 기능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간단한 조립으로 드론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고, 새로운 다른 키트와 조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다양한 장애물 형태와 훈련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 드론 비행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값비싼 장비인 드론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1단 장애물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2단 장매물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2단 선회비행 장애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3단 선회비행 장애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기능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1단 장애물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2단 장매물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2단 선회비행 장애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기능 프레임을 조립하여 3단 선회비행 장애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는, 서로 조립되어 드론의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형성하기 위한 키트로서, 각각 동일 길이 및 다른 길이를 갖고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조합되게 조립되어 기하학적 형태나, 입방체 형태 또는 돔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능 프레임(200); 및 상기 기능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부가 장애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기능 유닛(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하기에서 설명할 기능 프레임(200)이 장애물 기능(서브 장애물)을 제공할 때 그 기능 프레임(200)과 함께 메인 장애물의 골격(예를 들면, 바닥부 골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선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수지재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지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중을 부여하고, 기능 프레임(200)과 구분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철재 등의 무게추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기 기능 프레임(200)과 육안으로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하여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 프레임(20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같이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바람직하게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단부 요철 결합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몸체 요철 결합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능 프레임(200)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기능 유닛이 구성되어야 함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 또는 단면 크기가 크게(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기능 프레임(200)은 선형, 아치형, 원형,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 프레임(200)은 그 외면에 발포체와 같은 완충 부재가 피복되어 더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 부재는 기능 프레임(200)에서 형성되는 몸체 요철 결합부를 제외한 외면을 커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 프레임(200)은 외면에 완충 부재가 구성됨으로써 드론, 특히 고가의 드론의 비행 시 그 기능 프레임(200)에 부딪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 프레임(200)에는 발포체의 완충 부재가 구성되는 대신에,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에어 완충층이 커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에어 완충층에는 상기 몸체 요철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 구멍이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 유닛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를 구성하는 기능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200)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210)와,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200)에 구비되며, 하기의 에어 공급-흡입 펌프의 에어 공급과 흡입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에어튜브(320)와, 상기 에어튜브(320)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3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와,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20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210)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40)와, 상기 전원공급부(340)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20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3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350)와, 상기 근접 센서(210)와 에어튜브(320) 및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는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340)는 구비되지 않은 기능 프레임(200)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미도시)와, 상기 근접 센서(2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미도시), 및 상기 전원공급부(34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근접 센서(310) 대신에, 상기 제어회로모듈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 및 상기 무선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의 실행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310)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는 기능 프레임(2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근접 센서(310)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는 기능 프레임(200)의 제작 시 인서트 몰딩되어 구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기능 프레임의 조립 시 그 내측에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40)는 충전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전 배터리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태양광 발전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전기접속 단자(350) 및 서브 전기접속 단자는 상기 기능 프레임(200)의 단부에 상보적으로 끼움 맞춤되는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능 유닛에서 서브 전기접속 단자를 제외한 그 기능 유닛의 구성요소 모두를 포함하는 기능 프레임은 메인 기능 프레임이 되고, 전원 공급부와 전원 온/오프 스위치 및 메인 전기접속 단자가 생략되고 서브 전기접속 단자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은 서브 기능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기능 프레임은 근접 센서(210)와, 에어튜브(320)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와, 전원공급부(340)와, 메인 전기접속 단자(350)와, 제어회로모듈, 및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기능 프레임, 및 근접 센서(210)와, 에어튜브(320)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330)와, 서브 전기접속 단자(350)와, 제어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서브 기능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기능 프레임은 근접 센서(210) 대신에,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원격지의 무선 제어기를 통해 에어 공급-흡입 펌프의 실행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능 유닛을 갖는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메인 기능 프레임 및 서브 기능 프레임을 조합되게 조립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1단, 2단, 선회비행을 위한 장애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드론 비행훈련 시 또는 드론 레이싱 경기에서 민첩한 대응 조작을 위하여 근접 센서에 의한 드론 검출이나 원격지 제어기를 순간적으로 에어 튜브를 팽창시켜 순간대응 장애물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 장애물 통과 시 팽창된 에어 튜브의 보조 장애물을 피하지 못하고 부딪히는 경우에도, 보조 장애물이 에어 튜브로 이루어짐으로써 드론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에 의하면, 단독으로 또는 간단한 조립으로 드론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고, 새로운 다른 키트와 조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장애물 형태와 훈련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 드론 비행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값비싼 장비인 드론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기능 프레임
310: 근접 센서
320: 에어 튜브
330: 에어 공급-흡입 펌프
340: 전원공급부

Claims (6)

  1. 조립되어 드론의 비행훈련을 위한 장애물을 형성하기 위한 키트로서,
    동일 길이 및 다른 길이를 갖고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
    상호 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과 조합되게 조립되어 기하학적 형태나, 입방체 형태 또는 돔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기능 프레임; 및
    상기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어 부가 장애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단부에 무게추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능 프레임은 단면 원형 또는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단부 요철 결합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몸체 요철 결합부가 구성되며, 선형, 아치형, 원형,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프레임은
    상기 몸체 요철 결합부를 제외한 외면에 피복되는 완충 부재 또는 커버되는 에어 튜브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기능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의 타단부의 요철 결합부 중 하나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튜브 및 에어 공급-흡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구비되지 않은 기능 프레임의 양단부의 요철 결합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에 구비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
    상기 복수의 기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기능 프레임의 타단부의 요철 결합부 중 하나에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튜브 및 에어 공급-흡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구비되지 않은 기능 프레임의 양단부의 요철 결합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상기 제어회로모듈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모듈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에어 공급-흡입 펌프의 실행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와,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와,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근접 센서와 에어 공급-흡입 펌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전기접속 단자와,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메인 기능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개소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와,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그 에어튜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에어 공급-흡입 펌프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 전기접속 단자, 및 상기 근접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공급-흡입 펌프에 동작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서브 기능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KR1020180110788A 2018-09-17 2018-09-17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KR20200031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88A KR20200031836A (ko) 2018-09-17 2018-09-17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88A KR20200031836A (ko) 2018-09-17 2018-09-17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36A true KR20200031836A (ko) 2020-03-25

Family

ID=7000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88A KR20200031836A (ko) 2018-09-17 2018-09-17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8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87B1 (ko) * 2020-12-30 2021-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이 가능한 큐브형 드론 미로
KR20210158666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용 가변 게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159B1 (ko) 2017-04-05 2018-03-26 (주)프리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KR20180048065A (ko) 2016-11-02 2018-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훈련 장치
KR20180093647A (ko) 2017-02-14 2018-08-22 이형준 드론 조종 연습용 장애물 코스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065A (ko) 2016-11-02 2018-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훈련 장치
KR20180093647A (ko) 2017-02-14 2018-08-22 이형준 드론 조종 연습용 장애물 코스 키트
KR101842159B1 (ko) 2017-04-05 2018-03-26 (주)프리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66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매드벤처 드론 통과용 가변 게이트
KR102306887B1 (ko) * 2020-12-30 2021-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이 가능한 큐브형 드론 미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23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KR101796698B1 (ko) 소형 무인비행체 비행 연습 및 경기 시스템
ES2911386T3 (es) Técnicas de efectos especiales
US8876571B2 (en) Aerial display system with marionettes articulated and supported by airborne devices
WO202004132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CN107115687B (zh) 一种基于无人机航母的多维声光舞台系统
US11753134B2 (en) Flying robot with lighter-than-air gas and internal rear projector
KR20200031836A (ko) 드론 비행훈련용 모듈형 장애물 키트
DE212015000008U1 (de) Selbstangetriebene Vorrichtung mit magnetischer Kopplung
US10023309B2 (en) Remote controlled aircraft
WO2015105554A1 (en) Enclosed dron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180093647A (ko) 드론 조종 연습용 장애물 코스 키트
WO2015177376A1 (en) Mechanical structure for a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62389B1 (ko)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KR101965539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드론 장치
KR20210107946A (ko) 유아 및 반려동물용 드론
KR200485029Y1 (ko) 무인 비행체 게임용 장애물 구조
US20200039646A1 (en) Flying Gyroscope System and Method
CN205323227U (zh) 一种遥控飞行器
KR200489523Y1 (ko) 실내 드론 경기용 세트
KR20180030336A (ko) 날개 분리가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선풍기
KR102614743B1 (ko) 공연용 드론
US20140315464A1 (en) Remotely Controlled, Impact-Resistant Model Helicopter
EP3057812A1 (en) Enclosed dron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05353769U (zh) 一种飞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