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108B1 -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Google Patents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108B1 KR102339108B1 KR1020210055941A KR20210055941A KR102339108B1 KR 102339108 B1 KR102339108 B1 KR 102339108B1 KR 1020210055941 A KR1020210055941 A KR 1020210055941A KR 20210055941 A KR20210055941 A KR 20210055941A KR 102339108 B1 KR102339108 B1 KR 102339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forklift
- user
- support device
- shou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무거운 짐을 이동시키기 위해 어깨를 이용하는 도구들이 오래 전부터 개발되고 있는바, 대부분 지게와 같이 멜빵을 이용하여 어깨에 매고, 물건을 등뒤에 짊어지는 유형이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물건을 신속하게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특허 10-2018-0102643호에서, 작업자에게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된 암부와, 상기 암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손으로 쥠으로써 짐을 보유 지지하는 것과 같이 구성된 핸드부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핸드부를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와이어를 조출함으로써 상기 핸드부를 하강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권취측 및 조출측으로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와,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수동 조작부와, 상기 수동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모터를 권취측 및 조출측으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 속도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가 미리 설정된 설정 회전 속도로 권취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 모터를 권취측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10-2019-0098955호에서, 작업자의 등부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암부와, 이너 및 아우터를 갖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의 한쪽 단부가 상기 암부에 접속되고, 상기 아우터의 한쪽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상기 이너가 상기 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짐을 보유 지지하는 핸드부가 상기 이너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이너의 다른 쪽 단부 및 상기 아우터의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승강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이너의 다른 쪽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이너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핸드부를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이너를 조출함으로써 상기 핸드부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회전체와, 상기 아우터의 다른 쪽 단부가 접속되는 아우터 수용부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와, 상기 회전체를 정역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갖고, 상기 지지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수용부에 걸쳐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이너에 있어서 의 상기 회전체와 상기 아우터 수용부 사이의 부분을 따라 연장 돌출되어 있는 기술이 선 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작업자의 작업(동작)을 보조하는 어시스트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나, 전동 모터,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중량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짐무게와 더불어 어시스트 기구 중량이 추가되어 체력소모가 심하며, 큰 부피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 물건 이동용으로 부적합한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어깨부위에 착용되도록 구비되는 어깨밴드; 상기 어깨밴드에 연결되어 사용자 몸통부위에 착용되고, 버클에 의해 결속/해제되도록 구비되는 몸통밴드; 및 상기 어깨밴드 또는 몸통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운반물을 결속하도록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지게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깨밴드는 작업복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의류의 형태로 착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은 사용자 체형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표면에 마찰코팅층이 형성되는 띠부로 형성되거나, 고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부는 신축조절수단에 의해 원터치 식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신축조절수단은, 외주면에 고리부가 연결되고, 내부에 격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 양측벽에 관통되는 원형축홀과, 원형축홀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축홀 지름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키홀과, 원형축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에 각봉이 형성되는 축봉과, 축봉에 설치되고, 격실 내에서 지게띠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롤러와, 축봉 양단에 설치되고,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축봉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축봉은 원형축홀 내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레버에 의해 회전 작동되면서 지게띠 길이가 조절되고, 고리부를 운반물에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축봉이 당겨지면서 각봉(54)이 키홀에 맞물려 지게띠 풀림이 정지된 상태로 지게띠를 통한 인상력이 고리부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실 내에 설치되어 탄성체에 의해 축봉을 원형축홀 측으로 가압하는 밀편이 구비되고, 상기 밀편에 의해 고리부 측으로 가하지는 인상력이 해제시, 각봉이 원형축홀로 이동하여 권취롤러가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골반에 거치되도록 착용되고, 버클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골반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골반밴드는 사용자 옆구리 또는 배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바에 의해 몸통밴드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수단에 운반물을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지게띠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바에 의해 어깨밴드와 골반밴드 측으로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는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골반밴드 상에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지지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홈과, 골반밴드에 설치되고, 내부에 레일홀이 형성되어 지지바가 길이 조절되도록 삽입되는 레일하우징과, 스톱홈과 맞물리도록 레일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체에 의해 돌출 작동되는 키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을 가압시 스톱홈과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바가 자유롭게 길이 조절되고, 키버튼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체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어 스톱홈에 맞물려 지지바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띠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고리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신축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복의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복의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띠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고리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신축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복의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복의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띠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체결수단이 고리부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신축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골반밴드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의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부착된 작업의 사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어깨 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물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이 인상되면서,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어깨밴드(10), 몸통밴드(20), 지게띠(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깨밴드(10)는 사용자 어깨부위에 착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어깨밴드(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거나, 'X'자형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버클(22)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사용자 어깨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쿠션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깨밴드(10)는 자켓이나 조끼 등의 의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깨밴드(10)가 의류에 고정되므로 운반물(W)을 들 때 운반물의 하중이 의류에 고르게 분산되어 적은 힘을 사용하여 운반물을 들 수 있게 된다.
어깨밴드(10)는 의류에 부착된 벨크로에 부착되어 고정되거나, 의류에 직접 박음질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어깨밴드는 의류에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부착될 수 있도록 사각모양이나 “H”자, “ㅍ”자로 형성되어 의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통밴드(20)는 상기 어깨밴드(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몸통부위에 착용되고, 버클(22)에 의해 결속/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몸통밴드(20)는 'C'자형으로 일단이 형성되고, 양단에 버클(22)이 설치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해제되며, 사용자 체형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는 작업자의 신체에 결속되는 어깨밴드와 몸통밴드로 구성되어 운반물(W)을 들거나 이동할 때 운반물의 하중이 신체에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 장치는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복 또는 조끼의 내측에 부착된 상태로 구성되고, 몸통밴드(20)로 작업자의 신체에 밀착 고정되므로 운반물을 들거나 이동할 때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인상용 서포트 장치 또는 의류가 상측으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띠(30)는 상기 어깨밴드(10) 또는 몸통밴드(2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운반물(W)을 결속하도록 체결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지게띠(30)는 어깨밴드(10) 또는 몸통밴드(2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버클에 의해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40)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표면에 마찰코팅층(42a)이 형성되는 띠부(42)로 형성되고, 띠부(42)는 마찰코팅층(42a)이 운반물(W)에 접촉되도록 1회 이상 감은 상태로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에서 체결수단(40)은 고리부(44)로 형성되는바, 이때 고리부(44)는 운반물(W)에 거는 형태로 결속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지게띠(30)의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운반물(W)을 결속하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운반물(W)을 잡을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허리를 펴는 동작에 의해 운반물(W)이 인상되고, 이때 인상하중이 팔은 물론 어깨부위로 분산되어 고중량의 운반물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운반함과 더불어 어깨밴드, 몸통밴드, 지게띠로 이루어지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44)는 신축조절수단(50)에 의해 원터치 식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신축조절수단(50)은, 도 6과 같이 외주면에 고리부(44)가 연결되고, 내부에 격실(51a)이 형성되는 본체(51)와, 본체(51) 양측벽에 관통되는 원형축홀(52)과, 원형축홀(52)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축홀(52) 지름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키홀(53)과, 원형축홀(5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에 각봉(54)이 형성되는 축봉(55)과, 축봉(55)에 설치되고, 격실(51a) 내에서 지게띠(30)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롤러(56)와, 축봉(55) 양단에 설치되고, 본체(51) 외부로 노출되어 축봉(55)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레버(5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봉(55)은 원형축홀(52) 내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레버(57)에 의해 회전 작동되면서 지게띠(30) 길이가 조절되고, 고리부(44)를 운반물(W)에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도 7과 같이 축봉(55)이 당겨지면서 각봉(54)이 키홀(53)에 맞물려 지게띠(30) 풀림이 정지된 상태로 지게띠(30)를 통한 인상력이 고리부(44)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신축조절수단(50)에 의해 지게띠(30) 길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절됨에 따라 운반물(W) 형상 및 사이즈에 따라 고리부(44)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하여 안전하게 인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격실(51a) 내에 설치되어 탄성체(58a)에 의해 축봉(55)을 원형축홀(52) 측으로 가압하는 밀편(58)이 구비된다.
상기 밀편(58)에 의해 고리부(44) 측으로 가하지는 인상력이 해제시, 각봉(54)이 원형축홀(52)로 이동하여 권취롤러(56)가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지게띠(30) 길이 조절에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8에서, 사용자 골반에 거치되도록 착용되고, 버클(61)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골반밴드(60)가 구비된다.
상기 골반밴드(60)는 사용자 옆구리 또는 배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바(70)에 의해 몸통밴드(20)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수단(40)에 운반물(W)을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지게띠(30)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바(70)에 의해 어깨밴드(10)와 골반밴드(60) 측으로 분산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고중량 운반물(W)을 운반하는 중에 어깨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70)는 길이조절수단(80)에 의해 골반밴드(60) 상에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도 9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수단(80)은, 지지바(7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홈(82)과, 골반밴드(60)에 설치되고, 내부에 레일홀(83)이 형성되어 지지바(70)가 길이 조절되도록 삽입되는 레일하우징(84)과, 스톱홈(82)과 맞물리도록 레일하우징(84)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체(85a)에 의해 돌출 작동되는 키버튼(85)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키버튼(85)을 가압시 스톱홈(82)과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바(70)가 자유롭게 길이 조절되고, 키버튼(85)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체(85a)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어 스톱홈(82)에 맞물려 지지바(70)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현장에서 골반밴드(60) 위치를 조절하여 어깨밴드(10)와 골반밴드(60) 측으로 분산되는 하중을 사용자 체형에 적합하도록 정확하게 설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게띠(30)는 지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데, 지게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지게띠 분리부(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게띠 분리부(31)는 지게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게띠의 상측 또는 중간부에 형성되어 지게띠의 길이를 짧거나 더 길게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지게띠 분리부(31)는 버클 또는 암수결합되어 고정되는 부재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지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게띠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지게띠로 교환하는 것으로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지게띠 분리부(31)를 기준으로 지게띠 상측부와 하측부로 분리하고, 상기 지게띠 상측부에 형성된 버클(암)에 대응되는 형상의 버클(수)를 포함하는 지게띠의 하측부가 각각 50cm, 1m, 1.5m의 길이를 가지고 구성되면, 상기 지게띠(30)는 지게띠 하측부를 교체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지게띠 분리부(31)를 분리하여 지게띠 하측부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지게띠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기계장치 주변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상기 지게띠 분리부(31)를 분리하여 지게띠가 짧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12,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가 부착된 작업복 및 조끼를 나타낸 사진으로, 어깨밴드가 작업복의 내측에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복을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운반물의 하중을 보다 수월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가 작업복 또는 조끼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지게띠는 작업복 또는 조끼에 형성된 주머니에 삽입되고 클립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의류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어깨밴드 20: 몸통밴드
30: 지게띠 40: 체결수단
50: 신축조절수단 60: 골반밴드
70: 지지바 80: 길이조절수단
30: 지게띠 40: 체결수단
50: 신축조절수단 60: 골반밴드
70: 지지바 80: 길이조절수단
Claims (6)
- 사용자 어깨부위에 착용되도록 구비되는 어깨밴드(10);
상기 어깨밴드(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몸통부위에 착용되고, 버클(22)에 의해 결속/해제되도록 구비되는 몸통밴드(20); 및
상기 어깨밴드(10) 또는 몸통밴드(2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운반물(W)을 결속하도록 체결수단(40)이 구비되는 지게띠(30)와, 사용자 골반에 거치되도록 착용되고 버클(61)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골반밴드(60)로 구성되되,
상기 골반밴드(60)는 사용자 옆구리 또는 배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바(70)에 의해 몸통밴드(20)와 연결되고, 상기 체결수단(40)에 운반물(W)을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지게띠(30)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바(70)에 의해 어깨밴드(10)와 골반밴드(60) 측으로 분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70)는 길이조절수단(80)에 의해 골반밴드(60) 상에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80)은, 지지바(7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스톱홈(82)과, 골반밴드(60)에 설치되고, 내부에 레일홀(83)이 형성되어 지지바(70)가 길이 조절되도록 삽입되는 레일하우징(84)과, 스톱홈(82)과 맞물리도록 레일하우징(84)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체(85a)에 의해 돌출 작동되는 키버튼(85)을 포함하고,
상기 키버튼(85)을 가압시 스톱홈(82)과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바(70)가 자유롭게 길이 조절되고, 키버튼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체(85a)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어 스톱홈(82)에 맞물려 지지바(70)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밴드(10)는 작업복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의류의 형태로 착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22)은 사용자 체형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은, 표면에 마찰코팅층(42a)이 형성되는 띠부(42)로 형성되거나, 고리부(44)로 형성되되,
상기 고리부(44)는 신축조절수단(50)에 의해 원터치 식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신축조절수단(50)은, 외주면에 고리부(44)가 연결되고, 내부에 격실(51a)이 형성되는 본체(51)와, 본체(51) 양측벽에 관통되는 원형축홀(52)과, 원형축홀(52)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축홀(52) 지름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키홀(53)과, 원형축홀(5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에 각봉(54)이 형성되는 축봉(55)과, 축봉(55)에 설치되고, 격실(51a) 내에서 지게띠(30)를 권취하도록 구비되는 권취롤러(56)와, 축봉(55) 양단에 설치되고, 본체(51) 외부로 노출되어 축봉(55)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레버(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골반에 거치되도록 착용되고, 버클(61)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골반밴드(60)가 구비되고,
상기 골반밴드(60)는 사용자 옆구리 또는 배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바(70)에 의해 몸통밴드(20)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수단(40)에 운반물(W)을 결속한 상태로 인상력이 작용시, 지게띠(30) 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바(70)에 의해 어깨밴드(10)와 골반밴드(60) 측으로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51a) 내에 설치되어 탄성체(58a)에 의해 축봉(55)을 원형축홀(52) 측으로 가압하는 밀편(58)이 구비되고, 상기 밀편(58)에 의해 고리부(44) 측으로 가하지는 인상력이 해제시, 각봉(54)이 원형축홀(52)로 이동하여 권취롤러(56)가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00136 | 2021-01-15 | ||
KR2020210000136 | 2021-01-15 | ||
KR1020210025930 | 2021-02-25 | ||
KR20210025930 | 2021-02-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108B1 true KR102339108B1 (ko) | 2021-12-15 |
Family
ID=7886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5941A KR102339108B1 (ko) | 2021-01-15 | 2021-04-29 |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10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0555U (ko) * | 1990-09-25 | 1992-07-14 | ||
KR20100050860A (ko) * | 2008-11-06 | 2010-05-14 | 박용운 | 일인용 화물 운반장치 |
JP2016216224A (ja) * | 2015-05-22 | 2016-12-22 | 惠授 濱津 | 板材運搬補助機能付きベスト |
KR20180102643A (ko) | 2016-01-15 | 2018-09-17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어시스트 기구 |
KR20190098955A (ko) | 2016-12-22 | 2019-08-23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어시스트 기구 |
-
2021
- 2021-04-29 KR KR1020210055941A patent/KR1023391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0555U (ko) * | 1990-09-25 | 1992-07-14 | ||
KR20100050860A (ko) * | 2008-11-06 | 2010-05-14 | 박용운 | 일인용 화물 운반장치 |
JP2016216224A (ja) * | 2015-05-22 | 2016-12-22 | 惠授 濱津 | 板材運搬補助機能付きベスト |
KR20180102643A (ko) | 2016-01-15 | 2018-09-17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어시스트 기구 |
KR20190098955A (ko) | 2016-12-22 | 2019-08-23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어시스트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99447A (en) | Exercise belt | |
JP2004275749A (ja) | 荷物の位置を調整可能として背中で荷物を運ぶための装具 | |
US7614531B2 (en) | Extendable strap device | |
US6626131B2 (en) | Hands-free leash system | |
CN108348808B (zh) | 缆绳张紧系统带 | |
EP0005369A2 (en) | Bags convertible from a hand held form to a shoulder supported form | |
WO2007071150A1 (fr) | Sac a main | |
KR102339108B1 (ko) | 지게띠가 구비된 인상용 서포트장치 | |
US9427069B1 (en) | Drill holster | |
EP1378187A1 (en) | Extendable strap device and bag with the same | |
US20130331241A1 (en) | Exercise Belt | |
KR101284249B1 (ko) | 가방끈 및 가방 | |
JP6905842B2 (ja) |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 |
US3893604A (en) | Garment carrying aid | |
JP6899677B2 (ja) |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 |
WO2017066824A1 (en) | Carrying device for stand up paddleboards and the like | |
US20230416000A1 (en) | Work assisting apparatus | |
CN107259671B (zh) | 服装尺寸调节机构及具备该调节机构的服装 | |
US10618604B2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floatation device | |
KR102501720B1 (ko) | 착용형 운반 장치 | |
JP3219023U (ja) | 動作アシスト用装着具 | |
JP2006097220A (ja) | 衣服掛止具 | |
US9055797B2 (en) | Size adjustable carrying apparatus | |
AU2021106150A4 (en) | Dressing Aid Device | |
JP3527995B2 (ja) | 肩紐ベルト用固定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