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049B1 -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049B1
KR102339049B1 KR1020200083261A KR20200083261A KR102339049B1 KR 102339049 B1 KR102339049 B1 KR 102339049B1 KR 1020200083261 A KR1020200083261 A KR 1020200083261A KR 20200083261 A KR20200083261 A KR 20200083261A KR 102339049 B1 KR102339049 B1 KR 10233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reagent
period
pri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 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 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 잭
Priority to KR102020008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은, 대상 시약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구매기간 동안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및 판매사들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Reagent purchase service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혹은 집단 실험에 사용되는 기자재 및 시약들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업 자원 관리)라고 불리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그런데, 결재, 관리, 사용 등 역할에 맞는 부서가 나누어져 있는 조직에서는 ERP을 사용하기가 용이하지만, 소규모 전문 인력이 운영하는 대학교 연구실, 중소기업 연구소 등에는 ERP를 사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대학교 연구실, 중소기업 연구소 등에서는 기자재 및 시약들의 구매와 재고 관리 등을 수기로 작성하여 종이 문서로 공유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방법은,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문서의 특성상 누락 혹은 오기로 인한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적정량의 재고 수량을 확인하기 어려워 실험 계획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실험에 필요한 시약을 제때 구매하지 못한 경우 실험일정이 늦춰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11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유한 시약에 대해 재구매를 제때에 수행하여 필요한 시점에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계획에 따라 필요한 시약을 미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구매시기를 결정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약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대상 시약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사들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구매시기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시기가 경과되도록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가격변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림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상 시약의 사용기간 및 상기 대상 시약의 평균 구매소요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참조하여 상기 구매기간을 설정한다.
또한, 복수의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정해지면, 각 구매시기를 비교하여 최소화된 구매횟수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험계획서가 입력되면, 상기 실험계획서 내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필요 시약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 시약에 상기 대상 시약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필요 시약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기간 또는 구매시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관심분야에 상응하는 화학실험 관련 논문이 선정되면, 상기 논문을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논문을 분석하여 상기 실험계획서를 생성한다.
또한, 신규 시약에 대한 주문이 확인되면, 상기 주문에 대응된 판매사에서 취급하는 시약들 중 상기 구매기간 내인 보유 시약에 대한 구매안내를 알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대상 시약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사들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통신부; 보유 시약들의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보유 시약들 중 대상 시약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시약관리부; 및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여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시약구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시기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는 알림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알림처리부는 상기 구매시기가 경과되도록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가격변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림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한 시약에 대해 재구매를 제때에 수행하여 필요한 시점에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계획에 따라 필요한 시약을 미리 구매할 수 있으며, 미리 구매시기를 결정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약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구매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약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시약 구매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시약의 효율적 구매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시기 경과시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에 구매알림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계획서를 이용한 대상 시약의 구매시기를 결정하는 과정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시약 구매를 이용한 보유 시약의 재구매 알림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구매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제 시스템은 시약관리장치(10), 시약정보DB(20), 사용자단말(40) 및 복수의 시약판매사단말(30-1, ..., 30-n, 이하 30이라 통칭)을 포함한다.
시약정보DB(20)에는 관리중인 시약들에 대한 정보로서 시약명, 잔여량, 사용기간, 보관위치 등의 시약정보가 저장된다. 시약관리장치(10)는 시약정보DB(20)를 참조하여 보유 시약들에 대한 재구매 시기를 산출하여 관리자가 필요한 시점에 시약들을 재구매하도록 안내한다.
사용자단말(40)은 관리자의 단말장치로서 시약관리장치(10)로부터 시약 구매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사용자단말(4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수단을 구비한 모든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시약판매사단말(30)은 시약판매사(또는 시약을 직접 제조하는 제조사일 수도 있음)의 단말장치로서, 시약관리장치(10)로부터의 문의에 따라 구매할 시약에 대한 가격, 구매소요기간 등을 안내하고, 주문이 입력되면 해당 시약을 매매처리(즉, 매매결제처리 및 배송 등)한다.
즉, 시약관리장치(10)는 관리중인 시약들 중 재구매가 필요한 시약을 확인하고, 시약판매사들로 해당 시약에 대한 소요기간, 가격 등을 문의하여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단말(40)로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시약관리장치(10)의 구성 및 시약 구매 서비스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약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약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시약 구매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시약 구매 서비스 장치(즉, 시약관리장치(1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되, 제어부(130)는 그 기능에 따라 시약관리부(131), 시약구매부(132) 및 알림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시약판매사단말 및 사용자단말(40)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수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20)에는 시약관리장치(10)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며, 일례에 따르면 도 1의 시약정보DB(20)가 저장부(120)에 구축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장부(120)에 시약정보가 DB화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 및 저장부(12)를 제어하며, 관리 대상이 되는 시약(이하 대상 시약이라 칭함)들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재구매 시기를 산출하여 사용자단말(4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의 시약관리부(131)는 보유 시약들 중 대상 시약의 잔여량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며, 시약구매부(132)는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설정된 구매기간 동안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여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한다.
구매 서비스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시약관리부(131)는 대상 시약의 잔여량과 함께, 사용횟수/평균사용용량/사용기간을 더 고려하여 재구매를 수행해야 할 기간인 구매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또는 한달 등)을 결정한다(S310).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2020년7월1일자로 잔여량이 20ml이고, 사용횟수가 12회, 평균사용량이 20ml, 사용기간이 1년인 경우, 약 한달마다 20ml씩 사용하는 패턴을 가지며 한번 사용량이 남았음을 감안하여, 2020년 7월15일~2020년8월5일 이라는 약 20일간의 구매기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구매기간의 설정에 추가적으로 대상 시약의 평균 구매소요시간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시약의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즉, 유통을 고려한 시간)이 길면 구매기간을 더 짧게 하고 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시약구매부(132)는 대상 시약의 효율적인 구매를 위해, 복수의 판매사에게 설정된 구매기간 동안 구매할 수 있는 가능성과 가격을 문의하고(S320), 그 응답을 기반으로 최적의 구매시기와 가격을 결정한다(S330). 예를 들어, 판매사A에서는 구매소요기간이 10일이고 가격이 45,000원이고, 판매사B는 구매소요기간이 15일로 더 길지만 가격이 40,000원으로 더 저렴하다면, 구매시기는 구매기간 20일과 구매소요기간 15일을 고려하여 2020년7월16~18일로, 가격은 40,000원으로 결정한다.
알림처리부(133)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결정된 구매시기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대상 시약 정보(시약명, 잔여량 등)와 함께 사용자단말(40)로 제공하여 알림처리한다(S340).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약관리장치(10)는 시약의 구매까지도 처리하기 위한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매사로 사용자가 직접 구매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약관리장치(10)가 사용자단말(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직접 판매사로 시약을 주문 및 결제처리하는 구매대행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품의 구매 방식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복수의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정해지면, 각 구매시기를 비교하여 최소화된 구매횟수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시약의 효율적 구매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구매가 필요한 모든 대상 시약의 구매시기가 결정되면, 각 구매시기를 확인하여(S410), 각 대상 시약의 구매소요시간을 더 이용하여 구매횟수를 최소화하는 변경구매시기를 결정한다(S420). 예를 들어, 시약001은 7월6~8일이고, 시약002는 7월9~10일이면, 변경구매시기는 7월8~9일로 결정한다.
결정된 변경구매시기에 상응하여 각 대상 시약의 구매시기를 변경한다(S430). 예를 들어, 시약001 및 시약002 모두 구매시기를 변경구매시기로서 7월8~9일로 모두 변경한다. 위의 예시에 따르면 변경된 구매시기로서 두개의 시약에 대해 동일한 구매시기를 안내함으로써, 관리자는 한번에 2개의 시약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시기 경과시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40)에 구매알림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에게 안내한 구매시기가 경과됨을 인식하면(S510), 구매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0).
구매되었다면, 해당 대상 시약에 대한 구매이력(새로 구매한 일자, 구매가격, 구매소요시간, 구매량 등)을 갱신 및 저장한다(S530).
이와 달리 구매가 아직 수행되지 않은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가격변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 알림 처리한다(S540). 구매시기는 판매사들과의 거래에 의해 가장 저렴하게 살수 있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가 지나면 판매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대상 시약의 구매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가격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알림메시지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구매예상소요시간에 대한 정보, 할인이 적용된 현재 가격과 그 할인적용 기간에 대한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좋은 가격에 대상 시약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판매사로부터 수신된 재고현황을 함께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판매사에서의 재고, 현재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시약관리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 시약을 구매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판매사들과 공동구매 및 경매방식으로 시약 가격을 낮출 수 있다. 공동구매 또는 경매는 가격을 낮추는 대신 기간이 정해지므로, 시약관리장치(10)는 사용자들에게 주기적으로 구매가능기간 및 그 가격정보를 안내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계획서를 이용한 대상 시약의 구매시기를 결정하는 과정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실험계획서가 입력되면 텍스트를 분석하여 필요시약에 대한 시약명, 용량을 확인한다(S710). 실험계획서는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실험표, 화학실험 관련 논문 등)일 수 있으며, 텍스트 분석에 의해 필요시약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인된 필요시약에 재구매가 필요한 대상 시약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20), 포함되지 않은 경우 대상 시약의 구매기간 및/또는 구매시기를 유지한다(S730).
이와 달리 포함된 경우, 대상 시약의 구매기간 및/또는 구매시기 또는 구매량을 실험계획에 따라 변경한다(S740). 예를 들어, 실험계획서에서 사용하려는 대상 시약의 용량에 따라 구매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실험계획서의 실험 일자에 따라 설정된 구매시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일례에 따르면, 시약관리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관심분야에 상응하는 화학실험 관련 논문이 선정되면, 논문을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안내한 논문을 분석하여 실험계획서를 생성함으로써 도 7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시약 구매를 이용한 보유 시약의 재구매 알림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재구매가 아닌 새로운 시약의 구매 주문이 확인되면(S810), 신규 시약의 판매사에서 취급하는 시약들 중 구매기간 내인 보유시약(즉, 재구매 대상 시약)을 탐색한다(S820).
탐색된 대상 시약의 구매시기가 아니더라도, 신규 시약의 구매 시 함께 구매하면 편리하므로 탐색된 대상 시약의 현재 구매금액(즉 가격)을 확인한다(S830).
확인된 구매금액이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상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40). 만일 현재 가격이 설정된 가격보다 비싸지 않다면 대상 시약의 구매알림을 처리(판매사,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860).
이와 달리 가격이 상승한다면, 대상 시약의 구매알림을 지금 처리하지 않고, 설정된 구매시기를 이용한 구매알림을 처리한다(S85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을 이용한 시약 정보 수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시약관리장치
20 : 시약정보DB(20)
30-1, ..., 30-n : 시약판매사단말
40 : 사용자단말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대상 시약의 잔여량, 사용횟수, 평균사용용량 및 사용기간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구매소요기간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사들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소정 기간으로 설정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정해지면, 각 구매시기를 비교하여 최소화된 구매횟수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시기는 상기 구매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구매기간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매시기 변경 처리에 의해, 제1 대상 시약 및 제2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하나의 변경구매시기로 변경되며,
    신규 시약의 구매 주문이 확인되면 신규 시약의 판매사에서 취급하는 시약들 중 구매기간 내인 보유시약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보유시약의 현재 구매금액이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구매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지 않은 상기 보유시약의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기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시기가 경과되도록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가격변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림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실험계획서가 입력되면, 상기 실험계획서 내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필요 시약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 시약에 상기 대상 시약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필요 시약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기간 또는 구매시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관심분야에 상응하는 화학실험 관련 논문이 선정되면, 상기 논문을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논문을 분석하여 상기 실험계획서를 생성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7. 삭제
  8.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대상 시약의 잔여량, 사용횟수, 평균사용용량 및 사용기간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구매소요기간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사들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반으로 소정 기간으로 설정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정해지면, 각 구매시기를 비교하여 최소화된 구매횟수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시기는 상기 구매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구매기간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매시기 변경 처리에 의해, 제1 대상 시약 및 제2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하나의 변경구매시기로 변경되며,
    신규 시약의 구매 주문이 확인되면 신규 시약의 판매사에서 취급하는 시약들 중 구매기간 내인 보유시약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보유시약의 현재 구매금액이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구매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지 않은 상기 보유시약의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9.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위한 통신부;
    보유 시약들의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보유 시약들 중 대상 시약의 잔여량, 사용횟수, 평균사용용량 및 사용기간을 기반으로 구매기간을 설정하는 시약관리부; 및
    상기 대상 시약을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사들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구매기간 동안 상기 대상 시약의 구매 가능성, 구매소요기간 및 구매가격을 문의하여 수신한 응답을 기반으로 소정 기간으로 설정된 구매시기 및 가격을 결정하는 시약구매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약구매부는,
    복수의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정해지면, 각 구매시기를 비교하여 최소화된 구매횟수를 위한 구매시기 변경을 처리하고,
    상기 구매시기는 상기 구매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구매기간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매시기 변경 처리에 의해, 제1 대상 시약 및 제2 대상 시약에 대한 각각의 구매시기가 하나의 변경구매시기로 변경되며,
    신규 시약의 구매 주문이 확인되면 신규 시약의 판매사에서 취급하는 시약들 중 구매기간 내인 보유시약을 탐색하고, 탐색된 보유시약의 현재 구매금액이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구매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가격보다 높지 않은 상기 보유시약의 구매를 요청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기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처리하는 알림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알림처리부는 상기 구매시기가 경과되도록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가격변동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알림처리하는, 시약 구매 서비스 장치.
KR1020200083261A 2020-07-07 2020-07-07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33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61A KR102339049B1 (ko) 2020-07-07 2020-07-07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61A KR102339049B1 (ko) 2020-07-07 2020-07-07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49B1 true KR102339049B1 (ko) 2021-12-14

Family

ID=7890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61A KR102339049B1 (ko) 2020-07-07 2020-07-07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0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1A (ko) * 2000-04-14 2001-11-07 김시영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상품의 관리 및 매매방법
JP2008210188A (ja) * 2007-02-27 2008-09-11 Fujitsu Ltd 試験管理システム及び試験管理方法
JP2017068578A (ja) * 2015-09-30 2017-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料理推薦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料理推薦プログラム
KR101731169B1 (ko) 2015-07-03 2017-04-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86177B1 (ko) * 2017-12-21 2018-08-07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장치 및 그의 자동 발주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1A (ko) * 2000-04-14 2001-11-07 김시영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상품의 관리 및 매매방법
JP2008210188A (ja) * 2007-02-27 2008-09-11 Fujitsu Ltd 試験管理システム及び試験管理方法
KR101731169B1 (ko) 2015-07-03 2017-04-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재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7068578A (ja) * 2015-09-30 2017-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料理推薦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料理推薦プログラム
KR101886177B1 (ko) * 2017-12-21 2018-08-07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장치 및 그의 자동 발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8523A1 (en) Fulfillment of orders from multiple sources
KR20210031072A (ko)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및 배송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966166A (zh) Erp系统间的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系统
US11922452B2 (en) System for managing a loyalty program marketplace
KR20160076162A (ko) 가격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부품 중개 시스템
KR101963210B1 (ko)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339049B1 (ko) 시약 구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902284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oduct Deal Offerings
JP2018055235A (ja) 債券取引決済管理システムおよび債券取引決済管理方法
KR102295886B1 (ko) 컨텐츠 거래 플랫폼
KR20220113901A (ko) 멀티에셋 포트폴리오를 위한 플랫폼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69995B1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거래 중개 방법
US20170200216A1 (en) System and method to optimize product pricing and inventory management utlizing an advanced price fulfillment date matching process
KR20230101341A (ko) 인공지능형 자동결제 컨시어지 방법 및 이를 위한 플랫폼장치
KR20180129498A (ko) 도매 업체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거래를 중개하는 도소매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US11023849B2 (en) Mobile storefron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1309431B1 (ko) 상품 주문/결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70103062A (ko) 주문 트래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4804B1 (ko) 부동산 정보 제공을 위한 업무 배분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200104597A (ko) 지능형 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01521B1 (ko) 셀러 매칭 기반 산지 직송을 위한 농수산물 주문 중개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452521B1 (ko) 피디에이 기반 중도매인 유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7851B1 (ko) 퀵 증권 거래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KR102642449B1 (ko) 아이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253778A1 (en) System and Method of a Supply Chain Retail Process Man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