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621B1 - 초음파 세척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621B1
KR102338621B1 KR1020210081991A KR20210081991A KR102338621B1 KR 102338621 B1 KR102338621 B1 KR 102338621B1 KR 1020210081991 A KR1020210081991 A KR 1020210081991A KR 20210081991 A KR20210081991 A KR 20210081991A KR 102338621 B1 KR102338621 B1 KR 10233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washing
unit
wire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filed Critical 박종태
Priority to KR102021008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이 투입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세척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및 상기 세척조와, 진동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기{Ultrasonic cleaner}
본 발명은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세척기는, 전기를 인가할 경우 약 20,000Hz 이상의 초음파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을 일으키는 장비로서, 반도체 부품이나 기타 정밀 부품에 부착된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불순물을 세척하거나, 식기나 부품 세 척기, 피부 안마기, 칫솔 등을 진동으로 세척하는 제품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세척기의 초음파 진동자는 전기를 인가할 시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초음파 진동으로 변환하여 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압전 소자(Piezo electric element)를 포함하며, 이때의 압전 소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통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액이 담겨질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세척조의 바닥면에 진동자를 설치하고, 전기적인 작동에 의해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세척조 내에 담겨져있는 세척액에 전달시켜 주게 되면, 세척액으로 전파되는 진동모듈로 인하여 세척액 내에 침전되어 있는 세척물에 묻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이 제거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되면 진동자의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어, 진동자를 자주 교체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를 살균 소독할 때, 세척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척조를 균일하게 소독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세척기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어, 진동자의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142136 '초음파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세척기 사용 시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진동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진동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를 균일하게 소독하는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세척기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방지하는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이 투입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세척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및 상기 세척조와, 진동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조가 수납되는 메인케이스와, 상기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완료 시, 세척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메인케이스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및 진동자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세척수의 투입 또는 배출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척조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킹부와, 상기 배출부 내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세기, 세척대상물에 대응하는 방식의 세척 모드, On/Off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내측에 매립되어, 상기 세척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제어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온도를 표시창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세척조에 세척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순간 살균으로 세척수를 가열시켜 상기 세척조를 살균시킬 수 있고, 상기 순간 살균의 온도는 110 ℃ 일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의 작동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이 상기 조작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는,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보호하고, 세척수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진동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진동자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흡수부와, 상기 제1흡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흡수부를 지탱하는 제1지탱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전선들을 보호하는 제1전선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선보호부는, 상기 제1전선보호부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제1전선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와, 상기 진동자 하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흡수부와, 상기 제2흡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흡수부를 지탱하는 제2지탱부와, 상기 하부케이스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전선들을 보호하는 제2전선보호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 외측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가 상기 메인케이스 내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선보호부는, 상기 제1전선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고정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선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일정 간격으로 리브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리브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메인케이스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리브에 끼움 결합된 연결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 내면에 매립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세척조가 결합된 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둘레를 따라 각각 고정링이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상기 진동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되면 진동자의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어, 진동자를 자주 교체해야되것을 방지하여 비용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를 살균 소독할 때, 세척조를 균일하게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세척기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어, 진동자가 빠르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에 진동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진동자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케이스에 결합된 제1전선보호부의 제1전선고정부와,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제2전선보호부의 제2전선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 고정부와, 고정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설치된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에 진동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조(100)와, 진동자(200) 및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세척조(100)는,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이 투입된다. 또한 세척조(100)는 메인케이스(110)와, 배출부(120) 및 조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케이스(110)는 내부에 세척조(10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20)는 세척조(100)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완료 시, 세척수를 배수구(미도시)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부(120)는 바킹부(121)와, 거름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바킹부(121)는 세척수의 투입 또는 배출 상황에 대응되도록 세척조(100)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바킹부(121)는 세척조(100)에 세척수가 투입되면 세척수가 배수구로 새어나가는걸 방지하기 위해 배출부(120)에 삽입된다. 또한 바킹부(121)는 세척조(100)에 세척수를 배출시키려면 배출부(120)에 삽입된 바킹부를 빼어낸다. 또한 바킹부(121)는 세척조(100) 측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킹부(121)는 세척조(100) 외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부(130)는 메인케이스(110) 일면에 설치되어, 세척조(100) 및 진동자(200)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30)에는 진동자(200)의 진동세기, 세척대상물에 대응하는 방식의 세척 모드, ON/OFF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세척조(100)는, 가열부(미도시)와 가열제어부(미도시)와 감지부(미도시) 및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세척조(100)에 세척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순간 살균으로 세척수를 가열시켜, 세척조(100)를 살균시킬 수 있다. 이때 순간 살균의 온도는 110 ℃일 수 있다. 또한 가열부의 작동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은 조작부(130)에 장착될 수 있고, 실시간 온도도 표시창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세척조(100)에 설치된 온도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실시간 온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진동자(200)는, 복수개로 세척조(100)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세척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세척조(100)와, 진동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진동자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상부케이스에 결합된 제1전선보호부의 제1전선고정부와,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제2전선보호부의 제2전선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 고정부와, 고정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설치된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진동자(200)는, 복수개로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세척된다. 또한 진동자(200)는 진동자(2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보호하고, 세척수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자(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10) 및 하부케이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10)는, 제1결합부(211)와, 제1흡수부(212)와, 제1지탱부(213) 및 제1전선보호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는 상부케이스(210)를 탈착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결합부(211)는 상부케이스(210) 일단과 타단에 각각의 결합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흡수부(212)는 진동자(200)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진동자(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1흡수부(212)는 스펀지, 라텍스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지탱부(213)는 제1흡수부(212)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제1흡수부(212)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제1지탱부(213)는, 진동에 강한 재질일 수 있고, 이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제1전선보호부(214)는 상부케이스(210)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진동자(200)에 연결된 전선들을 안착시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선보호부(214)는 제1전선고정부(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선고정부(214a)는 제1전선보호부(214)에 형성된 홈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1전선고정부(214a)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스(220)는, 제2결합부(221)와, 제2흡수부(222)와, 제2지탱부(223)와, 제2전선보호부(224) 및 이탈방지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1)는 하부케이스(220)를 탈착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결합부(221)는 하부케이스(220) 일단과 타단에 각각의 결합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흡수부(222)는 진동자(200) 하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진동자(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흡수부(222)는 스펀지, 라텍스 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지탱부(223)는 제2흡수부(222)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제2흡수부(222)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제2지탱부(223)는, 진동에 강한 재질일 수 있고, 이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제2전선보호부(224)는 하부케이스(220)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진동자(200)에 연결된 전선들을 안착시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선보호부(224)는 제2전선결합부(2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선결합부(224a)는 제1전선고정부(214a)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전선고정부(214a)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전선결합부(224a)는 제2전선보호부(224)에 형성된 홈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1전선고정부(214a)와 결합되어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전선결합부(224a)와 제1전선고정부(214a)가 결합 시, 제1전선보호부(214)와 제2전선보호부(224)는 맞닿아 제1전선보호부(214) 및 제2전선보호부(224)에 형성된 홈이 통로로 형성되어, 전선이 통로에 삽입되고, 전선이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전선고정부(214a)와 제2전선결합부(224a)가 결합되어 전선이 통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전선고정부(214a)와, 제2전선결합부(224a)는 제1전선보호부(214)와 제2전선보호부(22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통로가 형성되었을 때, 통로를 감싸아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25)는, 하부케이스(220) 외측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조(100)가 메인케이스(110) 내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부(225)는 패널(225a)과, 연결부(225b)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25a)은 일정 간격으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225a)은 탄성을 지닌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25b)는 패널(225a)의 리브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면, A 방향으로 잘린 단면 상태에서 연결부(225b)와 패널(225a)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널(225a)은 메인케이스(110) 내측면에 부착되어 리브에 끼움 결합된 연결부(225b)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5b)는 하부케이스(220) 바닥면에 부착되고, 연결부(225b) 내면에 매립되어, 메인케이스(110)와 세척조(100)가 결합된 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케이스(110)와 세척조(100)가 결합된 공간에 습기가 발생되는 이유는, 세척수가 배수구로 배출될 때,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되는데, 배출부(120)와 배수구가 연결된 호스 또는 배관의 틈이 발생하는 결함 등의 문제가 생겨 수분이 메인케이스(110)와 세척조(100)가 결합된 공간에 유입되어, 습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배출부(120)와 배수구가 연결된 호스 또는 배관의 결함이 생겨 발생되는 습기를 열선부로 수분을 날려,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25b)와 맞닿는 패널(225a)이 열선부에 의해 탄성 변형이 생길 수 있어, 연결부(225b)와 맞닿는 부분은 열에 강한 재질로 코팅될 수 있고, 패널(225a)의 하부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러움에 강한 탄성을 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10) 및 하부케이스(220)는 둘레를 따라 각각 고정링이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215, 2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10) 및 하부케이스(220)가 진동자(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결합부(230)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215, 22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되면 진동자의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어, 진동자를 자주 교체해야되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조를 살균 소독할 때, 세척조를 균일하게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세척기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어, 진동자가 빠르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세척조
110 : 메인케이스
120 : 배출부
121 : 바킹부
130 : 조작부
200 : 진동자
210 : 상부케이스
211 : 제1결합부
212 : 제1흡수부
213 : 제1지탱부
214 : 제1전선보호부
214a : 제1전선고정부
215 : 상부고정부
220 : 하부케이스
221 : 제2결합부
222 : 제2흡수부
223 : 제2지탱부
224 : 제2전선보호부
224a : 제2전선결합부
225 : 이탈방지부
225a : 패널
225b : 연결부
226 : 하부고정부
230 : 고정결합부

Claims (4)

  1. 세척수 및 세척대상물이 투입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전달된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세척되는 복수개의 진동자; 및
    상기 세척조와, 진동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조가 수납되는 메인케이스와,
    상기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척대상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완료 시, 세척수를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메인케이스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및 진동자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세척수의 투입 또는 배출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척조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킹부와,
    상기 배출부 내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세기, 세척대상물에 대응하는 방식의 세척 모드, On/Off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조는,
    내측에 매립되어, 상기 세척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가열제어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온도를 표시창에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세척조에 세척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순간 살균으로 세척수를 가열시켜 상기 세척조를 살균시키고,
    상기 순간 살균의 온도는 110 ℃ 이며,
    상기 가열부의 작동 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이 상기 조작부에 장착되며,
    상기 진동자는,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보호하고, 세척수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진동자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진동자 상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흡수부와,
    상기 제1흡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흡수부를 지탱하는 제1지탱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전선들을 보호하는 제1전선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선보호부는,
    상기 제1전선보호부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제1전선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와,
    상기 진동자 하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흡수부와,
    상기 제2흡수부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흡수부를 지탱하는 제2지탱부와,
    상기 하부케이스 둘레를 따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전선들을 보호하는 제2전선보호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 외측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가 상기 메인케이스 내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선보호부는,
    상기 제1전선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전선고정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선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일정 간격으로 리브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리브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메인케이스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리브에 끼움 결합된 연결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 내면에 매립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와 상기 세척조가 결합된 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둘레를 따라 각각 고정링이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상기 진동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인 초음파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81991A 2021-06-24 2021-06-24 초음파 세척기 KR10233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91A KR102338621B1 (ko) 2021-06-24 2021-06-24 초음파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91A KR102338621B1 (ko) 2021-06-24 2021-06-24 초음파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621B1 true KR102338621B1 (ko) 2021-12-13

Family

ID=7883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991A KR102338621B1 (ko) 2021-06-24 2021-06-24 초음파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6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2073A (ja) * 2005-02-01 2006-08-17 Monoreele Kogyo Kk 超音波洗浄流し台
KR102161655B1 (ko) * 2020-01-07 2020-10-05 주식회사 세이버 인공지능 초음파 세척기의 수류 분사 및 세제 공급 제어장치
KR20200142136A (ko) 2019-06-11 2020-12-22 (주)신성에스지울트라 초음파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2073A (ja) * 2005-02-01 2006-08-17 Monoreele Kogyo Kk 超音波洗浄流し台
KR20200142136A (ko) 2019-06-11 2020-12-22 (주)신성에스지울트라 초음파 식기 세척기
KR102161655B1 (ko) * 2020-01-07 2020-10-05 주식회사 세이버 인공지능 초음파 세척기의 수류 분사 및 세제 공급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344B1 (ko) 초음파세척기
KR102338621B1 (ko) 초음파 세척기
US20120122650A1 (en) Continuously operating centrifuge
JP2009240434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方法
EP2443981B1 (en)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ing machine
WO2019132247A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의 탈부착식 진동자 결합 구조
US7272960B2 (en) Washing machine
WO2020125394A1 (zh) 超声波清洗装置及洗衣机
KR200486983Y1 (ko) 초음파세척기
KR101849063B1 (ko) 세척기용 초음파 진동발생장치
JP4780310B2 (ja) シンク凹部に挿脱自在に装着されて使用される超音波洗浄装置及び超音波洗浄装置の振動子取付構造
KR101564597B1 (ko)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102056809B1 (ko) 초음파 세척기
WO2022181882A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WO2018157674A1 (zh) 超声波清洗装置以及洗衣机
KR20070007620A (ko) 프루브 청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초음파 진단 장치
KR101978465B1 (ko) 초음파 집중에 의해 세척 효과가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KR100786680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143020B1 (ko) 싱크대 초음파 진동 세척장치
WO2017101826A1 (zh) 洗衣机
KR20180002928U (ko) 청소 장치
JP2000210494A (ja) 洗濯機
KR200396075Y1 (ko) 초음파 세척장치
CN108421053A (zh) 一种医疗消毒箱
KR940008455Y1 (ko) 운동화 자동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