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33B1 - 무선 정음 등록 - Google Patents

무선 정음 등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833B1
KR102337833B1 KR1020167023164A KR20167023164A KR102337833B1 KR 102337833 B1 KR102337833 B1 KR 102337833B1 KR 1020167023164 A KR1020167023164 A KR 1020167023164A KR 20167023164 A KR20167023164 A KR 20167023164A KR 102337833 B1 KR102337833 B1 KR 10233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silent
source device
mode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660A (ko
Inventor
랄프 메이슨
앤드류 번스
쳉빈 판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66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91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arrangements specific to receivers, e.g.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라디오 주파수(RF) 무선 채널을 통하여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하거나 또는 특정 임계값보다 큰 신호 강도를 갖는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될 때까지, 소스 디바이스는 수신 전용 정음 등록 모드로 진입 가능하며, 그에 의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의 공존이 개선된다.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될 때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부터 활성 등록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무선 정음 등록{WIRELESS QUIET ENROLMENT}
본 출원은 2014년 4월 25일에 출원된 공동 소유의 미국 가출원 번호 61/984,092호의 우선 이익을 청구하며, 상기 가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하여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개시는 무선 기술에 관련되며, 특히 차량용 및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무선 네트워크들에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무선 공존(coexistence)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주식회사의 Kleer® 라디오 주파수(RF) 기술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은, 헤드폰들, 스피커들 및 다른 오디오 디바이스들에 디지털 컨텐츠의 고품질 및 저 레이턴시 무선 배포를 가능케하여, 소비자들의 청취 경험(experience)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무선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및 차량용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및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환경들에 있어서, 무선 환경에서의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공존은 최근 주요 고려사항이 되었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가정 또는 차량의 미디어 시스템들로 그들의 연결을 초기화하기 위한 등록/페이징(enrolment/paging) 모드를 갖는데, 그 모드는 결과적으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간섭(interfere)할 수 있는 높은 듀티 사이클 송신들을 초래할 수 있다. 항상 온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차량용 헤드 유닛 무선 미디어 소스)에서, 무선 디바이스 송신들이 오랜 기간(period of time) 동안 계속될 수 있거나 연속적으로 온될 수 있다. 이 무선 디바이스들은 보통, Wi-Fi®, Bluetooth® 및 Kleer® 송수신기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2.4 GHz ISM 밴드 내 또는 근방에서 RF 송신들을 이용한다. 비록 복수의 RF 채널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동시에 함께 이용될 때에는 간섭 및 무선 디바이스 동작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Kleer®는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주식회사의 등록 상표이며, Wi-Fi®는 Wi-Fi 연합의 등록 상표이며, Bluetooth®는 Bluetooth SIG의 등록 상표이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들 모두가 함께 올바르게 동작할 수 있도록,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개선된 공존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는, 미디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소스 디바이스;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sink)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 모드, 정음 등록 모드 및 데이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등록 모드일 때에는, 등록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패킷을 수신대기하고(listen),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데이터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상기 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모드일 때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대기하고, 상기 신호가 수신될 때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진행하고,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등록 타임아웃 이후에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다시 진입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등록용 상기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등록 타임아웃 이후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정음 등록 모드가 디스에이블될 것이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파워 다운/슬립 모드로 진입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 트리거 패킷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신호는,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갖는 피크 RSSI를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신호는, 시간 주기에 걸쳐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갖는 평균 RSSI를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 - 상기 등록 트리거 패킷들 사이에 유휴 시간들을 가질 수 있음 - 을 송신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은, 공통 헤더,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 및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 헤더는 패킷 타입 및 페이로드 오프셋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은 싱크 디바이스 유닛 식별자(unit identification)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는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패킷 페이로드 크기 데이터베이스 설정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이 검출될 때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빠져나갈(leave)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입력은 관련 버튼의 활성화일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입력은 리모트 제어 키-인 동작의 활성화일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입력은 싱크 정음 등록 트리거 패킷의 수신(reception)일 것이다.
또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reception)을 가능케하는 활성 모드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미리정의된 토큰이 수신되었을 때까지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만 가능한 정음 모드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등록 트리거 패킷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록 트리거 패킷은 공통 헤더와, 뒤이은 가변 헤더와, 그리고 뒤이은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록 트리거 패킷은 유효 Kleer® 등록 트리거 패킷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등록 트리거 채널상에서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피크 또는 평균 RSSI 레벨의 검출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고, 등록 타임아웃 이후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다시 전환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상에서 수신기로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상기 등록 트리거 패킷을 대기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등록 모드와 정음 등록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패킷 기반 송신 네트워크용 무선 프로토콜이 제공되는데, 상기 활성 등록 모드는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케하고, 및 상기 정음 등록 모드에서는 미리정의된 트리거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까지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만 가능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거 패킷은 공통 헤더와, 뒤이은 가변 헤더와, 그리고 뒤이은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거 패킷은 유효 Kleer® 등록 트리거 패킷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거 패킷은, 등록 트리거 채널상에서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피크 또는 평균 RSSI 레벨의 검출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리거 패킷은 유닛 식별 필드를 이용하여 위조 등록 트리거들의 필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 모드, 정음 등록 모드 및 데이터 모드를 포함함 -; 싱크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 등록 모드일 때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활성 등록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패킷들을 수신대기하는(listen) 단계 -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싱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데이터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함 -;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모드일 때에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특정 신호를 수신대기하는 단계; 유닛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특정 신호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에는,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 및 활성 등록용 상기 유효 응답 패킷들이 등록 타임아웃 이후에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신호는 정확한 유닛 식별 필드를 갖는 유효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신호는 충분히 강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음 등록 모드가 디스에이블되는 때에는, 활성 등록용 상기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등록 타임아웃 이후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파워 다운/슬립 모드내에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들 및 대안의 형태들을 허용하지만, 그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하지만, 그 특정 예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여기에서의 설명은 본 개시를 여기에서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본 개시는 부속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변형들 및 균등물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들과 결합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면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교시들에 따른, 무선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정음 등록 시퀀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정음 등록 시퀀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 등록에서의 리모트 제어 키-인 동작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등록 트리거 채널의 등록 트리거 패킷 구조의 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헤드폰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리모트 제어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교시들에 따르면, 가정용 및 휴대용 가전기기(CE) 제품들의 무선 오디오를 인에이블하고 또한 다양한 제품들 및 상표들(brands)에 걸친 상호운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호환 제품들로 인해, 사용자들은 예컨대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복수의 음악 소스들, 스피커들 또는 헤드폰들에 액세스하고 스트리밍하기 위해 다른 무선 제품들을 인식하고 그것들과 페어링할 수 있고, 그리고 다목적 및 종합 플랫폼을 안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용 정음 등록 모드(quiet enrolment mode)가 도입되며, 이로 인해,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에 의해 활성화될 때까지 수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의 공존(coexistence)을 개선할 수 있다.
이제, 도면들을 보면, 예시의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들로 표시될 것이고,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들에 서로다른 소문자 첨자를 붙여서 표시될 것이다.
도 1을 보면, 본 개시의 교시들에 따른, 무선 소스 및 싱크 디바이스들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일반적으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라디오 주파수(RF) 무선 채널(110)을 통해 무선으로 싱크 디바이스(102)에 제공할 것이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안테나(108)에 결합된 RF 송수신기(122)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02)는 안테나(106)에 결합된 RF 송수신기(120)를 포함한다.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전송은 파워(112 또는 116)를 소스 디바이스(104) 또는 싱크 디바이스(102)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초기화될 수 있다. "키-인(key-in)" 신호(114 또는 118)(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푸시 버튼)가 또한, 소스 디바이스(104)와 싱크 디바이스(102) 사이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정음 등록 시퀀스(source quiet enrolment sequence)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소스 디바이스(104)에서의 정음 등록(quiet enrolment)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소스 디바이스(104)가 (파워 핀(112)에 인가된 파워 및 PU 핀(112a)의 활성화 중 하나에 의하여) 최초 파워 업되면(220), 소스 디바이스는 종래의 펌웨어 로드들(conventional firmware loads)의 등록 동작과 유사한 활성 등록 모드(222a)로 진행한다. 만일 활성 등록이 등록 타임아웃 주기(224a) 내에서 성공하지 못하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레거시 펌웨어 로드들(legacy firmware loads)에서와 같이 슬립 또는 파워 다운으로 진행하는 대신에 정음 등록 모드(226a)로 진행한다.
정음 등록 모드(226a)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수신기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자신을 활성 등록 모드(222)로 다시 전환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102)로부터의 등록 트리거 패킷을 기다린다. 만일 소스 디바이스가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false enrolment trigger packet)(228)을 획득하게 되면,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 모드(222b)로 전환할 것이고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타임아웃(224b) 이후에 정음 등록 모드(226b)로 다시 전환할 것이다. 또한 UID(Unit IDentification)가 위조 트리거들을 필터링하여 출력(filter out)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이 예상되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만일 소스가 정음 등록 모드(226b) 내에 있고 그리고 소스가 유효 등록 트리거(232)를 획득하면, 소스는 활성 등록 모드(222c)로 전환될 것이고 트리거링 디바이스(102)를 등록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만일 등록이 성공하면, 소스 디바이스(104)와 싱크 디바이스(102)는 데이터 모드(234)로 진행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등록은 다시 타임아웃(224c)할 것이고 소스 디바이스(104)는 정음 등록 모드(226c)로 다시 진행할 것이다. 만일 데이터 모드(234)가 어떤 이유에 의해 종료되면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들)(102)가 파워 다운됨), 소스 디바이스(104)는 활성 등록(222d)으로 진행할 것이고, 만일 어떤 신규 데이터 세션도 설정되어(established) 있지 않으면 등록 타임아웃(224c)의 끝에서 정음 등록(226c)으로 진행할 것이다.
정음 등록 모드(226)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에서 수신기로서 구성되고 활성 등록 모드(222)로 전환하기 위해 등록 트리거 패킷을 기다린다. 등록 트리거 패킷은, UID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유효 등록 트리거 패킷일 수 있고, 또는, 소스 디바이스(104)의 RF 송수신기(122)로부터의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등록 트리거 채널상의 피크 또는 평균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수신 신호 강도) 레벨의 단지 검출일 수 있다. 만일 정음 등록 모드(226) 동안에(while in) 관련 버튼(114 또는 118)이 눌리거나 Kleer® ACSI(Audio Control and Status Interface Protocol) 명령으로 관련(association)이 초기화되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관련 모드로 진행할 것이지만, 관련이 완료되거나 타임아웃될 때에는 활성 등록 모드(222)로 복귀할 것이다.
초기화 동안에,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데이터베이스 요소는 외부 EEPROM(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고 데이터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의 메모리 맵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정음 등록 모드(226)로 진행하기 위해서,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데이터 메모리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음 등록 모드인 동안에, 그것(모드)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메모리 위치는 매 25 밀리초마다 폴링(poll)될 수 있다. 그 값이 어떤 이유로 예를 들어 1로 설정되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정음 등록 모드를 빠져나갈 것이고 활성 등록 모드(222)로 복귀할 것이다.
패킷 등록 트리거
소스 디바이스(104)가 싱크(102)로부터의 등록 트리거 패킷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때에는, 소스 디바이스(104)는 등록 트리거 채널에서 수신 모드로 진입하고 패킷 타임아웃은 디스에이블된다(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는 무한정으로 수신 모드를 유지할 것임). 패킷이 검출될 때에는, 패킷이 유효 UID(Unit Identification)를 갖는 유효 등록 트리거 패킷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된다. 만일 패킷이 유효 등록 트리거 패킷이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활성 등록 모드(222)로 진행한다. 만일 패킷이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이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패킷 타임아웃이 디스에이블된 채로 수신 모드로 다시 진행하고 유효 등록 트리거 패킷을 기다린다. 주의: 만일 소스 디바이스(104)가 어떤 다른 이유(예를 들어, 관련 버튼(114)이 눌려짐)로 정음 등록 모드(226)를 빠져나가도록 강요받으면, 펌웨어는 패킷 타임아웃 인에이블이 정확히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시의 등록 트리거 패킷 구조 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패킷 구조는 (패킷 타입 및 페이로드 오프셋을 포함하는) 2 바이트의 공통 헤더(common header), (싱크 UID를 포함하는) 6 바이트의 가변 헤더(variable header) 및 가변 크기의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enrolment trigger payload)로 구성될 수 있다. 페이로드 크기는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패킷 페이로드 크기 데이터베이스 요소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무작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피크 RSSI 등록 트리거
소스 디바이스(104)는 피크 및 평균 RSSI 값 중 하나를 등록 트리거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크 RSSI 값을 위해(for) 구성될 때에는, 소스 디바이스(104)는 등록 트리거 채널에서 수신 모드로 진입하고 그리고 패킷 타임아웃은 디스에이블된다(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는 무한정으로 수신 모드를 유지할 것임). 이후, 소스 디바이스(104)는, 예컨대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매 88㎲마다 피크 RSSI 값을 판독하고, 만일 피크 RSSI 레벨이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크면, 소스는 활성 등록 모드(222)로 진행할 수 있다. 주의: 만일 소스 디바이스(104)가 어떤 다른 이유(예를 들어 관련 버튼(114)이 눌려짐)로 정음 등록 모드(226)를 빠져나가도록 강요받으면, 펌웨어는 패킷 타임아웃 인에이블이 정확히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평균 RSSI 등록 트리거
소스 디바이스(104)가 평균 RSSI 트리거 값을 위해(for) 구성될 때에는, 소스 디바이스(104)는 등록 트리거 채널에서 수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RSSI 타임아웃은, 예컨대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정음 등록 소스 RSSI 타임아웃 데이터베이스 요소의 값의 88㎲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만일 정음 등록 소스 RSSI 데이터베이스 요소가 0x02로 설정되면 소스는 평균 RSSI 값을 발생시키기 위해 2*88 ㎲ ~ 176㎲의 시간 주기를 이용할 것임). 소스 디바이스(104) 수신기는, 수신(RX) 베이스밴드가 평균 RSSI 값이 계산된 이후에 디스에이블되고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또하나의 평균 RSSI 판독을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RSSI 타임아웃으로 가능한 빨리 다시 인에이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은,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평균 RSSI 값이 측정되거나 소스 디바이스(104)가 어떤 다른 이유(예를 들어 관련 버튼(114)이 눌려짐)로 정음 등록 모드(226)를 빠져나가도록 강요받을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RSSI 타임아웃의 끝에서 평균 RSSI를 판독할 수 있으며, 만일 평균 RSSI 레벨이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크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활성 등록 모드(222)로 진행할 수 있다.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 등록 트리거를 이용할 때에는, 임의의 위조 패킷 검출들은 그것들이 정확한 싱크 디바이스(102) UID를 갖지 않을 것이므로 무시된다. 결과적으로, 소스 디바이스(104)는 유효 패킷 등록 트리거가 수신되었을 때에만 활성 등록 모드(222)로 진행할 것이다.
피크 또는 평균 RSSI 등록 트리거들을 이용할 때에는, 간섭(interference)에 기인한 또는 소스 디바이스(104)와 관련되지 않은 다른 싱크 디바이스들(102)에서 얻어지는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 위의(above) RSSI 레벨들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들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위조 등록 트리거(228)를 가질 것이고 이어서 유효 싱크 디바이스(102)가 송신하지 않을지라도 활성 등록 모드(222)로 진행할 것이다.
위조 등록 트리거들(228)의 확률은 긴 측정 시간을 가진 평균 RSSI 등록 트리거를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긴 측정 시간들은 등록을 완료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또한 등록 채널상의 간섭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불이익이 있다.
도 3을 보면,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정음 등록 시퀀스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도 3은 싱크 디바이스(102)상의 정음 등록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싱크 디바이스(102)가 (파워 핀들(116)에 인가된 파워 및 PU 핀(116a)의 활성화 중 하나에 의해서) 파워업된 후, 만일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이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면, 싱크 디바이스는 즉시 정음 등록 모드로 진행하고 등록 트리거 채널상에(on) 도 6에 도시된 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등록 트리거 패킷(340)의 시퀀스를 송신한다. 송신될 등록 트리거 패킷들(340)의 수와 이 패킷들(340) 사이에 배치되는 유휴(idle) 시간(342)은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반복 및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공간 데이터베이스 요소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패킷들(340)의 페이로드 크기는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패킷 페이로드 크기 데이터베이스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송신을 완료한 후에, 싱크 디바이스(102)는 이전의 펌웨어 로드들의 등록 동작과 유사한 활성 등록 모드(322)로 진행한다. 만일 싱크 디바이스(102)가 파워업된 후에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이 예를 들어 1로 설정되면, 싱크 디바이스는 어떤 등록 트리거 패킷들(340)도 송신하지 않고 곧바로 활성 등록 모드(322)로 진행할 수 있다.
싱크 리모트 제어에 있어서, 만일 등록이 성공하면, 싱크 디바이스는 데이터/시한 모드(data/timed mode)(334)로 진행할 것이고 활성 등록 모드(222)에 있는 소스 디바이스(104)를 추적(track)할 것이다. 만일 키 누름이 미결(pending)이면, 싱크 디바이스는 시한 모드(timed mode)로 인계(deliver)될 것이다. 리모트 디바이스(102) 제어부가 파워 다운되고 슬립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소스 디바이스(104)가 그것의 등록 타임아웃 주기(224)의 끝에 도달하고 정음 등록 모드(226)로 진행할 때까지는, 리모트 디바이스(102)는 소스 디바이스(104)를 계속 추적할 것이다. 싱크 디바이스(102) 제어부가 파워 다운되기 전에 소스 디바이스(104)가 정음 등록 모드(226)에 진행하면(도 4 참조), 싱크 디바이스(102) 제어부는 비시한 모드(untimed mode)로 활성 등록(322)으로 진입할 수 있다. 만일 싱크 디바이스(102) 제어부가 활성 등록 모드(322)에 있고 버튼 누름(118)으로부터의 키-인 명령을 수신하면, 싱크 디바이스는 파워업(116)에서 송신된 것과 동일한 등록 트리거 패킷들의 시퀀스를 송신할 것이고 이후 활성 등록 모드(322)로 복귀할 것이다. 만일 싱크 디바이스(102)가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싱크 반복 트리거 패킷들 데이터베이스 요소를 가지면, 등록 타임아웃의 끝에서 슬립/파워 다운으로 진입하는 대신에 싱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패킷들을 재송신할 것이고 그리고 활성 등록 모드(322)로 다시 진입할 것이며, 이러한 루프는 싱크 디바이스(102)가 파워 다운되거나 시간 데이터 또는 관련 모드로 진행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싱크 디바이스(102)는, 소스 디바이스(104)에서 이용되는 모든 신호 검출 방법들(예를 들어, 패킷 검출, RSSI 피크 검출 또는 RSSI 평균 검출)에 적합한(for) 동일한 등록 트리거 패킷들(340)을 송신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싱크 헤드폰(102)에 있어서, 만일 등록이 성공하면 싱크 디바이스(102)는 데이터 모드(334)로 진행할 것이다. 만일 등록이 성공하지 않으면 싱크 헤드폰(102)은 등록 타임아웃 주기의 끝에서 파워 다운되거나 슬립으로 진입할 것이다. 만일 싱크 헤드폰(102)이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싱크 반복 트리거 패킷들 데이터베이스 요소를 가지면, 슬립/파워 다운으로 진입하는 대신에 싱크 헤드폰(102)은 트리거 패킷들(340)을 재송신할 것이고 그리고 활성 등록 모드(322)로 다시 진입할 것이며, 이러한 루프는 싱크 디바이스(102)가 파워 다운되거나 데이터 또는 관련 모드로 진행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도 5를 보면,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502)에서 소스 디바이스(104)가 파워 업된다. 단계(504)에서, 파워 업 초기화가 수행된다. 단계(506)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활성 등록 모드로 진행한다. 단계(508)에서 소스(SRC) 등록이 타임아웃되었는지(for) 체크된다. 만일 SRC 등록 타임아웃이 발생하기 전에 SRC 등록이 수행되면, 소스 디바이스(104)는 단계(506)로 복귀하고 활성 등록 모드(222)로 유지된다. 하지만, 만일 단계(508)에서 SRC 등록이 타임아웃되면, 단계(510)에서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었는지 체크된다(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메모리 위치를 체크함).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었다면, 단계(512)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슬립/파워 다운 모드로 진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지 않았다면, 단계(510)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는 정음 등록 모드(226)로 다시 진입할 것이다.
단계(514)에서, 정음 등록 모드인 동안에,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데이터베이스 요소(bit)가 체크되고, 만일 그 요소가 디스에이블되어 있으면 활성 등록 모드 단계(506)로 복귀한다. 만일 그렇지않으면, 단계(518)는 등록 트리거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만일 등록 트리거가 수신되었다면 단계(506)로 복귀하고 활성 등록 모드로 진행한다. 만일 등록 트리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정음 등록 모드로 유지된다.
도 7을 보면,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헤드폰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732)에서 싱크 헤드폰(102)이 파워 업된다. 단계(734)에서 싱크 헤드폰(102)에 대해 파워 업 초기화가 수행된다. 단계(736)에서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었는지 체크된다(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메모리 위치를 체크함).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었다면, 단계(740)에서 싱크 헤드폰(102)은 활성 등록 모드 단계(740)로 진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지 않았다면, 단계(738)에서 싱크 헤드폰(102)은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할 것이다. 그리고나서 단계(740)에서 싱크 헤드폰(102)은 활성 등록 모드 단계(740)로 진행할 것이다. 단계(742)는 싱크 등록이 타임아웃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싱크 등록이 아직 타임아웃되지 않았다면, 싱크(102)는 싱크 헤드폰(102)이 활성 등록 모드 단계(740)를 유지하는 단계(740)로 복귀한다. 단계(742)에서 싱크 등록이 타임아웃되었다고 결정될 때에는, 단계(744)에서 싱크 헤드폰(102)이 반복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만일 트리거 패킷들이 반복되어야 하면 단계(744)는 단계(736)로 다시 복귀하고,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이 다시 체크된다. 만일 트리거 패킷들이 반복될 필요가 없다면 단계(746)에서 싱크 헤드폰(102)은 슬립/파워 다운 모드로 진행한다.
활성 등록 모드 단계(740)일 때에는, 싱크 디바이스(102)는 등록 과정을 완료함으로써 단계(748)의 데이터 모드로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링크(110)를 상실함으로써 데이터 모드 단계(748)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활성 등록 모드 단계(740)에서, 싱크 디바이스(102)는, ASCI 명령들, 관련 버튼 누름(118)의 수신에 근거하여 관련 모드 단계(750)로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과정을 완료한 후에 관련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도 8을 보면, 본 개시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리모트 제어 정음 등록 모드 유한 상태 머신(FSM)의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832)에서 싱크 리모트(102)가 파워 업된다. 단계(834)에서 싱크 리모트(102)에 대한 파워 업 초기화가 수행된다. 단계(836)에서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는지 체크된다(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메모리 위치를 체크함).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었다면, 단계(840)에서 싱크 리모트(102)는 활성 등록 모드 단계(840)로 진행할 것이다. 하지만, 만일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지 않았다면, 단계(838)에서 싱크 리모트(102)는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할 것이다. 그리고나서 단계(840)에서 싱크 리모트(102)는 활성 등록 모드 단계(840)로 진행할 것이다. 단계(852)는 키-인 명령이 발생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키-인 명령이 발생되었다면, 싱크 리모트는 정음 등록이 디스에이블되는지를 다시 체크(정음 모드 디스에이블 메모리 위치를 체크함)하는 단계(836)로 복귀한다. 하지만, 만일 키-인 명령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단계(842)에서 싱크 등록이 타임아웃되었는지 결정된다. 만일 싱크 등록이 타임아웃되지 않았다면, 싱크 리모트는 활성 등록 모드 단계(840)로 복귀한다. 만일 싱크 등록이 타임아웃되었다면, 단계(844)에서 트리거 패킷들이 싱크 리모트(102)에 의해 반복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만일 트리거 패킷들이 반복되어야 하면, 단계(844)는 단계(836)로 다시 복귀하고 그리고 정음 모드 디스에이블이 다시 체크된다. 만일 트리거 패킷들이 반복될 필요가 없다면 단계(8346)에서 싱크 리모트(102)는 슬립/파워 다운 모드로 진행한다.
활성 등록 모드 단계(840)일 때에는, 싱크 디바이스(102)는, 등록 과정을 완료함으로써 단계(852)의 시한 모드로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링크(110)를 상실함으로써 시한 모드 단계(852)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활성 등록 모드 단계(840)에서, 싱크 디바이스(102)는 ASCI 명령들, 관련 버튼 누름(118)의 수신에 근거하여 관련 모드 단계(850)로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과정을 완료한 후에 관련 모드를 빠져나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예시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고 정의되었지만, 이러한 참조는 본 개시의 한정을 의미하지 않고 이러한 한정이 추정되지도 않는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지고 본 개시의 혜택을 갖는 사람들에게는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 상당한 수정, 대체, 및 균등물들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Claims (32)

  1. 미디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소스 디바이스;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sink)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로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 모드, 정음 등록 모드(quiet enrolment mode) 및 데이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파워 업 이후에, 먼저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활성 등록 모드일 때, 등록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패킷들을 수신대기(listen for)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데이터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상기 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등록 타임아웃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대기하는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진입하자마자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등록 타임아웃 주기 이후에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재진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피크 RSSI가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갖거나 또는 시간 주기 동안에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평균 RSSI가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디스에이블하거나 인에이블할 수 있게 하는 구성 설정(configuration setting)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정음 등록 모드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등록 타임아웃 주기 이후에 상기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파워 다운/슬립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등록 트리거 패킷이 검출될 때, 상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RSSI의 시간 주기는 프로그램가능한,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사이에 유휴 시간들(idle times)을 가지는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은 공통 헤더,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 및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헤더는 패킷 타입 및 페이로드 오프셋을 포함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은 싱크 디바이스 유닛 식별자(unit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는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패킷 페이로드 크기 데이터베이스 설정(a quiet enrolment sink trigger packet payload size database setting)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이 검출될 때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빠져나가도록(leave)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관련 버튼의 활성화인,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원격 제어 키-인 동작(a remote control keys-in operation)의 활성화인,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싱크 정음 등록 트리거 패킷의 수신(reception)인,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헤드폰이고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인,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의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6. 무선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를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디바이스를 파워 업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활성 등록 모드, 정음 등록 모드 및 데이터 모드를 포함함 -;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파워 업 이후에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 등록 모드일 때,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의 활성 등록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패킷들을 수신대기하는(listen for) 단계 -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와 함께 상기 데이터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미디어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함 - 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등록 타임아웃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음 등록 모드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특정 신호를 수신대기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등록 모드로 진입하자마자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등록 타임아웃 주기 이후에 상기 정음 등록 모드로 재진입하고,
    상기 신호는,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피크 RSSI가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갖거나 또는 시간 주기 동안에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평균 RSSI가 정음 등록 트리거 임계값보다 큰 레벨을 가질 때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유닛 식별자 필드를 이용하여 위조 등록 트리거 패킷들(false enrolment trigger packets)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정확한 유닛 식별 필드(unit identification field)를 갖는 유효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충분히 강한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디스에이블하거나 인에이블할 수 있게 하는 구성 설정(configuration setting)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정음 등록 모드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등록 타임아웃 주기 이후에 상기 활성 등록용 유효 응답 패킷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파워 다운/슬립 모드에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상기 정음 등록 트리거 채널을 통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등록 트리거 패킷이도록 선택될 수 있게끔, 더 구성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RSSI의 시간 주기는 프로그램가능한,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사이에 유휴 시간들을 가지는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을 송신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록 트리거 패킷들은 공통 헤더,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 및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헤더는 패킷 타입 및 페이로드 오프셋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 헤더 바이트들은 싱크 디바이스 유닛 식별자(unit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크기 등록 트리거 페이로드는 정음 등록 싱크 트리거 패킷 페이로드 크기 데이터베이스 설정(a quiet enrolment sink trigger packet payload size database setting)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이 검출될 때 상기 정음 등록 모드를 빠져나가는(leave)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관련 버튼의 활성화인,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원격 제어 키-인 동작(a remote control keys-in operation)의 활성화인,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은 싱크 정음 등록 트리거 패킷의 수신(reception)인, 방법.
  3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헤드폰이고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인, 방법.
KR1020167023164A 2014-04-25 2015-04-21 무선 정음 등록 KR10233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4092P 2014-04-25 2014-04-25
US61/984,092 2014-04-25
US14/669,460 2015-03-26
US14/669,460 US10129831B2 (en) 2014-04-25 2015-03-26 Wireless quiet enrolment
PCT/US2015/026816 WO2015164335A1 (en) 2014-04-25 2015-04-21 Wireless quiet enrol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60A KR20160146660A (ko) 2016-12-21
KR102337833B1 true KR102337833B1 (ko) 2021-12-10

Family

ID=5317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164A KR102337833B1 (ko) 2014-04-25 2015-04-21 무선 정음 등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29831B2 (ko)
EP (1) EP3135050B1 (ko)
JP (1) JP6657109B2 (ko)
KR (1) KR102337833B1 (ko)
CN (1) CN106105280B (ko)
TW (1) TW201545591A (ko)
WO (1) WO2015164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9831B2 (en) * 2014-04-25 2018-11-1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ireless quiet enrol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0761A1 (en) * 2009-11-11 2012-11-29 Ekahau Oy Wireless signal transceiver with automatic mode change, and method
US20120320955A1 (en) * 2010-02-23 2012-12-20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67094A1 (en) * 2011-09-09 2013-03-14 Banavara Madhusudan Directly transfering data between devices
US20130315121A1 (en) * 2009-05-05 2013-1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energy saving mechanism for access poin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288B1 (en) 1998-04-07 2001-05-29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unit by intelligent page monitoring
US20050107093A1 (en) 2003-11-13 2005-05-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xtraneous control of mobile telephone
JP4480412B2 (ja) * 2004-02-06 2010-06-16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lan通信システム、無線lan通信方法および無線lan通信プログラム
US7542784B2 (en) 2005-02-25 2009-06-02 Kleer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quality, low power, wireless audio system
CN101282335B (zh) * 2008-05-20 2012-09-05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低负载无线传感器网络mac层监听休眠方法
US8447368B2 (en) * 2008-11-13 2013-05-21 Lantiq Deutschland Gmbh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7674B2 (en) * 2010-11-16 2013-09-17 At&T Mobility Ii Llc Data bundling and fast dormancy based upon interactivity
US20120250610A1 (en) * 2011-03-30 2012-10-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ontrolling radio-silence in wireless devices
US8654869B2 (en) 2011-10-27 2014-02-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ulti-path radio transmission input/output devices, network, systems and methods with link suitability determination
US8964554B2 (en) 2012-06-07 2015-02-24 Broadcom Corporation Tunnel acceleration for wireless access points
RU2520184C1 (ru) * 2012-12-28 2014-06-20 Алексей Леонидович УШАКОВ Гарнитур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3714359B (zh) * 2013-07-25 2016-12-28 范志广 基于无线通信终端的射频识别方法及系统
US10129831B2 (en) * 2014-04-25 2018-11-1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ireless quiet enrol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5121A1 (en) * 2009-05-05 2013-1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energy saving mechanism for access points
US20120300761A1 (en) * 2009-11-11 2012-11-29 Ekahau Oy Wireless signal transceiver with automatic mode change, and method
US20120320955A1 (en) * 2010-02-23 2012-12-20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67094A1 (en) * 2011-09-09 2013-03-14 Banavara Madhusudan Directly transfering data betw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05280A (zh) 2016-11-09
WO2015164335A1 (en) 2015-10-29
US20190090194A1 (en) 2019-03-21
US10595275B2 (en) 2020-03-17
JP2017515330A (ja) 2017-06-08
CN106105280B (zh) 2020-04-14
EP3135050A1 (en) 2017-03-01
EP3135050B1 (en) 2019-04-17
US20150312860A1 (en) 2015-10-29
KR20160146660A (ko) 2016-12-21
US10129831B2 (en) 2018-11-13
JP6657109B2 (ja) 2020-03-04
TW201545591A (zh)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6313B2 (en) Pairing devices using data exchanged in an out-of-band channel
EP261587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8583084B2 (en) Ping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US7940732B2 (en) Automatic wireless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US947954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dia control for multiple devices
US20170026777A1 (en) Bluetooth low energy interlaced advertising and scanning
TWI724019B (zh) 用於測試低功率射頻(rf)資料封包信號收發器之方法
JP2016042693A (ja) 通信タグを設けたデバイスのユーザによる操作を検出する方法、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ユーザ端末、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US8842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 proximity device discovery
JP6768794B2 (ja) 低出力無線周波数(rf)データパケット信号送受信機を試験する方法
JP2017538362A5 (ko)
US9628149B2 (en) Emulation of multiple NFC devices inside a communication device
US10212576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N109640304B (zh) 提高低功耗蓝牙连接稳定性的方法
KR102337833B1 (ko) 무선 정음 등록
JP2017063405A (ja) 標準準拠無線信号を修正するデータ送信機
KR101208894B1 (ko) 생체이식형 의료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14041296A (zh) 无线通信设备、用于无线通信设备的方法和计算机程序
US9253723B2 (en) Communication devices, radio switch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20130135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reless video based on zigbee network protocol
US20140187155A1 (en) Hearing device with power management and associated method
TW202023311A (zh) 資料單元處理方法和通信設備
JP6425379B2 (ja) 電力管理を備える聴覚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201751533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