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54B1 -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54B1
KR102337454B1 KR1020200031956A KR20200031956A KR102337454B1 KR 102337454 B1 KR102337454 B1 KR 102337454B1 KR 1020200031956 A KR1020200031956 A KR 1020200031956A KR 20200031956 A KR20200031956 A KR 20200031956A KR 102337454 B1 KR102337454 B1 KR 10233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738A (ko
Inventor
배해병
임지영
김현수
안연주
Original Assignee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바이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3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제비집, 순채, 다시마, 감태, 및 포도를 저온 숙성 및/또는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다당체 점액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미세먼지의 피부 투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을 가져 미세먼지에 의한 자극을 완화하고 염증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키며 주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ainst Particulate Matter}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을 먼지라 하며 그 중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크기의 입자를 미세먼지라 한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별로 분류하며 그 크기에 따라 PM 10, PM 2.5, PM 1로 명명하며 이는 대기 중 입자의 입경 크기 단위를 의미한다. PM은 particular matter를 줄여 표기한 것으로 PM 10은 10㎛이하의 입경 크기의 입자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세먼지를 말한다. PM 2.5는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라고 부르는 크기이며 2.5㎛이하의 입경을 가지고 있다. 1㎛ 이하의 크기를 가진 입자는 PM 1로 칭하기도 한다. 입자 크기의 범위를 PM 10에서 PM 1로 분류하는 이유는 그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더 유해하기 때문이다.
중금속인 납, 카드뮴 등과 각종 화학물질을 내포하는 초미세먼지는 피부의 대사 흐름을 약화시켜 피지에 대한 조절의 기능을 떨어뜨리며 건조증과 가려움증,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고 미세먼지에 내포된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등 유해한 물질이 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촉진, 백혈구 수를 증가시켜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한다. 또한, 미세먼지가 피부로 흡수되면 색소세포를 자극하여 주름, 검버섯을 생성하기도 한다. 미세먼지가 몸속으로 흡수되면 활성산소라는 독성물질을 만들고 이 활성산소가 피부 내에 있는 콜라젠을 손상시켜 피부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외인성 노화를 유발한다. 특히 미세먼지는 우리 몸의 가장 외부에 위치해 있는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피부가 유기체와 환경 사이의 장벽 기능 역할을 하는데, 직접적으로 잦은 오염에 노출이 될 경우에는 이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미세먼지는 모공보다 20 배나 작기 때문에 인체의 피부에 손쉽게 침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경 오염에 대한 물질을 흡수하는 주요 부위인 피부는 독성물질인 클로로포름과 같은 물질이 피부로 흡수하는 것은 호흡기로 인해 흡입하는 것과 동일하게 간주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개선하고 보호하기 위한 화장품 및 외용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0313(등록일자 2018.04.13) '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0574(공개일자 2018.02.28)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0573(공개일자 2018.02.28) '팬다 고무나무 및 스킨답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0571(공개일자 2018.02.28) '인도 보리수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3696(등록일자 2016.07.22) '주박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3928(등록일자 2017.02.01) '미세 먼지 및 중금속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6861(등록일자 2017.10.11) '중금속 및 미세 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피부 겉을 직접적으로 보호하여 미세먼지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미세먼지에 의한 자극 개선, 염증완화,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보이는 생약 기반의 화장료는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혼합 생약재들에 최적의 추출 공법을 적용한 결과 점액질 다당체 및 항산화제가 함유된 추출물을 피부 보호용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개발하고 이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생약재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생약재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이상 본원에 기재된 식물의 해당 부위를 절단한 것 또는 이의 가공물을 지칭하며, 기재된 식물은 주로 학명으로 표현되나 변종 및 아종도 포함한다.
바다제비집
바다제비는 금사연(金絲燕) 혹은 금빛제비라고도 불리는 몸길이 12~17cm의 어두운 갈색의 칼새과의 새이다. 동아시아, 히말라야산맥, 및 오스트레일리아(북부)에 주로 분포한다. 바다제비집은 바다제비의 둥지로서, 해안의 바위틈이나 동굴 벽에 침을 바른 뒤 작은 물고기나 바닷말을 붙여 만드는데 노르스름한 색을 띠며, 시간이 지나면서 투명해진다. 중국요리에서는 이 둥지를 “옌워”라고 부르며 식용한다. 집제비와 달리 해초와 생선뼈 등을 모으고 입의 타액을 섞어 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영양과 교질 단백질이 풍부하고 강장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는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혈액에 유익해서 생기를 나게 한다”고 소개되고 있다.
바다제비집에 다량의 단백질, 아미노산, 당, 미네랄, 및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세포재생 촉진,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바다제비집의 주요 성분은 뮤신으로 이는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금빛제비의 입에서 나오는 점액질에 의해 해초 등이 젤라틴처럼 교질로 바뀌고 이것이 모아져 둥지로 굳어진 것이 바로 제비집이다. 둥지를 물에 불리면 약 20배의 부피로 불어나며, 젤라틴의 질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다제비집을 생약재로 사용함에 따라, 건조한 피부를 더욱 부드럽게 가꿔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비타민 C와 E, 알부틴, 및 콜라젠의 제공으로 피부 영양을 공급한다. 또한, 자연 치유력을 높이고 면역력을 조절한다. 피부에 자양분을 주는 단백질이 함유되며, 기타 폴리페놀, β카로틴, 아미노산, 및 콘드로이틴 성분 들에 의해 건강과 미용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바다제비집은 또한 아미노산, 유황, 및 무기질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표피성장인자(EGF)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재생을 촉진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순채( Brasenia schreberi )
순채는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다년생 수생식물로서 생육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유기물이 풍부한 연못이나 약산성인 호수에서 발견되며, 부규 또는 순나물이라고도 한다. 연못에서 자라지만 과거에는 잎과 싹을 먹기 위해 논에 재배하기도 하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길게 자라서 50 ~ 100cm가 되고 잎이 수면에 뜬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뒷면은 자줏빛이 돌고 중앙에 잎자루가 달린다. 잎이 자랄 때에는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 같은 점질로 둘러싸인다.
꽃은 5~8월에 피고 검은 홍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긴 꽃자루 끝에 위를 보고 1개씩 달리며 지름은 약 2cm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다. 암술은 6~18개이고 젖꼭지 모양 돌기가 있으며 수술은 많다. 수술은 암술을 감싸고 암술보다 길며 중앙의 암술머리는 밖으로 구부러져 있다. 수술이 시들고 나면 암술이 자라 머리에 끈적끈적한 점액질이 생긴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순채의 잎, 줄기, 또는 뿌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또는 이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순채 줄기를 감싸고 있는 점액 다당체는 D-galactose(34.1%), D-glucuronic acid(17.3%), D-mannose(13.4%), L-rhamnose(11.4%), L-fucose(10.9%), D-xylose(7.0%), L-arabinose(5.9%)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액체의 물 함량은 대략 98%이며 그 유활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어 있다. 식물성 점액질 다당체는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주며 피부결 개선에 도움을 준다.
순채점액질 다당체는 20대 여성의 피부에 적용되어 피부 거칠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이는 각질형성세포에서의 각질막 형성을 유도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 보호 및 경피수분 손실량에 도움을 주며, 피부 장벽 유지 및 보습과 관련 있는 TGM1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피부 보습인자 중 하나인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시키는 유전자 AQP3 및 HAS3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순채의 점액질 다당체는 NO 생성을 감소시키며, 콜라젠 합성을 촉진한다.
다시마( Saccharina japonica )
다시마는 갈조 식물에 속하는 2~3년생의 해조류로서 곤포 또는 해태라고 하며, 잎은 황갈색의 띠 모양으로 폭이 25 ~ 40cm, 길이는 1.5 ~ 3.5m로 큰 편이며 줄기는 짧은 원주상으로 곧게 서고 바위에 붙어산다. 한다 및 아한대의 연안에 분포하는 한해성 식물로서 대부분이 탄수화물과 미네랄로 이루어져 있는 해조류로 지구상에서 영양이 가장 풍부한 식물이다. 다시마는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질 1.5%, 탄수화물 49%, 무기질 26.5% 정도를 함유한다. 탄수화물 중 5~10%는 섬유소인데 나머지는 알긴산을 주체로 한 라미나린, 푸코이딘 등 다당류이다. 동의보감에는 “산기를 다스리고 종기를 가라앉히며 혹의 결기를 다스려서 단단한 것을 연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다시마의 잎, 줄기, 또는 뿌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줄기 또는 전체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마에는 후코이단, 알긴산, 및 라미나란 등의 다당류 성분이 풍부하다. 후코이단은 끈적끈적한 점질 구조의 황산염화한 다당류로서 면역세포 조절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낸다. 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로서, 알긴산 나트륨염은 점성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알긴산은 D-mammuronic acid, Gulcuronic acid monomer로 구성되어 있다. 라미나란(Laminaran)은 갈조류에서 생합성되는 저장 다당류로서 항혈액응고, 항종양, 항바이러스, 및 항노화의 효능이 있다. 이들 수용성 다당류들은 식이섬유로서 정정작용, 중금속의 배출, 및 콜레스테롤의 혈관 침착방지, 노화방지 등의 효능을 지닌다. 또한, 다시마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회복시키며 세포 내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감태( Eckloina cava )
감태는 식용 해조류로 갈조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의 식물로 주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연안, 일본에 서식하고 있다. 길이는 1~2m이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밑동은 뿌리 모양이다. 가운데 부분은 굵고 어릴 때는 속이 차있으나 다 자란뒤에는 속이 비기도 한다. 줄기 끝에는 곁잎 조각을 가진 납작한 1개의 가운데 잎이 달린다. 이 잎은 길이 1m 정도이고 갈색이지만 말리면 검은 빛이 난다. 주로 전복 및 소라 등의 먹이가 되며 알긴산이나 요오드칼륨을 만드는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해양 생물자원의 활발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짐에 따라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여러 보고에 의하면 감태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 항균 효과를 가지며 강력한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저해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감태의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 모두가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또는 이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감태에는 phloroglucinol을 기본 구성으로 하는 플로로탄닌(Phlorotannin)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풍부하다. 여러 가지 갈조류에서 phlorotannin이 발견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감태 및 곰피에서 여러 가지고 phlorotannin의 존재가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있는 폴리페놀류인 플로로탄닌은 에콜(eckol) 및 디에콜(dieckol)이 있으며, 해조류 phlorotannin의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혈전생성저해활성, 항산화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항바이러스활성, hyaluronidase 저해 활성 등의 결과가 보고되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결합조직의 세포외 기질에 존재하는 다당체이며, 진피에 존재한다. 고분자 HA는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히알루로니다아제는 고분자 HA를 분해하여 저분자 HA로 변형하는 효소이다. 저분자 HA는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질환 환자에게서 고농도로 발견된다. 따라서 항염증 치료제의 연구에서 hyaluronidase 저해제의 개발은 중요한 연구 목표이며,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등의 연구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감태 추출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에 공기중 미세먼지 PM10을 노출시킬 때 지질과산화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감태의 유효성분인 에콜(eckol) 및 디에콜(dieckol)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유의적으로 염증 발현을 감소시켰다. 즉, 감태 속 성분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을 완화시킨다.
포도
포도는 장과(漿果)이며, 7~8월에 갈자색으로 익는다. 향미가 좋고 육즙이 풍부하여 널리 이용되는 과일이다. 원산지는 아시아 서부의 흑해 연안과 카프카 지방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 시대의 문집에서 그에 관한 기록이 나타나고 있다. 주산지는 경상북도이며, 품종은 캠벨 얼리, 머스캣 베일리, 블랙 함부르크, 델러웨어 등 다양하다. 주로 생과로 이용되며 음료와 양조, 잼, 건과, 통조림 등으로도 이용된다.
포도 씨 속에는 비타민 E보다 40배나 많은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는 특히 포도당과 과당이 많고, 무기질 중에는 칼륨과 철분이 풍부하고, 비타민도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포도에 함유된 특수 성분으로는 폴리페놀이 있는데 이는 분자 내에 벤젠고리로,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주목받고 있으며 그 종류가 대단히 많다. 그 중에서도 포도 씨 속에 존재하는 떫은 맛 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과 포도 껍질에 있는 레스베라트롤이 있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비타민 E의 40배, 비타민 C의 20배나 되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효소 활동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포도의 유효성분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오디, 땅콩, 포도, 라스베리, 크렌베리 등의 베리류 등을 포함한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피토알렉신으로서 포도는 곰팡이의 공격을 받으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물질로 레스베라트롤이라는 강력한 항균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에 다른 식물체보다 더 많이 발견된다. 레스베라트롤은 항암 및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항바이러스(antiviral), 신경보호작용(neuroprotective), 항염증작용(anti-inflammatory), 항노화(anti-aging)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렌치 패러독스(French paradox)는 레스베라트롤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프랑스인들이 비교적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서도 심장 질환의 발병률이 낮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포도 성분에 있어 레스베라트롤은 DPPH 라디컬 소거능에 있어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지닌다. 또한, PM10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본원의 추출물에 사용되는 생약재는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합비는 본 발명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효능 측정 및 피드백을 통해 도출해낸 것으로, 추출물 내의 점액 다당체와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최적화된 것이다.
본원의 추출물은 전술한 생약재를 용매에 침지하여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1개 이상의 OH기를 가지거나 2개 이상의 OH를 갖는 폴리알코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1,3-부틸렌글라이콜 및 물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1,3-부틸렌글라이콜의 농도는 20 내지 40%(v/v)일 수 있다.
본원의 추출물은 생약재가 용매에 침지된 후에 생약재로부터 유효성분이 용매로 용출되어 수득되는 용액을 의미한다.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추출방법으로 저온 숙성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이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에 대해 저온 숙성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은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저온 숙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15℃의 온도에서 저온 숙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일정 기간 숙성됨에 따라 높은 점액질 다당체 성분의 용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숙성을 거치지 않은 초음파 추출물보다 숙성을 진행한 초음파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며,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세포의 생존력 개선 및 항염증 활성 개선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옹기에서 보관되어 저온 숙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옹기”는 천연재료를 98% 이상, 구체적으로 99%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99.5 % 이상으로 포함하여 만든 무공해 옹기로서, 발효식품을 장기간 보관하는 항아리를 의미한다. 수많은 모래 알갱이로 이루어진 점토로 만들어져 그릇 벽에 미세한 공기 구멍이 생겨 옹기의 안과 밖으로 공기가 통하여 숨쉬는 그릇이 되어 숙성 과정이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옹기에서 발효하는 경우, 유리, PP, PET, 및 스테인리스 용기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효성분의 생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옹기는 강진, 제주, 울산, 여주, 또는 예산 지역의 흙으로 만들어지는 옹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옹기는 강진의 흙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을 옹기에서 10 내지 30일간 보관되어 숙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은 15일 내지 30일간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간만큼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다당체 및 점액질의 용출이 극대화 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숙성”이란, 대상물질 내의 구성성분인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이 효소, 미생물 또는 염류 등의 작용에 의하여 인간에 유리하도록 분해되어 특유의 특성을 갖게 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화장품 등의 제조공정의 일부 또는 제조 후의 필요조건으로 풍미나 조직이 불충분한 것을 일정 조건하에서 얼마간 방치하여 목표로 하는 화장품에 어울리는 성질을 갖게 할 수 있다. 가공과정의 각종 단계에서 다음 가공처리에 알맞은 상태가 될 때까지 일정시간 방치해두는 것도 숙성에 포함된다. 숙성과정상에서는 미생물의 생육 또는 대상물질의 자가분해, 염류 등에 의한 조직의 연화 과정을 거쳐서 구성성분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숙성과정을 거치는 동안 효소, 미생물, 또는 성분들간 상호작용에 의해 유효성분의 생성 및 조직변화 등이 일어나 화장료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숙성 과정 동안 조직의 치밀성이 낮아져 천연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합물들의 용매 친화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용성 물질의 용출이 용이해진다. 이에 따라, 경피 흡수에 적합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에 초음파가 조사한 후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음파 추출”이란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에 있어 20k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가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적정 수준의 초음파가 용매를 통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동화현상(Cavitation)으로 인하여 높은 에너지를 발생시켜 세포 벽 및 세포 내부 구조를 파열시킴으로써, 용매가 세포로 침투하게 되어 추출 효율이 증가된다.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일반 열수추출물보다 초음파 추출물 또는 저온 초음파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며,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세포의 생존력 개선 및 항염증 활성 개선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에 저온 숙성 처리와 함께 초음파 처리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는 저온 숙성처리 이후에 조사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나, 혼합물에 저온 숙성 처리 이전에 초음파가 처리되거나 저온 숙성 중에 초음파가 처리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초음파 추출은 항산화 물질에 대한 높은 추출 수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처리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높은 라디칼 소거 및 H2O2 소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20 내지 40kHz의 초음파가 조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높은 초음파강도를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성분의 함량이 많이 용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낮은 초음파강도를 사용할 경우 항산화 성분의 추출함량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추출은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시간 초과 또는 미만으로 처리될 경우 수율이나 효능이 감소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조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와 같은 낮은 온도 하에서 초음파가 조사됨에 따라 초음파에 의한 유효성분 파괴를 최소화하며 동시에 높은 함량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에 전술한 추출방법으로 처리한 후 용질부를 제거한 잔여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잔여액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으며, 상기 잔여액 또는 여과액을 침출하여 얻은 상등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잔여액, 여과액 또는 이의 상등액의 농축액일 수 있다. 여과, 침출 및 농축의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점액성 다당체의 함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과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보호 기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바다제비집, 순채, 및 다시마로부터 추출되는 다당체 점액 성분을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 겉을 보호할 수 있고 미세먼지의 침투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태의 유효성분인 에콜 및 디에콜과 포도의 유효성분인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함에 따라 피부 속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5개 생약 소재는 최적의 함량비로 조합되어 미세먼지에 의한 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 용도에 적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유지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제형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유화제, 유지, 왁스류, 계면활성제, 증점제, 색소, 미용 첨가제, 분말, 당류, 산화 방지제, 완충제, 각종 추출액, 안정화제, 자극완화제, 방부제, 보습제, 향료 등의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화장료의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섬유ㆍ고무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병을 막기 위한 살균ㆍ살충제 등이 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종류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소독 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 충진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활성산소종,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 목적으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의약외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외용제"는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중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외용제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 자극에 의한 피부염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침지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2단계는 전술한 저온 숙성 및/또는 초음파 추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다당체 점액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미세먼지의 피부 투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에콜(eckol) 및 디에콜(dieckol) 등의 플로로탄닌 및 레스베라트롤과 같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여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 및 염증 유발인자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자극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키며 주름 개선하는데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의약외품, 또는 외용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바다제비집, 순채, 다시마, 감태, 및 포도를 포함하는 숙성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생약재인 바다제비집은 중국산을 구매하였으며, 순채, 다시마, 감태, 및 포도는 국내산을 구매하였다. 상기 생약재들은 혼합 전 음지에서 건조하였다. 바다제비집, 순채의 잎과 줄기, 다시마의 줄기, 감태의 잎과 줄기, 및 포도를 1.5:1:1.5: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고, 1,3-부틸렌 글라이콜 30% 수용매에 1(용질):30(용매)의 중량비로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된 혼합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방식으로 추출하였다.
표 1에서 일반 열수추출물은 상기 침지된 혼합물을 80 내지 90℃의 조건에서 2시간 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나타낸다.
또한,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 침지된 혼합물에 25℃에서 20kHz의 초음파를 가하여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나타낸다.
또한, 저온초음파추출물은 15 내지 20℃의 온도하에서 상기 침지된 혼합물에 20kHz의 초음파를 가하여 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나타낸다.
숙성저온초음파추출믈은 상기 침지된 혼합물을 강진 옹기에 넣고 광천토굴에서 10 내지 15℃를 유지한 채로 15일간 숙성시킨 이후에, 여기에 15 내지 20℃의 온도하에서 20kHz의 초음파를 가하여 1.5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나타낸다.
  추출물 1 추출물 2 추출물 3 추출물 4
추출법 일반열수추출 초음파추출 저온초음파추출 숙성저온초음파 추출
바다제비집 1.5 1.5 1.5 1.5
순채 1 1 1 1
다시마 1.5 1.5 1.5 1.5
감태 1 1 1 1
포도 1 1 1 1
상기 추출 후, 용질부(천연소재)를 제거하고, 남은 잔여물은 침출을 유도하여 상등액(상등액이 거의 85~90 vol%)을 사용하였다. 상기 상등액에는 점액성 다당체가 생기며 여기에는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별도의 여과를 진행하지 않았다.
실험예 1 - 항산화력 측정 (전자 공여능 시험: Electron Donating Ability)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DPPH는 0.2mM의 농도로 메탄올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추출물 1 내지 4를 농도별(최종농도 0.1%, 0.5%, 1.0% (v/v))로 DW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 1 농도별 시료 100μl와 DPPH 용액 50μl를 순서대로 첨가한 뒤,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료액으로는 시료 대신 DW를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 100μg/ml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v/v) 0.1% 0.5% 1%
추출물 1
(열수추출)
12.7 37.4 65.7
추출물 2(초음파추출) 18.1 42.1 72.5
추출물 3(저온초음파) 17.3 41.2 75.4
추출물 4 (숙성저온초음파) 32.7 52.8 85.7
Ascorbic acid 100ug/ml 82.7%
추출물 1 내지 4는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1% 농도의 추출물 4의 경우 아스코르브산의 항산화력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항산화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시험)
항산화력 측정을 위해, 항산화 후보물질이 청녹색의 라디칼 ABTS(2,2'-azinodi [3-ethlbenzthiazolne-6-sulfonic acid])을 소거하여 무색의 ABTS로 전환되는 정도를 732 nm에서 측정하는 ABTS 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추출물 1 내지 4를 농도별(최종농도 0.1%, 0.5%, 1.0% (v/v))로 DW에 희석하여 라디칼 ABTS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 100μg/ml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v/v) 0.1% 0.5% 1%
추출물 1
(열수추출)
12.4 39.8 68.6
추출물 2(초음파추출) 20.8 37.8 71.8
추출물 3(저온초음파) 15.6 35.5 69.4
추출물 4 (숙성저온초음파) 28.1 48.7 88.1
Ascorbic acid 100ug/ml 84.4%
추출물 1 내지 4는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1% 농도의 추출물 4의 경우 아스코르브산의 항산화력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피부세포 보호효과
추출물 1 내지 4를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배양 시 첨가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 HS86)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104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추출물 시료를 표 4에 기재된 농도별로 혈청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 또는 미처리하여(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30분간 배양하고, 자극원으로 미세먼지 물질인 NIST® SRM®1648a (약 25종의 중금속함유)를 50μg/ml로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염색용 염료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처리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염색결정체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 sulfoxide)로 녹여내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미세먼지 자극을 처리하지 않고 시료도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세포생존율(%) = 100 - (각 추출물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의 식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계산하고, 추출물 시료와 미세먼지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채 증식시킨 군(무처리군)의 세포증식율(%)을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인 세포보호효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v/v) 0.10% 0.50% 1.00% 3.00%
추출물 1
(열수추출)
68.4 75.6 81.1 90.4
추출물 2(초음파추출) 81.9 82.3 94.2 97.4
추출물 3(저온처음파) 80.1 87.5 95.4 98.7
추출물 4 (숙성저온초음파) 84.6 98.7 100.1 102.8
무처리군 100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64.8
상기와 같이, 추출물 1 내지 4은 미세먼지를 첨가하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물 4의 경우 미세먼지를 첨가하지 않고 증식시킨 세포 군보다도 많은 양으로 증식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항염증 활성 시험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추출물 1 내지 4를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배양시 첨가하여 염증인자인 TNF-α 및 IL-6의 발현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 HS86)를 48-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교체하고 자극원으로 미세먼지 물질인 NIST® SRM®1648a (약 25종의 중금속함유)를 50μg/ml로 처리한 후, 추출물 1 내지 4 를 하기 표 5 및 표 6의 농도로 처리 또는 비처리(미세먼지 단독 처리 군) 후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미세먼지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비교 배양액(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상기 추출물 처리 배양액의 TNF-α의 농도의 %를 분석하였다. 상기 TNF-α및 IL-6의 농도는 ELISA 법으로 측정하였다. TNF-α 및 IL-6의 억제율(%)에 대한 결과값을 각각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v/v) 0.10% 0.50% 1%
추출물 1
(열수추출)
92.5 62.2 46.1
추출물 2(초음파추출) 91.2 59.4 34.8
추출물 3(저온처음파) 88.1 50.7 34.1
추출물 4 (숙성저온초음파) 81.3 45.1 28.7
무처리군 12.3
미세먼지단독 처리 군 97.5
처리농도 0.10% 0.50% 1%
열수추출 94.8 71.4 49.7
초음파추출 87.4 56.4 35.9
저온처음파 90.5 55.4 36.8
숙성저온초음파 79.4 44.3 25.1
무처리군 9.4
미세먼지SRM1648a 50ug/ml 98.4
상기 결과로부터 추출물 1 내지 4는 농도의존적으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의 억제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물 4의 경우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염증에 대해 매우 우수한 정도로 억제활성이 있었다.
실험예 5 - 주름 개선 여부 측정 시험
추출물 1 내지 4의 주름 개선 여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엘라스타제 억제 어세이(Elast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Elastase는 피부진피에 존재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elastase 저해 물질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0.2M 트리스-HCl(pH 8.0) 80㎕에 3.2 mM의 Succ-Ala-Ala-Ala-p-nitroanilide 120㎕, 하기 표 7 농도의 시료 100 ㎕를 혼합하였다. 여기에 1U의 사람 백혈구 엘라스타제(Human Leukocytes Elastase)를 1㎖의 0.2 M 트리스-HCl(pH 8.0)로 용해시킨 뒤 50㎕(50 mU)를 넣었다. 25℃에서 15분간 효소 활성화 반응을 시켰다. 반응 후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415㎚에서 대조군과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0.10% 0.50% 1.00%
추출물 1
(열수추출)
11.8 38.9 52.6
추출물 2(초음파추출) 12.4 40.7 53.7
추출물 3(저온처음파) 12.8 41.1 53.4
추출물 4 (숙성저온초음파) 15.4 43.8 64.5
Arbutin 1.0% 83.5% 활성
그 결과 표 7과 같이 추출물 1 내지 4는 우수하게 주름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추출물 4의 경우 주름 개선효과가 다름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침지된 혼합물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숙성한 후 초음파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숙성하는 것은 옹기에서 10 내지 30일간 보관되어 저온 숙성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40 KHz의 초음파가 조사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조사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용매에 침지된 혼합물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숙성한 후 초음파 추출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의약외품 조성물.
  9.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가 용매에 침지된 혼합물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숙성한 후 초음파 추출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10. 용매에 바다제비집 1.0 내지 2.0 중량부, 순채 0.5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 1.0 내지 2.0 중량부, 감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포도 0.5 내지 1.5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침지된 혼합물을 5 내지 15℃의 온도에서 숙성한 후 초음파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31956A 2020-03-16 2020-03-16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56A KR102337454B1 (ko) 2020-03-16 2020-03-16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56A KR102337454B1 (ko) 2020-03-16 2020-03-16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38A KR20210115738A (ko) 2021-09-27
KR102337454B1 true KR102337454B1 (ko) 2021-12-14

Family

ID=7792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56A KR102337454B1 (ko) 2020-03-16 2020-03-16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101469797B1 (ko) * 2014-07-22 2014-12-12 엔프라니 주식회사 콜로이달 골드 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88492B1 (ko) *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약재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101469797B1 (ko) * 2014-07-22 2014-12-12 엔프라니 주식회사 콜로이달 골드 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88492B1 (ko) *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약재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38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1623B1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053716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CN107213096A (zh) 一种植物型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101780486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5395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81390A (zh) 一种玻尿酸亮肤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54B1 (ko)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20170059611A (ko) 우무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리활성 증진용 조성물
KR101749330B1 (ko) 목이버섯이 배양된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