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15B1 -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 Google Patents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15B1
KR102337415B1 KR1020190120287A KR20190120287A KR102337415B1 KR 102337415 B1 KR102337415 B1 KR 102337415B1 KR 1020190120287 A KR1020190120287 A KR 1020190120287A KR 20190120287 A KR20190120287 A KR 20190120287A KR 102337415 B1 KR102337415 B1 KR 10233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eads
lower body
pres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852A (ko
Inventor
명채원
Original Assignee
명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채원 filed Critical 명채원
Priority to KR10201901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8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the additional devices being only operable when the comb-part is in a non-operabl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7Brushes fitted with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85Brushe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ing device or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를 빗는 브러시에 사용자가 직접 비즈를 장식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링 형태로서, 내측둘레를 따라 단턱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하부몸체; 판 형태로서 핀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몸체의 단턱부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상부면에는 비즈의 고정위치를 안내하여 장식하기 위한 도안이 형성된 장식판; 투명재질로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덮여져 고정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Brush decorated with beads}
본 발명은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를 빗는 브러시에 사용자가 직접 비즈를 장식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1986호(머리 장식용 비즈 및 그 제조방법)는 보석부재; 상기 보석부재의 하부로 구비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 구비되어 베이스판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며, 측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 및 상기 연장부가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 밀착되는 베이스판부와, 상기 베이스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보석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둥부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액서서리용 보석을 머리에 직접 착용할 수 있게 되어 미적인 부분을 강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머리 장식용 비즈는 모두 결합된 상태로 제품화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직접 비즈를 장식할 수 없어 차별화된 제품을 갖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1986호
(머리 장식용 비즈 및 그 제조방법)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로 된 브러시의 내부에 비즈를 장식하기 위한 장식판이 내장되도록 하고, 그 장식판에 사용자가 직접 비즈를 부착시킴으로써 브러시를 만드는 체험과 차별화된 제품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는,
링 형태로서, 내측둘레를 따라 단턱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하부몸체;
판 형태로서 핀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몸체의 단턱부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상부면에는 비즈의 고정위치를 안내하여 장식하기 위한 도안이 형성된 장식판;
투명재질로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덮여져 고정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판에는 도안이 형성된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비즈를 접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안에는 구획된 위치마다 비즈의 단면 크기를 갖는 원문자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착될 비즈의 종류와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에 구비된 손잡이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 거울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을 덮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취향에 맞게 브러시에 비즈를 장식함으로써 체험과 함께 차별화된 제품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의 분해도.
도2는 장식판의 도안부 형태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결합 외관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의 분해도이고, 도2는 장식판의 도안부 형태를 보인 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결합 외관도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몸체(100), 브러시부(200), 장식판(300), 상부덮개(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본 발명의 브러시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링 형태의 링부(110)가 형성되고, 그 링부(110)의 일측으로는 손잡이(150)가 연장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링부(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130)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40)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50)에는 상측만 개방된 홈부(151)가 형성되며, 그 홈부(151)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서 단턱부(15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홈부(151)가 링부(11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홈부(151)와 링부(110)의 개방부(120)를 연결하도록 연결홈부(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부(152)에도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거울(160)은 상기 손잡이(150)의 홈부(151)로 삽입되며, 그 반사면이 손잡이(150)의 하측부위를 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하부몸체(10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므로, 거울(1600의 반사면이 손잡이(15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브러시부(200)는 연질의 판 형태로서, 복수의 핀공(210)이 형성되어 그 핀공(210)에 핀(220)이 삽입되는데, 상기 핀(220)에는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걸림턱(221)이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턱(221)의 간격은 상기 브러시부(200)의 두께에 해당함으로써 핀공(210)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턱(221)이 브라시부(2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걸리게 되어 흔들리지 않고 지지되면서도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장식판(300)은 평평한 판 형태로서, 상기 링부(110)의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단턱부(130)에 걸리게 되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그 일측은 상기 손잡이(150)의 홈부(151)와 연결홈부(152)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단턱부(152)에 걸리게 되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장식판(30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비즈(320)가 부착되는 도안부(310)가 인쇄되어 형성되는데, 그 예로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인어의 형상이 도안되어 있으며, 도2에서와 같이 도안의 각 부위에는 비즈(320)의 단면 크기를 갖는 원문자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착될 비즈의 종류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311)가 인쇄되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머리카락 부위에는 빨간색의 비즈를 부착시키도록 ②로 된 복수의 원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꼬리부위에는 녹색의 비즈를 부착시키도록 ①로 된 복수의 원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둘레를 따라서는 흰색의 비즈를 부착시키도록 ⓐ로 된 복수의 원문자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면이 둥근 형태를 갖는 다양한 색상의 비즈를 표시부(311)에 표시된 원문자의 위치에 부착시킴으로써 도4에서와 같이 장식판(300)을 비즈(320)에 의해 장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311)에는 미리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상부에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어서, 비즈(320)를 부착하기 전에 이형지를 떼어내고, 표시부(311)에 비즈를 부착시키게 되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덮개(400)는 투명재질로 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하부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410)이 형성되어 브러시부(200)와 장식판(30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부몸체(1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100)와 상부덮개(400) 사이에 브러시부(200)와 장식판(300)이 위치하며, 상기 브라시부(200)의 핀(220)은 개방부(120)를 통하여 하부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비즈(320)가 장식된 장식판(300)은 투명한 상부덮개(400)를 통하여 외부로 표출된다.
결국, 도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비즈(320)를 취향에 맞게 장식판(300)에 장식하고, 핀(220)을 핀공(210)에 끼워 하부몸체(100)에 위치시킨 다음 상부덮개(400)를 덮어 결합시켜 브러시를 완성함으로써 차별화된 브러시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부몸체
110 : 링부
120 : 개방부
130 : 단턱부
140 : 결합돌기
150 : 손잡이
151 : 홈부
152 : 탄턱부
153 : 연결홈부
160 : 거울
200 : 브라시부
210 : 핀공
220 : 핀
300 : 장식판
310 : 도안부
311 : 표시부
320 : 비즈
400 : 상부덮개
410 : 결합홈

Claims (5)

  1. 링 형태로서, 내측둘레를 따라 단턱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하부몸체;
    연질의 판 형태로서 핀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하부 몸체의 단턱부에 걸리도록 장착되는 브러시부;
    상기 브러시부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핀;
    투명재질로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덮여져 상기 브러시부를 고정시키는 상부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상부면에는 비즈의 고정위치를 안내하여 장식하기 위한 도안이 형성된 장식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에는 도안이 형성된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비즈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에는 구획된 위치마다 비즈의 단면 크기를 갖는 원문자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착될 비즈의 종류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 구비된 손잡이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 거울이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을 덮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KR1020190120287A 2019-09-30 2019-09-30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KR10233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287A KR102337415B1 (ko) 2019-09-30 2019-09-30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287A KR102337415B1 (ko) 2019-09-30 2019-09-30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852A KR20210037852A (ko) 2021-04-07
KR102337415B1 true KR102337415B1 (ko) 2021-12-09

Family

ID=7546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287A KR102337415B1 (ko) 2019-09-30 2019-09-30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620B2 (en) 2020-12-01 2023-01-03 Zhongshan Yingliang Health Technology Co., Ltd. Hair comb with replaceable decorative cover
GB2601512A (en) * 2020-12-02 2022-06-08 Zhongshan Yingliang Health Tech Co Ltd Hair comb with replaceable decorative co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986B1 (ko) 2010-09-30 2012-07-03 이조원 머리 장식용 비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5526225A (ja) 2012-09-04 2015-09-10 ディーエムエス イノベーションズ エルティーディー ヘアブラ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683Y1 (ko) * 1984-09-17 1987-10-21 대우중공업주식회사 레이저가공기의 공작물 셋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986B1 (ko) 2010-09-30 2012-07-03 이조원 머리 장식용 비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5526225A (ja) 2012-09-04 2015-09-10 ディーエムエス イノベーションズ エルティーディー ヘアブラ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852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415B1 (ko)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US5232752A (en) Decorative ornaments for garments
CN106537265B (zh) 设置有外部元件的手表表壳
KR200475055Y1 (ko) 챙 장식용 악세사리
CN216723408U (zh) 嵌入凸出部加以固定的装饰物
JP6293456B2 (ja) ネイルアクセサリー
JP2008161708A (ja) 爪用装飾体および爪の装飾方法
KR101053867B1 (ko) 도자기 장식판이 부착된 버클
KR20150069149A (ko) 장식구 연결구조 및 장식용 클립
JP2015214086A (ja) 指サ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276174U (zh) 一种首饰连接结构以及首饰
CN211657533U (zh) 一种方便拼接的组合式戒指链
KR20100004166U (ko) 도자기 장식판이 부착된 버클
CN209931675U (zh) 饰品
JP3152383U (ja) アクセサリー
CN210235738U (zh) 具有镶嵌式装饰卡扣的包装盒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JP3208891U (ja) 髪用化粧環体
TWM499101U (zh) 具更換裝飾配件能力之飾品結構
KR200346499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200163212Y1 (ko) 마네킨용머리
KR200193581Y1 (ko) 장식미를 갖는 목걸이 구조
KR200335766Y1 (ko) 쇠뿔을 이용한 스냅 단추
JP2001128713A (ja) ネックレス本体と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