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322B1 -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 - Google Patents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322B1
KR102337322B1 KR1020190143135A KR20190143135A KR102337322B1 KR 102337322 B1 KR102337322 B1 KR 102337322B1 KR 1020190143135 A KR1020190143135 A KR 1020190143135A KR 20190143135 A KR20190143135 A KR 20190143135A KR 102337322 B1 KR102337322 B1 KR 10233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band
dio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724A (ko
Inventor
이문규
박정훈
이흔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Publication of KR2021002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02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by means of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4Balanced arrangements
    • H03D7/1408Balanced arrangements with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66Mixing
    • H03D2200/0078Mixing using a switched phase shifter or delay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선로를 지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 제2 선로를 지나는 제3 RF 신호 또는 제4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다이오드와 제1 선로 상에 구현되어 제1 다이오드에 의해 처리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전달하는 딜레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Harmonic Dual band APD(Anti-Parallel Diodes) frequency Mixer}
본 발명은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대역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하나의 혼합기를 통해 명확하게 수신하기 위한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혼합기(mixer)는 주파수를 변환하여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혼합기는 RF 통신 상에서 저주파와 고주파를 서로 변환해줄 수 있다.
RF통신에서 혼합기는 IF(intermediate frequency)와 RF(radio frequency) 신호 사이의 변환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혼합기는 중간 주파수인 IF와 실제 공기 중에서 사용되는 반송파(carrier) 주파수를 변환해주는 변환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수퍼 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통신에서 베이스 대역과 중간 주파수 간의 변환을 위해 혼합기(또는 믹서(mixer))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혼합기는 주파수 변환을 위해 LO(Local Oscillator)의 주파수를 기반으로 주파수 간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혼합기는 복수의 대역에 대한 신호에 대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대역 신호에 대한 혼합이 수행되는 경우, 변환 손실(Conversion Loss)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변환 손실로 인한 신호 특성의 악화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대역에 대해 혼합 동작을 수행시 변환 손실을 줄이기 위한 혼합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혼합을 수행하는 혼합기의 변환 손실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선로를 지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 제2 선로를 지나는 제3 RF 신호 또는 상기 제4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선로 상에 구현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처리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전달하는 딜레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RF 신호 및 상기 제3 RF 신호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X 대역 신호이고, 제2 RF 신호 및 제4 RF 신호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K 대역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상기 딜레이 라인을 기반으로 상기 K 대역 상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 동작하고, 상기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상기 딜레이 라인을 기반으로 상기 X 대역 상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혼합을 수행하는 혼합기의 변환 손실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써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혼합기는 역평행 다이오드(APD; Anti-Parallel Diodes)를 사용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를 기본 구조로 하여 K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혼합하였다. 그러나 좌우가 대칭인 완전한 저조파 혼합기로 혼합기를 설계하는 경우, LO(local oscillator)의 홀수배의 주파수는 널링(nulling)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X 대역의 RF 신호를 혼합할 수 없다.
따라서, X 대역의 신호를 혼합하기 위해, 좌우 매칭 회로를 튜닝하여, X, K 이중 대역 RF 신호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좌우 매칭 회로의 비대칭으로 인해 K 대역 신호에서 저조파 혼합기의 변환 손실(Conversion Loss) 특성의 악화가 발생되었다. 또한, X 대역 신호가 다이오드에 인가될 때, 역평행 다이오드와 RF단 사이, RF단에서 본 다이오드 노드 각각의 임피던스는 다를 수밖에 없다. 입력 임피던스의 크기는 동일하다고 해도,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동위상일 때, 혼합될 수 없던 X 대역의 신호가 혼합되는 것이다. 즉, 두 노드의 임피던스 변화로 X 대역의 신호는 혼합하였지만, 좋은 변환 손실 특성은 갖기 어렵다.
이러한 X 대역과 K 대역 모두에 대한 혼합 동작을 필요로 하는 혼합기는 레이더 디텍터와 같은 기기에 사용될 수 있고, 혼합기의 성능 개선을 통해 레이더 디텍터의 성능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기존 혼합기의 변환 손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가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X 대역 및 K 대역 신호에 대한 혼합을 위한 혼합기가 개시된다. X 대역은 8GHz~12GHz의 대역이고, K 대역은 18GHz~27GHz의 대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X 대역에서는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서 동작하고, K 대역에서는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서 동작하는 혼합기(mixer)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다이오드(110), 제2 다이오드(120), 딜레이 라인(delay line)(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RF 신호의 송신 및/또는 RF 신호의 수신을 위한 신호 혼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RF 안테나(115), 제2 RF 안테나(125)를 통해 수신되는 X 대역의 RF 신호 및/또는 K 대역의 RF 신호와 LO 신호(180)를 믹싱하여 IF 신호(190)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 제1 RF 안테나(115)는 X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2 RF 안테나(125)는 K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은 제1 다이오드(110)와 연결된 제1 선로(150)에서 K 대역에서 제1 선로(150)를 λ의 길이만큼 더 길게 하고, X 대역을 기준으로 제1 선로(150)를 λ/2만큼 더 길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K 대역 RF 신호의 수신을 가정하는 경우, 제1 다이오드(110)와 LO 가상 그라운드(virtual ground)(155)을 연결하는 제1 선로(150)와 제2 다이오드(120)와 LO 가상 그라운드(155)를 연결하는 제2 선로(160) 각각을 통해 K 대역 RF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딜레이 라인(130)으로 인해 K 대역을 기준으로 제1 선로(150)가 제2 선로(160)보다 λ의 길이만큼 더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딜레이 라인(130)으로 인해 제1 다이오드(110) 및 제2 다이오드(120)에 동일한 위상의 K 대역 RF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K 대역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X 대역 RF 신호의 수신을 가정하는 경우, 제1 다이오드(110)와 LO 가상 그라운드(virtual ground)(155)을 연결하는 제1 선로(150)와 제2 다이오드(120)와 LO 가상 그라운드(155)를 연결하는 제2 선로(160)를 통해 X 대역 RF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딜레이 라인(130)으로 인해 X 대역을 기준으로 제1 선로(150)가 제2 선로(160)보다 λ/2의 길이만큼 더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딜레이 라인(130)으로 인해 제1 다이오드(110) 및 제2 다이오드(120)의 위상차가 180도 존재하는 X 대역 RF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X 대역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선로(150)를 지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110)와 제2 선로(160)를 지나는 제3 RF 신호 또는 제4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다이오드(120) 및 제1 선로(150) 상에 구현되어 제1 다이오드(110)에 의해 처리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전달하는 딜레이 라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RF 신호 및 제3 RF 신호는 제1 안테나(115)를 통해 수신되는 X 대역 신호이고, 제2 RF 신호 및 제4 RF 신호는 제2 안테나(125)를 통해 수신되는 K 대역 신호일 수 있다. 제 2 RF 신호 및 제 4 RF 신호의 주파수는 제 1 RF 신호 및 제 3 RF 신호의 주파수의 약 2배일 수 있다.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딜레이 라인(130)을 기반으로 K 대역 상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 동작하고,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딜레이 라인(130)을 기반으로 X 대역 상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K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의 동작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K 대역 RF 신호의 수신을 가정하는 경우, 제1 다이오드(210)와 LO 가상 그라운드(virtual ground)(255)을 연결하는 제1 선로(250)와 제2 다이오드(220)와 LO 가상 그라운드(255)를 연결하는 제2 선로(260)를 통해 K 대역 RF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딜레이 라인(230)으로 인해 K 대역을 기준으로 제1 선로(250)가 제2 선로(260)보다 λ의 길이만큼 더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딜레이 라인(230)을 기반으로 제1 다이오드(210) 및 제2 다이오드(220)에 동일한 위상의 K 대역 RF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K 대역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1은 K 대역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에서 추출되는 IF 신호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15183069-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서 v1은 제1 다이오드(210)에 걸리는 전압이고, v2는 제2 다이오드(220)에 걸리는 전압이다. 제1 다이오드(210)와 제2 다이오드(220)에는 제1 선로(250)에 구현된 딜레이 라인(230)을 기반으로 동일 위상의 K 대역 RF 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제1 다이오드(210)와 제2 다이오드(220)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므로 v1과 v2의 서로 다른 부호(+/-)의 값을 가진다.
i1은 제1 다이오드(210)에 흐르는 전류이고, i2는 제2 다이오드(220)에 흐르는 전류이다.
isum은 제1 다이오드(210)에 흐르는 전류와 제2 다이오드(220)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다.
isum에서 IF 신호(290)를 추출하면,
Figure 112019115183069-pat00002
의 값을 가지는 IF 신호(290)가 추출될 수 있다. 즉,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K 대역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X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의 동작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X 대역의 RF 신호의 수신을 가정하는 경우, 제1 다이오드(310)와 LO 가상 그라운드(virtual ground)(355)을 연결하는 제1 선로(350)와 제2 다이오드(320)와 LO 가상 그라운드(355)를 연결하는 제2 선로(360)를 통해 X 대역 RF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딜레이 라인(330)으로 인해 X 대역을 기준으로 제1 선로(350)가 제2 선로(360)보다 λ/2의 길이만큼 더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선로(350)에 구현된 딜레이 라인(330)을 기반으로 제1 다이오드(310) 및 제2 다이오드(320)에 180도 위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X 대역 RF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LO 주파수가 X 대역 RF 신호의 주파수와 비슷하기 때문에 지연 선로의 길이는 약 λ/2가 되며, LO 신호가 각 다이오드와 선로를 지난 후, 교차점에서 각 경로의 LO 신호의 위상차는 약 180도가 되어 가상 그라운드가 되기 때문에 LO-RF 격리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X 대역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2는 X 대역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에서 추출되는 IF 신호(390)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9115183069-pat00003
위의 수학식 2에서 v1은 제1 다이오드(310)에 걸리는 전압이고, v2는 제2 다이오드(320)에 걸리는 전압이다. 제1 다이오드(310)와 제2 다이오드(320)에는 180도 위상 차이를 가지는 X 대역 RF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i1은 제1 다이오드(310)에 흐르는 전류이고, i2는 제2 다이오드(320)에 흐르는 전류이다.
isum은 제1 다이오드(310)에 흐르는 전류와 제2 다이오드(320)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다.
isum에서 IF 신호(390)를 추출하면,
Figure 112019115183069-pat00004
의 값을 가진다. 즉,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K 대역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X 대역, K 대역 각각에 대하여 지역별로 사용에 따라 안테나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레이다 디텍터에 사용될 수 있고, 지역에 따라 사용되는 대역이 서로 상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A에서는 X 대역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고, 국가B에서는 K 대역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되는 국가별로 X 대역 또는 K 대역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위해 초기 단계(제1 동작 단계)에서 레이다 디텍터의 동작시 2개의 안테나(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통해 전달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제1 동작 단계를 통해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활성 안테나 또는 비활성 안테나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동작 단계는 해당 대역의 신호 존재 여부, 신호가 존재하나 들어온 신호가 레이다 디텍터를 통해 처리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적응적으로 비활성화되는 비활성 안테나로 전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적응적으로 비활성화되는 따른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의 동작 상태는 제2 동작 단계일 수 있다. 제1 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기간은 레이다 디텍터 상에서 판단되는 차량의 이동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제1 임계 거리 상을 이동하고, 제1 임계 거리는 차량의 이동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에서 비활성화 안테나는 활성화 안테나로 적응적으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데, 비활성화 안테나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주기적으로 제1 임계 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비활성 안테나의 활성화 단계에서 레이다 디텍터에 대해 유효한 신호가 들어오는 경우, 제2 동작 단계에서 제1 동작 단계로 전환되고, 비활성 안테나의 활성화 단계에서 레이다 디텍터에 대해 유효한 신호가 설정 시간 동안 들어오지 않는 경우, 제2 동작 단계에서 제3 동작 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에서는 비활성 안테나의 활성 상태로의 전환하는 차량의 속도의 임계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으로 설정되고, 주기적으로 활성화시 활성화되는 전체 시간이 제1 임계 시간보다 짧은 제2 임계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제1 동작 상태에서 제3 동작 상태로의 전환은 레이다 디텍터의 리셋, 레이더 디텍터의 전원 ON/OFF 또는 레이더 디텍터 상에서 설정된 설정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제1 선로를 지나는 제1 RF 신호 또는 제2 RF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
    제2 선로를 지나는 제3 RF 신호 또는 제4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선로 상에 구현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제1 RF 신호 또는 상기 제2 RF 신호를 전달하는 딜레이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딜레이 라인은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연결된 상기 제1 선로에서 K 대역에서 상기 제1 선로를 λ의 길이만큼 더 길게 하고, X 대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선로를 λ/2만큼 더 길게 하고,
    상기 제1 RF 신호 및 상기 제3 RF 신호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X 대역 신호이고,
    상기 제2 RF 신호 및 상기 제4 RF 신호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K 대역 신호이고,
    상기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상기 딜레이라인을 기반으로 상기 K 대역 상에서 저조파 혼합기(Subharmonic Mixer)로 동작하고,
    상기 하모닉 이중 대역 불평형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는 상기 딜레이라인을 기반으로 상기 X 대역 상에서 평형 혼합기(Balanced Mixer)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제1 동작 단계, 제2 동작 단계, 또는 제3 동작 단계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동작 단계는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전달되는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각각을 활성 안테나 또는 비활성 안테나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기간은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설치된 차량의 이동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동작 단계는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적응적으로 비활성화시켜 비활성 안테나로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주기적으로 제1 임계 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비활성 안테나의 활성화 단계에서 상기 비활성 안테나 상에 유효한 신호가 상기 제1 임계 시간 동안 들어오지 않는 경우, 제2 동작 단계는 상기 제3 동작 단계로 전환되고,
    상기 제3 동작 단계는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적응적으로 비활성화시켜 비활성 안테나로 결정하고, 상기 비활성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주기적으로 제2 임계 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되,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임계 시간은 상기 제1 임계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3. 삭제
KR1020190143135A 2019-08-14 2019-11-11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 KR102337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930 2019-08-14
KR20190099930 2019-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24A KR20210020724A (ko) 2021-02-24
KR102337322B1 true KR102337322B1 (ko) 2021-12-09

Family

ID=7468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35A KR102337322B1 (ko) 2019-08-14 2019-11-11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5849A1 (fr) * 2008-09-10 2010-03-12 Thomson Licensing Melangeur bi-mode signaux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중 대역 레이더 신호 수신을 위한 이중 모드 주파수 혼합기(고민호 외 3명, 한국전자파학회지. 24권, 11호, pp.1047~1054, 2013.11.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24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397B1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direct conversion from radio frequency modulated signals to baseband signals
CN101212441B (zh) 在通讯系统中处理信号的方法和系统
JP5922309B2 (ja) パッシブ・ミキサ回路における改善された線形性
US7538719B2 (en) Mixer circuit and radar transceiver
KR102483874B1 (ko) 자체 정정 능력을 갖는 폴리-페이즈 필터를 사용하는 클록 생성 아키텍처
JP2001525149A (ja) Fetミクサデバイスと方形波駆動切換え回路を有する無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KR102337322B1 (ko) 하모닉 이중 대역 역병렬 다이오드 주파수 혼합기
US9500740B2 (en) Receiver circuit, phased-array receiver and radar system
KR101346449B1 (ko) 구성가능한 안테나 인터페이스
US20220321086A1 (en) Wide band passive balun
KR102408434B1 (ko) 하모닉 이중 대역 혼합기
US9450595B2 (en) N-path cascode transistor output switch for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KR100911431B1 (ko) 저조파 혼합기
KR100613580B1 (ko) 분리도를 개선시킨 듀얼 안테나 장치
Hammou et al. V-band six-port down-conversion techniques
Koh et al. Time-interleaved phased arrays with parallel signal processing in RF modulations
CN111987994A (zh) 一种高性能小型化单片集成的谐波混频器
US20110300823A1 (en) Image rejection mix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303320B2 (en) Sampler in a full-duplex system and method of sampling received signal
US20190207646A1 (en) Pulse position modulation circuit
US20240056202A1 (en) Testing a signal path
CN109391275B (zh) 无线通信系统接收电路与射频信号接收方法
JP5382089B2 (ja) ミキサ回路とレーダー用送受信装置
US8737946B2 (en) Down-converter, up-converter, receiver and transmitter applying the same
Quan et al. Low-Mismatch and Low-Loss Transformer-Based SPDT Switch with Switching Load Technique for 5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