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63B1 -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63B1
KR102336963B1 KR1020200095797A KR20200095797A KR102336963B1 KR 102336963 B1 KR102336963 B1 KR 102336963B1 KR 1020200095797 A KR1020200095797 A KR 1020200095797A KR 20200095797 A KR20200095797 A KR 20200095797A KR 102336963 B1 KR102336963 B1 KR 10233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cking
packaging pack
pack
tw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주
정태현
유영진
조창희
정상길
안영범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에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주)에이앤아이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0009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65B7/1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and twi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포장팩의 일측 개봉부를 결속시키는 시스템으로,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연화시켜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장치, 상기 주름 형성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름 형성장치에 의해 연화된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에 의해 공기가 제거된 상기 개봉부를 꼬아주는 트위스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꼬아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을 1차적으로 결속하는 묶음장치 및 상기 묶음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속하여 상기 개봉부를 2단계로 결속하는 마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Automatic Packing Pack Binding System}
본 발명은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 등과 같은 내용물이 삽입된 포장팩의 내용물 투입구를 결속하여 내용물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류의 포장팩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김치와 같은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인입한 후 개구부를 결속시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포장된다.
이러한 포장재는 열 접착을 통해 개구부를 결속할 수 있다. 하지만, 열 접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한번에 소진하지 않는 경우 재 결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보관용기로 내용물을 옮겨서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개구부를 개봉 후 다시 결속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개봉부를 형성하여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포장팩을 결속시키는 포장팩이 있다.
이러한 클립 개폐형 포장팩은 포장 시 클립 등을 이용하여 포장팩의 개구부를 결속시켜 결속 후 출시되어 사용자가 클립을 이용하여 포장재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포장팩을 결속하는 공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인건비가 향상되고,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 설비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일부 공정은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지만 일부 공정은 완전 자동화가 어려워 여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생산성 향상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KR 0754354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치 등과 같은 내용물이 삽입된 포장팩의 내용물 투입구를 결속하여 내용물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은 내용물이 들어있는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포장팩의 일측 개봉부를 결속시키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은,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연화시켜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장치, 상기 주름 형성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름 형성장치에 의해 연화된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에 의해 공기가 제거된 상기 개봉부를 꼬아주는 트위스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꼬아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을 1차적으로 결속하는 묶음장치 및 상기 묶음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속하여 상기 개봉부를 2단계로 결속하는 마감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포장팩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압착하여 연화시키는 연화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압착부는, 상기 연화압착부는 상기 제1몸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상기 연화압착부가 구비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연화압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장팩의 개봉부와 접촉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1이송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제거장치는, 상기 주름 형성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상기 포장팩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의 하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고정유닛,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고정유닛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승강부 및 상기 제1승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를 압착하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제거유닛은, 상기 개봉부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는 보조 압착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제거장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송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위스터장치는, 상기 공기제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부, 상기 제3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2고정유닛, 상기 제3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2고정유닛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부 및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꼬아주는 트위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터부는,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심축, 상기 회전중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의 테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작부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그립퍼 및 상기 제1조작부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그립퍼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그립퍼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립퍼는, 상기 포장팩과 접촉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로부터 연장되어 일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조작부와 결합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서 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조작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제1그립퍼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유닛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트위스터부에 의해 상기 개봉부가 꼬아짐에 따라 소정 간격 상승하는 상기 포장팩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위스터장치는, 상기 제3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3이송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트위스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부,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3고정유닛,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 상부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2그립퍼 및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 하단부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를 1차적으로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패킹하여 결속하는 제1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패킹부로 상기 제1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패킹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4이송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묶음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5몸체부,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4고정유닛, 상기 제5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3그립퍼 및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결속된 싱기 개봉부의 1차 결속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제2패킹유닛으로 결속하는 제2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패킹부로 상기 제2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패킹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 또는 상기 제2패킹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패킹유닛이 결속된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절단하는 커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개봉부에 결속된 상기 제2패킹유닛과 상기 제3그립퍼 사이를 절단하고, 상기 제3그립퍼는 절단된 개봉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5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5이송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주름 형성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와 대향되는 일측에 상호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인접한 장치들 사이를 왕복이송하며 상기 포장팩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전달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주름 형성장치 및 상기 공기제거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름 형성장치에서 상기 개봉부의 연화가 완료된 상기 포장팩을 상기 공기제거장치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 상기 공기제거장치 및 상기 트위스터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에 의해 상기 개봉부의 공기를 제거한 상기 포장팩을 상기 트위스터장치로 전달하는 제2전달부, 상기 트위스터장치 및 상기 묶음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개봉부가 꼬아진 상기 포장팩을 상기 묶음장치로 전달하는 제3전달부,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상기 개봉부가 1차 결속된 상기 포장팩을 상기 마감장치로 전달하는 제4전달부 및 상기 제1전달부 내지 상기 제4전달부가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이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제6이송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전달부 내지 제4전달부가 결합되는 결합몸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마감장치를 통해 결속 공정이 마무리된 상기 포장팩을 배출시키는 제5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팩이 상기 주름 형성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를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포장팩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까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이송유닛, 상기 포장팩이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달장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제2이송유닛 및 상기 마감장치를 통해 결속이 완료된 상기 포장팩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3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조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각각의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감소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포장팩을 결속하기 위한 여러 단계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송부를 통해 복수의 포장팩이 연속적으로 공급 및 각각의 공정에 알맞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포장팩의 용량 및 부피 등이 변화하더라도 이송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용량 및 부피를 갖는 포장팩을 하나의 장치에서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이송부의 일측에 인접한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 사이를 왕복하는 전달장치를 구비하여 포장팩의 이송을 보조하고, 이전 공정에서 이루어진 작업이 이동 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주름 형성장치의 일측에 포장팩의 개봉부를 1차적으로 구겨주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연화압착부가 작은 힘으로도 개봉부의 연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공기제거장치에 개봉부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는 보조 압착유닛이 구비되어 개봉부의 공기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개봉부가 꼬아지며 상승하는 포장팩의 본체(B)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에 롤러 등의 보호유닛을 구비하여 포장팩의 본체(B)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를 압착하는 장치를 대부분 집게 형상으로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최고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터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묶음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포장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10의 포장팩에서 내용물의 충진 후 2단계로 마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김치 등의 내용물이 삽입된 포장팩의 내용물을 유입하는 투입구 일측을 결속하는 장치로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팩의 투입구를 복수의 공정을 통해 자동으로 결속한다. 이러한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마감장치(500), 전달장치(600) 및 이송부(7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10)의 배치상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내용물이 삽입된 포장팩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각각의 공정에 따른 해당장치로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이송부(7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부(700)의 일측에는 이송부(7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팩을 결속하기 위한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가 배치된다.
또한,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와 대향되는 이송부(700)의 타측에는 포장팩을 전술한 각각의 장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후속 공정으로 포장팩이 이송되는 것을 보조하는 전달장치(600)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각각의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팩의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되어 있는 부분을 포장팩 본체(B), 내용물이 삽입되지 않고 비어 있는 일측을 개봉부(B1: 도 10참조)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주름 형성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팩이 이송되는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개봉부(B10)를 압착을 통해 구김으로써 연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주름 형성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몸체부(110), 연화압착부(120), 돌기부(140) 및 제1이송블록(130)으로 구성된다.
제1몸체부(110)는 이송부(7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화압착부(120) 및 돌기부(1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실시예로 제1몸체부(110)는 이송부(7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110)의 크기 및 길이 등은 포장팩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연화압착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일측에 상기 이송부(700) 방향으로 돌출되고, 포장팩의 개봉부(B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연화압착부(120)는 포장팩의 개봉부(B10)를 구기거나 비틀거나 주름을 발생하여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연화압착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10)의 일측에 포장팩의 개봉부(B10)를 향해 돌출되고, 오므려지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집게 형상 부재는 개봉부(B10)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표현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완만하게 만곡된 형태 또는 일자 막대 형태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화압착부(120)는 포장팩의 개봉부(B10)의 길이에 따라 개봉부를 전반적으로 연화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화압착부(120)는 보다 안정적으로 개봉부(B10)를 연화하기 위하여 연화압착부(120)의 내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제1날개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121)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화압착부(120)의 내부에 연화압착부(1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제1날개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연화압착부(120)를 제1날개부(121)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화압착부(120)를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로 구동하여도 개봉부(B10)를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즉, 개봉부(B10)가 연화압착부(120)의 내측면과 제1날개부(121)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개봉부(B10)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화압착부(120)는 사용양태에 따라 제1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140)는 제1몸체부(110) 또는 연화압착부(120) 일측에 포장팩의 개봉부(B10) 일측과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연화압착부(120)가 개봉부(B10)를 보다 용이하게 연화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돌기부(140)는 개봉부(B10)가 접촉을 통해 1차 구김을 발생하도록 만들 수 있도록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그 크기 및 형태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름 형성장치(100)의 일측에는 이송부(700)와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제1이송블록(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송블록(130)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주름 형성장치(10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이송블록(130)은 주름 형성장치(100), 바람직하게는 제1몸체부(110)가 안착되어 제1이송블록(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1이송블록(130)은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제1몸체부(110)가 제1이송블록(13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 구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공기제거장치(200)는 포장팩의 이송방향을 따라 주름 형성장치(100)가 구비된 이송부(700)의 일측에 주름 형성장치(100)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개봉부(B10)의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제거장치(200)는 포장팩의 개봉부(B10)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공기제거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2몸체부(210), 제1고정유닛(220), 제1승강부(230), 공기제거유닛(240) 및 제2이송블록(250)을 포함한다.
제2몸체부(210)는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포장팩의 이송방향을 따라 주름 형성장치(1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공기제거유닛(240)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몸체부(210)는 상부방향으로 이송부(7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부(7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몸체부(210)는 공기제거유닛(240) 등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길이는 포장팩의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고정유닛(220)은 제2몸체부(210)의 일측에 이송부(700)를 따라 이송되는 포장팩을 향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공기제거유닛(240)이 개봉부(B10)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정 중 포장팩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고정유닛(220)은 포장팩의 포장팩 본체(B)와 개봉부(B10)의 경계선과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위치의 개봉부(B10) 하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제2몸체부(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장팩을 고정한다. 이때, 제1고정유닛(220)은 개봉부(B10)의 하부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1고정유닛(220)은 오므리고 펼쳐지도록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유닛(220)은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제1고정유닛(220)의 내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된 제2날개부(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날개부(221)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유닛(220)의 내부에 제1고정유닛(2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제2날개부(221)가 형성됨에 따라 제1고정유닛(220)을 제2날개부(221)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고정유닛(220)을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로 구동하여도 개봉부(B10)를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즉, 개봉부(B10)가 제1고정유닛(220)의 내측면과 제2날개부(221)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개봉부(B10)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승강부(230)는 제2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승강 가능하도록 제2몸체부(2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승강부(230)는 제2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면 어떠한 구성 및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고정유닛(220)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공기제거유닛(240)은 제1승강부(230)의 일측에 제1고정유닛(220)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개봉부(B10)를 압착한 상태로 공기제거유닛(240)이 제1승강부(230)의 승강에 따라 이동하면서 개봉부(B1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다. 이러한 공기제거유닛(240)은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개봉부(B10)를 압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오므림과 펼쳐짐이 가능한 집게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이때, 공기제거유닛(240)의 공기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기제거유닛(240)의 내부 일측에는 제1고정유닛(220)에 형성된 제2날개부(221)와 대응되는 제3날개부(2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날개부(242)는 공기제거유닛(240)의 내부 일측에 공기제거유닛(24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3날개부(242) 및 공기제거유닛(240) 사이에 개봉부(B10)가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제거유닛(240)만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에 개봉부(B10)의 압착이 용이해지고, 보다 강한 힘으로 개봉부(B10)를 압착하게 된다.
또한, 공기제거유닛(24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압착유닛(241)이 구비된다. 보조 압착유닛(241)은 개봉부(B1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공기제거유닛(240)이 제1승강부(230)를 따라 승강 시 보다 원활하게 개봉부(B1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형태의 보조 압착유닛(241)이 공기제거유닛(24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압착유닛(241)의 설치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 압착유닛(2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기제거유닛(240)의 상부 일측에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 압착유닛(241)은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기제거유닛(240)의 일측 날개부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2개가 구비되고, 대향되는 공기제거유닛(240)의 타측 날개부에 1개가 구비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3개의 보조 압착유닛(241)은 공기제거유닛(240)이 오므려지는 경우 개봉부(B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보조 압착유닛(241)이 구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유선형 또는 다각면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이송블록(250)은 제2몸체부(2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몸체부(2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2이송블록(250)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2몸체부(210)가 제2이송블록(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처럼 제2이송블록(250)은 제2몸체부(2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2이송블록(250)은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제2몸체부(210)가 제2이송블록(25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 구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터장치(300)는 개봉부(B10)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이하여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공기가 제거된 개봉부(B10)를 꼬아주는 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3몸체부(310), 제2고정유닛(320), 제2승강부(330), 트위스터부(340) 및 제3이송블록으로 구성된다.
제3몸체부(310)는 이송부(700)의 인접한 일측에 포장팩의 이송방향을 따라 공기제거장치(2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트위스터부(340)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3몸체부(310)는 상부방향으로 이송부(7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부(7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3몸체부(310)는 트위스터부(340) 등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길이는 포장팩의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고정유닛(320)은 제3몸체부(3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고정유닛(320)은 트위스터부(340)에서 개봉부(B10)를 꼬아주는 공정 중 포장팩의 본체(B)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오므리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고정유닛(320)에 의해 고정되는 포장팩은 개봉부(B10)가 꼬아짐에 따라 포장팩 본체(B)가 소정간격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제2고정유닛(320)의 외주면에는 포장팩의 상승 시 제2고정유닛(320)과 접촉하는 포장팩의 외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유닛(3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유닛(321)은 제2고정유닛(32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연한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이루어지거나, 포장팩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팩과 접촉하는 제2고정유닛(32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유닛(321)이 구비됨에 따라 포장팩 본체(B)가 소정간격 상승하며 제2고정유닛(320)과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포장팩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포장팩 본체(B)를 고정할 수 있다.
제2승강부(330)는 제3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승강 가능하도록 제2몸체부(2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승강부(330)는 제3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면 어떠한 구성 및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트위스터부(340)는 제2승강부(330)의 일측에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은 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트위스터부(340)는 제2승강부(330)에 결합되어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집은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개봉부(B10)를 꼬아줄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트위스터부(340)의 세부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터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터부(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회전중심축(344), 제1조작부(342), 제1그립퍼(341) 및 제2조작부(343)를 포함한다.
회전중심축(344)은 제2승강부(3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2승강부(330)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회전중심축(344)은 이송부(700)에서 공급되는 포장팩의 중심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회전중심축(344)은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일방 또는 양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제1조작부(342)는 회전중심축(344)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축(34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평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조작부(342)는 제1그립퍼(341)의 개수에 따라 테두리부에 그와 대응되는 홈 또는 결합고리 등이 등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6개의 제1그립퍼(341)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2조작부(343)에는 제1그립퍼(341)와 대응되는 6개이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그립퍼(341)는 중심 일측이 제1조작부(342)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힌지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제1그립퍼(341)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제1조작부(342) 하방으로 노출된 제1그럽퍼의 하부가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된다. 이처럼 제1그립퍼(341)는 제1조작부(342)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조작부(342)의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1그립퍼(34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일측 및 중심 일측이 각각 절곡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일측에서 절곡된 부분이 제1조작부(3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중심 일측의 절곡은 복수의 제1그립퍼(341)의 하단이 상호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절곡되는 것이다. 또한, 제1그립퍼(341)의 상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조작부(34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곡된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제2조작부(343)는 제1조작부(342)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조작부(342)를 통해 회전중심축(3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조작부(342)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조작부(343)의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제1그립퍼(341)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힌지 등의 고리부가 구비되어 제1그립퍼(341)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조작부(343)는 전체적으로 제1조작부(342)와 대응되지만, 제1조작부(34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부에 제1조작부(342)와 대응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홈에는 고리부가 구비되고, 고리부가 제1그립퍼(341)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제1그립퍼(341)와 연결된다. 이처럼 고리부를 통해 제1그립퍼(341)와 연결된 제2조작부(343)는 승강에 따라 고리부가 제1그립퍼(341)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며 제1그립퍼(341)의 하단이 오므려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조작한다. 이와 같은 제2조작부(343)를 통해 제1그립퍼(341)가 조작되는 방법은 후술하는 사용양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1조작부(342)가 회전중심축(344)과 연결되고, 제2조작부(343)는 제1조작부(342)와 연결되어 제2조작부(343)가 제1조작부(342)를 통해 회전중심축(344)의 회전을 전달 받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사용양태에 따라 제2조작부(343)가 회전중심축(344)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제1조작부(342)는 제2조작부(343)의 회전에 의해 회전중심축(3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터장치(300)는 트위스터부(340)의 회전에 의해 꼬아지는 개봉부(B10)가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꼬아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고정부(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고정부(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몸체부(3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유닛(320)과 제2승강부(330) 사이에 구비되어 개봉부(B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조고정부(350)는 개봉부(B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평판부재 또는 개폐 가능한 집게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조고정부(350)는 개봉부(B10)의 일측을 강하게 압착하지 않고,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공기가 제거되며 압착된 개봉부(B10)가 다시 확장되지 않고 압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힘만을 개봉부(B10)로 전달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보조고정부(350)가 개봉부(B10)의 일측을 잡아줌에 따라 트위스터부(340)가 개봉부(B10)의 상단부 일측을 잡고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개봉부(B10)의 전체 부분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어느 일측에 과도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조하고, 개봉부(B10)가 고르게 꼬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제3이송블록은 제3몸체부(3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몸체부(3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3이송블록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3몸체부(310)가 제3이송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처럼 제3이송블록은 제3몸체부(3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3이송블록은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제3몸체부(310)가 제3이송블록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 구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양태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이송블록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공기제거장치(200)의 제2몸체부(210) 및 트위스터장치(300)의 제3몸체부(310)가 연결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2이송블록(250)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몸체부(210) 및 제3몸체부(310)는 제2이송블록(250)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묶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묶음장치(400)는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꼬아진 부위를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묶음장치(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4몸체부(410), 제3고정유닛(420), 제2그립퍼(430), 제1패킹부(440), 제1패킹공급부(450) 및 제4이송블록(460)으로 구성된다.
제4몸체부(410)는 이송부(700)의 인접한 일측에 포장팩의 이송방향을 따라 트위스터장치(3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1패킹부(440)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4몸체부(410)는 상부방향으로 이송부(7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부(7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4몸체부(410)는 트위스터부(340) 등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길이는 포장팩의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3고정유닛(420)은 제4몸체부(4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3고정유닛(420)은 제1패킹부(440)에서 개봉부(B10)를 제1패킹유닛으로 결속시키는 공정 중 포장팩의 본체(B)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오므리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그립퍼(430)는 제4몸체부(4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꼬아진 상태로 공급된 개봉부(B10)의 꼬아짐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아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그립퍼(430)는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아서 고정하여 개봉부(B10)의 꼬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오므리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패킹부(440)는 제4몸체부(4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포장팩의 본체(B)와 개봉부(B10)가 연결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케이블타이, 금속 클립 등과 같은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를 결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패킹부(4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패킹유닛을 통해 개봉부(B10)의 일측을 결속시켜 포장팩을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케이블타이로 이루어진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의 하부 일측을 자동으로 결속시키는 체결용 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체결건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패킹부(4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꼬아진 부위 중 제1지점(P1)에 제1패킹유닛을 결속시키며, 이에 따라 개봉부(B10)가 꼬아진 상태에서 차단되며 포장팩(B)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다.
제1패킹공급부(450)는 제1패킹부(440)와 인접한 제4몸체부(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패킹부(440)로 제1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제1패킹공급부(450)는 제1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1패킹부(440)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1패킹공급부(450)는 복수의 케이블타이가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고, 저장된 케이블타이를 순차적으로 제1패킹부(440)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케이블 타이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1패킹공급부(4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4이송블록(460)은 제4몸체부(4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4몸체부(4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4이송블록(460)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4몸체부(410)가 제4이송블록(4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처럼 제4이송블록(460)은 제4몸체부(4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4이송블록(460)은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제4몸체부(410)가 제4이송블록(46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 구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500)는 묶음장치(400)에 의해 1차 결속이 이루어진 개봉부(B10)를 1차결속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속하고, 2차 결속이 이루어진 개봉부(B10)의 상부를 절단하여 마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마감장치(500)는 일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5몸체부(510), 제4고정유닛(520), 제3그립퍼(530), 제2패킹부(540), 제2패킹공급부(550), 커팅부 및 제5이송블록으로 구성된다.
제5몸체부(510)는 이송부(700)의 인접한 일측에 포장팩의 이송방향을 따라 트위스터장치(3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2패킹부(540)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5몸체부(510)는 상부방향으로 이송부(700)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부(7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5몸체부(510)는 트위스터부(340) 등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길이는 포장팩의 전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4고정유닛(520)은 제4몸체부(410)의 하부 일측, 또는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4고정유닛(520)은 마감장치(500)에서 2차패킹 및 절단 등의 마감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포장팩의 본체(B)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오므리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3그립퍼(530)는 제5몸체부(5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2그립퍼(430)와 마찬가지로 1차 결속이 이루어진 개봉부(B10)의 상부가 꼬아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아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3그립퍼(530)는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아서 고정하여 개봉부(B10)의 꼬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오므리고 펼쳐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3그립퍼(530)는 커팅부에서 커팅된 개봉부(B10)의 상단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제5몸체부(5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제5몸체부(510)를 중심으로 이송부(700)와 대향되는 타측에 커팅된 개봉부(B10)를 수거하는 수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제3그립퍼(530)는 커팅된 개봉부(B10)를 수거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제5몸체부(510)의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수거부의 위치가 제5몸체부(510) 및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면 제3그립퍼(530)는 수거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패킹부(540)는 제5몸체부(5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패킹유닛에 의해 결속된 개봉부(B1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케이블타이, 금속 클립 등과 같은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를 결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패킹부(5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제1결속유닛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개봉부(B10)의 일측을 결속하여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2패킹유닛은 금속 클립으로 이루어진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꼬아진 개봉부(B10)의 일측을 결속하는 클립체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제2패킹부(5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킹유닛에 의해 상기 개봉부(B10)가 꼬아진 채 1차적으로 결속된 상태에서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P2지점을 결속한다.
이때, 제2패킹부(540)는 개봉부(B10)에서 제1패킹유닛이 결속된 지점인 P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점인 P2에 제2패킹유닛을 결속 시키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개봉부(B10)를 결속할 수 있다.
커팅부는 제5몸체부(510) 또는 제2패킹부(5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패킹부(540)가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를 결속함과 동시에 제2패킹유닛의 상부로 돌출된 개봉부(B10)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팅부는 제2패킹부(54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2패킹부(540)의 일측에 제2패킹부(54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2패킹부(540) 및 커팅부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패킹공급부(550)는 제2패킹부(540)와 인접한 제5몸체부(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패킹부(540)로 제2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제2패킹공급부(550)는 제2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1패킹부(440)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2패킹공급부(550)는 복수의 금속클립이 정렬된 상태로 저장되고, 저장된 금소클립을 순차적으로 제2패킹부(540)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금속클립은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1패킹공급부(4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5이송블록은 제5몸체부(5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5몸체부(5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5이송블록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와 소정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5몸체부(510)가 제5이송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처럼 제5이송블록은 제5몸체부(510)와 이송부(7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5이송블록은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제5몸체부(510)가 제5이송블록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 구동시키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양태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이송블록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묶음장치(400)의 제4몸체부(410) 및 마감장치(500)의 제5몸체부(510)가 연결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4이송블록(460)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몸체부(410) 및 제5몸체부(510)는 제4이송블록(460)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며 이송부(70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는 각각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전달장치의 사시도이다. 전달장치(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전술한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상부 장치들과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인접한 장치들로 포장팩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달장치(600)의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달장치(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6이송블록(610), 결합몸체(620), 제1전달부(640) 내지 제5전달부(680)로 구성된다.
제6이송블록(610)은 이송부(700)와 인접한 일측에 이송부(700)를 따라 이송하는 포장팩의 이송부(700)와 동일한 이송경로를 갖도록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이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6이송블록(610)은 이송부(700)와 동일한 이송방향을 가지고 일정간격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결합몸체(620)는 제6이송블록(6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6이송블록(61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동하고, 제1전달부(640) 내지 제5전달부(68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결합몸체(62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제1결합몸체(621) 및 제1결합몸체(621)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6이송블록(6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1결합몸체(621)의 일측에 제2결합몸체(62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상기 제2결합몸체(622)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3결합몸체(623)로 구성된다.
이때,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는 제1결합몸체(621)에 소정간격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전달부(64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몸체의 이동에 따라 주름 형성장치(100) 및 공기제거장치(200) 사이를 왕복하며 주름 형성장치(100)에서 개봉부(B10)의 연화가 완료된 포장팩을 공기제거장치(2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1전달부(640)는 주름 형성장치(100)에서 의해서 구겨지며 연화가 이루어진 개봉부(B10)가 복원력에 의해 다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포장팩을 전달하기 위하여 개봉부(B10) 및 포장팩 본체(B)를 각각 고정하는 제4그립퍼(641) 및 제5그립퍼(642)를 포함한다.
제4그립퍼(641)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주름 형성장치(100)에 의해 연화가 이루어진 개봉부(B10)가 다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및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4그립퍼(641)는 연화가 이루어져 구겨져 있는 개봉부(B10)가 복원력에 의해 다시 확장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오므려지고 확장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5그립퍼(642)는 제3결합몸체(623)의 일단부에 제4그립퍼(641)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포장팩 본체(B)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5그립퍼(642)는 주름 형성장치(100)에서 공기제거장치(200)로 포장팩을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5그립퍼(642) 역시 제4그립퍼(641)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로 오므려지고 확장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전달부(65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몸체(620)의 이동에 따라 공기제거장치(200) 및 트위스터장치(300) 사이를 왕복하며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개봉부(B10)의 공기가 제거된 포장팩을 트위스터장치(3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전달부(65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6그립퍼(651) 및 제7그립퍼(652)로 구성된다.
제6그립퍼(651)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측에 제4그립퍼(641)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공기제거장치(200)에 의해 공기가 제거된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하여 공기가 재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6그립퍼(651)는 개봉부(B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6그립퍼(651)는 간단한 구조로 개폐가 가능하여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 또는 압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오므리고 확장 가능한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7그립퍼(652)는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제6그립퍼(651)와 대응되도록 제5그립퍼(64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공기제거장치(200)에서 트위스터장치(300)로 전달되는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7그립퍼(652)는 공기제거장치(200)에서 트위스터장치(300)로 전달되는 포장팩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7그립퍼(652) 역시 제6그립퍼(651)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로 오므려지고 확장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3전달부(66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몸체(620)의 이동에 따라 트위스터장치(300) 및 묶음장치(400) 사이를 왕복하며 트위스터장치(300)에서 개봉부(B10)가 꼬아진 포장팩을 묶음장치(4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3전달부(66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8그립퍼(661) 및 제9그립퍼(662)로 구성된다.
제8그립퍼(661)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측에 제6그립퍼(651)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꼬아진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하여 꼬아진 개봉부(B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8그립퍼(661)는 개봉부(B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8그립퍼(661)는 간단한 구조로 개폐가 가능하여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 또는 압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오므리고 확장 가능한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9그립퍼(662)는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제8그립퍼(661)와 대응되도록 제7그립퍼(65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트위스터장치(300)에서 묶음장치(400)로 전달되는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9그립퍼(662)는 트위스터장치(300)에서 묶음장치(400)로 전달되는 포장팩을 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9그립퍼(662) 역시 제8그립퍼(661)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로 오므려지고 확장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4전달부(67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몸체(620)의 이동에 따라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 사이를 왕복하며 묶음장치(400)에서 1차 결속이 이루어진 포장팩을 마감장치(5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4전달부(670)는 제2결합몸체(622) 및 제3결합몸체(623)의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0그립퍼(671) 및 제11그립퍼(672)로 구성된다.
제10그립퍼(671)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측에 제8그립퍼(661)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묶음장치(400)에서 1차 결속이 이루어진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이 꼬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압착하여 꼬아진 개봉부(B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0그립퍼(671)는 개봉부(B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10그립퍼(671)는 간단한 구조로 개폐가 가능하여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 또는 압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오므리고 확장 가능한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1그립퍼(672)는 제3결합몸체(623)의 일측에 제10그립퍼(671)와 대응되도록 제9그립퍼(662)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묶음장치(400)에서 마감장치(500)로 전달되는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1그립퍼(672)는 묶음장치(400)에서 마감장치(500)로 포장팩이 전달되는 동안 안정적으로 포장팩을 전달하고, 마감장치(500)로 전달된 포장팩이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1그립퍼(672) 역시 제10그립퍼(671)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로 오므려지고 확장될 수 있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5전달부(680)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몸체(620)의 이동에 따라 결속작업이 마무리된 포장팩의 개봉부(B10) 일측을 잡아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5전달부(680)는 제2결합몸체(622)의 일측에 제10그립퍼(671)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포장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안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제5전달부(680)는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포장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제5전달부(680)는 간단한 구조로 개폐가 가능하여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 또는 압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오므리고 확장 가능한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송부(700)는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를 포장팩이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부(700)는 포장팩을 연속해서 공급되며 각각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이송부(700)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부(700)는 포장팩을 일정거리 이송 후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소정시간 정지 후 다시 후속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송부(700)는 포장팩의 외부 유입에서 유입되어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사용양태로 이송부(700)는 상대적으로 정밀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송부(700)에 의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달장치(600)에 의해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포장팩의 외부 유입, 주름 형성장치(100) 및 공기제거장치(20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제1이송유닛(710)이 배치되고,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에 대응되는 경로에는 제2이송유닛(720)이 배치되고, 마감장치(500)에서 결속이 완료된 포장팩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다시 자동으로 운반이 가능한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는 제3이송유닛(7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700)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이송유닛(720)이 설치된 일측에서는 포장팩이 전달장치(600)에 의해서만 전달된다. 이로 인해 하부에서 발생하는 이동이 없기 때문에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는 보다 안정적인 공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부(700)는 포장팩의 용량 및 부피가 변경되어도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장치에서 결속작업이 가능하도록 포장팩의 용량 및 부피에 대응되어 소정 높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 공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갖는 포장팩을 갖는 경우에는 이송부(700)를 상승시켜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송부(7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10)의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이송유닛(710)의 일단에 내용물이 인입된 포장팩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1이송유닛(710)은 포장팩을 주름 형성장치(1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 대기한다. 여기서, 제1이송유닛(710)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는 포장팩의 이동 시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제1이송블록(130) 및 제5이송블록을 통해 이송부(700)와 떨어진 상태로 대기한다.
다음으로, 이송부(700)와 떨어져 있던 주름 형성장치(100)를 제1이송블록(130)을 이용하여 이송부(700)와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주름 형성장치(100)는 이송부(700)와 근접하며 주름 형성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돌기부(140)가 포장팩의 개봉부(B10)와 접촉하며 돌기부(140)와 접촉하는 개봉부(B10)의 일측을 1차적으로 구겨준다.
다음으로, 펼쳐져 있던 주름 형성장치(100)의 연화압착부(120)를 오므려지도록 구동시켜 개봉부(B10)를 압착하여 구겨줌으로 개봉부(B10)를 연화시킨다.
다음으로, 연화압착부(120)가 오므림 동작으로 인해 개봉부(B10)가 압착된 상태에서 제1전달부(640)의 제4그립퍼(641)가 개봉부(B10)를 압착한다.
다음으로, 연화압착부(120)를 확장시켜 개봉부(B10)의 압착을 해제한다. 하지만, 제1전달부(640)의 제4그립퍼(641)가 개봉부(B10)를 압착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팩의 개봉부(B10)는 재 확장되지 않고 구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이송유닛(710)을 재 구동시켜 주름 형성장치(100)에서 공기제거장치(200)로 포장팩을 이송한다. 이때,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은 제1이송유닛(710)의 구동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구동되며 제1전달부(640)의 제4그립퍼(641) 및 제5그립퍼(642)는 포장팩의 개봉부(B10) 및 포장팩 본체(B)를 고정한 상태로 포장팩의 이동을 보조한다. 제1이송유닛(710) 및 제6이송블록(610)은 등속으로 동일 거리를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포장팩은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주름 형성장치(100)는 제1이송블록(130)을 통해 이송부(700)와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다음으로, 공기제거장치(200)의 제1고정유닛(220) 및 공기제거유닛(240)이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B10)를 각각 고정시키고, 제1고정유닛(220) 및 공기제거유닛(240)의 고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1전달부(640)의 제4그립퍼(641) 및 제5그립퍼(642)는고정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개봉부(B10)의 공기를 제거한다. 이러한 공기 제거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제거유닛(240)과 대응되는 위치로 포장팩이 전술한 이동하면 제2이송블록(250)을 통해 이송부(700)와 떨어져 있던 공기제거장치(200)가 이송부(700)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1고정유닛(220) 및 공기제거유닛(240)이 오므려지며 각각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B10)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공기제거유닛(240)이 오므려지면 공기제거유닛(240) 및 제3날개부(242) 사이에 개봉부(B10)가 삽입되고, 공기제거유닛(240)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보조 압착유닛(241)이 상호 대면하며 개봉부(B1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제1승강부(230)를 구동시켜 공기제거유닛(240)을 개봉부(B10)를 따라 상승하며 개봉부(B10)의 공기를 제거한다.
전술한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공기제거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6이송블록(610)은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전달부(640)는 주름 형성장치(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전달부(650)가 공기제거장치(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2전달부(650)의 제6그립퍼(651)가 개봉부(B10)의 상부를 압착하여 고정하고, 제7그립퍼(652)는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고정한다. 이때, 공기제거유닛(240)은 확장되기 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전달부(650)가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개봉부(B10)로 공기가 재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한다. 이때, 제2전달부(650)의 제6그립퍼(651) 및 제7그립퍼(652)의 오므림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공기제거유닛(240) 및 제1고정유닛(220)은 확장된다.
다음으로, 제1이송유닛(710) 및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을 통해 포장팩을 후속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공기제거장치(200) 및 트위스터장치(300)는 각각 제1이송유닛(710) 및 제2이송유닛(7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포장팩은 전달장치(600)의 구동에 의해서만 트위스터장치(300)로 전달된다. 이때, 포장팩이 이동되는 동안 공기제거장치(200)는 제2이송블록(250)을 통해 이송부(700)와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2전달부(650)를 통해 포장팩이 트위스터장치(3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3이송블록을 통해 트위스터장치(300)는 이송부(700)와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제2고정유닛(320) 및 트위스터부(340)가 각각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B10)를 고정시킨다. 제2고정유닛(320) 및 트위스터부(340)의 동시에 제2전달부(650)의 제6그립퍼(651) 및 제7그립퍼(652)는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트위스터부(340)가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하는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위스터장치(300)가 제3이송블록을 통해 이송부(700)와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트위스터부(340)는 포장팩의 개봉부(B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1그립퍼(34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상태이고, 제2승강부(330)에 의해 트위스터부(340)가 하강하여 제1그립퍼(341)가 개봉부(B10)의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2조작부(343)를 통해 제1그립부를 오므려 개봉부(B10)를 잡게 된다.
제2조작부(343)가 도 6의 (b)와 같이 하강하면 제2조작부(343)의 고리부가 제1그립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한다. 고리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 1차 절곡이 이루어진 제1그립퍼(341)의 상부는 외측으로 확장되며, 2차 절곡된 제1그립퍼(341)의 하부는 반대로 내측으로 오므려지며 개봉부(B10)를 압착한다.
다음으로, 트위스터부(340)의 회전을 통해 개봉부(B10)를 꼬아준다. 트위스터부(340)의 제1그립퍼(341)가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중심축(344)이 회전하면 회전중심축(344)의 회전력은 제1조작부(342)를 통해 제1그립퍼(341)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개봉부(B10)에 꼬임이 발생한다.
이때, 보조고정부(350)가 개봉부(B10)의 일측을 잡아주고, 제2고정유닛(320)이 포장팩의 본체(B)를 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트위스터부(340)의 회전이 발생하면 개봉부(B10)는 어느 일측에 꼬임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고, 개봉부(B10) 전반에 걸쳐 고른 꼬임이 발생한다. 선행 공정인 공기제거장치(200)에서 개봉부(B10)의 공기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꼬임으로 인한 압착에 따른 공기의 팽창이 발생하지 않아 개봉부(B10)의 파손은 미연에 방지된다.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개봉부(B10)가 꼬아지면 개봉부(B1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줄어들며 포장팩의 본체(B)는 소정 길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포장팩 본체(B)를 고정하는 제2고정유닛(3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롤러 등의 보호유닛(3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팩의 본체(B)가 상승하더라도 제2고정유닛(320)과의 마찰 및 쓸림을 최소화하여 포장팩의 본체(B)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트위스터장치(300)에서 개봉부(B10)를 꼬아주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6이송블록(610)은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전달부(640)는 주름 형성장치(100)와 대응되는 위치, 제2전달부(650)는 공기제거장치(200)와 대응되는 위치, 제3전달부(660)는 트위스터장치(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트위스터장치(300)에 의해 개봉부(B10)의 꼬임이 완료되면 트위스터부(340)가 꼬아진 개봉부(B1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제3전달부(660)의 제8그립퍼(661)가 개봉부(B10)의 상부 일측을 잡고, 제9그립퍼(662)가 포장팩의 본체(B) 일측을 잡는다. 제8그립퍼(661) 및 제9그립퍼(662)의 압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트위스터장치(300)의 트위스터부(340) 및 제2고정유닛(320)은 고정을 해제한다. 제8그립퍼(661)가 먼저 개봉부(B10)를 잡은 후 트위스터부(340)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봉부(B10)의 꼬임은 풀리지 않고 꼬아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을 통해 포장팩을 트위스터장치(300)에서 묶음장치(4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포장팩이 이동되는 동안 트위스터장치(300)는 제3이송블록을 통해 이송부(700)와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4이송블록(460)을 통해 묶음장치(400)가 이송부(700)와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묶음장치(400)의 제3고정유닛(420) 및 제2그립퍼(430)가 각각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B10) 일측을 압착하여 잡아준다. 묶음장치(400)의 제3고정유닛(420) 및 제2그립퍼(430)의 고정이 완료되는 동시에 제3전달부(660)의 제8그립퍼(661) 및 제9그립퍼(662)는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제2그립퍼(430)가 고정된 후 제8그립퍼(661)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개봉부(B10)의 꼬임은 풀리지 않고 꼬여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1패킹부(440)에서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의 일측을 결속하여 1차적으로 개봉부(B10)의 일측을 결속한다.
전술한 묶음장치(400)에서 개봉부(B10)의 일측을 1차 결속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6이송블록(610)은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전달부(640)는 주름 형성장치(100)와 대응되는 위치, 제2전달부(650)는 공기제거장치(200)와 대응되는 위치, 제3전달부(660)는 트위스터장치(300)와 대응되는 위치, 제4전달부(670)는 묶음장치(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묶음장치(400)에서 1차패킹유닛에 의해 결속이 완료되면 제4전달부(670)의 제10그립퍼(671) 및 제11그립퍼(672)가 각각 포장팩의 개봉부(B10) 및 본체(B)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제10그립퍼(671) 및 제11그립퍼(672)의 압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묶음장치(400)의 제3고정유닛(420) 및 제2그립퍼(430)는 고정을 해제한다. 제10그립퍼(671)가 먼저 개봉부(B10)를 잡은 후 제2그립퍼(430)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1차결속이 이루어진 상부의 개봉부(B10)는 꼬아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을 통해 포장팩을 묶음장치(400)에서 마감장치(50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포장팩이 이동되는 동안 묶음장치(400)는 제4이송블록(460)을 통해 이송부(700)와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5이송블록을 통해 마감장치(500)가 이송부(700)와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마감장치(500)의 제4고정유닛(520) 및 제3그립퍼(530)가 각각 포장팩의 본체(B) 및 개봉부(B10)의 일측을 압착하여 잡아준다. 마감장치(500)의 제4고정유닛(520) 및 제3그립퍼(530)의 고정이 완료되는 동시에 제4전달부(670)의 제10그립퍼(671) 및 제11그립퍼(672)는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제3그립퍼(530)가 고정된 후 제10그립퍼(671)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1차결속의 상부에 대응되는 개봉부(B10)는 꼬여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2팩킹부에서 제2패킹유닛을 이용하여 개봉부(B10)가 1차로 결속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일측을 결속하여 2차적으로 개봉부(B10)를 결속한다. 이때, 제2팩킹부에서 제2패킹유닛을 통해 2차 결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봉부(B10)가 2차로 결속된 위치의 상부로 노출된 부분을 커팅부에서 커팅하며 마감공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개봉부(B10)의 상단부는 제3그립퍼(530)를 수거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제3그립퍼(530)를 확장시켜 수거부로 수거된다.
전술한 마감장치(500)에서 2차 결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6이송블록(610)은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전달부(640) 내지 제5전달부(680)는 각각 주름 형성장치(100), 공기제거장치(200), 트위스터장치(300), 묶음장치(400) 및 마감장치(5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마감장치(500)에서 2차 패킹을 통해 결속공정이 완료되면 제5전달부(680)가 개봉부(B10)의 일측을 고정하고, 마감장치(500)는 제5이송블록을 통해 이송부(700)와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다음으로,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을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5전달장치(600)는 제3이송유닛(730)으로 포장팩을 이동시킨 후 개봉부(B10)에 가해지던 압력을 해제한다.
마지막으로, 제3이송유닛(730)은 포장팩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전달부의 제6이송블록(610)은 포장팩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사용양태는 하나의 포장팩이 결속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포장팩이 연속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모든 공정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짐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00: 주름 형성장치
110: 제1몸체부
120: 연화압착부
121: 제1날개부
130: 제1이송블록
140: 돌기부
200: 공기제거장치
210: 제2몸체부
220: 제1고정유닛
221: 제2날개부
230: 제1승강부
240: 공기제거유닛
241: 보조 압착유닛
242: 제3날개부
250: 제2이송블록
300: 트위스터장치
310: 제3몸체부
320: 제2고정유닛
321: 보호유닛
330: 제2승강부
340: 트위스터부
341: 제1그립퍼
342: 제1조작부
343: 제2조작부
344: 회전중심축
350: 보조고정부
400: 묶음장치
410: 제4몸체부
420: 제3고정유닛
430: 제2그립퍼
440: 제1패킹부
450: 제1패킹공급부
460: 제4이송블록
500: 마감장치
510: 제5몸체부
520: 제4고정유닛
530: 제3그립퍼
540: 제2패킹부
550: 제2패킹공급부
600: 전달장치
610: 제6이송블록
620: 결합몸체
621: 제1결합몸체
622: 제2결합몸체
633: 제3결합몸체
640: 제1전달부
641: 제4그립퍼
642: 제5그립퍼
650: 제2전달부
651: 제6그립퍼
652: 제7그립퍼
660: 제3전달부
661: 제8그립퍼
662: 제9그립퍼
670: 제4전달부
671: 제10그립퍼
672: 제11그립퍼
680: 제5전달부
700: 이송부
710: 제1이송유닛
720: 제2이송유닛
730: 제3이송유닛

Claims (27)

  1. 내용물이 들어있는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포장팩의 일측 개봉부를 결속시키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은,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연화시켜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장치;
    상기 주름 형성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름 형성장치에 의해 연화된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에 의해 공기가 제거된 상기 개봉부를 꼬아주는 트위스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꼬아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을 1차적으로 결속하는 묶음장치; 및
    상기 묶음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결속이 이루어진 상기 개봉부의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속하여 상기 개봉부를 2단계로 결속하는 마감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제거장치는,
    상기 주름 형성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상기 포장팩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의 하부 일측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고정유닛,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1고정유닛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승강부 및 상기 제1승강부의 일측에서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를 압착하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제거유닛은 구형 또는 다각면체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양측에 분할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공기제거유닛이 오므려지는 경우 개봉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봉부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는 보조 압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포장팩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를 압착하여 연화시키는 연화압착부;
    를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압착부는,
    상기 제1몸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상기 연화압착부가 구비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연화압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포장팩의 개봉부와 접촉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형성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1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거장치는,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2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터장치는,
    상기 공기제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부;
    상기 제3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2고정유닛;
    상기 제3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제2고정유닛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부; 및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개봉부를 꼬아주는 트위스터부;
    를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부는,
    상기 제2승강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중심축;
    상기 회전중심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의 테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작부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그립퍼; 및
    상기 제1조작부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그립퍼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그립퍼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2조작부;
    를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퍼는,
    상기 포장팩과 접촉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로부터 연장되어 일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조작부와 결합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서 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조작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제1그립퍼가 개폐되는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제2고정유닛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트위스터부에 의해 상기 개봉부가 꼬아짐에 따라 소정 간격 상승하는 상기 포장팩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유닛이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터장치는,
    상기 제3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3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트위스터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부;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3고정유닛;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 상부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2그립퍼; 및
    상기 포장팩의 상기 개봉부 하단부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를 1차적으로 제1패킹유닛을 이용하여 패킹하여 결속하는 제1패킹부;
    를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패킹부로 상기 제1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패킹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장치는,
    상기 제4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4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묶음장치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는 제5몸체부;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팩의 하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4고정유닛;
    상기 제5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고정하는 제3그립퍼; 및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봉부의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결속된 1차 결속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제2패킹유닛으로 결속하는 제2패킹부;
    를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패킹부로 상기 제2패킹유닛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패킹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 또는 상기 제2패킹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패킹유닛이 결속된 상기 개봉부의 상부 일측을 절단하는 커팅부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개봉부에 결속된 상기 제2패킹유닛과 상기 제3그립퍼 사이를 절단하고, 상기 제3그립퍼는 절단된 개봉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장치는,
    상기 제5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5몸체부 및 상기 포장팩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제5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주름 형성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와 대향되는 일측에 상호 대면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인접한 장치들 사이를 왕복이송하며 상기 포장팩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전달장치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주름 형성장치 및 상기 공기제거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름 형성장치에서 상기 개봉부의 연화가 완료된 상기 포장팩을 상기 공기제거장치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
    상기 공기제거장치 및 상기 트위스터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에 의해 상기 개봉부의 공기를 제거한 상기 포장팩을 상기 트위스터장치로 전달하는 제2전달부;
    상기 트위스터장치 및 상기 묶음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트위스터장치에 의해 개봉부가 꼬아진 상기 포장팩을 상기 묶음장치로 전달하는 제3전달부;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묶음장치에 의해 상기 개봉부가 1차 결속된 상기 포장팩을 상기 마감장치로 전달하는 제4전달부; 및
    상기 제1전달부 내지 상기 제4전달부가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이송블록;
    을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제6이송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전달부 내지 제4전달부가 결합되는 결합몸체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마감장치를 통해 결속 공정이 마무리된 상기 포장팩을 배출시키는 제5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이 상기 주름 형성장치, 상기 공기제거장치,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를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팩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송부가 더 구비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포장팩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공기제거장치까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이송유닛;
    상기 포장팩이 상기 트위스터장치, 상기 묶음장치 및 상기 마감장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달장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제2이송유닛; 및
    상기 마감장치를 통해 결속이 완료된 상기 포장팩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3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KR1020200095797A 2020-07-31 2020-07-31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KR10233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97A KR102336963B1 (ko) 2020-07-31 2020-07-31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797A KR102336963B1 (ko) 2020-07-31 2020-07-31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963B1 true KR102336963B1 (ko) 2021-12-08

Family

ID=7886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797A KR102336963B1 (ko) 2020-07-31 2020-07-31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02B1 (ko) * 2022-06-17 2022-09-22 선인재 클립 및 케이블타이 결속자동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09A (ja) * 1988-10-26 1990-05-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袋体の紐結束機構
JPH0885517A (ja) * 1994-09-19 1996-04-02 Fuji Mach Co Ltd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口部捻り装置
KR100754354B1 (ko) 2004-12-27 2007-09-03 주식회사 썬즈웰 김치포장방법
KR20160003975A (ko) * 2014-07-01 2016-01-12 한일기기(주)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09A (ja) * 1988-10-26 1990-05-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袋体の紐結束機構
JPH0885517A (ja) * 1994-09-19 1996-04-02 Fuji Mach Co Ltd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口部捻り装置
KR100754354B1 (ko) 2004-12-27 2007-09-03 주식회사 썬즈웰 김치포장방법
KR20160003975A (ko) * 2014-07-01 2016-01-12 한일기기(주)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02B1 (ko) * 2022-06-17 2022-09-22 선인재 클립 및 케이블타이 결속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66710U (zh) 管材自动包装机
CN102700741B (zh) 管材自动包装机
JPH0212161Y2 (ko)
CN203544409U (zh) 管材自动包装机
US64536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flat articles
EP2995561B1 (en) Apparatus for boxing rectangular articles
CN103754677B (zh) 塑料袋自动收卷换卷机
RU26465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и закрытия одноразовых мешков для банкнот
US20020046549A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KR102336963B1 (ko) 포장팩 자동 결속 시스템
CN109178462A (zh) 一种物流纸箱自动化包装设备
CN109178463A (zh) 一种物流纸箱包装自动化合箱装置
JP2013082487A (ja) ビン等の容器の包装方法
CN110194300A (zh) 一种塑料袋折叠、皮筋捆扎一体机
CN112706985A (zh) 一种用于塑料发泡网套包装的悬浮传动芯及输送机构
CN109178467A (zh) 一种产品物流纸箱自动化包装设备及箱盖折叠装置
CN110552115A (zh) 一种短切毡全自动生产线工艺及流程
US882003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ackaging bags
CN112644758A (zh) 成捆塑料袋橡皮筋自动捆扎设备
CN105620825B (zh) 物料包装机
CN109956069A (zh) 一种pvc手套在线包装生产系统
CN116280544A (zh) 一种塑料包装袋折叠捆扎机
CN215098539U (zh) 一种筒纱装袋捆扎装置
CN109178461A (zh) 一种物流纸箱自动化包装设备和纸箱拉引成形装置
CN109178460A (zh) 一种物流纸箱自动化包装设备及贴标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