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131B1 - 수중 청소로봇 - Google Patents

수중 청소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131B1
KR102335131B1 KR1020200025832A KR20200025832A KR102335131B1 KR 102335131 B1 KR102335131 B1 KR 102335131B1 KR 1020200025832 A KR1020200025832 A KR 1020200025832A KR 20200025832 A KR20200025832 A KR 20200025832A KR 102335131 B1 KR102335131 B1 KR 10233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ucket
suction
bucket
main body
cleaning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944A (ko
Inventor
홍영진
지성철
이만기
김종찬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1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7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5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endless track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버킷; 상기 흡입버킷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수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버킷과 상기 본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버킷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 청소로봇{Underwater cleaning robot}
본 발명은 수중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 오염물질 중 고형 슬러지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수중 청소로봇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시설 또는 생산설비 등에는 물을 사용하며, 이러한 물을 보관하는 저수조와 저수조를 관리하는 수처리 시설물들이 설치된다. 저수조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물 내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러한 이물질 함유 용수가 수조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이물질이 침전되어 슬러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를 제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수조 설비 자체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물을 사용하는 설비 및 장치도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수조 내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조 내의 용수를 모두 방류하고 작업자가 직접 수조 내부로 들어가 펌프장치 등을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거나, 수조 설비에 구비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였다. 이 경우 해당 수조를 사용하는 공정은 일시 정지하게 되므로, 이는 산업시설 또는 생산설비의 생산성을 떨어드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일 방법으로는, 청소로봇을 제작하여 수조내의 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조 내부로 들어가 슬러지를 청소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의 장점은 공장이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청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청소가 가능하게 되어 슬러지 청소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중 청소로봇은 수처리 시설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전방에 장착된 흡입구를 통해 오염물질을 포집하거나 육상으로 배출한다.
하지만, 고형 슬러지(solid sludge)와 같이 오염물질의 점도나 비중이 높은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제대로 흡입되지 않고, 청소로봇이 고형 슬러지 덩어리에 굴을 파고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청소 작업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경우에 따라 로봇이 이동할 수 없어서 청소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더구나, 오염물질끼리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회전식 분쇄기 혹은 파쇄기를 이용하는 흡입 방식으로는 오염물질 대신 주변에 있는 물만 흡입되는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 그래서 이런 방식으로는 아무리 노출형 분쇄기를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해도 청소 대상인 오염물질보다 과도하게 물만 육상으로 이송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046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96030호
본 발명은 흡입버킷을 회동시켜 기울일 수 있고, 흡입버킷에 버킷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흡입버킷의 개구면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흡입버킷에 분쇄기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수중 이물질 중 고형 이물질을 분쇄하여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수중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버킷; 상기 흡입버킷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수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버킷과 상기 본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버킷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주행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버킷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리프팅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신축가능한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버킷은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킷 커버는 상기 흡입버킷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버킷의 개구면을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버킷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버킷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상기 흡입버킷의 외측에 장착되는 분쇄모터와, 상기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분쇄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상기 분쇄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분쇄날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한 쌍의 분쇄날을 둘러싸는 분쇄기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에 의하면, 흡입버킷을 회동시켜 기울일 수 있고, 흡입버킷에 버킷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흡입버킷의 개구면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흡입버킷에 분쇄기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수중 이물질 중 고형 이물질을 분쇄하여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의 흡입버킷과 버킷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에서 흡입버킷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에서 흡입버킷과 분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100)은, 본체(110), 주행구동부(120), 흡입버킷(170), 흡입부(160), 액추에이터(175)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수중 청소로봇(100)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의 모서리들이 서로 연결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구동부(120)는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로 구성되어, 저수조 바닥에서 임의의 위치로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흡입버킷(170)은 본체(11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흡입버킷(170)은 셔블 로더(shovel loader)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버킷(170)은 하부 전단부에 복수의 쐐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버킷(170)의 후단부 중앙에는 흡입구(174)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흡입버킷(170)은 본체(110)의 하부에 고정된 한 쌍의 리프팅 프레임(17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각 리프팅 프레임(171)의 전단부에는 브라켓 결합부(172)가 결합되고, 이 브라켓 결합부(172)가 프레임브라켓(17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160)는 흡입버킷(170)의 흡입구(174)에 연결되어 수중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부(160)는 흡입구(174)에 연결되는 흡입관(161)과, 흡입관(161)에 연결되어 오염수를 빨아들이는 흡입펌프(162)와, 흡입펌프(162)로부터 연결되어 저수조의 외부로 연장되어 오염수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오염수 배출관(164)과, 오염수 배출관(164)의 중간에 연결되어 청소로봇이 회전 주행할 때 오염수 배출관(164)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위블 조인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75)는 흡입버킷(170)과 본체(11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흡입버킷(170)을 회동시킨다. 액추에이터(175)는 신축되는 리니어 모터 또는 실린더 모터로서, 전기 모터 또는 유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75)의 일단부는 흡입버킷(170)에 구비된 리프팅브라켓(17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액추에이터(175)의 타단부는 본체(110)의 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수중 청소로봇(100)은 본체(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벌룬(130)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벌룬(130)은 저수조에 투입된 청소로봇(100)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각 벌룬(130)의 상측에는 공기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고, 공기공급관은 압축기 또는 공기펌프에 연결되어 벌룬(13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수중 청소로봇(100)은 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메라(140)와 조명(14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카메라(140)는 청소로봇(100)의 청소 작업, 청소로봇(100)의 주행 환경, 청소로봇(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등을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140)는 구형(球形) 방수 케이스의 내부에 팬틸트 카메라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145)은 고강도 출력조명(HID: High Intensity Discharge), 텅스텐 할로겐 조명,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중 청소로봇(100)은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위치정보 검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190)는 저수조에 투입된 본체(110)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및 지피에스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피에스 센서는 신축 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고, 지피에스 안테나는 지피에스 센서로부터 인출되어 지피에스 센서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피에스 센서는 오차범위가 수m 내외의 일반 지피에스 센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오차범위가 수십cm 이내로 알려진 디지피에스 센서(DGPS: Deep GPS)를 사용할 수 있다.
주행구동부(120)는 본체(110)에 장착되는 주행모터(121)와,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122)과, 구동휠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125)와, 무한궤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주행휠(123)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모터(121)는 본체(110)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한 쌍이 장착될 수 있다. 주행모터(121)는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어서 인코더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바탕으로 청소로봇(100)의 주행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구동휠(122)는 본체(110)의 양측 후단부에 장착되어 주행모터(121)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휠(122)의 외주면에는 무한궤도(125)와 맞물리는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주행휠(123)은 본체(110)의 양측 하부에 예를 들어 각각 4개씩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주행휠(123)은 무한궤도(125)의 내주면 중 하측에 맞물려서 회전될 수 있다.
주행구동부(120)는 본체(110)의 전방에 장착되어 무한궤도(125)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휠(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휠(124)은 본체(110)의 양측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무한궤도(125)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휠이다. 보조휠(124)은 무한궤도(125)의 회전이동을 지지하여 무한궤도(125)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버킷(170)은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 커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킷 커버(180)는 흡입버킷(170)이 상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흡입버킷(170)의 개구면을 덮도록 회동될 수 있다.
버킷 커버(180)는 흡입버킷(170)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버킷의 개구면을 덮는 커버플레이트(181)와, 커버플레이트의 측면과 리프팅 프레임(171)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81)는 흡입버킷(170)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버킷의 개구면 중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81)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81)의 양측에 한 쌍의 링크(18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링크(182)의 일단은 커버플레이트(181)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182)의 타단은 브라켓 결합부(172)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81)의 양 측면 사이의 폭은 한 쌍의 브라켓 결합부(172)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링크(182)는 중간부가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버킷(170)의 개구면이 전방을 향하고 있을 때, 버킷 커버(180)는 흡입버킷(170)의 개구면에서 들려서 개구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75)가 작동되어 흡입버킷(170)의 개구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되면, 버킷 커버(180)는 흡입버킷(170)의 개구면을 덮도록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버킷 커버(180)는 흡입버킷(170) 내부에 있는 고형 슬러지를 흡입구(174) 쪽으로 눌러줄 수 있고, 개구면 면적을 줄여서 흡입버킷(17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청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유입수를 줄임에 따라 흡입버킷(170) 내부 수압이 저하되므로, 흡입펌프 흡입구와의 압력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160)의 흡입력이 극대화되어 청소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청소로봇에서 흡입버킷과 분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100)은 흡입버킷(170)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버킷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190)는 흡입버킷(170) 내부로 유입되는 고형 슬러지 또는 고체와 같은 이물질을 분쇄하여 흡입구(174)로 보낸다. 분쇄기(190)는 2개의 회전축에 복수의 분쇄날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는 양날형 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분쇄기(190)는 흡입버킷(170)의 외측에 장착되는 분쇄모터(191)와,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분쇄날(193)과, 분쇄모터(191)의 회전축과 한 쌍의 분쇄날(193)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192)과, 한 쌍의 분쇄날을 둘러싸는 분쇄기하우징(194)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흡입버킷(170)의 내부에는 분쇄기하우징(194)이 장착된다. 분쇄기하우징(194)은 직육면체의 6면 중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면 사이에 2개의 회전축이 장착될 수 있다. 2개의 회전축의 일단은 분쇄기하우징(194)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단부에 각각 체인(192)과 맞물리는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각 회전축에는 복수의 분쇄날(193)이 장착되는데, 일측 회전축의 분쇄날(193)들과 타측 회전축의 분쇄날(193)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분쇄날(193)은 원형 디스크의 원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쐐기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모터(191)는 흡입버킷(170)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분쇄모터(191)의 회전축 단부에는 체인(192)과 맞물리는 기어가 결합될 수 있다.
체인(192)은 분쇄모터(191)의 기어와 분쇄날(193)들의 두 회전축에 결합된 두 기어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분쇄날(193)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체인(192)과 기어들은 방수되도록 하우징(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100)은 흡입버킷(170)에 분쇄기(190)를 구비함으로써, 고형 오염물질이 흡입버킷(17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이를 분쇄한 후 흡입구(174)로 유입시키므로, 고형 오염물질에 의해 흡입구(174)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수중 청소로봇(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소로봇(100)으로 저수조 내 수중 오염물질을 청소할 때, 고형 오염물질이 아닌 경우에는 흡입버킷(170)을 리프팅하지 않아도 충분히 청소할 수 있다. 하지만, 고형 오염물질인 경우에는 고형 오염물질이 흡입버킷(170)에 닿아서 청소로봇(100)이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할 수 있다. 주행모터(121)에서 미끄러짐(슬립)이 발생하게 되고, 대부분의 회전형 바퀴나 궤도형 주행장치는 미끄러짐 발생 시, 양쪽 주행모터 간의 회전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주행모터(121)에 구비된 인코더는 이를 미끄러짐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 수준은 바퀴의 형태, 크기, 마찰계수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당 로봇에 따라 경험적으로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미끄러짐을 감지하게 되면, 주행모터(121)를 정지하거나 아주 느린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액추에이터(175)를 작동하여 흡입버킷(170)을 들어 올릴 수 있다. 흡입버킷(170)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중력(오염물질의 무게에 의한 중력 방향으로 내려가려는 힘)과 펌프의 흡입력에 의한 깔때기 효과가 발생하여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버킷(170)에 양날형 분쇄기(190)가 장착된 경우에는 오염물질의 흡입 방향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더욱더 쉽게 흡입이 될 것이다.
이때 흡입버킷(170)을 들고 있는 액추에이터(175)에서 부하값(=소비전력)을 감지할 수 있다. 흡입버킷(170) 안의 오염물질이 모두 흡입되어 흡입버킷(170)이 가벼워져서 부하값이 내려가게 되면, 흡입버킷(170)을 전방을 바라보도록 원래 위치로 내린다. 만일 흡입되지 않고 여전히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모두 흡입될 때까지 흡입버킷(170)을 들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거나, 흡입버킷(170)을 들었다 놓았다 하는 동작 등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다.
흡입버킷(170) 안의 오염물질이 모두 흡입되어 흡입버킷(170)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 수행 중, 흡입버킷(170)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청소로봇(100)은 더 이상 주행이 불가능하거나 저수조 벽면에 도달한 것으로 보고, 전체 청소 작업을 종료하거나, 좌우 회전 등을 통해 다음 청소할 위치로 이동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수중 청소로봇(100)의 작동 제어방법은 청소로봇(100)에 장착된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각 상태정보를 확인한 로봇 운전자가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수중 청소로봇에 수중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수질이 혼탁하여 카메라 영상이 안 보이거나 영상이 끊어진 경우에도 수행할 수 있다.
흡입버킷(170)은 청소로봇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로봇 본체 최하단 높이보다 더 아래로 내릴 수도 있다. 흡입버킷(170)의 리프팅 내지 틸팅 각도도 수평 위치보다 더 아래를 내려다 보도록 기울일 수 있어서, 청소로봇이 단단한 오염물질 위에 올라타고 있을 때, 최하단 높이보다 아래쪽으로 흡입버킷을 내려서 땅을 파듯이 아래쪽의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수중 청소로봇 110: 본체
120: 주행구동부 121: 주행모터
122: 구동휠 123: 주행휠
124: 보조휠 125: 무한궤도
130: 벌룬 140: 카메라
145: 조명 150: 위치정보 검출부
160: 흡입부 161: 흡입관
162: 흡입펌프 163: 스위블 조인트
164: 오염수 배출관 170: 흡입버킷
171: 리프팅 프레임 172: 브라켓 결합부
173: 프레임브라켓 174: 흡입구
175: 액추에이터 176: 리프팅브라켓
180: 버킷 커버 181: 커버플레이트
182: 링크 190: 분쇄기
191: 분쇄모터 192: 체인
193: 분쇄날 194: 분쇄기하우징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버킷;
    상기 흡입버킷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수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버킷과 상기 본체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버킷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버킷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리프팅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신축가능한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버킷은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의해 회전되는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주행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커버는 상기 흡입버킷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흡입버킷의 개구면을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측면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버킷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버킷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흡입버킷의 외측에 장착되는 분쇄모터와, 상기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분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분쇄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분쇄날의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한 쌍의 분쇄날을 둘러싸는 분쇄기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청소로봇.
KR1020200025832A 2020-03-02 2020-03-02 수중 청소로봇 KR10233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32A KR102335131B1 (ko) 2020-03-02 2020-03-02 수중 청소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32A KR102335131B1 (ko) 2020-03-02 2020-03-02 수중 청소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44A KR20210110944A (ko) 2021-09-10
KR102335131B1 true KR102335131B1 (ko) 2021-12-02

Family

ID=7777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832A KR102335131B1 (ko) 2020-03-02 2020-03-02 수중 청소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86B1 (ko) 2023-07-31 2024-04-01 주식회사 칼만 다수의 자기센서를 활용한 칼만필터 기반의 액추에이터 출력축 회전 각도 측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344B1 (ko) * 2000-08-31 2003-07-12 모악개발 주식회사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KR101696030B1 (ko) * 2014-09-15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수중청소로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65B1 (ko) 2011-09-21 2012-11-1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수중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344B1 (ko) * 2000-08-31 2003-07-12 모악개발 주식회사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KR101696030B1 (ko) * 2014-09-15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수중청소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86B1 (ko) 2023-07-31 2024-04-01 주식회사 칼만 다수의 자기센서를 활용한 칼만필터 기반의 액추에이터 출력축 회전 각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44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1641A1 (en) Robot for cleaning swimming pools
KR102335131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1696030B1 (ko) 수중청소로봇
US7331636B2 (en) Electric milling machine
WO2022222362A1 (zh) 一种抽吸挖掘机器人及其应急救援设备
CN110005008B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KR101549378B1 (ko) 수중 청소로봇
US7704128B1 (en) Tank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11111643B2 (en) Bi-directional snow removal machine
KR200393717Y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CN111389825B (zh) 多角度管内清淤装置
KR100854312B1 (ko) 외부흡입호스 제어장치가 채용된 청소차량
CN208854325U (zh) 一种地坪工程用研磨效果好的研磨装置
JP2008032203A (ja) 堆積物の吸引搬出装置
KR100220503B1 (ko) 취수설비의 진개물 제거장치
JP2681142B2 (ja) 超低床ローダ
JP3125951U (ja) 堆積物の吸引搬出装置
KR102323596B1 (ko) 집수조 및 하상퇴적물 제거장치
CN215053818U (zh) 一种市政管道的清理机器人
CN212026566U (zh) 多角度管内清淤装置
CN216108709U (zh) 一种高效率的水利施工清淤装置
KR20150053402A (ko) 수중 청소로봇
JPH0551941A (ja) 高濃度浚渫装置
CN219586804U (zh) 一种垂直直吸式清淤机器人及清淤系统
CN212028910U (zh) 一种适用于管内清淤的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