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83B1 -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83B1
KR102334383B1 KR1020210028332A KR20210028332A KR102334383B1 KR 102334383 B1 KR102334383 B1 KR 102334383B1 KR 1020210028332 A KR1020210028332 A KR 1020210028332A KR 20210028332 A KR20210028332 A KR 20210028332A KR 102334383 B1 KR102334383 B1 KR 10233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product
store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
Original Assignee
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민 filed Critical 노민
Priority to KR102021002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처(Spread Gesture)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여 상품을 선택받은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지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2D 도면, 3D 도면 및 상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단말에서 핀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이 선택된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결제완료 이벤트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AP BASED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도에서 가맹점 및 상품에 이르기까지의 하위 레이어로의 진입과, 역으로 상품에서 가맹점 또 지도에 이르기까지의 상위 레이어로의 진입을 스프레드와 핀치의 직관적인 제스쳐에 기반하도록 한 쇼핑 플랫폼을 제공한다.
O2O(Online to Offline) 산업은 소비자가 온라인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찾고 물리적 상업공간을 방문하여 소비를 마치는 행위를 말한다. 이 개념은 서비스 산업계의 그룹구매 플랫폼에서 시작되어서 상품을 온라인 매장에서 주문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찾아가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이와 함께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전시되거나 공공장소에 광고된 물건들을 빠르게 검색하고 온라인으로 주문하여 배달받는 방식에 이르는 것도 포함하게 되면서 수많은 플랫폼의 등장과 더 매력적인 요소들을 통해, O2O 산업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며 높은 시장 잠재성을 보이고 있다. 실제 오프라인에서 행해지던 소비가 온라인으로 넘어감에 따라 O2O의 개념은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크로스 오버 쇼핑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마케팅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기업들은 서로 다양한 목적을 위해 O2O 접근 전략을 이루고 있는데 오프라인 기반의 기업은 기 구축된 오프라인 인프라의 활용을 통해서 모바일을 활용한 사업의 진출과 온라인 기술을 활용한 고객확보와 마케팅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때,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가맹점의 정보를 제공하여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7733호(2009년05월13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073183호(2020년02월04일 공고)에는, 사용자 단말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구역 카테고리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구역 카테고리 및 건물이 선택되는 경우, 건물에 입점한 상점을 정보를 전송하며, 상점이 선택되는 경우 상점 내 상품 목록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을 선택 및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지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검색하는 검색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포털 검색과 다를 바가 없어지고, 후자의 경우에도 지도에서 상점에 이르는 과정만 지도 상에서 전개되고 그 이후에는 상품을 판매하는 웹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므로 실제로 지도상에서 상품에 이르는 과정을 오프라인과 같이 끊김없이 연결해주는 프로세스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 이에, 지도에서 상점의 위치를 제공하고 상점 내에 각 구역별 배치와 각 상품을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직관적인 UI/UX를 적용하여 실제 사용자가 집 안에 있지만 집 밖에서 돌아다니면서 각 가게에 들어가 쇼핑을 하는 것과 같은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프레드 제스쳐(Spread Gesture)가 입력될 때마다 지도, 상점, 상점 내부, 상품 상세와 같이 하위 레이어로 단계적으로 진입하거나 지도를 확대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각 지도상에서 오프라인 가맹점의 상품의 진열 구역이나 상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가 입력될 때마다 상품 상세, 상점 내부, 상점 및 지도와 같이 상위 레이어로 단계적으로 진입하거나 지도를 축소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다시 상위 레벨로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도에서 상점 및 상품으로 쉽게 엑세스하고 각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 및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처(Spread Gesture)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여 상품을 선택받은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지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2D 도면, 3D 도면 및 상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단말에서 핀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이 선택된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결제완료 이벤트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프레드 제스쳐(Spread Gesture)가 입력될 때마다 지도, 상점, 상점 내부, 상품 상세와 같이 하위 레이어로 단계적으로 진입하거나 지도를 확대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각 지도상에서 오프라인 가맹점의 상품의 진열 구역이나 상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가 입력될 때마다 상품 상세, 상점 내부, 상점 및 지도와 같이 상위 레이어로 단계적으로 진입하거나 지도를 축소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다시 상위 레벨로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도에서 상점 및 상품으로 쉽게 엑세스하고 각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 및 신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품이란 상표법 제2조제1항을 준용하여 지리적 표시가 사용되는 상품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관련된 물건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상점 및 상품을 출력하고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지도 상에서 스프레드 제스쳐(Spread Gesture) 또는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를 입력하여 전세계, 전국, 시도별, 군구별, 읍면동, 상점위치, 매장지도, 매장 내 상품 진열지도, 진열된 진열대 내 상품배치도, 상품 상세페이지의 단계별 하위 레이어 또는 그 역으로 상위 레이어로 이동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만약 PC 기반이라면 사용자 단말(100)은 마우스 휠을 이용하여 스크롤 업/다운을 수행함으로써 상하위 레이어로 접근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지도, 가맹점(상점), 상품으로 진입한 후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 및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도 상에 가맹점의 위치, 각 가맹점의 평면도 또는 3D 도면이나 콘텐츠, 각 가맹점의 구역별 상품 카테고리, 상품별 상세페이지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점의 평면도나 3D 도면, 각 구역별 상품의 카테고리 등을 입력받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입력받거나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하여 각 가맹점의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 가맹점별로 상품을 주문 및 결제하는 경우, 각 가맹점 단말(400) 및 기사 단말(500)로 주문 이벤트를 전송하고, 기사 단말(500)에서 주문 이벤트를 수락한 경우 기사 단말(500)의 위치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해주어 예상 도착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오프라인 상점, 즉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위치, 상호, 주소, 전화번호, 2D 도면, 3D 도면, 각 구역의 상품 카테고리 등을 제공하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주문을 받아 출력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주문을 출력하고 배달을 수락 또는 거부하는 기사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표시부(320), 출력부(330), 전달부(340), 검색부(350), 배송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로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은,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지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2D 도면, 3D 도면 및 상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는, 지도에서 각 가맹점, 또 가맹점에서 상품진열구역 보기나 상품보기가 한 페이지에서 제스쳐를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각 단계별로, 레이어별로 미리 지정이나 데이터베이스를 해두어야 지도 서비스에서 실내외 통합 네비게이션 및 실내의 각 물건이 배치되어 있는 구역이나 카테고리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품 데이터는 상품의 진열위치, 가격, 이미지 및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각 가맹점이 소상공인 또는 자영업자의 상점이어서 각 도면이나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데 미흡하거나 관계 인력이 부족한 경우, 또는 매일 달라지는 상품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가 어려운 경우 등의 난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간과 기계가 협업하여 성과를 내는 방법 중 하나인 크라우드 소싱은 지식 추출에 필요한 개체 연결, 개체 군집(상호참조해결), 그리고 관계 추출의 기계학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는 다중 작업 주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크라우드 소싱 방법으로 기계 학습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할 때 고려해야할 것들이 있다. 먼저 작업자(Worker)가 작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할 수 있게 교육을 진행해야 하며, 그 다음 악성 작업자를 걸러내는 장치가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튜토리얼과 샘플 테스트, 그리고 지뢰 문제 심기 등의 장치를 도입하여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지식 추출 시스템 구성 시 개체 연결, 상호참조 해결, 관계 추출의 순서로 설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전 작업의 결과물이 다음 작업의 입력으로 들어가는 방식의 One and the Same Corpus 작업 틀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각 작업에서 작업자들이 주석할 양을 축소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설계 방법들이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 생성 시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게 하며, 동일한 코퍼스로 지식 추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모델을 설계 및 평가 할 수 있다.
지식 추출을 위하여 언급 탐지(Mention Detection), 개체 연결(Entity Linking), 개체 군집(Entity Clustering; Co-Reference Resolution), 그리고 관계 추출(Relation Extraction) 총 4가지 작업 틀을 설계하고 이를 파이프라인 형태로 엮어 각 작업 단계마다 작업자가 주석해야 할 일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라우드소싱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GI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3가지 장치를 모든 작업 단계에 도입할 수 있다. 크라우드소싱 작업을 설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작업자에게 작업을 정확히 이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 설계자는 작업 가이드라인을 작성해 작업자들에게 제공하고 작업자는 이를 숙지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일반 작업자를 활용하는 크라우드 소싱에서는 작업 가이드라인 숙지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실제작업과 동일한 환경에서 직접 문제를 풀고 즉각 정/오답 피드백을 받는 튜토리얼 장치를 도입할 수 있다.
그 다음, 고의로 작업을 망치려고 하는 악성 작업자를 걸러내기 위한 샘플 테스트 시험 장치를 도입할 수 있다. 위 두 단계를 모두 거쳐 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에 대해, 단기간에 돈을 벌기위한 용도로 문제를 제대로 풀지 않아 품질이 매우 낮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악성 작업자를 걸러내기 위하여 지뢰 문제 장치를 도입할 수 있는데, 지뢰 문제는 가이드라인 숙지 후 주석한 데이터로, 일종의 전문가 주석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지뢰 데이터는 각 작업자마다 임의로 주어지며, 지뢰 데이터를 이용해 작업자 품질을 자동 검수하여 일정 점수가 넘지 않으면 이전 지뢰 문제까지 작업한 데이터를 모두 반려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크라우스 소싱 맵(Map) 플랫폼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커뮤니티 매핑 도구(Community Mapping Tool)와 Fusion Tables, MapBox/TileMill, ArcGIS Online, CartoDB, GeoCommons, GeoNode 등 개인의 데이터를 공간정보 기반으로 분석하는 웹 매핑 도구(Web Mapping Tool), 그리고 최근에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Amazon Mechanical Turk, APISense 등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과 관련성이 높으며 설계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지도 기반의 검색을 통해 특정 주제에 쉽게 참여하여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관리자는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시공간 분석 및 예측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각 분석 및 예측 기능은 플러그인 방식으로 확장 가능해야 한다. 두 번째로, 관리자는 크라우드 소싱 태스크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 개인 및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네 번째로, 크라우드 소싱 태스크를 시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서브 태스크로 분해해서 참여자에게 배분해야 하고, 다섯 번째로 대용량의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해야 하며, 여섯 번째로 참여자가 제공하는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에 대한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하고, 일곱 번째로 지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 정보 및 지식을 스토리맵 형태로 표현 및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여덟 번째로 타 사이트에 배포 및 이식이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가져야 한다.
크라우드 소싱 맵의 설계에 따른 크라우드 소싱 맵 플랫폼은 참여자, 관리자, 개인/그룹/공공 사용자 등 3가지의 사용자 유형이 있으며, 모바일 장치와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크라우드 소싱 맵 플랫폼은 태스크 관리자가 자신이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태스크 맵(Task Map)을 설계하고 생성한 후, 이를 태스크 참여자에게 할당한다. 이때 태스크 관리자는 단순 태스크의 경우는 레포트 형태로, 복합 태스크는 GUI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공간 및 속성 데이터를 가져오기(Importing)을 통해 지도를 기반으로 중첩시키고 스타일링(Styling)을 적용하여 맞춤형 태스크 맵을 만든다. 태스크 참여자(Participant)는 웹과 모바일 장치의 위치 및 키워드 검색을 통해 자신이 관심있는 태스크에 직접 참여하여 태스크를 수행(Reporting)하고 이를 서버에 전송한다. 태스크 관리자는 태스크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 저장, 관리한다(Storage/Processing). 그리고 데이터에 대한 검증 또는 필터링을 수행한 후 가시화한다(Presentation). 태스크 관리자는 수집된 데이터에 공간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Analyzing). 그리고 태스크 관리자는 최종적으로 지도 기반의 분석 및 가시화 정보를 공유하고, 큐레이션 처리를 한 스토리맵 형태로 출판한다(Publication). 일반 사용자(End Users)는 위치별 또는 주제별로 공유된 태스크 맵과 스토리 맵을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다.
크라우드 소싱 맵 플랫폼의 설계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웹 서비스로 구현할 수 있다. 주요 구현 모듈로는 데이터 공유 및 관리 모듈, 태스크맵 생성 모듈, 태스크 레포팅 모듈, 태스크 수집 및 가시화 모듈, 스토리맵 출판 모듈이 있다. 데이터 공유 및 관리 모듈은 사용자 계정 관리와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공간 데이터와 자신이 생성한 태스크 맵 및 스토리 맵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태스크 맵 생성 모듈은 태스크 관리자가 공간데이터를 대상으로 베이스 맵을 선택하고 가져오기를 통해 레이어를 추가하고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카테고리 생성, 수집하고자 하는 레포트의 양식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한다. 태스크 리포팅 모듈은 태스크 참여자가 모바일과 웹을 통해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태스크 수집 및 가시화 모듈은 태스크 관리자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검증 및 필터링, 통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 각 상품이 진열되는 XYZ 좌표를 모두 수집하여 실제로 각 진열대 몇 열 몇 행에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가에 대한 3D 좌표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위 자원을 기반으로 WiFiSLAM, BLE SLAM, Magnetic field SLAM이나 이의 통합으로 제안된 signalSLAM 혹은 Vision based SLAM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지문 인식 기법에서도 WiFi, BLE, 지자기 FP 방식이나 이의 융합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내 측위에서는 지도를 작성하는 부분이 선결되어야 하는데 FP 기법에서는 사전에 시간 소모적이고 노동 집약적인 노력이 많이 드는 수집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이의 유지보수가 제일 관건이 되기도 한다. 또한 수집 정확도를 위해 수집 간격/위치/빈도 등이 결정되어야 하는데 서브미터급의 정확도를 원한다면 가령 1m 간격으로 수차/병행/반복 수집이 행해지게 된다. 실내의 참 위치(Ground Truth) 지점에서 다양한 체형의 다수의 사용자가 Android 와 iOS 기반 다수의 상이한 단말로 수집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정제된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도 향상을 이루게 된다. 노동 집약적인 수집의 효율을 위해 초기 구축에는 로봇 등의 도구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군중의 기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지속가능성을 위해 바람직한 상황이다.
따라서 수집 지점 구성 계획에 따라 이행하는 정적 수집이나 동적 자율 수집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하나의 단말로 다수의 자원을 수집하는 경우에는 단말 자세의 적용이 필요한데 방향성과 소요 시간과 단말의 자세 등은 측위 자원 별로 상이하나 최대한 융합 기법에 유용한 각도와 기울기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로써 수평과 수직 방향, 좌우 각도, 한 지점에서의 소요 시간 등이 측위 자원 별로 상이할 수 있는데 공통적인 요소로 적용하고 수집 속성도 최적의 정보로 적용하여 스마트 단말의 저전력 요소도 고려할 수 있다.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ILBS)는 정확도 향상이 가장 중요한데 한편 지속성을 위해 필수적인 크라우드소싱과 크라우드센싱은 신뢰도에 있어 특히 유념해야 하는 기법이다. 또한 플랫폼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정보의 갱신은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사용성이나 초기 헤딩, 군중/사용자 중심 기여도 보상 정책, 복지 포인트 적립 등 수집과 검증, 서비스 단계에 가능한 기능들이 더 부가될 수도 잇다.
표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처(Spread Gesture)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여 상품을 선택받은 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확대·축소 조작기능에서는 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모으거나 벌리는 동작으로, 엄지와 검지의 사이 간격을 넓게 벌리면 지도가 확대되고, 좁게 모으면 지도가 축소된다. 두 손가락의 간격이 곧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것으로 지도를 확대, 축소하는데 매우 직접적인 동작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터치제스처를 통해 확대·축소 조작기능의 수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제스는 대부분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진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사용하는 익숙한 동작으로, 감성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상술한 제스쳐는 적합성 판단에 직관성과 만족도가 유효하게 작용하다. 물론, 제스쳐의 종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한 손가락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 손가락으로 탭을 한 후에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쳐일 수도 있고, 확대할 때에는 한 손가락으로 두 번 탭하고 축소할 때는 두 손가락으로 한 번 탭하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확대할 때는 한 손가락으로 두 번 탭하고 축소할 때는 두 손가락으로 두 번 탭 하는 등 다양한 제스쳐가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핀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프레드 제스쳐가 진행될수록 전국, 시도별, 군구별, 읍면동, 상점위치, 매장지도, 매장 내 상품 진열지도, 진열된 진열대 내 상품배치도, 상품 상세페이지의 단계별 하위 레이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품 진열지도 및 상품배치도는 2D 또는 3D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매장지도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각 구역별 카테고리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오버레이될 수 있다. 상품 진열지도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 포함된 모든 상품의 대표이미지를 모자이크 나열 방식으로 화면 내에 배치하는 지도일 수 있다. 상품 상세페이지는, 상품의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품이 선택된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400)로 결제완료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어떠한 물품을 준비해야 하는지 주문내역을 확인한다. 주문내역에 포함된 상품을 준비한 후 바구니나 비닐봉투에 담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바코드와 같은 1 차원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QR 코드와 같은 2 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주문내역, 사용자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검색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정렬기준자에 기반하여 정렬한 후 지도상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정렬기준자는, 거리순, 가격순, 인기순 및 평점순의 정렬기준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및 상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배송 단말로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배송 단말로부터 응답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배송 트래킹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무인주행로봇이 적용되는 경우, 기사 단말(500)을 보유한 기사의 일을 덜어주거나 도와줄 수 있다.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쇼핑을 할 때에는 한 상점에서 모든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건어물 상점에서 말린 오징어를 사고, 그 옆 감자탕 가게에서 감자탕 3 인분을 산 후, 그 앞 상가에서 명랑핫도그 4 개를 사고, 한 건물 앞에서 채소나 청과를 사고, 길 건너 마트에서 세탁세제, 식용유 등을 사고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경우, 기사가 건어물->감자탕->핫도그->청과점->마트를 경유하는 경우 1 가게에 들르는 배송비가 2 천원이라고만 가정해도 1 만원의 배송비가 나오게 된다. 이때, 한 지역에서 쇼핑을 할 때에는 근처에서 쇼핑을 한다고 가정하면 무인주행로봇이 있는 경우 무인주행로봇이 건어물->감자탕->핫도그->청과점->마트를 경유하며 사용자 단말(100)이 주문한 말린 오징어, 감자탕 3 인분, 명랑핫도그 4 개, 채소, 세탁세제 및 식용유를 픽업한 후, 지정장소에 두는 경우에는 기사 단말(400)은 지정장소<->배송지의 배달값만 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기사 단말(400)을 완전히 배제하고 무인주행로봇이 각 오프라인 가게에서 픽업 및 배송까지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무인주행로봇은 예를 들어, AGV(Automatic Guided Vehicle)일 수 있다. AGV란 미리 설정된 경로를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이때, 주변 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차량의 경우, 초음파 센서를 활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시리얼 무선 통신으로 차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두이노 보드와 시리얼 통신, 및 센서만으로, 즉 복잡한 S/W나 H/W가 없더라도 차량이 제어될 수 있다. AGV를 이용하여 제한된 환경에서 픽업을 하는 경우, AGV가 픽업할 오프라인 가맹점의 주소지를 입력을 받고 Wi-Fi 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AGV 스스로 한정된 공간에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 지정된 장소인 배송기사 픽업장소에 물품을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한 AGV를 지면에 미리 랜드마크를 부착하고 AGV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랜드마크를 판별, 이를 인식하여 경로를 따라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를 통해 라인을 따라가며 이동할 수 있으나, 라이다 또는 레이더 센서로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며 실시간으로 지도를 그려가며 이동을 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적외선 센서는 인간이 볼 수 없는 780nm~1mm의 파장인 적외선을 이용해서 물체를 검출하거나 신호를 보낼 때 사용하는 센서이다. 이때, 적외선 LED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가 포함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사람은 볼 수 없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거나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나, AGV는 이를 통하여 경로를 찾을 수 있다. 또, LED에서 내보낸 적외선이 지면과 라인에 반사되면 센서에서 적외선의 세기를 감지하고, ADC 에서는 적외선의 세기를 계산하여 어두움(0)과 밝음(1)으로 단순화시킨다. AGV는 이를 이용하여 라인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픽업할 물건과 픽업할 장소를 입력하면 AGV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라인을 따라가며 선택된 경로대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배송장소가 안전하지 못하다면, 즉 외부의 임의의 지점이라면 도난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AGV는 배송기사를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며 배송기사의 픽업을 기다릴 수 있다. 배송기사가 배달 상품을 수령하는 경우 기사 단말(400)은 AGV와 블루투스 연결을 맺고 수령여부를 AGV에 전송할 수 있다. AGV는 기사의 배송물품 수령 횟수를 저장하여 선택된 경로의 종료 시 수령되지 않은 배송물품 개수를 계산하여 미수령 횟수에 비례하는 시간 동안 대기하며 배송물품를 미처 받아가지 못한 기사가 배송물품 다시 수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대기시간이 지난 후에는 출발지로 귀환하여 새로운 주문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국지도->시도별 확대->군구별 확대->읍면동 확대->상점위치 확대->매장지도->매장지도 상세->상품지도->상품지도 확대->상품정보에 이르는 과정이 검색어 입력이나 클릭 또는 엔터 등의 키스트로크가 전혀 개입되지 않고 단지 스프레드 제스쳐로만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때, 상품정보에 이르게 되면 상품의 상세정보를 볼 수 있고, 장바구니 및 결제를 통하여 상품의 배송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게 된다.
<위치 지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 오프라인 지도를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지도는 오프라인 상점의 실제 위치와 동일하게 표될 수 있고, 소비자는 상점의 위치에 신뢰할 수 있으며 상품의 배송 방법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거리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다. 공급자와 상품의 위치 정보는 화면의 확대 축소를 통해 전국에서 시도별, 동별 상점의 위치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파악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상품의 이동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소비자가 이동 중이라도 집이나 사무실 등 고정된 장소가 아닌 출장지, 여행지 등 제3의 목적지에서 거래를 용이하게 한다. 공급자의 위치 정보는 소비자에게 신뢰를 높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어디에서 내게 필요한 상품이 제공되고 있는지 쉽게 확인하게 되고 상품의 이동 방법을 선택하는데 좋은 정보로 활용된다. 근거리에 있는 공급자에게 직접 방문 또는 공급자 배달을 요청하는 근거가 되거나 택배 이외에 거래방식을 더 신뢰도 높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공급자와 상품의 위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며 본 플랫폼은 사업자 등록상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여 확실하게 검증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매장 지도>
매장 지도는 상품의 범주를 구분하여 지도로 보여주는 지도이다. 실제 오프라인 상점의 상품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범주를 대표하는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제로 상점을 이용해본 소비자인 경우에 직접 상점에 방문하여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가지게 한다. 처음으로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실제 상점에서 상품의 위치를 보여줌으로써 더 높은 신뢰를 줄 수가 있다. 이 매장 지도는 소비자에게 상품의 범주를 안내하여 효율적으로 상품에 접근하도록 도와준다.
<상품 지도>
상품 지도는 동일한 카테고리나 구역 내에 있는 모든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모자이크 나열 방식으로 화면에 배열한 것이다.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한 화면에 모두 나열함으로 인해 전체 상품을 확인하기가 편리하다. 상품의 모든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며 등록, 변경 및 삭제 등의 관리는 공급자가 직접할 수 있다. 플랫폼은 등록된 상품 정보의 대표 이미지와 대표 문구만을 소비자에게 노출시켜준다.
<상품 정보>
상품 정보는 상품의 최종 상세 정보이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최하위 단계에 속한다. 상품 정보는 소비자에게 전달해야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단계이며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모든 상품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며 등록, 변경, 삭제 등의 관리는 공급자가 직접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위치 지도, 매장 지도, 상품 지도, 상품 안내는 모드 레이어 방식으로 2D 또는 3D 타입의 이미지로 만들고 상품 정보는 최종 정보이다. 모바일 또는 PC 화면의 확대 축소 방식으로 간편하게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고, 모바일에서는 화면에 터치된 두 손가락의 거리 조절로 가능하고 PC에서는 마우스 휠의 스크롤 업/다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로 검색을 해서 상점의 URL을 찾고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분된 각각의 범주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품의 상세 페이지에 접근해서 상품을 구경하고 또 단계별로 범주의 페이지에서 빠져나와 다시 다른 상품의 페이지까지 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직관적으로 지도에서 상품 상세페이지까지 하나의 제스쳐나 키스트로크와 같은 UI/UX를 이용하여 접근가능할 수 있다.
<검색 엔진>
지도 기반의 쇼핑 방식은 상품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품위주의 검색이나 최저가 최고가 등 검색에 서비스가 약할 수 있음을 보완할 수 있다. 검색 엔진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정보를 고객이 찾는 상품의 거리순, 가격순, 인기순, 평점순 등으로 배열하여 별도의 텍스트 리스트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검색 결과의 모든 데이터는 위치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찾는 상품 중 제일 저렴한 가격의 상품이 어디에서 누가 판매하고 있는지 바로 확인 할 수 있다.
<장바구니 (카트) 및 구매 요청 서비스>
쇼핑을 통해서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기본 단계로 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카트(장바구니)에 담는다. 소비자는 이것으로 매장 지도를 통해서 선택한 상품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거래할 상품의 수량, 금액, 구매 취소 여부 등을 결정하면 결제 시스템으로 넘어가게 된다. 추가적으로 구매요청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이 상점의 재고 관리 미숙 또는 착오로 환불 등 사후 서비스가 빈번하게 생길 수 있는 상품 또는 매장 일 경우 카트(장바구니)에서 구매 요청 서비스를 거쳐 최종적으로 거래 할 수 있다. 구매 요청 서비스는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상품의 공급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소비자의 결제 이후 공급 불가 발생으로 생기는 번거로움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결제>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상품의 구매를 결정한 후 결제를 하는 단계이다. 소비자는 카드, 계좌 이체, 모바일 페이, 직접결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모두 제공한다.
<매장 관리 & 물류 관리>
공급자가 매장 지도, 상품지도, 상품정보를 직접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상점 내 재화나 용역의 범주를 직접 구분하고 매장 지도에서 위치와 규모를 직접 선택하여 지도를 만들 수 있다. 공급자가 상점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소비자 정보, 상품정보, 배송정보, 재고정보 등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물류를 대행하는 주체가 제공하는 상품을, 배송하는 주체의 모바일 GPS를 통한 위치 정보를 플랫폼 지도를 통해서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정리하면,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품의 위치 정보로 구성된 2D 또는 3D의 이미지 레이어 방식으로 전자상거래 쇼핑 플랫폼을 구축한다. PC나 모바일의 화면에 출력되는 최상위 레이어 이미지의 특정부분은 하위 레이어의 이미지와 연결되고 이 레이어는 또 다시 하위 레이어로 연결된다. 상위 레이어는 하위 레이어보다 범주가 넓은 의미가 된다. 최하위 레이어는 거래하는 상품의 상세정보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레이어의 개수는 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와 범주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최상위의 레이어 이미지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자의 운영 범위에 따라 특정 지역의 지도가 될 수도 있고 세계지도가 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최상위 레이어는 지도가 된다. 그 하위 레이어는 취급하는 상품의 범주에 따라 그 범위를 상세하게 안내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제공하고 지도 내의 상세 주소지 위치 정보에까지 접근한다. 그 다음은 상세 주소지에 있는 상품을 취급하는 상점의 매장 구성에 따라 또 여러 레이어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쇼핑 플랫폼에서는 동일한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품들이 모인 위치가 공급자 사업장 또는 창고의 위치 정보가 된다.
사용자는 직접 지정하는 공간 범위 내의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전국에 있는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고 원하는 특정 지역 내의 정보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쇼핑몰의 가격조건 또는 평점조건 순으로 텍스트 나열 방식으로 제공되는 정보 이외에 거리조건 정보를 추가로 쉽게 제공 받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소비를 원하는 상품의 위치를 지도에서 직관적으로 제공받게 되어 그 거리를 바로 확인 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상품의 이동 방법을 선택하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품의 위치정보는 공급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결과를 발생한다. 사용자 가까이에 있고 사용자가 인지하는 장소에 있는 공급자일 경우에는 그 신뢰도가 거리가 멀고 알지 못하는 장소에 있는 공급자에 비해 더 높아진다.
또한 이렇게 구축된 쇼핑 플랫폼에서 모든 상품은 지도상의 고유한 위치 정보로 표시됨으로 인해 기존의 웹페이지 구성 방식의 쇼핑몰에 비해 대등한 지위를 얻게 된다. 웹페이지의 특정 위치에 정보를 위치시킴으로 인해 다른 상품에 비해 월등히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지위를 얻게 되는데 이것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자의 선택에 따라 어떤 재화나 용역을 누구에게 노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웹페이지 상에 특정위치에 정보가 제공되는 상품 또는 공급자에게 우월적인 지위가 생길 수밖에 없다. 결국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이 상승하고 결국 공급자들 간의 지위 격차를 크게 만든다. 낮은 지위의 공급자 또는 상품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결과로 만들어진 플랫폼은 상품에게 대등한 지위를 부여함으로 인해 특정 공급자가 제공하는 상품의 정보에 사용자가 집중되는 것을 여러 공급자의 재화나 용역의 정보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발행해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사회 전반 물류비 절감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상위 레이어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확대하면 그 지점과 연결된 하위 레이어 이미지로 전환되게 된다. 여러 개의 레이어를 거쳐 도달한 최하위 레이어 이미지를 거래하는 상품 상세 정보와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반대로 하위 레이어 이미지를 축소하게 되면 상위레이어로 연결된다. PC나 모바일의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방법으로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 이미지로 접근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웹페이지로 구성된 쇼핑몰의 웹페이지 전환 방식과는 다른 방식이며 범주별로의 접근과 후퇴를 편리하게 한다.
상품의 위치 정보는 고유의 정보이다. 이 정보는 공급자나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이다. 플랫폼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고유의 위치정보를 플랫폼에 지도 기반으로 표시를 하고 공급자나 사용자가 인식하게 함으로 인해 선택적인 정보의 공개와 취득이 가능하다. 모든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지도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검색을 통해서 제공받은 상품의 위치정보 또한 지도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 정보는 공급자가 사용자에게 마케팅하기 위해 사용자의 범위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본 정보가 된다. 또한 이 위치 정보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의 마케팅 정보를 원하는 범위내의 공급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공급자와 사용자 모두 마케팅 비용을 효율적으로 지출하고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제공되는 위치 정보는 마케팅 정보의 신뢰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품의 위치정보를 지도에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지도는 그 자체가 플랫폼이 되는 것이다. 텍스트와 웹페이지로 구성된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의 쇼핑몰이다. 종래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인터넷 쇼핑몰은 텍스트 위주의 서술 방식이 주가 되고 이미지를 추가하여 단계별로 하위 페이지에 접속해서 상품정보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거래하는 상점의 위치 정보는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텍스트의 일부로 최종적으로 노출된다. 이는 소비자에게 정보 검색에 시간과 노력을 부여하게 하고 너무나 방대한 자료 중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는데 선택 장애를 발생하게 한다. 또한 쇼핑몰 관리자의 선택적 노출을 통해 특정 공급자를 강제적으로 사용자에게 연결시키는 부작용도 발생한다. 공급자가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영업 기회를 쇼핑몰 관리자에게 빼앗기게 된다. 공급자가 쇼핑몰 관리자라 할지라도 쇼핑몰 인터넷주소를 찾아야 하는 포털사이트를 거칠 확률이 높고 공급자는 과도한 광고비를 지출하게 되며 특정 사용자를 한정지어 광고를 해야 하는 공급자일경우에도 대상이 광범위해 그 비용 지출은 비효율적이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플랫폼은 상품의 위치정보를 지도에 표시하고 상세 정보까지 제공해줌으로 인해 각각의 단계별 진입 방식을 단일화하고 편리하게 제공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이 도착하기 이전까지 실제와 동일하게 신뢰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범주를 구분하는 여러 개의 웹페이지 단계별로 진행하여 상세 정보에 도달한다. 주로 텍스트로 구성되고 하위 범주에 해당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클릭하는 방법으로 하위 웹페이지의 상세 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검색 창의 메뉴 버튼의 백스페이스 버튼이나 키패드의 백스페이스키로 상위 범주로 이동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은 상품의 상세 정보까지 화면의 확대와 축소를 통해 단일한 방법으로 가능케 한다. 각 상위 하위 범주로의 이동을 간편하고 직설적으로 이동하게 하고 한 번에 2 개 이상의 범주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시각적이고 직관적이며 효율적인 쇼핑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면적이 있는 이미지로 지도에 표현을 하고, 화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범주의 대표 이미지를 확대하여 일정한 비율(70~90%)이상이 출력되면 하위 범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축소되어 일정한 비율 이하로 출력되면 상위 범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상품의 위치 정보를 시작으로 최종 상세 정보에 지도를 통해서 접근하게 함으로 인해 신뢰도를 높이게 하고 화면의 확대 축소 방식으로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획기적인 편의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종래의 상품 중심의 상거래 환경에서 위치 중심의 상거래 환경으로 바꾸어 줌으로 인해 오프라인 상점의 온라인 진입을 쉽게 하고 상점에 대한 더 놓은 신뢰를 가지게 되므로 대규모 쇼핑몰에 의존하던 기존 공급자와 사용자들에게 좀 더 많은 거래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전자상거래 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공급자에게 온라인 시장 진입을 좀 더 쉽게 하고 공급자들에게 영업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품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실제와 유사한 광고 홍보 전략을 기획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게 된다. 공급자에게 기회 균등은 전국에 분포한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지역 공급자에게 먼저 접근하게 되는 플랫폼의 특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거래가 지역 내에서 활성화 될 경우 거래를 위한 제반 비용(보관비, 물류비, 포장비)이 줄어듦으로 인해 수익성 또한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환경오염 방지에도 기여하게 된다. 공급자는 자신의 상점이 근거리 사용자에게 노출됨으로 인해 매장 방문으로 유도하는 효과까지 달성할 수 있다. 오프라인 고객임과 동시에 온라인 고객이 되고 더 높은 충성도를 얻게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상점이 신규로 오픈을 하거나 고객 행사 등 이벤트 진행시 지도에 표시해줌으로 인해 간단하게 소비자에게 상점을 홍보 할 수 있으며 영업 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집중적으로 마케팅 할 수 있게 되고, 광고비의 효율적 지출을 가능케 한다. 사용자는 거대 자본에 집중되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특정 공급자에게 선택적으로 강요받는 정보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급자에게 제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제공받은 거리 정보를 통해 상품의 이동 방법을 더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플랫폼이 제공하는 정보 접근 방식은 소비자가 좀 더 현실감 있게 쇼핑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며 간편하고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서 쇼핑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나이 연령 학벌 언어에 상관없이 쇼핑이 가능하게 된다. 언어를 모르는 외국인 또는 해외 고객도 제공되는 플랫폼의 이미지를 눈으로 확인하고 상품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IT 취약계층 또는 언어를 습득하지 못해 쇼핑몰에서 제공해주는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쇼핑을 할 수 있게 하여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 중에 이루어지는 거래에서도 이동 목적지에서 상품을 전달 받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도 제공받게 되어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장소에서 언제든지 전달 받을 수 있다. 특히 전달에 속도가 중요한 냉동식품의 경우 근거리의 상품 구매를 유도함으로 인해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일회용 포장재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신선도도 유지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는 장점도 발생한다. 또한 사후에 발생하는 반품, AS 등의 처리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또 너무 많은 정보를 강제적으로 제공받는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원하는 지역 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해줌으로써 너무 많은 선택지로 인한 결정 장애를 방지하고 원하는 지역의 마케팅 광고 정보를 사용자 위주로 선택적으로 찾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2D 도면, 3D 도면 및 상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핀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한다(S5300).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이 선택된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결제완료 이벤트를 전달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핀치 제스쳐(Pinch Gesture)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처(Spread Gesture)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여 상품을 선택받은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지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2D 도면, 3D 도면 및 상품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핀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축소하거나 상위 레이어를 출력하고, 스프레드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거나 하위 레이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이 선택된 후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결제완료 이벤트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레드 제스쳐가 진행될수록 전국, 시도별, 군구별, 읍면동, 상점위치, 매장지도, 매장 내 상품 진열지도, 진열된 진열대 내 상품배치도, 상품 상세페이지의 단계별 하위 레이어로 이동되며,
    상기 핀치 제스쳐가 진행될수록 단계별 상위 레이어로 이동되며,
    상기 매장지도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각 구역별 카테고리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오버레이되며,
    상기 상품 진열지도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 포함된 모든 상품의 대표이미지를 모자이크 나열 방식으로 화면 내에 배치하는 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는 상품의 진열위치, 가격, 이미지 및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진열지도 및 상품배치도는 2D 또는 3D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상세페이지는, 상품의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검색한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를 표시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정렬기준자에 기반하여 정렬한 후 지도상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기준자는, 거리순, 가격순, 인기순 및 평점순의 정렬기준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위치 및 상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배송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송 단말로부터 응답 이벤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배송 트래킹 화면을 제공하는 배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28332A 2021-03-03 2021-03-03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32A KR102334383B1 (ko) 2021-03-03 2021-03-03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32A KR102334383B1 (ko) 2021-03-03 2021-03-03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83B1 true KR102334383B1 (ko) 2021-12-02

Family

ID=7886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32A KR102334383B1 (ko) 2021-03-03 2021-03-03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336B1 (ko) * 2021-12-09 2022-11-16 쿠팡 주식회사 마트 주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148A (ko) * 2000-03-10 2002-11-04 리츠에프엑스 리미티드 가상현실 쇼핑시스템용 유저 인터페이스
KR20130038102A (ko) *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140079643A (ko) * 2012-12-18 2014-06-27 송정환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2471B1 (ko) * 2015-04-13 2016-07-25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책 거래 지도를 이용한 책 매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그것의 모바일 단말
KR20180076887A (ko) * 2016-12-28 2018-07-06 김의중 한복 대여 및 한복 관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148A (ko) * 2000-03-10 2002-11-04 리츠에프엑스 리미티드 가상현실 쇼핑시스템용 유저 인터페이스
KR20130038102A (ko) *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140079643A (ko) * 2012-12-18 2014-06-27 송정환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2471B1 (ko) * 2015-04-13 2016-07-25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책 거래 지도를 이용한 책 매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그것의 모바일 단말
KR20180076887A (ko) * 2016-12-28 2018-07-06 김의중 한복 대여 및 한복 관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336B1 (ko) * 2021-12-09 2022-11-16 쿠팡 주식회사 마트 주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06493A1 (ko) * 2021-12-09 2023-06-15 쿠팡 주식회사 마트 주문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geveen et al. Customer-interfacing retail technologies in 2020 & beyond: An integrative framework and research directions
US202000348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retail shopping experience online
Mandal Exploring the influence of big data analytics management capabilities on sustainable tourism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y orientation
Plouffe et al. Richness versus parsimony in modeling technology adoption decisions—understanding merchant adoption of a smart card-based payment system
Glushko Seven contexts for service system design
Miell et al. Enabling the digital fashion consumer through fit and sizing technology
US9386109B1 (en) Web page associated with a node in a website traffic pattern
CN107624187A (zh) 用于创建链接到交互式数字地图上的位置的用户管理在线页面(MAPpage)的系统和方法
US20130211938A1 (en) Retail kiosks with multi-modal interactive surface
CN107408256A (zh) 优化的物品属性比较
KR102073183B1 (ko)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999535A (zh) 信息显示方法和信息获取方法、客户端和服务器
CN108536771A (zh) 用于车载导航购物的系统和方法
US1057964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entity performance
US20150088693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navigating internet search results
Lekhwar et al. Big data analytics in retail
CN109155041A (zh) 提供与社交图相关联的基于旅行或促销的推荐
CN103995905A (zh) 一种电子商务内容多维分类、导航及跳转方法
KR20170067976A (ko)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azaris et al. Human-computer vs. consumer-store interaction in a multichannel retail environment: Some multidisciplinary research directions
Pahwa et al. Role of Data mining in analyzing consumer’s online buying behavior
KR102334383B1 (ko)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096830A (ja) 2d画像を推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123621A (ko)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Rashid et al. An independent shopping experience for wheelchair users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RF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