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183B1 -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183B1
KR102073183B1 KR1020180132878A KR20180132878A KR102073183B1 KR 102073183 B1 KR102073183 B1 KR 102073183B1 KR 1020180132878 A KR1020180132878 A KR 1020180132878A KR 20180132878 A KR20180132878 A KR 20180132878A KR 102073183 B1 KR102073183 B1 KR 10207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map
shopping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성
Original Assignee
조혜성
데일리시큐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성, 데일리시큐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혜성
Priority to KR102018013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Abstract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UITIONAL SHOPPING SERVICE USING SHOPPING INFORMATION FLOATNG IN MAP}
본 발명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성의 관계지향적인 측면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성별과 관련된 학문적 접근은 심리학자들에 의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는데, 다양한 연구결과 중에서도 쇼핑행위와 관련된 남녀 간의 뚜렷한 차이는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의 과정이 다르다는 점이다. 남성과 비교해서 여성은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정보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다양한 단서를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남성은 이용가능한 단서 중에서도 소수의 단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즉, 남성은 여성에 비해 선택적으로 단서를 고려하여 의사 결정하는 반면에 여성은 가능한 남성 보다 더 심화된 전략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남성은 목표 지향적으로 행동하지만 여성은 관계 지향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조화, 사람간의 애정, 친밀감을 중시한다. 따라서, 비교적 남성들은 목적달성을 위한 단서들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에 여성들은 관계형성을 위한 단서들을 중요시 여기게 된다.
이때, 남녀의 성차를 구분하여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135022호(2015년12월02일 공개)에는, 여성용 검색창과 남성용 검색창을 각각 구비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 전송시 성별을 구분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여성용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여성용 물품을 검색하고, 남성용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남성용 물품을 검색하는 과정으로 이루지며, 사용자는 여성용 또는 남성용 검색창을 선택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면, 여성용품 또는 남성용품이 구분되어 검색되고 표시되므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여성용품 또는 남성용품만을 볼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은 단순히 남성용품과 여성용품을 구분한 것일 뿐, 여성과 남성의 사고 및 접근 방법의 차이(Gender Difference)를 고려한 것이 아니고, 현재 대부분의 포털사이트나 가격비교 사이트는 특정상품의 구매를 목표로 정하고 찾아가는 남성 중심의 사냥꾼 방식으로 문자 입력 방식, 즉 목표지향적인 쇼핑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단서를 고려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관계지향적인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쇼핑방법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쇼핑 방법으로 특정 상품을 목표로 검색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 아니라, 주변을 탐색하면서 다양한 단서를 고려하도록 지도상에 복수의 단서에 대응하는 쇼핑 정보와 상점 정보를 플로팅시키고, 상점을 둘러보면서 쇼핑하는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플로팅된 지도상에서 상점의 모든 물품을 볼 수 있도록 상점 정보와 상점의 홈페이지를 연동시키면서 터치나 음성인식 또는 마우스 조작으로 상점과 상품을 탐색할 수 있는,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쇼핑 방법으로 특정 상품을 목표로 검색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 아니라, 주변을 탐색하면서 다양한 단서를 고려하도록 지도상에 복수의 단서에 대응하는 쇼핑 정보와 상점 정보를 플로팅시키고, 상점을 둘러보면서 쇼핑하는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여 플로팅된 지도상에서 상점의 모든 물품을 볼 수 있도록 상점 정보와 상점의 홈페이지를 연동시키면서 터치나 음성인식 또는 마우스 조작으로 상점과 상품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가맹점 단말(400) 및 공인 중개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가맹점 단말(400),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여성일 수 있지만, 다양한 단서를 고려하고 구체적인 정보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다른 성별인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지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GPS 데이터를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지역을 입력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터치, 클릭, 음성인식, 드래그 등 타겟 상품을 목표로 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점과 물품을 탐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GPS 또는 입력된 지역에 플로팅된 상점 정보를 지도상에 출력하고, 클릭 또는 터치에 대응하도록 상호 또는 상점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홈페이지, 블로그, 까페, SNS 등으로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클릭 또는 터치로 선택한 상점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점 좌표, 전화번호, 운영시간, 상호, 상점 로고, 상점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의 쇼핑 페이지 등을 수신하여 지도상에 상점 로고나 쿠폰 등이 플로팅되도록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부터 건물의 임대상황이나 중개현황, 및 건물 인포메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사이즈에 맞도록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상점을 선택한 경우, 상점과 기 매핑되어 저장된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연결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건물의 임대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거나, 중개를 원하는 경우 해당 건물을 담당 및 중개하는 공인 중개사 단말(500)과 연결을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도상에서 클릭 또는 터치로 선택된 횟수, 쇼핑이 발생된 횟수나 빈도, 발생시킨 사용자의 정보 등을 수집하여 지도상에 상점을 광고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쿠폰 광고를 제공한 광고사 또는 광고 대행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업체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된 광고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도상 어느 건물에 주차현황을 알고싶거나 주차예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예약 플랫폼으로 사용자 단말(100)을 연결시켜주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집, 전처리, 분석 등을 통하여 빅데이터를 분류 및 클러스터링한 후 학습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정형 데이터인 영상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식별자를 태깅하기 위한 딥러닝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학습을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 결과에 따라 이후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 등으로부터 식별자를 태깅하거나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의 상점을 등록하고 상호, 홈페이지 등의 쇼핑이나 소개 페이지의 URL, 전화번호, 운영시간 등을 등록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지도상에 자신의 상점이나 상호가 표시되도록 또는 쿠폰 등이 표시되도록 광고비를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지불하는 단말일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빅데이터로 분석된 광고 효과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물의 인포메이션 정보를 입력하고, 건물의 임대상황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지도 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도록 광고비를 지불하는 공인 중개사의 단말일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빅데이터로 분석된 광고 효과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각 단말(100, 400, 500)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처리하거나 오류를 검증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은, 이후 빅데이터의 학습이 이루어져 요청처리가 자동화 및 오류율이 기 설정된 퍼센트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사람의 행동이 필요없도록 학습이 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표시부(310), 제공부(320), 제어부(330), 연결부(340), DB 구축부(350), 분석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포동 123번지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반포동 123 번지의 좌표를 표시하고, 해당 좌표를 포함하는 지도가 사용자 단말(1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밖에 나가지 않고서도 지도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자신의 위치나 지역을 중심으로 어떠한 상가가 위치하고 어느 상점에서 쿠폰이나 세일을 하는지의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하에서 계속 서술한다. 표시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때, 지도는 2D 지도, 3D 지도, 로드뷰 지도, 증강현실 지도, 및 가상현실 지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공부(320)는,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쇼핑 데이터는, 상점, 상호, 로고, 전화번호, 홈페이지 등과 같은 쇼핑 페이지의 URL, 상점 사진, 상점 내부 등의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공부(320)는, 사용자가 반포동 12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면, 반포동 123번지를 중심으로 지도상에 어떠한 상가가 있는지, 해당 상가에서 진행하는 행사나 제공하는 쿠폰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등을 지도상에 플로팅시킬 수 있다. 지도의 축척이 증감함에 따라 복수의 정보를 다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축척이 작아짐으로 인하여 각 상가가 지도상에 인접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가장 중요한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000:1의 축척에서는 상호, 쿠폰정보, 파는 물품, 세일 정보 등을 모두 표시할 수 있지만, 100:1의 축척에서는 상호만 표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각 축척에 따라 표시되는 쇼핑 데이터는 우선순위가 미리 설정되어 사용자의 화면 크기나 해상도, 축척 등에 따라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을 정도의 정보만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공부(320)에서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때,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표시될 범위의 쇼핑 데이터를 추출하고, 쇼핑 데이터에 포함된 상점 사진과, 상점 로고, 및 상호명을 포함한 아이콘을 지도상에 오버레이되도록 플로팅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을 의미하는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남성들은 상품을 살 때 해당 상품만을 보지만, 여성들은 그 주변정보까지 모두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실제로 길거리에서 상점을 둘러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기 위해 거리뷰를 제공하고, 각 상점의 사진이나 층수, 주차대수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물론 공인 중개사 단말(500)(500)에서 임대정보를 제공했다면 해당 임대정보까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연결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옷가게를 클릭했다고 가정하면, A 옷가게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SNS 등을 연결되도록 하고, A 옷가게에 있는 각 상품을 볼 수 있도록 페이지를 연결해주며, 사용자가 해당 상점에서 상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 연결부(340)는, 광고료 이외에도 수수료를 더 부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할 때, 쇼핑 데이터는 상점의 홈페이지, 블로그, 및 소셜미디어의 페이지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의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DB 구축부(350)는, 표시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기 전, 적어도 하나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부터 건물의 위치와 건물 인포메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 대응되는 위치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건물 인포메이션 정보는, 각 층에 어떠한 상점이나 회사가 있는지, 어떤 층의 몇 호가 공실인지, 공실의 정보, 예를 들어, 평수, 관리비, 월세, 보증금 등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360)는, 연결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한 후,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터치 또는 클릭 횟수와,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60)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B,C,D를 좋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라면, B,C,D를 좋아하는 그룹에 사용자 A를 포함시킬 수도 있고, B,C,D의 특성이 자주 발현되는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해가면서 특성을 중심으로 사용자를 묶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페이지의 메인 화면인데, 지도는 오픈 API를 이용할 수 있고, 지도 및 상점의 노출범위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지도축적(100M) 화면을 디폴트로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도의 지번이나 상점 로고 또는 건물 사진의 간판 위에 마우스를 올리거나 터치를 하는 경우, 해당 좌표의 건물사진이 일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클릭이나 터치를 하는 경우에는 고정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사진이 출력된 위치의 간판 상에 마우스를 올리거나 터치를 하는 경우, 오른쪽에 상점의 로고, 아이콘과 함께 사진, 홈페이지, 블로그 등이 일시적으로 노출되며, 클릭이나 터치를 하는 경우에는 고정으로 노출될 수 있다. 더블 클릭 또는 더블 탭(Tab)이 발생한 경우에는 별도의 웹 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오늘의 쿠폰이 지도의 좌측 하단면의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포지션될 수 있으며, 우측 또한 전단지 등의 광고물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는, 오늘동네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데, 구분란을 선택하는 경우 아래의 광고 4개(유료3+공익1)가 노출되고, 각 광고는 좌우 또는 상하로 10개가 슬라이드 되며, 첫 번째 화면은 세일부터 시작하여 행사, 모집, 공연, 부동산, 구인 순으로 이동하여 각각 10개가 슬라이드될 수 있고, 검색창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검색으로 물품을 찾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동네뉴스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자가 많이 선택한 상가를 순위별로 보여주는데, 이는 상술한 빅데이터에 의해 순위별로 출력될 수 있고, 동네상가 실시간 뉴스,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르는 뉴스는, 입점등록한 상가 중에서 이벤트를 신청한 모든 상가 뉴스를 광고 기한까지 보여주는 기능이다. 그리고, 카테고리 베스트 20은, 1부터 11까지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상하로 1 내지 11 카테고리 항목을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이고, 음식점을 선택하는 경우, 지도상에는 입점등록상가건물(무료포함)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각 음식점은 입점등록(유료등록)한 상가 중 이벤트를 신청한 상가를, 빅데이터에 의한 클릭순, 조회순 등으로 분석한 결과로 정렬하여 20개까지 보여줄 수 있다.
도 3b는 건물사진 화면구성을 도시하는데, 우선, 건물명, 주소, 층수, 승강기 대수 등을 포함하는 건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는 건축데이터를 저장한 오픈 API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자체적으로 DB를 구축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로드뷰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또한 기존의 로드뷰 플랫폼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자체적으로 DB를 구축하여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건물관련 정보는 주로 공인 중개사가 등록을 하게 되는데, 입력화면에서 공인 중개사가 건물사진을 업로드하면 좌측에 표시된 것과 같이 사진이 제공된다. 이때, 건물사진은 지도에서 상점 정보가 없는 여백에 플로팅되도록 위치가 지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좌측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도상 어느 곳이라도 사진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진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중 어느 한 곳, 또는 지도상 여백이 존재하는 곳에 공인중개사 상호, 연락처, 임대 정보 등을 간단히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건물사진은 1 개의 건물당 20개로 디폴트 설정되었지만 증감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건물사진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입력된 사진 순서대로 좌우 슬라이드 또는 상하 슬라이드하여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정보도 지도 상 건물사진의 상하좌우에 출력될 수 있는데, 총 주차면수, 단위시간당 주차비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주차예약 시스템과도 연결될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3b의 우측에 태광타워 안내문과 같은 인포메이션도 공인 중개사 단말(500)에서 입력할 수 있는데, 빈 칸에 입력가능한 화면이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 전송되고, 공인 중개사 단말(500)은 빈 칸을 채워넣는 식으로 건물의 인포메이션을 채워나갈 수 있다. 그리고, 입점상가를 등록한 업체 중에서 유료광고 상가는 앞 쪽으로 크게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층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증감이 될 수 있도록 입력화면이나 표가 축소 또는 확장될 수 있고, 화면 상하로 스크롤을 하면서 각 층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층별 정렬순서는, 첫 번째는, 유료광고한 상가, 두 번째는 최근 입력 또는 수정이 발생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고, 확대표시를 터치하는 경우, 안내문이 전체화면으로 확대될 수 있으나, 왼쪽의 건물사진을 오버랩하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인 중개사는 빈 상가나 공간을 지속적으로 임대 또는 매매 중개를 함으로써 전속으로 물건을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대문의 또는 매매문의에 해당하는 영역을 클릭 또는 터치로 선택한 경우 공인중개사 상점정보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c는 상점정보 화면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왼쪽 건물 사진의 간판을 사용자가 클릭 또는 터치하는 경우, 해당 상점의 사이트, 예를 들어,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을 일시노출을 하고, 클릭하거나 탭 등을 하는 경우, 상호, 주 업종, 호수, 전화번호, 카톡문의 등을 할 수 있다. 이때, 카톡문의는 인공지능 챗봇 에이전트가 채용되어 기 설정된 질문 및 답변에 대응하도록 손님응대를 할 수도 있고, 기 저장된 홍보문이 우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화번호를 클릭 또는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호(Call) 발신이 가능하고, 고정노출은 더블클릭이나 더블탭이 발생하는 경우 가능하며, 상점사진의 입력매수는 1 개당 10개가 디폴트이고, 추가시 과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건물사진을 터치 또는 클릭을 하는 경우 입력된 사진을 순서대로 보여줄 수 있다.
상점사진은, 상점주인, 즉 가맹점 단말(400)에서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사진이 업로드되면 여백에 상점, 상호, 연락처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개업, 이벤트, 신상품, 할인, 매진임박 정보 아이콘 등을 지도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추가과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할 때 해당 건물 아이콘이 반짝하는 기능도 설정될 수 있으며, 잔여좌석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점 정보, 예를 들어 홍보물이나 광고물, 주차할인권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d는 오늘의 쿠폰북을 도시하는데, 본사 또는 개별 상점에서 입력할 수 있고, 개별 쿠폰 이미지에 공유기능이 추가되어 카톡 등 SNS나 메신저 등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달받는 사람은 본 발명의 동네상가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쿠폰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도 3e는 오늘의 핫세일, 즉 세일 정보를 알려주는 구성인데, 본사 또는 개별 가맹점에서 입력할 수 있다. 도 3f는 중개업소 등록 화면인데, 공인 중개사 단말(50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도 3f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g는 건물의 인포메이션을 입력하는 화면인데, 각 층수별로 임대가 되고 있는지, 어떠한 상점이나 회사가 있는지 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층별로 구성되어 있다. 빈 칸에 우선 공인 중개사 단말(500)에서 정보를 입력한 다음, 수정을 위해서는 본사의 확인이 요청될 수도 있고, 광고 상가는 전진 배치, 색상 배치, 상점 정보화면으로 이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무료 상가는 해당 상가 자체 홈페이지나 블로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는 정책적인 구성이므로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h는 상가입점등록 화면인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입력하는 화면이다. 이때, 상호, 대표자, 업태, 종목, 전화번호, 이메일, 홈페이지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광고 신청을 클릭하는 경우 입점광고문의 화면으로 이동된다. 입점광고문의를 하는 경우 도 3i 내지 도 3k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어느 곳에 어떻게 광고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도 3i와 같이 실시간 스트리밍 광고 위치에 할 것인지, 오늘 동네 정보 광고 위치에 할 것인지, 그 사이즈는 어떻게 할 것인지, 상가 인포메이션에 광고를 할 것인지 등등을 가맹점주 또는 공인중개사가 결정할 수 있다. 물론, 광고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l을 보면, 각 기능에 따른 광고 단가표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또한 정책적인 사항이므로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점등록을 받고(S4100)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부터 건물 인포메이션 등록을 받으면(S4200), 이를 지도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무료 또는 유료에 따라, 유료라면 가격이나 옵션 등에 따라 위치해야 할 레이아웃 영역을 매핑하여 저장한다(S4300).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된 정보를 지도상에 매핑하여 상점 아이콘 등을 플로팅시키고(S4400), 사용자 단말(100)에서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경우(S4500) 해당 위치를 기반으로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S46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도가 기 설정된 디폴트 축척으로 출력되도록 한다(S4700). 이때,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가를 선택, 즉 건물 사진의 간판을 클릭한다거나 로고를 클릭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가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홈페이지 등의 사이트로 사용자 단말(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4810, S4830).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건물을 선택하는 경우(S4900), 건물과 매핑되어 저장된 인포메이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S4910, S4920), 출력되도록 한다(S4930).
한편,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중개를 요청하는 경우(S4930), 해당 건물을 담당하고 등록한 공인 중개사의 공인 중개사 단말(500)로 연결되도록 하며(S4950), 중개에 대한 광고료를 더 부과할 수도 있다(S4960).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릭수, 중개수, 구입수 등을 기반으로 구매자의 성향을 분석하거나, 인기있는 가게를 선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에 표시한다(S5100).
그리고,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이 플로팅되도록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300).
마지막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의 상호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인중개사 단말로부터 건물의 위치, 임대상황, 중개현황 및 건물의 층별 인포메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상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지도는 2D 지도, 3D 지도, 로드뷰 지도, 증강현실 지도, 및 가상현실 지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상기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수신된 쇼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상점의 사진, 상점의 로고, 상점의 상호명 및 상점의 할인 쿠폰이 오버레이되어 플로팅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의 사진 또는 상기 상점의 로고가 터치 또는 클릭되는 경우, 상기 상점의 내외부의 사진, 주소, 층수 및 주차대수를 포함하는 건물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의 상호명이 터치 또는 클릭되는 경우, 상기 상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제공한 쇼핑 데이터가 업로드된 페이지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점에 대한 터치 또는 클릭 횟수, 쇼핑이 발생된 횟수나 빈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상점을 광고한 가맹점 단말 및 공인중개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점의 사진, 상기 상점의 로고, 상기 상점의 상호명 및 상기 상점의 할인 쿠폰은 지도의 축척에 따라 표시 우선순위가 결정되며,
    상기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될 범위의 쇼핑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쇼핑 데이터에 포함된 상점 사진과, 상점 로고, 및 상호명을 포함한 아이콘을 상기 지도상에 오버레이되도록 플로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점을 의미하는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이며,
    상기 쇼핑 데이터는 상점의 홈페이지, 블로그, 및 소셜미디어의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점의 상호명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경우에 상기 상점의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터치 또는 클릭 횟수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32878A 2018-11-01 2018-11-01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7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78A KR102073183B1 (ko) 2018-11-01 2018-11-01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78A KR102073183B1 (ko) 2018-11-01 2018-11-01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183B1 true KR102073183B1 (ko) 2020-02-04

Family

ID=6957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878A KR102073183B1 (ko) 2018-11-01 2018-11-01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1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22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KR20210106390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WO2022119041A1 (ko) * 2020-12-01 2022-06-09 홍이준 로드뷰 영상 서비스 장치
CN114979678A (zh) * 2021-02-25 2022-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设备、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KR102566636B1 (ko) * 2023-02-14 2023-08-16 주식회사 바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e-쿠폰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643A (ko) * 2012-12-18 2014-06-27 송정환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2783A (ko) * 2013-02-14 2014-08-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875697B1 (ko) * 2017-05-22 2018-07-09 김석종 증강 및 가상현실 기반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643A (ko) * 2012-12-18 2014-06-27 송정환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2783A (ko) * 2013-02-14 2014-08-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875697B1 (ko) * 2017-05-22 2018-07-09 김석종 증강 및 가상현실 기반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22A1 (ko)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KR20210106390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KR102344087B1 (ko) 2020-02-20 2021-12-29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US11886527B2 (en) 2020-02-20 2024-01-30 S360Vr Co., Ltd.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WO2022119041A1 (ko) * 2020-12-01 2022-06-09 홍이준 로드뷰 영상 서비스 장치
CN114979678A (zh) * 2021-02-25 2022-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设备、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KR102566636B1 (ko) * 2023-02-14 2023-08-16 주식회사 바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e-쿠폰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83B1 (ko) 지도상에 플로팅된 쇼핑 정보를 이용한 직관적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9990657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682736B2 (en) Collection represents combined intent
US9020834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on-demand marketing campaigns and personalized trajectories in hyper-local domains
US20130073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bined coupon/geospatial mapping/ company-local & socially conscious information and social networking (c-gm-c/l&sc/i-sn)
US20130166381A1 (en) Advertisement display ui and advertisement system
JP7281435B2 (ja) モバイル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016247A (ko) 광고주에게 추상 오브젝트에 대한 입찰 기회 제공
KR20100128321A (ko) 광고 표시 방법, 광고 표시 시스템 및 광고 표시 프로그램
JP2013512501A (ja) コンテクスト情報を利用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TWI597614B (zh) 用於客製化網站之方法及系統
US20160018987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72664B1 (ko)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77213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EP2620905A1 (en) Advertis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embedded map
US201502487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s
US20100161401A1 (en) Incentive providing system for increase of visitors on internet site and method thereof
KR101892454B1 (ko)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여 지도상 빈공간에 광고를 제공하는 지리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4383B1 (ko)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22379B1 (ko) 사용자 중심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59102B1 (ko) 웹 페이지의 검색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1021A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222356A (ja) Webページの広告バナー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
JP612722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118610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