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21A -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21A
KR20140123621A KR20130039863A KR20130039863A KR20140123621A KR 20140123621 A KR20140123621 A KR 20140123621A KR 20130039863 A KR20130039863 A KR 20130039863A KR 20130039863 A KR20130039863 A KR 20130039863A KR 20140123621 A KR20140123621 A KR 2014012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ustomer
curation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재
김효제
민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트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트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트빌
Priority to KR2013003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621A/ko
Publication of KR2014012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의 상품을 광고함에 있어 큐레이터들을 통해서 광고를 구성하고 휴대단말의 지오펜싱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중 자동적으로 고객에게 관심 상품을 추천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품 등록 및 상품 큐레이션 광고의 등록, 사용자 위치기반 상품 자동 추천 기능, 상품 구매 및 그에 따른 큐레이터에게 지급 되는 보상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적인 큐레이터들로 부터 풍부한 상품 광고를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은 이동 중 휴대단말의 자동 상품 추천 기능을 통해서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 social curatio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Geo-Fencing }
본 발명은 판매자의 상품을 광고함에 있어 광고의 내용을 큐레이터들이 작성 (소셜 큐레이션)하여 온라인 마케팅을 구성하는 방법과 더불어 GPS가 지원되는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중 특정 위치에서 자동 반응하는 (지오펜싱) 기술을 적용하여 광고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한 광고 시스템에 관련된다.
현재에는 스마트 보급이 많이 확산되어 거의 1인당 1개의 휴대단말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서 판매자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접하거나 구매하게 되는 비율도 오프라인 보다는 온라인으로 사용하는 이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많은 서비스들이 온라인 마켓에 판매자가 몰리게 되었고 그로 인해서 너무 많은 유사 상품이 넘쳐나게 되어 사용자들의 선택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근래에는 이에 대한 새로운 방법으로 소셜 커머스가 등장하여 차별적인 마케팅으로 초창기 사용자들에게 신선함과 저렴한 상품으로 인기를 모았지만 소셜 커머스도 중기로 넘어오면서 유사한 사이트들의 많아지고 더군다나 소셜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상품 제공을 사이트에서 중앙관리를 하다 보니 상품 및 마케팅의 다양성이 낮아져서 점점 그 사용량이 낮아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상태이다.
더불어 휴대단말기의 GPS및 위치정보 기술의 발달로 이를 상업 광고에 이용하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서 특정 서비스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검색을 실행해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실제 생활상에서는 이동 중 대부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당 정보를 지나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어서 판매자가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을 판매자의 일방적 상품정보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큐레이터라는 전문적인 상품 전문가들과 연계하여 정보를 더욱 풍성하게 제공하는 것이며, 더불어 사이트내 상품 검색에 의존하지 않고 판매자의 매장과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적으로 추천 상품 정보를 알려주는 광고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매자의 상품을 큐레이터와 공조하여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구성하고, 고객의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추천 상품 및 매장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고객에게 알려주는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판매자의 요청에 의해, 매장 정보(매장의 위치 및 상품의 카테고리)를 입력하여 판매자 페이지를 개설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개설된 페이지에 광고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품 정보 페이지를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큐레이터가 상기 생성된 상품정보를 검색한 후 선택한 상품에 대한 큐레이션 광고를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고객이 이동 중에 휴대단말기에서 관심 상품과 매장의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고객이 매장을 클릭할 경우 상품 큐레이션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나타내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고객이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상품의 큐레이션을 등록한 큐레이터에게 보상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의 상품을 큐레이터와 공조하여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구성하고, 고객의 휴대단말에서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추천 상품 및 매장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고객에게 알려주는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 큐레이션 광고 내용과 판매자 승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큐레이션 정보 저장부;
상품정보와 고객의 관심상품 정보, 그리고 매장의 위치와 현재 고객의 위치를 2중으로 계산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POI검색 모듈; 및
상품 구매와 이에 대한 큐레이터에게 지급되는 포인트를 저장관리 하는 구매/보상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광고를 판매자와 큐레이터들이 공조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품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실제 구매자 또는 잠재적인 고객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온라인 마케팅 지원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고객의 경우에도 사이트 검색 등에 따른 피로에서 벗어나 휴대단말의 지오펜싱 기능을 이용하여 관심 사항과 현재 지역에 따른 상품 정보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을 이루어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1의 저장부 주요 데이터베이스 및 그에 따른 특징적인 필드정보와 정보 입력 예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상품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큐레이션 광고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및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사용자가 이동 시 매장의 구역 범위 내에 진입할 경우 휴대 중인 단말기에서 이벤트 알람이 발생하는 과정을 예시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6의 이벤트 알람이 단말기에 팝업 되는 예시 화면과 추천 매장 정보의 표시를 단말기 화면에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7의 추천 매장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상품들의 정보 및 상품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상품의 상세정보와 관련 커뮤니티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를 정의가 필요하다.
1) 큐레이터(Curator): 사전적인 의미로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자료의 수집, 보존, 관리, 전시, 조사, 연구, 홍보 및 기타 이와 관련되는 전문적 사항을 담당하는 사람’이라고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용어의 의미를 좀 더 확대해서 판매자는 아니지만 판매자 이상의 상품 전문 지식을 가진 사용자 층을 의미하며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광고를 대행하여 작성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2) 큐레이션(Curation): 큐레이터로부터 제작된 정보 결과물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상품에 대한 광고정보를 의미한다.
3) 지오펜싱(Geo-Fencing): GPS의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행방을 추적하여 위치 지점 기반이 아님 범위 기반으로 POI를 검색하여 해당 범위에 들어올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술 기법을 의미한다.
4) POI(Point of Interest): 휴대 단말 화면의 전자지도 위에 표시된 특징되는 건물과 상점 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판매자, 큐레이터, 고객)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PC, 웹, 스마트폰 등의 단말 기기를 의미한다. 판매자와 큐레이터의 경우에는 주로 자료의 작성 및 관리를 하기 때문에 Desktop PC의 Web을 사용하게 되며, 고객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사용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요청 내용에 따라POI검색 모듈(400) 또는 서비스 모듈(300)에 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응답 내용을 다시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는 통신 서버를 의미한다.
POI 검색 모듈(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을 통해서 사용자 정보(사용자ID)와 현재위치(위도, 경도)정보를 전달받으면 매장/상품 정보 저장부(360)의 매장위치, 상품분류정보(도 2b 참조)와 사용자 정보 저장부(350)의 관심상품분류정보(도 2d참고)을 AND 조건으로 DataBase 쿼리를 수행하여 요청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POI정보를 계산한다. 이에 대한 계산 방법은 도 6을 참고한다.
서비스 모듈(300)은 POI 검색 모듈(400)의 기능 외의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사용자 요청의 정보를 처리, 저장, 조회, 응답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주요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 도 3 ~ 도 5에 대해 기술된 상세 설명을 참고한다. 또한 구성 요소로는 서비스 제어부(310), 구매/보상 정보 저장부(320), 커뮤니티 정보 저장부(330), 큐레이션 정보 저장부(340), 사용자 정보 저장부(350), 매장/상품 정보 저장부(360)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요청 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요청에 맞는 로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각 저장부에 정보의 입/출력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매/보상 정보 저장부(320)는 고객의 상품 구매내용에 대한 정보 및 더불어 이에 따른 큐레이터의 보상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며 보다 자세한 정보 구성의 예시는 도 2f를 참고한다.
커뮤니티 정보 저장부(330)은 상품 큐레이션 광고에 대한 고객들이 의견을 저장한다.
큐레이션 정보 저장부(340)은 큐레이터가 작성한 상품에 대한 광고 정보저장하며 도 2e를 참고하면 승인상태라는 것이 있는데 처음 큐레이터가 정보를 작성하면 바로 승인대기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해당 정보가 고객에게 조회되지 않는다. 이후 판매자가 이 승인대기 정보에 대해서 승인을 하게 되면 승인상태가 승인완료로 변경되며 이때부터 고객에게 정보가 조회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350)는 사용자(판매자, 큐레이터, 고객)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2d를 참고하면 특징적으로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품 종류(여성 구두, 남성 정장 등)에 대한 관심상품분류번호 필드가 존재한다.
매장/상품 정보 저장부(360)는 판매자의 매장정보 및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2b를 참고하면 특징적으로 매장의 지리적 위치정보인 위도와 경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분류번호 필드가 존재하며 이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350)의 관심상품분류번호정보와 더불어 POI 검색 모듈에서 추천 매장 / 상품 정보를 계산할 때 사용된다.
도 3은 판매자가 판매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매장정보 및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판매자의 매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S102)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판매자가 자신의 매장의 GPS상의 위도, 경도 값을 알 지 못하므로 시스템에서 매장정보 등록 시 구글,네이버,다음 등의 OpenAPI를 사용하여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위도, 경도를 검색하여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렇게 판매자가 매정정보를 포함한 판매자 페이지를 생성(S103)한 후에는 매장에서 취급하는 상품을 등록할 수 있는데, 상품 정보 등록 시에는 도 2a의 상품 분류 DB상에 있는 상품분류정보를 참고하여 상품분류를 지정하여 입력한다. 이렇게 상품정보가 저장이 되면 상품 정보 페이지(S106)이 생성되며 이 정보는 큐레이터들이 이후 검색하여 광고를 만드는 기본 정보로 사용이 된다. 즉 이 정보 자체가 고객에게 직접 조회되는 것이 아니며 고객에게는 이 상품 정보와 큐레이션 정보가 합쳐진 정보를 노출하게 된다.
도면 4는 큐레이터가 상기 생성된 상품정보를 바탕으로 광고를 구성하고 판매자에게 승인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상품 큐레이션 정보를 제작하는 단계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판매자의 상품정보 중 자신의 관련 상품을 조회(S201)하여 자신과 관련된 상품에 대해서 큐레이션 광고 초안을 작성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큐레이션 정보는 광고내용(text)와 더불어 이미지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초안을 작성하여 시스템에 등록(S204)한 후, 다시 큐레이터가 이 광고 초안에 대해서 고객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판매자에게 승인을 요청(S206)한다. 이후 판매자는 자신의 판매자 페이지를 접속해서 현재 승인 대기중인 이러한 광고 초안에 대해서 내용을 검토한 후 광고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초안에 대해서는 승인을,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초안에 대해서는 반려를 할 수 있다. (단 반려된 초안은 이후 작성자가 보정하여 다시 승인요청을 할 수는 있다.) 승인된 초안은 상태가 승인완료로 변경되면서 이 시점부터 큐레이션 광고 페이지가 생성(S208)되면서 고객에게 큐레이션 광고를 노출한다.
도 5는 고객 사용자가 이동 시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100)이 POI 검색 모듈(400)과 연동하는 것 그리고 상품의 정보 검색 및 구매에 대한 단계에 대한 순서를 나타낸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고객이 이동 시에 고객의 단말(100)이 주기적으로 사용자정보와 위치정보를 POI검색 모듈에(400)에 요청(S301)해서 추천 상품 정보의 유무와 추천 상품이 존재할 경우 해당 정보를 수신(S302)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청 주기는 사용자의 분당 이동 속도와 비례하여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요청 주기를 보다 짧게,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요청 주기를 보다 길게 하도록 한다. 즉 이동이 거의 없을 경우에는 비록 송수신 되는 data가 작지만 불필요한 통신 data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이동 중에 추천상품이 구역 내에 존재할 경우(도 6 참고), 사용자의 휴대단말(100) 화면에 도 7a과 같이 이벤트(알람, 진동, 화면표시 등)를 일으켜서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도 7a의 확인버튼(1)을 클릭하면 7b의 지도 화면 및 관심 상품과 매장에 대한 POI정보들을 나타내고 여기서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POI를 클릭하면 도 8a와 같은 상품정보 및 큐레이션 광고 정보들의 열거 화면에 나타낸다. 이후 사용자가 관심 있는 상품의 광고를 클릭(4)하면 상세 정보가 요청(S3030)되어 도 8b의 상품 상품 광고 상세 정보 화면이 보여진다. 상세 정보 화면에서는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의견이나 문의 내용을 댓글의 형태(6)로 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고 구매버튼(5)을 클릭하면 서비스 모듈(300)에 상품 구매 요청(S305)를 전달하여 고객 사용자의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매가 이상 없이 완료될 경우 서비스 모듈(300)에서는 해당 큐레이션 광고를 작성한 큐레이터에게 자동으로 지정된 포인트를 보상으로 지급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서비스 제공 서버 300 : 서비스 모듈
310 : 서비스 제어부 320 : 구매/보상 정보
330 : 커뮤니티 정보 저장부 340 : 큐레이션 정보 저장부
350 : 사용자 정보 저장부 360 : 매장/상품 정보 저장부
400 : POI 검색 모듈

Claims (6)

  1. 판매자의 상품을 큐레이터와 공조하여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구성하고, 고객의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추천 상품 및 매장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고객에게 알려주는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판매자의 요청에 의해, 매장 정보(매장의 위치 및 상품의 카테고리)를 입력하여 판매자 페이지를 개설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개설된 페이지에 광고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품 정보 페이지를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큐레이터가 상기 생성된 상품정보를 검색한 후 선택한 상품에 대한 큐레이션 광고를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고객이 이동 중에 휴대단말기에서 관심 상품과 매장의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고객이 매장을 클릭할 경우 상품 큐레이션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나타내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고객이 해당 상품을 구매할 경우 해당 상품의 큐레이션을 등록한 큐레이터에게 보상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큐레이터가 상품에 대한 큐레이션 광고 초안을 등록한 후, 판매자의 승인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고객이 이동하는 동안 휴대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인근 지역의 추천 상품 및 매장 정보를 검색하고 현재의 위치와 매장의 구역 범위를 계산하여 일치하는 연산결과가 나올 경우 단말기화면에 이벤트를 나타내서 고객의 확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고객 휴대단말 화면에 지도상 매장 정보를 나타내고 매장을 클릭했을 경우, 해당 매장의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고객이 해당 상품의 큐레이션 광고를 통해서 상품 구매를 했을 경우, 해당 큐레이션을 등록한 큐레이터에게 판매자가 일정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6. 판매자의 상품을 큐레이터와 공조하여 상품 큐레이션 광고를 구성하고, 고객의 휴대단말에서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추천 상품 및 매장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고객에게 알려주는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큐레이션 광고 내용과 판매자 승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큐레이션 정보 저장부;
    상품정보와 고객의 관심상품 정보, 그리고 매장의 위치와 현재 고객의 위치를 2중으로 계산하여 고객에게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POI검색 모듈; 및
    상품 구매와 이에 대한 큐레이터에게 지급되는 포인트를 저장관리 하는 구매/보상 정보 저장부를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30039863A 2013-04-11 2013-04-11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3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863A KR20140123621A (ko) 2013-04-11 2013-04-11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863A KR20140123621A (ko) 2013-04-11 2013-04-11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21A true KR20140123621A (ko) 2014-10-23

Family

ID=5199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863A KR20140123621A (ko) 2013-04-11 2013-04-11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6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0085A (zh) * 2017-01-06 2017-06-30 哈尔滨学院 一种基于电商平台的产品智能推荐方法及其系统
CN107301565A (zh) * 2017-06-12 2017-10-27 北京望远传媒有限公司 一种屏幕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KR20190017716A (ko) * 2018-12-03 2019-02-20 이민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0085A (zh) * 2017-01-06 2017-06-30 哈尔滨学院 一种基于电商平台的产品智能推荐方法及其系统
CN106910085B (zh) * 2017-01-06 2020-05-22 哈尔滨学院 一种基于电商平台的产品智能推荐方法及其系统
CN107301565A (zh) * 2017-06-12 2017-10-27 北京望远传媒有限公司 一种屏幕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CN107301565B (zh) * 2017-06-12 2020-04-24 北京望远传媒有限公司 一种屏幕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KR20190017716A (ko) * 2018-12-03 2019-02-20 이민재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50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net information for group notification, marketing, purchasing and/or sales
KR101852581B1 (ko) 이미지 평가 기법
US8527307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ion of feedback among customers in real-time
KR101368574B1 (ko)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보 공유
US84125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ing of consumers and retailers
KR102172811B1 (ko) 다수의 쇼핑몰의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73430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point of sale
KR101552703B1 (ko) 상품 이용 후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58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TWI520089B (zh) 用於偵測與回應使用者猶豫之方法及系統
TW201308229A (zh) 基於位置的服務系統與方法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KR101740148B1 (ko) 고객의 오프라인활동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쇼핑상품 추천방법
JP2018045505A (ja) 判定装置、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KR20120087321A (ko) 쿠폰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3621A (ko) 지오펜싱을 이용한 소셜 큐레이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23862A1 (en) Alert notification based on field of view
Pathak Comparison shopping agents and online price dispersion: A search cost based explanation
WO2018061297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1096830A (ja) 2d画像を推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34383B1 (ko) 지도 기반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64114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714582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KR20180060195A (ko) 패션 아이템 콘텐츠 db구축을 통한 코디 기반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디 기반의 scm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KR20210074493A (ko) 지역 기반의 선호 상품 파라미터에 기초한 상품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