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77B1 -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077B1
KR102334077B1 KR1020140169798A KR20140169798A KR102334077B1 KR 102334077 B1 KR102334077 B1 KR 102334077B1 KR 1020140169798 A KR1020140169798 A KR 1020140169798A KR 20140169798 A KR20140169798 A KR 20140169798A KR 102334077 B1 KR102334077 B1 KR 10233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device
electronic device
user terminal
attachment
communication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602A (ko
Inventor
김선화
김성원
안희범
김준우
라진
류종현
정경호
김용호
박용국
김명식
민찬홍
정진혁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77B1/ko
Priority to EP15865778.3A priority patent/EP3228046B1/en
Priority to CN201580065235.1A priority patent/CN107005611B/zh
Priority to PCT/KR2015/012987 priority patent/WO2016089083A1/en
Priority to US14/955,886 priority patent/US10425520B2/en
Publication of KR2016006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02A/ko
Priority to US16/457,228 priority patent/US111596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부착 기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에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 중 상기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부착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자 기기의 일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착 기기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홈 기술은 댁 내 전자 기기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탑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마트 홈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원격으로 장소, 시간의 제약 없이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무실에서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이 원하는 시간에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 및 사용자 단말 기기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홈 기술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이 제어될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과 댁 내에 허브가 연동되어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이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홈 환경을 댁 내에 전자 기기들 전체를 대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통신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기존의 구형 전자 기기(일명, 레거시(legacy) 기기)를 신규 전자 기기로 바꿔야 하는 제약 사항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레거시 기기들을 신규 전자 기기로 대처하지 않고, 스마트 홈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패치(patch)와 같이 사물 또는 사람에 부착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부착 기기를 이용하여, 레거시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사물은, 예로, 레거시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가구, 장난감 등과 같은 제조품 및, 벽, 기둥, 문, 바닥 등과 같은 건축물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그 외 공간을 차지하며 부착 기기가 부착될 수 있는 면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물체들을 망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부착 기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부착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허브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목록에서 상기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매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허브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기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성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부착 기기들 목록 중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부착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부착 기기로 제어 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하나가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부착 기기는,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부착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허브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와 부착이 가능한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기기는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되어, 상기 부착 기기의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목록에서 상기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허브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착 기기는, 상기 부착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착 기기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부착 기기들 목록 중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부착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부착 기기로 제어 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하나가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과 설치가 간편한 부착 기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레거시 기기까지 아우르는 스마트 홈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부착 기기를 이용하여 댁 내에 전자 기기들을 제어하고, 댁 내에 환경, 사물, 전자 기기들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댁 내에 보안 환경이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는 서로 다른 기능 모듈을 포함한 복수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기기가 사물 또는 사람에 부착되는 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부착에 따른 부작용이 줄어들고, 적층 구조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이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레거시 기기가 스마트해지고,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의 기능이 보완될 수 있다. 따라서, 레거시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까지 활용도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a는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 클라우드, 허브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다양한 부착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부착 기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의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내지 도 18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부착 기기를 검색 및 매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전자 기기의 사용 중에 오동작을 방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 내지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를 사물에 부착하여 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를 사람에 부착하여 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부를 탈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를 사람에 부착하는 다양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9 내지 도 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가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장치를 기울이거나,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실시 예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아이콘, 인덱스 항목, 링크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UI 엘리먼트는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또는 상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드백이 가능한 일 영역이 있으면, 이 영역을 UI 엘리먼트라 할 수 있다. 또한, UI 엘리먼트, 예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1),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51), 댁 내에 허브(31),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 간에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 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초기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와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허브(3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면들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주변 상황도 판단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가 집 근처인지, 귀가 중인지 또는 출근 중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가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주변 상황을 판단하는 기술은,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로 본 개시에서는 이를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라우드(51)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 클라우드(51)는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 또는 행동 패턴을 획득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로그 정보(예로, 컨텐츠 검색 정보, 이동 정보 또는 기능 실행 정보 등)를 저장/관리/분석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5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의 식별 정보 및 제어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를 제어하는 기능들에 매핑되어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여러 개의 통신 포맷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는 BT 통신 프로토콜, IR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댁 내에는 허브(31),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댁 내로 한정되지 않고 개방된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허브(31)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에 전송할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허브(3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41~4N)의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의 식별 정보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과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허브(31)로부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N)는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의미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미는 변환 식 또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핑 정보는 매핑을 위한 정보로서 변환 식 또는 변환 테이블이 될 수 있다.
도 2는 부착 기기(21), 클라우드(51), 허브(31) 및 사용자 단말기(11)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201은,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와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을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와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전자 기기들(41~4N)과 다수 개의 부착 기기들(21~2N)이 존재하는 경우, 테이블에는 다수 개의 전자 기기들(41~4N)의 식별 정보 별로 다수 개의 부착 기기들(21~2N)의 식별 정보가 각각 매핑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전자 기기(41)에 다수 개의 부착 기기들(21~2N)이 부착된 경우, 하나의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에 다수 개의 부착 기기들(21~2N)의 식별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1)는 상기 테이블을 허브(31)와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와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의 201 및 도 202는 전자 기기(41)의 기능과 관련된 다수의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이 매핑된 테이블을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의 복수의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이 매핑된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제1 통신 포맷은, 예로,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이며, 제2 통신 포맷은, 예로,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기(11)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클라우드(51) 또는 부착 기기(21) 구매 시 제공되는 기록매체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는 획득된 테이블을 허브(31)를 통해서 부착 기기(21)로 전송하거나, 또는 직접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202의 테이블은 전자 기기(41)로서 에어컨의 기능과 관련되어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테이블은 에어컨의 기능 중 전원 켜기, 온도 증가 기능과 관련되어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203의 테이블은 전자 기기(42)로서 디지털 TV의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테이블은 디지털 TV의 기능 중 전원 켜기, 채널 증가 기능과 관련되어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시스템(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원격으로 전자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예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예로, 에어컨)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의 일 기능(예로, ON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예로, Wi-Fi, 3G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예로,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통신 포맷과 제2 통신 포맷은 동일한 통신 포맷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가 댁 내에 위치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단말기(11)는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허브(31)는 수신된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는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부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통신 포맷(예로, IR(Infrared Ray Communication)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는 수신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허브(31)는 부착 기기(21)에서 전자 기기(41)를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41)가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허브(31)는 클라우드(51)를 통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시스템(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들(41,42)(예로, 에어컨, 디지털 TV)의 일 기능(예로, ON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귀가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귀가 중인 사용자 행동에 따라 학습되었던 기능을 전자 기기(41)가 수행하도록, 상기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의 데이터를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들(41,42)들에 부착된 복수의 부착 기기들(21,22)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들(21,22)은 수신된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들(21,22)를 각각이 부착된 전자 기기들(41,42)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41,42)은 수신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들(21,2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형태로 댁 내에 전자 기기들(41,42)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d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시스템(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따라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41)의 일 기능(예로, ON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획득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는 것은,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가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획득 전에,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로부터의 전자기장, 소리, 움직임, 진동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는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기 수행 중인 경우, 부착 기기(21)는 일 기능이 수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1)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 중이지 않으면, 부착 기기(21)의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기기(41)는 수신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들(21)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가 확인되고,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개시의 따른 다양한 실시 예의 시스템(10)의 동작 과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가 상황에 맞춰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IFTTT(IF This, Then That) 모드를 제공한다면, 사용자 단말기(11)는 IFTTT의 각 단계에 따라 부착 기기들(21~2N)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자 기기들(41~4N)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IFTTT 모드를 이용하여 댁 내로 입문 시에 자동으로 전등과 디지털 TV가 온이 되고, 소정 시간 후에 에어컨과 난방 시스템이 온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댁 내로 입문 시에, 사용자 단말기(11)는 자동으로 전등과 디지털 TV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정 시간 후에 에어컨과 난방 시스템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3,24)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출입 시에, 사용자 단말기(11)가 자동으로 전등과 디지털 TV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전등 또는 디지털 TV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가 에어컨과 난방 시스템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3,24)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기기 간에 유기적으로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감지부(180) 및 제어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종류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획득부(1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부(110)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영상 획득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1)의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110)는 영상이 투과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이미지)는 CCD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또는 그래픽 처리부(1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감지부(180)의 터치 감지부(181)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벤디드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1)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벤디드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하지 않는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디드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평면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벤디드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141), 블루투스 칩(142), 무선 통신 칩(143), NFC 칩(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141), 블루투스 칩(142)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41)이나 블루투스 칩(1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43)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9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50)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OS(210), 커널(220), 미들웨어(230), 어플리케이션(2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2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2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220)은 감지부(18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2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230)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미들웨어(230)는 X11 모듈(230-1), APP 매니저(230-2), 연결 매니저(230-3), 보안 모듈(230-4), 시스템 매니저(2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윈도우 매니저(230-8),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230-1)은 사용자 단말기(11)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230-2)는 저장부(1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2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230-2)는 X11 모듈(2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2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2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2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230-5)는 사용자 단말기(11)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2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는 사용자 단말기(11)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240-1 ~ 2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194)는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종류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1)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감지 목적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181), 움직임 감지부(182)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는, 물리적인 구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상기 감지부들(181,18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18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8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 감지부(181)로부터 터치 좌표 및 터치 시간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예로,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드래그 제스처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터치 감지부(181)가 획득한 터치 좌표 및 터치 시간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부(18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182)는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부(182)은 사용자 단말기(11)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사용자 단말기(11)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버스(19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등은 버스(1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19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RAM(191)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부팅되면 O/S가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ROM(1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94)는 ROM(1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91)에 복사하고, RAM(1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80)에서 부착 기기들(21~2N) 목록 중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할 부착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선택된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가 허브(31)로부터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허브(3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요청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가 클라우드(51)로부터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클라우드(5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가 클라우드(51)로부터 허브(31)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클라우드(5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매핑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수신된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기기(21)는 감지부(580), 저장부(550), 통신부(540), 부착부(59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부착 기기(21)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착 기기(21)의 종류 또는 부착 기기(21)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부착 기기(21)의 저장부(550)는 부착 기기(2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550)는 예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과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에는 예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소리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생체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부착 기기 주변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 획득부(예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통신부(540)는 부착 기기(21)의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40)는 IR 방식, BT 방식, WiFi 방식, RFID 방식, NFC 방식, Zigbee 방식, BLE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부착 기기(21)의 통신부(540)는 수신 모듈(미도시) 및 전송 모듈(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신 모듈은 외부 기기(예로, 허브(31), 사용자 단말기(11), 전자 기기(41) 또는 클라우드(5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예로, 허브(31), 사용자 단말기(11), 전자 기기(41) 또는 클라우드(5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되는 경우, 수신 모듈 및 전송 모듈은 하나의 레이어에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수신 모듈 및 전송 모듈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포함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듈은 부착 기기(21)의 외부와 통신이 용이하도록 외부 레이어에 포함되고, 송신 모듈은 부착 기기(21)에 부착된 전자 기기(41)를 제어가 용이하도록 내부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부착 기기(21)의 통신부(540)는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 외부 기기(예로, 허브(31), 사용자 단말기(11), 전자 기기(41) 또는 클라우드(51))와 제1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외부 기기(예로, 허브(31), 사용자 단말기(11), 전자 기기(41) 또는 클라우드(51))와 제2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는 제2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통신부(540)에서 외부 기기와 BT 통신 포맷으로 통신하는 모듈을 제1 통신 모듈(또는 BT 통신 모듈)이라 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와 IR 통신 포맷으로 통신하는 모듈을 제2 통신 모듈(또는 IR 통신 모듈)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부착 기기(21)의 통신부(540)는 다양한 기능, 목적 또는 배치 형태에 따라 논리적인 모듈 또는 물리적인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듈의 구분 없이 통신부(540)로 설명하고, 모듈의 구분이 의미가 있는 경우 통신부(540)를 세부 모듈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저장부(5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착 기기(2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허브(31)로부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변경한다는 의미는,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된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외부 클라우드(5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에 포함되어, 부착 기기(21)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착 기기(21)의 배터리는 부착 기기(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 레이어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는 레이어의 교체를 통하여 교환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충전식인 경우는 무선 충전 방식 등을 통하여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착 기기(21)는 사물 또는 사람에 부착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부착부(595)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595)는 부착 기기(21)와 일체형으로 판매될 수도 있고, 부착 기기(21)와 별도로 판매될 수도 있다. 부착부(595)의 재질은, 접착제, 자석 또는 벨크로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사물 또는 사람에게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나, 용도에 따라 탈부착이 용이한 재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부착부(595)의 접착력이 강한 경우는 부착 기기(21)는 사람 또는 사물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반면에, 부착부(595)의 접착력이 약한 경우는 부착 기기(21)는 부착 대상에 임시적인 식별 정보를 부여하거나, 또는 패션(fashion)을 고려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이 적층되는 순서는 목적 또는 기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의 일부는 수평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이어 위에 일 레이어가 적층될 수도 있고, 일 레이어 위에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이어가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이어 위에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이어가 적층될 수도 있다. 즉,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이 배치되는 구조로는, 예로, 1:1:1의 형태로, 일 레이어 위에 순차적으로 다른 일 레이어들이 적층될 수도 있고, 1:2:1의 형태로, 일 레이어 위에 두 개의 레이어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다시 일 레이어가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2:2:2의 형태로, 두 개의 레이어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두 개의 레이어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다시 두 개의 레이어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중 적어도 하나는 부착 가능하거나 유연하거나, 신축성(stretchable)이 있거나 또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특히, 부착 기기(21)가 부착 가능하거나, 유연하거나 신축성이 있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각각은 서로 다른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추가 또는 제거가 유연한 맞춤형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간에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거나 또는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예로, RFID, NFC, Zigbee, BLE,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Bus, Plugging 등의 유선 통신 방식, 그밖에 인체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중 일 레이어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각각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은 허브 역할을 하는 일 레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예로, 일 레이어는 브로드캐스팅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레이어들(601~606) 중 일 레이어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일 레이어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다른 레이어로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예로, 복구 개의 레이어들(601~606) 간에 접촉 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일 레이어에서 다른 레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부착 기기(21)에 포함된 모듈들이 서비스 또는 기능 단위로 관리된다면, 상기 서비스 또는 기능이 수행될 때 해당 모듈을 포함한 레이어들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들은 선택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일 레이어의 기능만 필요한 경우, 상기 일 레이어만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레이어들의 전력 공급은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 개의 레이어의 전력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도 6에서, 부착 기기(21)는, 예로, 외부 레이어(601), 배터리 레이어(602), 제어 레이어(603), 통신 레이어(604), 햅틱 레이어(605), 내부 레이어(606), 부착부(607)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부착 기기(21)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부착 기기(21)의 구성은 반드시 전술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착 기기(21)의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전술한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 레이어(601)는 외부로 노출되는 레이어로서, 감지부(580), 디스플레이부,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레이어(601)의 감지부(580)는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레이어(603)는 제어부(590) 및 저장부(550)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레이어(604)의 통신부(540)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부착 기기(21)의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통신 레이어(504)는 IR 방식, BT 방식, WiFi 방식, RFID 방식, NFC 방식, Zigbee 방식, BLE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햅틱 레이어(605)는 햅틱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사물 또는 사람에게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모듈로서 대표적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햅틱부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내부 레이어(606)는 전자 기기(41)를 포함하는 사물 또는 사람과 부착되는 레이어로서, 감지부(580), 햅틱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햅틱부는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레이어(606)는 사람에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투약 조절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착부(595)는 사물 또는 사람에 부착을 위한 부착 성분을 포함하는 요소로서, 예로, 접착제 또는 자석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의 다양한 부착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부착부(595) 위에 내부 레이어(701)가 수직으로 부착된 경우, 부착부(595)에서 내부 레이어(701)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의 710에서, 부착부(595)의 면적은 내부 레이어(701)의 면적과 비교하여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도 7의 720에서, 부착부(595)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레이어(701)가 구멍을 통하여 사물 또는 사람에게 접촉됨에 따라, 내부 레이어(701)는 사물 또는 사람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람 또는 사물로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730에서, 부착부(595)의 면적은 내부 레이어(701)의 면적과 비교하여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595) 밖에 돌출된 내부 레이어(701)가 사물 또는 사람에게 접촉됨에 따라, 내부 레이어(701)는 사물 또는 사람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람 또는 사물로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740은 부착부(595) 및 내부 레이어(701)의 모양이 원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750은 부착부(595)와 내부 레이어(701)의 모양이 서로 다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부착부(595) 및 내부 레이어(701)의 모양은 사람 또는 사물에게 부착하기 쉬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81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801,802,803)들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수신부 근처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기기(21)가 전자 기기(41)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자 기기(41) 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 도 8의 82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제1 레이어(80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는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의 제2 레이어(802)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803)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전자 기기(41)의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부착 기기(21)는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911,912,913)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 도 9의 910에서, 제1 레이어(911)는 제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54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부(950)는 레이어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912)는 제어 데이터의 통신 포맷을 변경하는 제어부(590), 저장부(550), 배터리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레이어(913)는 통신 포맷이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54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의 920에서, 제1 레이어(921)는 제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54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922)는 제어 데이터의 통신 포맷을 변경하는 제어부(59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레이어(923)는 서로 다른 통신 포맷 데이터들 간에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5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레이어(924)는 배터리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레이어(925)는 통신 포맷이 변경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540) 및 공통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부착 기기(21)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 10의 1010에서, 부착 기기(21)는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1011~1016)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1011~1016) 각각은 접촉 단자들(1011-1~1015-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접촉 단자들(1011-1~1015-1)을 통하여 레이어들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접촉 단자들(1011-1~1015-1)의 위치는 표준화되어 각 레이어의 일정 위치에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의 1020에서, 부착 기기(21)는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1021~1026)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레이어들(1021~1026) 각각은 접촉 단자들(1021-1~1026-1)을 통하여 각각의 공통부들(1027~103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이어들(1021~1026)과 공통부들(1027~1032) 간에는 접촉 단자들(1027-1~1031-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1021~1026) 중 일 레이어는 자신과 연결된 공통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공통부는 다른 레이어와 연결된 공통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신한 공통부는 자신과 연결된 다른 레이어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의 1030에서, 부착 기기(21)는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1041~1046)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레이어들(1041~1046) 전체를 연결하는 하나의 공통부(10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1041~1046)과 공통부(1047) 간에는 접촉 단자들(1041-1~1046-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통부에는 레이어의 위치나 순서와 크게 관계가 없고 또한 맞춤형의 필요성이 적은 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나 순서와 관계가 적은, 제어부, 저장부, 버스 등이 공통부에 포함될 수 있다. 공통부는, 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의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포장을 개봉하여 구매한 부착 기기(21)를 획득할 수 있다(1110).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와 부착 기기(2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11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와 부착 기기(21)는 근거리 통신 방식(예로,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된 부착 기기(21)를 사물에 부착할 수 있다(1130). 사물은 예로, 전자 기기(41), 댁 내에 가구 등이 될 수 있다. 부착 기기(21)는 접착제, 자석 또는 벨크로 등의 부착부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는 부착 위치에 제한 없이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와 사물에 부착된 부착 기기(21)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1140). 이 때, 부착 기기(21)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에만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가 최초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가 통신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와 일정 주기마다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가 제어될 수 있다(1150). 예로, 사용자 단말기(11), 허브(31) 또는 클라우드(51)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사물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부착 기기(22)가 발신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부착 기기(21)가 제어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어에 따라, 부착 기기(21)는 사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는 제어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 허브(31)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사물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60).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사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 소리 등을 감지한 정보로부터 사물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추가 제어 데이터를 사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판단 결과에 따른 피드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 허브(31)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60). 예로, 부착 기기(21)의 배터리가 일정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부착 기기(21)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 허브(31)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의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포장을 개봉하여 구매한 부착 기기(21)를 획득할 수 있다(1210).
다음으로, 사용자는 부착 기기(21)를 전자 기기에 부착할 수 있다(1220).
다음으로, 전자 기기(41)와 연결할 부착 기기(21)가 검색되고 서로 간에 매칭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1230). 여기서, 도 12의 1230 과정은 도 13 내지 도 18를 통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1240). 여기서, 도 12의 1240 과정은 도 19 및 도 20을 통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를 중에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1250,1260). 이 경우, 전자 기기(41)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의 1250 및 1260 과정은 도 21 및 도 22를 통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도 13는 내지 도 18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41) 및 부착 기기(21)를 검색 및 매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13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허브(31)를 향하여 리모컨(61)의 온 버튼을 누르면, 리모컨(61)은 IR 코드 데이터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1320에서, IR 코드 데이터를 수신한 허브(31)는 클라우드(51)로부터 IR 코드 데이터와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1330에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1340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들(21~2N)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들(21~2N) 목록에는 사용자 단말기(11)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로부터 수신된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들(21~2N) 목록 중에서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와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4의 14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의 1410에서, 부착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가 허브를 검색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141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4의 1420과 같이, 사용자가 허브(31)를 향하여 리모컨(61)의 온 버튼을 누르면, 리모컨(61)은 IR 코드 데이터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허브(31)는 수신된 IR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61)이 제어하는 전자 기기(41)를 인식할 수 있다. 예로, 허브(31)는 허브(31)의 저장부 또는 클라우드(51)로부터 IR 코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1)는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도 14의 1430과 같이,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검색된 전자 기기(41)의 이미지, 고유 ID(예로, 맥 어드레스), 제품명 또는 모델명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기기(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가 인식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14의 1440과 같이,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를 통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붉은 색)을 점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145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들(21~2N) 목록 중에서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 선택된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선택된 부착 기기(21)로 확인을 요청하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확인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도 14의 1460과 같이,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를 통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녹색)을 점멸할 수 있다.
한편,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4의 147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를 댁 외에서 온 또는 오프하는 기능, 전자 기기(41)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온 또는 오프하는 기능, 사용자의 댁 내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41)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하는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참조하여 세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만 별도의 목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설정 완료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 부착 기기(21)의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부착 기기(21)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를 통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녹색)의 점멸을 끝내고, 도 14의 1480과 같이 사용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설정이 완료되면, 도 14의 149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 활용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 활용 화면에는 부착 기기들(21~2N)이 부착된 전자 기기들(41~4N) 또는 사물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가장 최근에 설정한 부착 기기(21)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41) 또는 사물에는 구별되는 시각적 효과(예로, 하이라이트 또는 마킹 등)가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목록에서 일 전자 기기 또는 사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선택된 전자 기기 또는 사물을 제어하는 기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5에서, 리모컨(61)로부터 제공된 IR 코드 데이터로 전자 기기(41)가 검색되고, 검색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와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허브(31)를 향하여 리모컨(61)의 온 버튼을 누르면, 리모컨(61)은 IR 코드 데이터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1501). IR 코드 신호를 수신한 허브(31)는 IR 코드 데이터로부터 IR 코드 데이터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1503). 다음으로, 허브(31)는 클라우드(51) 또는 허브(31)의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IR 코드 데이터의 패턴과 관련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1505).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는, 예로, 전자 기기(41)의 이미지, 고유 ID(예로, 맥 어드레스), 제품명 또는 모델명 등이 될 수 있다.
IR 코드 패턴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검색된 경우(1505-Y),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07). 반면에,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1505-N),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1509).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1511).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1511-Y),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1513). 반면에,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요청 받은 경우(1511-N),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151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1517).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들(21~2N) 목록 중에서 전자 기기(41)를 제어할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1519).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 선택된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21). 또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21).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 또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허브(31)는,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와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1523). 그리고,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1525). 이 때, 매핑 정보는, 허브(31)의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허브(31)가 외부의 클라우드(5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허브(31)는 부착 기기(21)로 매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27).
매핑 정보를 수신한 부착 기기(21)는 수신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1529).
다른 실시 예로, 도 16의 16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를 조작하여 부착 기기 활용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의 1610에서, 부착 기기 활용 화면에는 부착 기기가 부착된 사물들(예로, 약통, 화분, 디지털 TV 등)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에 목록에서는 부착 기기들(21~2N)에서 수신한 감지 정보에 기초한 사물들의 상태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신규 부착 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UI 엘리먼트(160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신규 부착 기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도 16의 1620과 같이, 포장을 개봉해서 신규 부착 기기들(21~27)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6의 163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 설정 화면에는 부착 기기(21)의 전원을 온 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1631)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정보(1631)를 참조하여, 도 16의 1640과 같이,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 결과로써 부착 기기(21)는 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청색)을 점멸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예로,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가 분리된 후에 사물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가 온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다음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 부착 기기(21)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허브(31)는 주변에 부착 기기(21)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결과로 부착 기기(21)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허브(31)는 사용자 단말기(11)로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가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 가능한 부착 기기(21)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도 16의 1650과 같이,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붉은색)을 점멸할 수 있다.
부착 기기가 검색되면, 도 16의 166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된 부착 기기의 식별 정보(166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가 다음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40)의 통신부(140)가 허브(31)로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요청하면, 허브(31)는 부착 기기(21)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의 연결을 수락하면, 도 16의 1670과 같이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녹색)을 점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168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1)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68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7의 17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포장을 개봉해서 부착 기기들(21~27)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1720과 같이, 사용자가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를 분리하면, 부착 기기(21)는 BLE 통신 방식으로 비콘(Beacon)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때, 분리된 결과로써 부착 기기(21)는 온 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청색)을 점멸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예로,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가 분리된 후에 사물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가 온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에서 브로드캐스팅 신호(예로,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도 17의 173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새로운 부착 기기(21)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73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21)와의 연결하기 위하여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7의 174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를 설정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도 17의 1750과 같이,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붉은색)을 점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176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를 등록하는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를 등록하기 위하여 부착 기기(21)의 식별 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가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40)의 통신부(140)가 허브(31)로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요청하면, 허브(31)는 부착 기기(21)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의 연결을 수락하면, 도 17의 1770과 같이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녹색)을 점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의 178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1)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8의 18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장을 개봉해서 부착 기기들(21~27)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의 1820과 같이, 사용자가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결과로써 부착 기기(21)는 온 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청색)을 점멸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예로, 부착 대상물에서 부착 기기(21)가 분리된 후에 사물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가 온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8의 1830과 같이, 사용자는 부착 기기(21)를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부착 기기(21)에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를 태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부착 기기(21)로부터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 및 부착 기기(21)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 및 부착 기기(21)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184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를 설정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1)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는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도 18의 1850과 같이,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 연결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기 지정된 색(예로, 붉은색)을 점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의 186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 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를 등록하는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부착 기기를 등록하기 위하여 부착 기기(21)의 식별 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가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40)의 통신부(140)가 허브(31)로 부착 기기(21)와 연결을 요청하면, 허브(31)는 부착 기기(21)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사용자 단말기(11)와의 연결을 수락하면, 도 18의 1870과 같이 부착 기기(21)의 발광부는 기 지정된 색(예로, 녹색)을 점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188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21)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1)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는 부착 기기(21)를 인식하는 방법은, 전술한 NFC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수동 입력 외에 부착 기기(21)의 이미지 인식, 부착 기기(21)의 바코드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착 기기(21)와 전자 기기(41) 간에 매칭된 상황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 및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의 일 기능(예로, ON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예로, Wi-Fi, 3G, LTE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 허브(31)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41,42) 별로 부착 기기들(21,22)의 식별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1901)을 이용하여, 수신된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허브(31)는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예로, BT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식별된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전자 기기(41)의 복수의 기능과 관련된 제2 통신(예로, BT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 및 제3 통신 (예로, IR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들이 매핑된 테이블(1902)을 이용하여, 수신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예로, BT 등)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는 수신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감지부(180)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 및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가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2001). 다음으로, 허브(31)는 전자 기기(41)와의 연결 방식을 검색할 수 있다(2003). 예로, 허브(31)는 전자 기기(41)와 IR 통신 또는 BT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허브(31)는 BT 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2005), BT 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한 경우(2005-Y), 허브(31)는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2007). 이 경우, 전자 기기(41)는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또는 OFF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허브(31)와 전자 기기(41) 간에 BT 통신 방식으로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2005-N), 허브는 전자 기기(41)와 매칭되는 부착 기기(21)로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2009).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 받은 부착 기기(21)는,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2011). 그리고, 부착 기기(21)는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2013). 이 경우, 전자 기기(41)는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일 기능(예로, ON 또는 OFF 기능)이 수행되도록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2015).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전자 기기(41)의 사용 중에 오동작을 방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의 일 기능(예로, ON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획득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의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전자 기기(41)로부터의 전자기장, 소리, 움직임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경우, 부착 기기(21)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 중인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일 기능이 수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허브(3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1)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 중이지 않으면,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일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다시 전송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때까지 계속하여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 및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가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2201).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2203). 다음으로, 허브(31)는 BT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부착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205).
부착 기기(21)의 제어부(190)는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2207).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2209),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2211).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의 온 또는 오프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가 온 또는 오프 시의 일정 임계치를 기준으로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소리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가 온 또는 오프 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가 온 또는 오프 시에 발생되는 전자 기기의 진동 정도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가 온 또는 오프 시에 전자 기기(41)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자 기기(41)가 정상으로 동작하는 경우(2211-Y), 부착 기기(21)는 허브(31)로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을 수행 중이라는 성공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2213). 그리고, 허브(31)는 성공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2215).
반면에, 전자 기기(41)가 정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2211-N), 부착 기기(21)는 일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도한 횟수가 N 번 이상 시도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2219). 판단 결과, 상기 전송 과정이 N 번 미만인 경우(2219-N), 부착 기기(21)는 계속하여 일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2221). 그리고,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전송 과정이 N 번 이상 경우(2223-N), 부착 기기(21)는 허브(31)로 전자 기기(41)의 제어가 실패했다는 실패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1)는 실패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2225).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의 정상 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실패 시에 계속하여 전자 기기(41)의 제어를 시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2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착 기기(21)의 전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착 기기(21)와 같은, 초소형, 초박형 기기에 있어서는 배터리 등의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3의 231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한하여 허브(31)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가 사물(예로, 문 등)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가 문이 열리는 상태를 감지하면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허브(31)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3의 232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가 주기적으로 허브(31)와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로, 수초 또는 수분 단위로 부착 기기(21)는 허브(31)와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3의 2330을 참조하면, 허브(31)가 주기적으로 부착 기기(21)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로, 수초 또는 수분 단위로 허브(31)가 부착 기기(21)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만 다른 기기와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부착 기기(21)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기기(41)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예로, 3G, LTE 등)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가 댁 내에 허브(3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을 제어할 수 있다(2401). 일 기능은, 예로, 전자 기기(41)가 에어컨인 경우, 전자 기기(41)를 온 또는 오프하거나, 전자 기기(41)의 희망 온도를 설정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
허브(31)는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일 기능(예로, 온 기능, 희망 온도 설정 기능 등)과 관련된 제2 통신(예로, BT 등)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2403).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상기 일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예로, IR 등)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여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2405).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전자 기기(41)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2407).
감지 결과에 따라,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2409),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가 온이 아닌 경우(2409-N), 부착 기기(21)는 실패 알림 정보와 관련된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2411). 그리고, 허브(31)는 실패 알림 정보와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2413).
감지 결과,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가 온인 경우(2409-Y), 부착 기기(21)는 허브(31)로 전자 기기(41)가 일 기능을 수행 중이라는 성공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2415). 그리고, 허브(31)는 성공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할 수 있다(2417).
또한, 부착 기기(21)는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에 포함된 온도 센서가 전자 기기(41) 주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2419). 여기에서, 부착 기기(21)는 수 분(예로, 1분 내지 10분) 주기로 전자 기기(41)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주변 온도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희망 온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2421). 주변 온도가 희망 온도 범위 내인 경우(2421-Y),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계속하여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반면에, 주변 온도가 희망 온도 범위 밖인 경우(2421-N), 부착 기기(21)는 주변 온도가 희망 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2423).
판단 결과, 주변 온도가 희망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2423-Y),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로 온도를 감소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예로, IR 등)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2425). 이 경우, 상기 과정은 부착 기기(21)가 수시로 주변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주변 온도가 미리 설정된 희망 온도 범위 내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반복될 수 있다.
반면에, 주변 온도가 희망 온도 이하인 경우(2423-N),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로 온도를 증가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3 통신(예로, IR 등)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2427). 이 경우, 상기 과정은 부착 기기(21)가 수시로 주변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주변 온도가 미리 설정된 희망 온도를 초과하기 전까지 계속하여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41)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기존의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이 없는 전자 기기(41)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부착 기기(21)가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전자 기기(41)(예로, 에어컨)의 온도 조절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한 온도 조절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착 기기(21)를 사물에 부착하여 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출입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21)와 사용자 단말기(11) 간에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와 사용자 단말기(11) 간에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가 외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필수 소지품(예로, 열쇠 또는 지갑 등)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2,23)과 사용자 단말기(11) 간에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가 필수 소지품의 일부를 누락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는 누락된 소지품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는 누락된 소지품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5b를 참조하면, 약통 뚜껑을 여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약통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로부터 모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는 부착 기기(21)로부터 약통에 남아있는 약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가 약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는 약통 뚜껑이 개봉된 횟수 및 약통 뚜껑의 개봉 시점들에 기초하여 약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는 약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약의 잔량이 일정 값 이하이면 재처방을 유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5c를 참조하면, 가스레인지(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에서 감지된 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1)는 가스레인지(41)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스레인지(41)가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는 출입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22,23)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예로, 부착 기기들(21,22) 간에 거리)에 기초하여 출입구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가스레인지(41)를 켜둔 상태로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5d를 참조하면, 댁 내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5)에서 감지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1)는 댁 내에 주변 환경(예로, 가스 누출 여부, 멀티 탭 과열 여부, 기타 특정 장소의 열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11)는 댁 내의 특정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위험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가 감지한 센서 정보를 통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가 획득되고,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클라우드(51)가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상황에 적합한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스팸화를 차단하고 필수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도 26a를 참조하면, 에어컨(41) 또는 댁 내에 부착된 부착 기기(21,22)는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예로,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기기(21) 또는 허브(31)는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에어컨(41)의 온도, 풍량 또는 풍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제공할 수 있다. 조절 결과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조절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에어컨(41)을 온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는 창문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2,23)로부터 창문의 개폐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는 부착 기기들(22,23) 간에 거리에 기초하여 창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창문이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창문을 닫기를 요청하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6c를 참조하면, 출입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의 모션 센서는 부착 기기들(21,2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출입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의 근접 센서는 부착 기기들(21,22) 간에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통신부(540)는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로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출입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21)들부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출입구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들(21,22) 간에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출입구가 열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댁 내에 주변 기기들(41,42)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로,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조명(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3)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조명이 켜지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디지털 TV(42)에 부착된 부착 기기(24)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디지털 TV(42)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6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침구에 부착된 부착 기기들(21,22,23)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들(21,22,23)의 모션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뉴스, 스케쥴, 교통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는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제공되도록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가 감지한 센서 정보들이 허브(3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에서 분석되고, 학습되어 주변 기기들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주변 기기가 제어되어, 사용자가 유의할 사항이 알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7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이동 가능한 주변 기기(41)에 부착된 부착 기기(21)에 원격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는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이동 가능한 주변 기기(4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이동 가능한 주변 기기(41)가 통신부를 구비한 경우, 부착 기기(21)는 이동 가능한 주변 기기(41)에 다른 통신 방식으로 변형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변 기기(41)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의 햅틱부에서 출력되는 진동 등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41)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7b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가 위험 공간의 입구(예로, 베란다, 계단 또는 창문 등)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부착 기기(21)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 근접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는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도 2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전자 기기(41)의 에어컨을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 데이터가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1 레이어(2801)에 통신부(540)의 수신 모듈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다른 통신 포맷으로 변형된 제어 데이터가 전자 기기(41)로 전송되도록 제2 레이어(28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제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것으로 결정되면,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2803)에 감지부(580)의 지자기 센서는 에어컨의 지자기 정보를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로 전송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지자기 정보에 의하여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제2 레이어(28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8b를 참조하면, 약통 뚜껑에 부착된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2813)에 감지부(580)의 모션 센서는 약통 뚜껑의 개봉에 따른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션 정보가 획득되면, 부착 기기(21)의 제2 레이어(2812)의 전송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11)로 사용자의 복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복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약에 대한 알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기(11)의 저장부(150)에 약의 개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약통 뚜껑이 개봉된 횟수 및 약통 뚜껑의 개봉 시점들에 기초하여 약의 잔량 및 재처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약에 대한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약에 대한 알림 정보가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가 약에 대한 알림 정보를 수신한 결과로서, 부착 기기(21)의 제1 레이어(2811)에 디스플레이부는 약에 대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8c를 참조하면, 가스 누출 또는 멀티탭 과열 등과 같은 상황에서, 댁 내에 사물에 부착된 부착 기기(21)의 제4 레이어(2824)에 감지부(580)의 온도 센서는 사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제1 레이어(2821)에 감지부(580)의 가스 센서가 주변 환경에 가스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2823)에 제어부(590)는 감지된 온도 값 또는 가스 농도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2823)에 제어부(590)는 위험을 알리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에 전송되도록 제2 레이어(282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과 같이, 부착 기기(21)는 내부 레이어(2824)를 통하여 사물의 진동, 소리, 온도 또는 모션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사물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하거나, 또는 부착 기기(21)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의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외부 레이어(2821)를 통하여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또는 조도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사물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하거나, 또는 부착 기기(21)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물의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외부 레이어(2821)의 통신부(540)를 통하여 부착 기기(21)의 외부로 신호(예로, 비콘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착 기기(21)가 레거시 기기 또는 스마트 기기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는 상기 기기들의 일부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기기들에게 스마트한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도 29를 참조하면, 제3 전자 기기(예로, 에어컨)(43)의 일 기능(예로, 온 기능)이 수행되도록, 사용자는 제1 공간(예로, 침실)에 제1 전자 기기(41)에 부착된 제1 부착 기기(21)를 향하여 리모컨(61)의 일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리모컨(61)으로부터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부착 기기(21)는 제2 공간(예로, 거실)에 위치한 제2 전자 기기(42)에 부착된 제2 부착 기기(22)로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부착 기기(22)는 제3 공간(예로, 서재)에 위치한 제3 전자 기기(43)에 부착된 제3 부착 기기(23)로 IR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제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3 전자 기기(43)는 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제3 레이어(3013)에 감지부(580)의 온도 센서는 사물(예로, 다리미)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3021).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가 일정 값 이상인지, 즉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022). 또는, 감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가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022).
판단 결과,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온도이면, 부착 기기(21)의 제1 레이어(3011)에 감지부(580)의 근접 센서는 사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3023).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3024). 또는, 감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가 사용자가 사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3024).
판단 결과, 사용자가 사물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착 기기(21)는 제2 레이어(3012)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3025). 또는, 판단 결과 값이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기(11)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3025).
한편, 사용자 단말기(11)는 수신한 감지 정보를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가 감지 정보를 클라우드(51)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51)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등을 분석하고, 추후 유사한 상황이 예측되면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부착 기기(21)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는 센서들이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현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센서가 측정한 정보 또는 피드백(예로, 알림 정보)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부착 기기(21)에 일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되는 경우, 부착 기기(21)의 센서들과 연동되어 저전력의 다양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착 기기(21)를 사람에 부착하여 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내부 레이어(3103)에 감지부(58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 감지부(580)의 맥박 센서가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다(3111). 또는, 감지부(580)의 심박 센서가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맥박 신호 값에 기초하여, 기 지정된 사용자가 부착 기기(21)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112).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맥박 신호 값과 기 지정된 사용자의 맥박 신호 값을 비교하여 기 지정된 사용자가 부착 기기(21)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일 레이어(31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이 감지된 맥박 신호 값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 또는 클라우드(51)가 획득된 맥박 신호 값에 기초하여 기 지정된 사용자가 부착 기기(21)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 지정된 사용자가 부착 기기(21)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착 기기(21)의 외부 레이어(3101)에 감지부(58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 감지부(580)의 지문 센서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3113).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지문의 특징 값에 기초하여, 감지된 지문이 기 지정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3114). 또는, 부착 기기(21)의 일 레이어(31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이 감지된 지문 특징 값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 또는 클라우드(51)가 획득된 지문의 특징 값에 기초하여 감지된 지문이 기 지정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일 레이어(31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은 사용자와 기 지정된 사용자와의 일치 여부를 알리는 인증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 결과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12)의 제어부(190)는 인증 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3115). 또는, 부착 기기(21)의 다른 일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부착 기기(21)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인증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에 닿는 내부 레이어(3103)를 및 외부에 노출된 외부 레이어(31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맥박 및 지문이 감지되고 이를 통하여 복합 인증이 수행됨으로써 보안 강화에 따른 사용성이 증가되고 불필요한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센서들이 수평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레이어들에 포함되어 피부 위에 적층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예로, 발진, 피부 조임 등)이 해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2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외부 레이어(3201)에 감지부(580)의 환경 센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3211). 예로, 미세 먼지 센서가 건강에 유해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이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12). 이 때, 판단 과정은,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클라우드(51)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주변 환경이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되도록 일 레이어(3202)에 통신부(540)의 전송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알림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3213).
또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가 주변 환경이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한 것으로 판단하면, 내부 레이어(3204)에 감지부(580)의 혈중 약물 농도 센서는 사용자의 혈액에 약물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3214). 그리고, 감지부(580)로부터 약물 농도 값을 획득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사용자에게 약물 주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15).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약물 농도 값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약물 주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215).
다음으로, 약물 주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내부 레이어(3204)에 투약 조절기(micro needle)를 제어하여 일 레이어(3203)에 약물통에 약물이 피부에 투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3216)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의 외부 레이어(3201)를 통하여 주변 환경 정보가 감지되고, 이에 기초하여 내부 레이어(3204)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이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약물 투입 등의 사용자를 처방한 결과는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클라우드(51)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건강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가 약물 투입이 어렵거나 혹은 약물 투입이 수행된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햅틱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피드백 정보를 전자 기기(41) 또는 사용자 단말기(11)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전자 기기(41)에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3a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에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움직이는 문신과 같은 영상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레이어에 이미지가 매핑된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복수 개의 레이어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움직이는 문신과 같은 영상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움직이는 문신과 같은 영상의 제공 시기는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가 획득한 사용자의 모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저전력 또는 저비용으로 움직이는 문신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3b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특정 상황에서 일 레이어(3312)에 삽입된 결재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부착 기기(21)의 외부 레이어(3311)의 색이 유색(예로, 피부색)으로부터 투명색으로 변경되면서 일 레이어(3312)에 삽입된 결재 코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외부 레이어(33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부착 기기(21)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결재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상황은, 예로, 결재가 필요하여 부착 기기(21)의 외부 레이어(3311)에 감지부(580)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일정 거리 이내로 부착 기기(21)에 위치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1)가 결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3c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3321,3322,3323)이 수직으로 적층된 상황에서, 부착 기기(21)를 누르는 사용자의 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3321,3322,3323) 중 일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 결과에 따라,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선택된 레이어에 포함된 이미지(예로, 문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선택된 레이어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레이어들(3321,3322,3323) 각각이 서로 다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부착 기기(21)를 누르는 사용자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이어들(3321,3322,3323) 각각에 포함된 이미지들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4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3401,3402,3403)로 구성된 경우, 제1 레이어(3401)는 감지부(580)를 포함하고, 제2 레이어(3402)는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제3 레이어(3403)는 인증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레이어(3401)의 감지부(58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또는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이어(3402)의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평상 시에는 피부색과 같은 색으로 디스플레이되다가 특정 조건에서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레이어(3403)의 인증키 제공부는 여러 종류의 인증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 제3 레이어(3403)에 바코드 이미지 또는 QR 코드 이미지가 인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인증을 위한 코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는, 인증키 제공부는 NFC 태그가 포함된 인증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1 레이어(3401) 및 제2 레이어(3402)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레이어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반면에, 제3 레이어(3403)는 코드 이미지 또는 NFC 태그를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웨어러블 기기인 부착 기기(21)는 전원이 공급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레이어(3401)의 감지부(58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로, 감지부(580)의 터치 센서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레이어의 복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글 터치가 감지된 경우, 바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투명 디스플레이부들은 불투명 색(예로, 피부색)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멀티 터치가 감지된 경우, QR 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투명 디스플레이부들은 불투명 색(예로, 피부색)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인증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소에는 부착 기기(21)가 피부색으로 디스플레이되다가, 필요한 순간(예로, 결재 시)에만 인증키가 제공함으로써, 인증키의 보안성 및 사용자의 편리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5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가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로 구성된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 각각은 감지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3501)의 감지부(5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이 36도 내지 37도인 것이 감지되면, 도 35의 3510와 같이, 제1 레이어(3501)의 색이 제1 색(예로, 피부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제1 레이어(3501)의 인쇄된 제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레이어(3502)의 감지부(5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이 36도 미만인 것이 감지되면, 도 35의 3520와 같이, 제2 레이어(3502)의 색이 제2 색(예로, 옅은 붉은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제2 레이어(3502)의 인쇄된 제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레이어(3503)의 감지부(5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온이 37도 초과인 것이 감지되면, 도 33의 3030와 같이, 제3 레이어(3503)의 색이 제3 색(예로, 진한 붉은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제3 레이어(3503)의 인쇄된 제3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 각각의 감지 결과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 각각에서 서로 다른 색이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 간에는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 중 일 레이어의 감지부(580)가 생체 정보를 감지하면, 감지된 생체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의 색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일 레이어의 감지부(580)로부터 사용자의 체온을 획득하고, 획득된 체온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이어들(3501,3502,3503)에 선택적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이 36.5도인 경우, 부착 기기(21)의 제어부는 제1 레이어(3501)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레이어의 색(3501)이 제1 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부를 탈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6a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3601,3602) 중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3601)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사용자는 방전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3601)를 제거하고, 신규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3603)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의 방전 여부를 알리기 위하여, 부착 기기(21)의 제어부(590)는 일 레이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3601,3603)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외부 레이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 기기(21)의 레이어가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를 포함한 레이어를 휴대하면서 필요 시 부착 기기(21)에 추가로 부착하거나 또는 다른 레이어와의 교체를 통해 부착 기기(21)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가 충전이 가능하다면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는, 예로, 내부 레이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를 포함하는 레이어는 무선 충전 패드에 부착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6b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3611,3612) 중 제어부(590)를 포함하는 레이어(3611)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로, 신규 서비스 또는 신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제어부(590)를 포함하는 레이어(3611)를 제거하고, 새로운 제어부(590)를 포함하는 레이어(3613)를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6c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3621,3622) 중 저장부(550)를 포함하는 레이어(3621)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로, 신규 서비스 또는 신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기존의 저장부(550)를 포함하는 레이어(3621)를 제거하고, 신규 저장부(550)를 포함하는 레이어(3623)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부가 탈부착되는 경우, 레이어의 탈부착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21)의 초기 세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착 기기(21)의 초기 세팅에 필요한 데이터는 부착 기기(21)의 공통부 또는 통신부(540)를 통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부가 부착되는 경우, 새롭게 부착된 레이어와 관련하여 실행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신규 서비스 또는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부착 기기(21)의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일부가 분리되는 경우, 남아있는 레이어와 관련하여 실행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11) 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레이어의 제거 상태, 또는 남아있는 레이어와 관련하여 실행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를 사람에 부착하는 다양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의 3710은, 부착 기기(21)가 사람에 부착되는 부착 위치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특히, 부착 기기(21)는 부착 위치의 면적, 부착 위치의 곡률, 탈부착 여부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기기(21)는 부착 위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위치가 종아리인 경우, 부착 기기(21)는 사람의 근육을 풀어주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 위치가 엉덩이인 경우, 부착 기기(21)는 사람이 앉아 있는 시간을 측정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부착 기기(21)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람 또는 사물의 표면 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7의 3720은, 부착 기기(21)가 사람의 피부에 부착되어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착 기기(21)가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부착 기기(21)는 사람의 온도, 심박, 땀, 혈류량,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가 피부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 기기(21)는 피부 상태, 상처 상태, 피부 신축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신축도, 압력,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1)는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로, 부착 기기(21)는 미세먼지 농도, 자외선량, 온도, 습도, 소리, 주변 이미지, 위치 또는 날씨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7의 3730은, 부착 기기(21)에서 출력될 수 있는 정보들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착 기기(2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진동, 소리, 빛, 전기 자극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접착력이 강화되도록 조여지거나 늘려질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기능 수행이 완료되거나, 일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찢어지거나 자동으로 부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7의 3740은, 부착 기기(21)에 전력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착 기기(21)는 체열, 신체의 움직임, 태양열 또는 체혈 등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1), 클라우드(51)에 포함된 서버(51-1), 허브(31) 및 적어도 하나의 부착 기기(21,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와 서버(51-1), 그리고 서버(51-1)와 허브(31) 간에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인 3G,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허브(31)와 부착 기기들(21,22,23) 간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방식인, WiFi, BLE, BT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부착 기기들(21,22,23)와 전자 기기(41,42) 간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 방식인, WiFi, BLE, BT, IR, RFID, NFC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지 제3 통신 방식 각각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일 수 있으며, 제1 통신 방식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제1 통신 방식이 통신 가능하도록 커버하는 영역은 제2 통신 방식 또는 제3 통신 방식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 커버하는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통신 방식이 통신 가능하도록 커버하는 영역은 제3 통신 방식이 통신 가능하도록 커버하는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9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90) 및 통신부(140)의 구성의 일 예는 상술한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51-1)는 통신부(3801) 및 제어부(380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51-1)의 통신부(3801)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와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31)는 통신부(3811) 및 제어부(381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31)의 통신부(3811)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서버(51) 또는 부착 기기들(21,22,23)과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부착 기기(21,22)는 통신부(540), 제어부(590), 감지부(580) 및 저장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의 부착 기기(23)는 통신부(540), 제어부(590), 저장부(590), 감지부(580) 및 햅틱부(3821)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에서, 일 예로, 부착 기기들(21)은 전자 기기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 기기들(22)는 사람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 기기(23)는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부착 기기들(21,22,23)이 부착된 사람 또는 사물의 동작 상태, 또는 주변 환경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는 상기 요청 정보를 서버(51-1)의 통신부(38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서버(51-1)의 제어부(590)는 상기 요청 정보를 댁 내의 허브(31)의 통신부(381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811)가 수신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허브(31)의 제어부(3812)는 상기 요청 정보를 적어도 부착 기기들(21,22,23)의 통신부(5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한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부착 기기들(21,22,23)의 제어부(590)는 부착 대상인 사람 또는 사물의 동작 상태 또는 주변의 환경 정보가 획득되도록 부착 기기들(21,22,23)의 감지부(5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기기(21)의 감지부(580)는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2)의 감지부(580)는 사람의 건강 상태 또는 동작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기기(23)의 감지부(580)는 주변 환경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들(21,22,23)의 제어부(590)는 감지부(580)를 통하여 획득된 센싱 데이터들이 허브(31)의 통신부(3811)로 전송되도록 통신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싱 데이터들이 획득되면, 허브(31)의 제어부(3812)는 취합된 센싱 데이터들을 서버(51-1)의 통신부(38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싱 데이터들이 수신되면, 서버(51-1)의 제어부(3802)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들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로, 사용자에 알리는 알림 정보,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결과는 기존의 서버(51-1)가 획득했던 센싱 데이터들 또는 기존의 센싱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사용자 행동 이력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51-1)의 제어부(3802)는 획득된 알림 정보 또는 추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11)의 통신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의 제어부(190)는 수신된 알림 정보 또는 추천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3901). 이 때, 부착 기기(21)는 사용자 단말기(11)의 부착 기기 목록에서 일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매핑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부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902).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903).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S3904).
이 때,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 전자 기기(41)가 기 동작 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부착 기기(21)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 전자 기기(41)는 주변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전자 기기(41)를 제어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40을 참조하면,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가 부착된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4001).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부착 기기(21)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부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002).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003).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자 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S4004).
다음으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S4009). 예로, 부착 기기(21)는 전자 기기(41)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 또는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S4009).
다른 실시 예로, 도 4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1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일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02). 판단 결과, 일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4102-Y),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매핑된 매핑 정보가 선택된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41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부착 기기(21)로 제어 가능한 전자 기기(41)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4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201).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일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2). 판단 결과, 일 부착 기기(2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4202-Y), 전자 기기(41)의 식별 정보와 선택된 부착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42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1)는 전자 기기(41)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선택된 부착 기기(21)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04).
이 때, 사용자 단말기(11)가 직접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허브(31)를 통하여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클라우드(51)를 통하여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클라우드(51) 및 허브(31)를 통하여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가 허브(31)에 매핑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허브(31)가 허브(31)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클라우드(51)에 매핑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클라우드(51)가 클라우드(51)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직접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51)가 클라우드(51)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허브(31)를 통하여 부착 기기(21)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1)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의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11)의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부착 기기(21)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 기기(21)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의 일 예로서 부착 기기(21)의 저장부(550)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부착 기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부착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허브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착 기기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매핑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목록에서 상기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매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착 기기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부착 기기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착 기기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6.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부착 기기들 목록 중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부착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로 제어 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제어 방법.
  10.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부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부착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허브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가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착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와 부착이 가능한 부착부
    를 더 포함하는 부착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는 적층된 복수 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되어,
    상기 부착 기기의 통신부, 제어부 및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부착 기기 목록에서 상기 부착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기기.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기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부착 기기의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부착 기기가 부착된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기기.
  17.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기기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부착 기기들 목록 중에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할 부착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기기의 일 기능과 관련된 제1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 및 제2 통신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정보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부착 기기로 제어 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허브 및 클라우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핑 정보를 상기 선택된 부착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140169798A 2014-12-01 2014-12-01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10233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98A KR102334077B1 (ko) 2014-12-01 2014-12-01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EP15865778.3A EP3228046B1 (en) 2014-12-01 2015-12-01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CN201580065235.1A CN107005611B (zh) 2014-12-01 2015-12-01 附接装置及其控制电子装置的方法
PCT/KR2015/012987 WO2016089083A1 (en) 2014-12-01 2015-12-01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4/955,886 US10425520B2 (en) 2014-12-01 2015-12-01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6/457,228 US11159669B2 (en) 2014-12-01 2019-06-28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98A KR102334077B1 (ko) 2014-12-01 2014-12-01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02A KR20160065602A (ko) 2016-06-09
KR102334077B1 true KR102334077B1 (ko) 2021-12-03

Family

ID=5607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98A KR102334077B1 (ko) 2014-12-01 2014-12-01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25520B2 (ko)
EP (1) EP3228046B1 (ko)
KR (1) KR102334077B1 (ko)
CN (1) CN107005611B (ko)
WO (1) WO2016089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6476B2 (en) * 2014-12-03 2017-02-21 Mediatek In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CN106354023A (zh) * 2015-07-15 2017-0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终端设备的方法、移动终端及系统
JP6646457B2 (ja) * 2016-02-10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75703A1 (ja) * 2016-04-05 2017-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センサ中継装置およびセンサ中継システム
JP2018107487A (ja) * 2016-12-22 2018-07-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および情報送信システム
KR101898589B1 (ko) * 2017-01-02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용 허브 기기, 동작용 서브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로봇
KR102351498B1 (ko) * 2018-01-09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11133953B2 (en) * 2018-05-11 2021-09-28 Catherine Lois Shive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control
CN110858814B (zh) * 2018-08-23 2020-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126A1 (en) * 2002-04-18 2003-11-13 Ritsuko Kanazaw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KR100997265B1 (ko) * 2010-04-06 2010-11-30 지현준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424B2 (ja) * 2000-04-18 2010-03-1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ホーム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0381170B1 (ko) 2001-07-20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030037341A1 (en) * 2001-08-17 2003-02-20 Van Der Meulen Pieter Sier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using a web-cam image
JP3867628B2 (ja) * 2002-06-28 2007-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端末と通信可能な携帯通信端末及び異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携帯通信端末の制御プロトコル変換方法
TWI236853B (en) * 2002-10-02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Communication adapter device, communication adapter, method for writing into nonvolatile memory, electric apparatus used for the same, and ROM writer
GB0600417D0 (en) * 2006-01-10 2006-02-15 Level 5 Networks Inc Virtualisation support
US7651368B2 (en) * 2007-01-04 2010-01-26 Whir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an adapter to simultaneously couple multip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9596971B2 (en) * 2011-10-21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2334570U (zh) * 2011-12-06 2012-07-11 浙江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手机控制的智能家居系统
CN102523401B (zh) * 2011-12-29 2015-09-3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电视机控制系统及方法
CN202475468U (zh) 2012-04-20 2012-10-03 深圳市赛亿科技开发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家庭信息终端平台
WO2014005939A1 (en) * 2012-07-05 2014-01-09 Iminds Vzw Methods for configuring a device for establishing a first wireless link with a network.
WO2014027349A1 (en) * 2012-08-14 2014-02-20 Switchbee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without infrastructure changes
CN102868580B (zh) * 2012-08-31 2015-1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开关及应用该智能开关的智能家居系统
US9078283B2 (en) * 2012-11-16 2015-07-07 Franklin Wireless Corporation Mobile convergence terminal
CN202975737U (zh) * 2012-11-16 2013-06-05 中山大学 一种智能家居语音管家机器人
KR20140081269A (ko) * 2012-12-21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장치
JP6031377B2 (ja) 2013-02-19 2016-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電気機器
WO2014128780A1 (ja) 2013-02-20 2014-08-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23277A1 (en) * 2014-01-31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manage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CN104020733A (zh) 2014-05-13 2014-09-03 生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Led照明装置、智能家居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9801120B2 (en) * 2014-05-30 2017-10-24 Apple Inc. Client-initiated tethering for electronic devices
US9996579B2 (en) * 2014-06-26 2018-06-12 Amazon Technologies, Inc. Fast color searc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126A1 (en) * 2002-04-18 2003-11-13 Ritsuko Kanazaw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KR100997265B1 (ko) * 2010-04-06 2010-11-30 지현준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083A1 (en) 2016-06-09
EP3228046A1 (en) 2017-10-11
US10425520B2 (en) 2019-09-24
KR20160065602A (ko) 2016-06-09
CN107005611B (zh) 2020-06-19
US20190320059A1 (en) 2019-10-17
EP3228046B1 (en) 2020-10-28
US20160156768A1 (en) 2016-06-02
US11159669B2 (en) 2021-10-26
CN107005611A (zh) 2017-08-01
EP3228046A4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077B1 (ko)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102432620B1 (ko)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157095B2 (en) Electronic stylus including a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29699B1 (ko) 정보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30096B1 (ko) 디스플레이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54763B1 (ko)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KR102265086B1 (ko)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가상 환경
EP3411780B1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7977110A (zh) 用于获取指纹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KR102446675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117245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2335925B1 (ko)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102279036B1 (ko) 무선 데이터 입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8009738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42306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2100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335024B1 (ko)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20160014481A (ko) Idle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6450B1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91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US20170010669A1 (en)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 method
KR102070407B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KR102269387B1 (ko) 상황별 정보 공유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95896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electronic pen
CN105573489A (zh) 控制外部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