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498B1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498B1
KR102351498B1 KR1020180002991A KR20180002991A KR102351498B1 KR 102351498 B1 KR102351498 B1 KR 102351498B1 KR 1020180002991 A KR1020180002991 A KR 1020180002991A KR 20180002991 A KR20180002991 A KR 20180002991A KR 102351498 B1 KR102351498 B1 KR 10235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redetermined content
information
predetermin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818A (ko
Inventor
이준영
김남현
정진주
황두찬
김민호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98B1/ko
Priority to CN201980007735.8A priority patent/CN111567055A/zh
Priority to US16/242,741 priority patent/US10970028B2/en
Priority to EP19738597.4A priority patent/EP3707912A4/en
Priority to PCT/KR2019/000234 priority patent/WO2019139318A1/en
Publication of KR2019008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1One-way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본 개시의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소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보급 및 기술 개발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시광(Visible light)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기술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가시광(Visible light)은 파장이 380nm~780nm인 전자기파로 사람이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빛이다. 가시광 통신은 이러한 가시광 대역의 빛을 이용하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으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점멸 속도 및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가시광 통신은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이, 1초 동안에 수십 회 이상의 점멸 또는 밝기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Display) 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를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또는 영상 센서(Image Sensor) 등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전송 및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시광 통신 데이터(VLC data)'라 할 수 있다.
가시광 통신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에서의 빛의 점멸(깜빡임) 및 빛의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는 1초 사이에 수백만 회 이상의 점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LED 어레이로 형성될 경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LED 어레이를 1초에 120번 점멸시키는 경우의 데이터를 0 값, LED 어레이를 1초에 240번 점멸시키는 경우의 데이터 값을 1로 하면, LED 어레이를 통하여 2진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밝기의 변화가 1초에 40-50회 보다 빠른 경우, 사람의 눈으로는 밝기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사용자는 해당 디스플레이가 계속 점등된 것처럼 인식한다. 즉, 사용자에게 눈의 아른거림을 느끼게 하는 불편함을 주지 않고도, 전자 장치들 간의 가시광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은 동시에 복수개의 전자 장치로 정보 전달이 가능하며,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장치들 간의 페어링(pairing) 과정 없이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빛이 전달되는 공간 내에서만 정보가 전송되므로, 가시광 통신은 빛이 전달되는 공간이 아닌 곳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생성 또는 해킹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보안성능이 우수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소정 컨텐츠가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될 때,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획득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와 구별되는 전자 장치에서 소정 네트워크에 빠르고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접속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의 특성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소정 명령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컨텐츠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광고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컨텐츠는 가상 현실 컨텐츠(Virtual Reality Contents)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외부 디스플레이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 할 때, 전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창을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상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페어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듈"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로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00)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는 가시 광선을 통한 소정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0)는 1초 동안에 수십 회 이상의 점멸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단계로 구별되는 밝기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가시 광선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를 통하여 소정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0)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빠르게 점멸 및/또는 복수개의 단계로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로, TV,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 디지털 표지판,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영상 센서(Image Sensor) 등과 같이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광 수신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지칭하여 '광 수신부'라 칭하겠다.
또한, 가시광 통신은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어떻게 인식하냐에 따라서, 포토 다이오드(PD)를 이용하는 방식과 광 카메라 통신(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LED 소자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통하여 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 경우,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포토 다이오드 소자와 같은 별도의 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이 경우, 고속으로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LED 소자 및 고속의 점멸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므로 고속으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광 카메라 통신(OCC)을 이용하는 방식은, 실용적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또는 영상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는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Li-Fi 통신 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광 카메라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가시광 통신이 전술한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과 광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토 다이오드 소자, 카메라, 또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센서를 모두 '광 수신 장치' 또는 '광 수신부'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소정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는, 1초에 수십 회 이상 점멸 가능한 LED 소자 등과 같이 빠르게 점멸 가능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100)가 디지털 TV 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는 소정 화면(1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100)가 LED 어레이(미도시)를 포함하여, LED 어레이(미도시)를 통하여 소정 화면(110)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를 주파수 개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가 1초에 100회 점멸되면 100Hz로 표현하고, 1초에 120회 점멸되면 120Hz 로 표현하며, 1초에 240회 점멸되면 240Hz로 표현할 수 있다. 즉,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가 빠르면 가시광 통신에서의 주파수 값이 높아지며,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가 느리면 가시광 통신에서의 주파수 값이 낮아진다.
상기의 예에서, 120Hz로 1회 점멸될 때의 가시광 통신 데이터 값을 0 값으로, 240Hz로 1회 점멸될 때의 가시광 통신 데이터 값을 1 값으로 설정하면, LED 어레이를 120Hz 또는 240 Hz 로 점멸할 때 2진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가 120 Hz 속도로 2회 깜빡이고, 연속하여 LED 어레이가 240 Hz 속도로 1회 깜빡이고, 후속하여 LED 어레이가 120 Hz 속도로 1회 깜빡일 경우, '0 0 1 0'의 2진 데이터가 생성 및 출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면들(120, 130, 140)은 전자 장치(미도시)가 소정 화면(110)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rolling Shutter 방식으로 구동되는 영상 센서(image sensor)(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들(120, 130, 140)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화면(12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10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그리고, 화면(13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12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또한, 화면(14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24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도 1의 화면들(120, 130, 14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되는 LED 어레이(미도시)의 점멸 횟수(또는 점멸 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갖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되는 LED 어레이(미도시)의 밝기 단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갖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미도시)가 256 단계의 밝기 값을 표현할 수 있을 때,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256 단계의 밝기 값에 대응되는 256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데이터가 출력될 때,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 광 카메라 통신(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QR 코드 등의 형태로 출력되는 데이터 등), 화면 자체를 인식함으로써 수신되는 데이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ㄴ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전술한 광 카메라 통신(OCC)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TV,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ID, Central Information Display) 등 모바일 컴퓨팅 장치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수광 소자(light receiving element)(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신부(210)를 포함하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영상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데이터 중,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를 '제1 데이터'라 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light receiving element)(미도시)를 포함하며, 수광 소자를 통하여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영상 센서(Image Sensor) 등과 같은 수광 소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가시 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에서 가시광의 점멸 및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수신부(210)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는 카메라(미도시)와 별도의 광 수신 장치,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수신부(210)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제1 데이터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가시 광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빠르게 점멸 및/또는 복수개의 단계로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로, TV,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 디지털 표지판,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점멸 속도, 및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i)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영화, 뉴스 등과 같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 ii) 소정 서버 또는 소정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화 컨텐츠 등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 게임 컨텐츠, 광고 컨텐츠, iii)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소정 컨텐츠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가 소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 및 전자 장치(200) 각각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독립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2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발광 소자의 점멸 속도 및 밝기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화면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i)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access)하기 위한 네트워크, ii) 소정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 또는 소정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i)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v) 소정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특정 방송국의 뉴스 방송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소정 컨텐츠는 뉴스 방송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컨텐츠인 뉴스 방송과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i) 뉴스 방송을 제공하는 특정 방송국 서버 또는 특정 방송국의 방송 송출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 뉴스 방송과 연관된 서비스, 예를 들어, 뉴스 방송에 대한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방송 게시판, 뉴스 방송의 상세 방송 내용을 알려주는 뉴스 프로그램 앱 등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ii) 뉴스 방송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인 DMB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방송국의 실시간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v) 뉴스 방송에서 나오는 뉴스 이벤트(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사고 소식)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예를 들어, 사고 소식이 전해진 특정 장소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원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원하는 네트워크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또는 IP(Internet Protoc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 자체에 대한 정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컨텐츠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를 예로 들자. 이 경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방송국에서 생성하여 송출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소정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국 또는 서버의 URL 등을 포함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소정 컨텐츠를 송출하는 서버,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 또는 장치에서 직접 외부 디스플레이(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 자체가 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가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 자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면 자체를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인식 또는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인식 등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수신부(210)'는 데이터 수신부(미도시)에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의 전자 장치, 외부의 디스플레이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할 복수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수신부(210)를 통하여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유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음파 수신 모듈, 예를 들어, 마이크 또는 마이크로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유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는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무선 데이터, 예를 들어, Wi-fi 통신 규격에 따라서 형성되는 Wi-fi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송신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Wi-fi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수신된 Wi-fi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음파 데이터, 예를 들어, 초음파 데이터, 또는 RF(Radio Frequency)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송신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수신된 음파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수신부(210)와 같은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 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형태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는 각각 도 2에서 도시한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에 동일 대응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도 2에서 도시한 외부 디스플레이(270)에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310)가 포토 다이오드(310)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외부 디스플레이(370)를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제어부(380) 및 디스플레이(39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370)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디스플레이(39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90)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390)가 LED 어레이(390)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제어부(38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LED 어레이(39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구체적으로, LED 어레이(3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되도록 제어하고, 변조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LED 어레이(390)의 점멸 및 밝기가 조절되도록, LED 어레이(3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서 LED 어레이(39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프로세서(381),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송신 제어회로(382), VLC 구동 회로(383) 및 메모리(3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1)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 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384)는 프로세서(38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설정 데이터 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84)는 프로세서(381)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이용하는 변조 방식 등을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VLC 송신 제어회로(382)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에 따라서 변조할 수 있다. 여기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변조 방식은 OOK(On Off Keying),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PWM(Pulse Width Modulation), NRZ(Non Return to Zero), FSK(Frequency Shifting Key)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 PWM 방식을 이용할 경우, 발광 소자의 종류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390)의 밝기를 밝고 어두운 구간의 폭을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PWM 방식으로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VLC 구동 회로(383)는 VLC 송신 제어회로(382)에서의 변조 방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를 구동시킨다. VLC 구동 회로(383)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발광 소자들, 예를 들어, LED 소자를 점멸 및 밝기 조절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LED 소자를 이용하는 LED 어레이의 경우, LED 의 빠른 밝기 변화 및 점멸 동작으로 인하여, 소정 변조 기술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최대 10Gbps 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가 1초에 40-50 회 이상 점멸되는 경우에는 인간의 눈은 이러한 발광 소자의 점멸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사용자는 눈의 어른거림 등과 같은 불편함이 없이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빠른 전송 속도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외부 디스플레이(37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수신부(310)로 가시광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광 수신 장치, 예를 들어, LED 소자와 같은 수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광 장치 또는 영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수신부(310)로 포토 다이오드(310)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포토 다이오드(310)는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토 다이오드(310)는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가시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310)는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가시광의 점멸 횟수 및 밝기 변화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310)가 Rolling Shutter 방식으로 구동되는 영상 센서(image sensor)(미도시)로 구성되는 경우, 영상 센서(미도시)는 감지되는 영상 에서의 띠와 같은 패턴의 변화, 예를 들어, 도 1의 화면들(120, 130, 및 140)에서 나타나는 띠와 같은 패턴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사람의 눈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띠의 변화를 뜻한다. 따라서, 화면들(120, 130, 및 140)에서의 패턴의 변화는 사람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으나, 영상 센서(미도시)로는 감지되어 시청자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수신 복호부(321), 프로세서(322), 및 메모리(323)를 포함할 수 있다.
VLC 수신 복호부(321)는 포토 다이오드(310)에서 수신되는 소정 방식으로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받고,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할 수 있다. 프로세서(322)는 VLC 수신 복호부(321)에서 복호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2)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20)에서 제어되는 전자 장치(3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은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또는 300)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수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에 대응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수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300)에 대응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에 비하여,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각각은 제어부(420), 구체적으로,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200)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43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은 전술한 LED 어레이(390)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장치는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420)는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전자 장치(4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전자 장치(400)가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위치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상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를 구동시켜 수신부(410)를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 및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내에 포함되는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와는 독립적인 모듈로 전자 장치(400) 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제어부(420)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4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통신부(4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5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5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소정 데이터, 및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메모리(460)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적어도 하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메모리(460)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460)는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420)에 포함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의 내부에 포함되는 메모리(미도시)와 별도로, 메모리(46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메모리(460)는 제어부(420)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획득된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동작들을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는 전술한 외부 디스플레이(370) 및 전자 장치(200, 300, 또는 40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외부 디스플레이(530),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외부 디스플레이(530),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간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53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531)을 디스플레이 한다(S571). 도 5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530)가 디스플레이 하는 소정 컨텐츠가, 소정 방송국에서 제작 및 송신하는 예능 프로그램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500)가 제1 사용자(501)이 이용하는 스마트 폰(5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의 상세 구성(예를 들어, 수신부(410), 제어부(420),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및/또는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을 참조하도록 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가시광 통신(520)을 통하여 영상(531)에 포함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S573).
여기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은 전자 장치(500)가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다가, 시청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전자 장치(500)의 수신부(410)를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영상(531)으로 향하게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소정 키(미도시)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소정 키(미도시)의 조작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부(410)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키가 직접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음성 요청, 또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음성 요청 또는 특정 모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500)를 들어서 수신부(410)가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정면을 향하도록 전자 장치(5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사용자의 모션을 가시광 통신 데이터 수신 요청으로 인식하고,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500)의 마이크(미도시) 등의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시청 중인 컨텐츠를 공유해줘', '컨텐츠 공유', 또는 '가시광 ~' 등의 기 등록된 음성 명령을 입력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50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5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영상(531)을 통하여 출력되며, 전자 장치(500)의 수신부(410)는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소정 컨텐츠인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인, 예능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예능 프로그램의 방송 정보, 예능 프로그램의 특성 정보,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서버 또는 방송국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또는 연결)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EPG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시청자 게시판, 예능 프로그램의 실시간 채팅방,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대한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화면 자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제어부(420)는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74).
상기된 예에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EPG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제어부(420)는 EPG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국 또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인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20)는 EPG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자 게시판 또는 실시간 채팅방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인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URL 형태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5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한 후속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획득되기 전 또는 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키가 직접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음성 요청, 또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음성 요청 또는 특정 모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작(S576)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500)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S573)을 수행하기 이전에,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바로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530)는 화면을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접속 명령까지 함께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1 데이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명령 까지 함께 수신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전자 장치(5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국의 서버에 접속하여(S576), 소정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577).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소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00)는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 또는 서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가상 현실(VR) 컨텐츠 또는 증강 현실(AR) 컨텐츠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단체 톡 방 또는 별도의 게시판 등을 신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시청률 집계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방송국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집계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특정 집계 서버로 전자 장치(400)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에서 진행하는 풀(Pool)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경품(또는 복원)의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ㅇ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전자 장치(400)가 위치한 장소에 대응되는 날씨 및 뉴스 정보 등을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날씨 및 뉴스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직접적으로 영상 인식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가 전자 장치(5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501)가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자신의 스마트 폰(500)을 통하여 보길 원할 경우, 제1 사용자(501)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능 프로그램이 어느 방송국 또는 어느 채널에서 송신되는지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국 또는 채널의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예능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스마트 폰(500)을 조작하여야만 한다.
또한, 제1 사용자(501)가 방송중인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를 제2 사용자(570)와 공유하려면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 예를 들어, URL을 찾아서 제2 사용자(570)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그러나, TV를 시청중인 경우 해당 컨텐츠의 URL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정보검색 등을 통해 해당 URL을 알아 낸다고 하더라도 이를 전자 메시지 등으로 보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경우, 제1 사용자(501)가 제2 사용자(570)에게 URL 을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전송하더라도, 제2 사용자(570)가 해당 URL 을 수신해서 접속했을 때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종료되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0)가 가상 현실(VR) 기기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기인 경우,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본 입력 장치로 터치 패드(Touchpad)등을 이용하므로, 사용자 입력이 용이 하지 않으며, 원하는 컨텐츠에 접속하려면 여러 가지 복잡한 단계(메뉴선택, 문자 입력 등)를 거쳐야 하고 이에 따라 접속을 위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를 공유하는데 여러 단계의 복잡한 조작 및 오랜 조작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531)을 스마트 폰(500)이 시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바로 해당 예능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VLC 통신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전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 획득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500)는 'VLC 통신 데이터에 근거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스마트 폰(500)에서 바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S575). 여기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 각각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독립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전자 장치(5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501)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시청하던 예능 프로그램이 재미있다고 생각하여 친구인 제2 사용자(570)와 공유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제2 사용자(570)의 스마트 폰인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560)에 대응되는 메시지, 외부 전자 장치(560)의 제2 사용자(570)가 가입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또는 메일, 외부 전자 장치(560)의 제2 사용자(570)가 가입하고 있는 메일 또는 채팅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사용자(501)는 복잡한 조작 및 복잡한 조작을 위한 긴 시간 소요 없이, 소정 컨텐츠, 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을 제2 사용자(570)와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전자 장치(500)가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복수개의 외부 전자 장치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560)에서는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579).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예능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예능 프로그램을 빠르고 편리하게 재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57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재생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자신의 스마트 폰(560)을 통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마트 폰(560)의 화면(561)은 외부 디스플레이(530)와 동일한 영상(53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해당 예능 프로그램의 송신 서버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하며, 전자 장치(500)가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한 경우, 제2 사용자(570)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 예를 들어, URL 를 선택함으로써, 바로 해당 예능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또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700) 및 전자 장치(7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370, 530) 및 전자 장치(300, 500)에 각각 대응되므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자 장치(750)가 수신하는 제1 데이터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7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는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 또는 공식 채팅방이 될 수 있으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정보 또는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에 대한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디스플레이하는 소정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전자 장치(75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 또는 공식 채팅방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전자 장치(750)는 접속된 서버 또는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 및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750)의 화면(76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인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에 대응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여, 공식 게시판이 화면(760)의 일부 영역(7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요리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요리 프로그램에서 설명하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일부 영역(770)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700)를 통하여 시청중이던 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자신의 전자 장치(750)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위치한 공간을 벗어나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700)를 통하여 시청 중이던 컨텐츠를 검색 및 이용하기 위한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해당 컨텐츠 또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서비스를 편리하고 빠르게 자신의 전자 장치(750)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자신이 원하는 친구들에게 공유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전자 장치(75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전송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8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 새롭게 개설되는 채팅방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게시판 등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는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채팅방(860)을 신규로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860) 상에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자 장치(75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을 전자 장치(750)의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전자 장치(750)의 제어부(42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9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와 연관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 부가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소정 컨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 부가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정 컨텐츠는 뉴스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영상(910)은 뉴스 프로그램 시청 화면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뉴스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버 또는 장치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750)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청중인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청중인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인터넷 서버에서 정보 검색을 수행하여, 소정 컨텐츠인 뉴스 프로그램에서의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해당 뉴스 프로그램에서 현재 출력하고 있는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출력하는 뉴스 이벤트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자동차 사고 소식인 경우, 전자 장치(750)는 해당 뉴스 이벤트를 상세히 나타내는 정보, 해당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뉴스 댓글 리스트, 또는 해당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자동차 사고로 인한 특정 지역의 교통 정체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영상(910)은 광고 화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광고 컨텐츠에서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광고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 광고 컨텐츠에 등장하는 모델에 대한 정보, 광고 컨텐츠에 등장하는 물품들에 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에서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는 광고 대상인 상품의 가격, 판매 장소, 상품의 특성, 상품의 재질 또는 성분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950)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10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시청자들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의견을 개시하기 위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는 소정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이 의견을 개시하기 위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창(105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창(1050)에 포함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은 소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이미 존재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창(1050)에 포함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은 소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750)에서 새롭게 개설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이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스포츠 경기를 중계하고 있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해당 예에서, 전자 장치(750)는 사용자가 중계중인 스포츠 경기에 대하여 친구들과 채팅하기 위한 채팅방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여 채팅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창(105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이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가상 사물이나 정보가 실제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의미한다.
증강 현실 컨텐츠는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게임, 영화, 또는 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1110)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시점에서 영상(1110)을 출력하고, 후속되는 시점에서 영상(112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증강 현실 컨텐츠(AR Cont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는 가시광 통신(1130)을 통하여 수신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화면(11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가상 현실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자 장치(4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 사용자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1150, 1160, 117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복수개의 전자 장치(1150, 1160, 1170) 각각의 사용자들은 가상 현실 컨텐츠를 편리하게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외부 디스플레이(7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1110, 1120)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400)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150, 1160, 117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가 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간판(700)에서 특정 시간에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면서, 디지털 간판(700)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디지털 간판(7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4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영상을 증강 현실 컨텐츠로 이용 및 공유할 수 있다.
기존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와 공유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의 GPS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 및 공유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원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만 증강 현실 컨텐츠가 이용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외부 디스플레이(700)의 출력 영상 만이 선택적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상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가상 현실 컨텐츠는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게임, 영화, 또는 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가상 현실 컨텐츠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전용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컨텐츠 용 전용 전자 기기를 가상 현실(VR) 기기라 칭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기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양하지 않으며 작은 터치 패드 또는 작은 조작 키를 이용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원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조작 단계가 필요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므로,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가상 현실 컨텐츠를 빠르게 이용 및 공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5의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1210)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40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1210)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이용하기 위해서, 화면(1210)을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5의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가 가상 현실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42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전자 장치(400)의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는 획득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1210)을 재생하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공간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있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들 각각에서, 화면(1210)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자 장치(122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2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3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3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4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5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공간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들 각각의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를 이용하여 동시에 화면(1210)에 대응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페어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신부(410)가 수신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 장치(400)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의 주위에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750)는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133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750)는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일 외부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디스플레이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수신부(410)가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1330)의 화면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13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페어링을 동작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1360)를 보고, 식별된 외부 디스플레이(1330)가 자신이 페어링 동작 수행을 원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인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페어링 연결을 요청하는 메뉴 창(1350)을 이용하여 페어링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75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디스플레이(1330)와의 페어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500 또는 750 등)에서 수행되는 동작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500),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외부 전자 장치(560)를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을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500)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이 되며, 가시광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로 형성된 수신부(4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 또는 5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외부 디스플레이(53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전자 장치(50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한다(S1410). S141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S1410 단계에서 수신된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S1420). S142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42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하여, S1420 단계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S1430). S143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430 단계에서의 전자 장치(500)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으로는, 도 6에서 도시된 S576 동작 및 S577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S1430 단계에서의 외부 전자 장치(560)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으로는, 도 6에서 도시된 S578 동작 및 S579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S1430 단계에서의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은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동작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도 6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5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작(S577) 및 외부 전자 장치(560)에서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작(S57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듈"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로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00)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는 가시 광선을 통한 소정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0)는 1초 동안에 수십 회 이상의 점멸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단계로 구별되는 밝기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가시 광선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를 통하여 소정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00)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빠르게 점멸 및/또는 복수개의 단계로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로, TV,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 디지털 표지판,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영상 센서(Image Sensor) 등과 같이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광 수신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지칭하여 '광 수신부'라 칭하겠다.
또한, 가시광 통신은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어떻게 인식하냐에 따라서, 포토 다이오드(PD)를 이용하는 방식과 광 카메라 통신(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LED 소자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통하여 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 경우,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포토 다이오드 소자와 같은 별도의 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이 경우, 고속으로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LED 소자 및 고속의 점멸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므로 고속으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광 카메라 통신(OCC)을 이용하는 방식은, 실용적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또는 영상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는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Li-Fi 통신 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광 카메라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가시광 통신이 전술한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는 방식과 광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토 다이오드 소자, 카메라, 또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센서를 모두 '광 수신 장치' 또는 '광 수신부'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소정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는, 1초에 수십 회 이상 점멸 가능한 LED 소자 등과 같이 빠르게 점멸 가능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100)가 디지털 TV 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는 소정 화면(1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100)가 LED 어레이(미도시)를 포함하여, LED 어레이(미도시)를 통하여 소정 화면(110)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를 주파수 개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가 1초에 100회 점멸되면 100Hz로 표현하고, 1초에 120회 점멸되면 120Hz 로 표현하며, 1초에 240회 점멸되면 240Hz로 표현할 수 있다. 즉,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가 빠르면 가시광 통신에서의 주파수 값이 높아지며, LED 어레이의 점멸 속도가 느리면 가시광 통신에서의 주파수 값이 낮아진다.
상기의 예에서, 120Hz로 1회 점멸될 때의 가시광 통신 데이터 값을 0 값으로, 240Hz로 1회 점멸될 때의 가시광 통신 데이터 값을 1 값으로 설정하면, LED 어레이를 120Hz 또는 240 Hz 로 점멸할 때 2진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가 120 Hz 속도로 2회 깜빡이고, 연속하여 LED 어레이가 240 Hz 속도로 1회 깜빡이고, 후속하여 LED 어레이가 120 Hz 속도로 1회 깜빡일 경우, '0 0 1 0'의 2진 데이터가 생성 및 출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면들(120, 130, 140)은 전자 장치(미도시)가 소정 화면(110)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rolling Shutter 방식으로 구동되는 영상 센서(image sensor)(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들(120, 130, 140)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화면(12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10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그리고, 화면(13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12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또한, 화면(140)은 디스플레이(100)가 1초에 240번 점멸되는 속도로 화면(110)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미도시)에서 인식된 화면이다.
도 1의 화면들(120, 130, 14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되는 LED 어레이(미도시)의 점멸 횟수(또는 점멸 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갖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되는 LED 어레이(미도시)의 밝기 단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데이터 값을 갖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 어레이(미도시)가 256 단계의 밝기 값을 표현할 수 있을 때,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256 단계의 밝기 값에 대응되는 256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데이터가 출력될 때,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 광 카메라 통신(OCC: Optical Camera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QR 코드 등의 형태로 출력되는 데이터 등), 화면 자체를 인식함으로써 수신되는 데이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ㄴ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전술한 광 카메라 통신(OCC)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TV,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ID, Central Information Display) 등 모바일 컴퓨팅 장치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수광 소자(light receiving element)(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신부(210)를 포함하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영상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데이터 중,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를 '제1 데이터'라 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가시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light receiving element)(미도시)를 포함하며, 수광 소자를 통하여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영상 센서(Image Sensor) 등과 같은 수광 소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가시 광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에서 가시광의 점멸 및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수신부(210)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는 카메라(미도시)와 별도의 광 수신 장치,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수신부(210)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제1 데이터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가시 광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LED(Light-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빠르게 점멸 및/또는 복수개의 단계로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로, TV,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 디지털 표지판,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10)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점멸 속도, 및 밝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i)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영화, 뉴스 등과 같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 ii) 소정 서버 또는 소정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화 컨텐츠 등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 게임 컨텐츠, 광고 컨텐츠, iii)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소정 컨텐츠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가 소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 및 전자 장치(200) 각각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독립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2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27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발광 소자의 점멸 속도 및 밝기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화면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i)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access)하기 위한 네트워크, ii) 소정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 또는 소정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i)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v) 소정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특정 방송국의 뉴스 방송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소정 컨텐츠는 뉴스 방송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컨텐츠인 뉴스 방송과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i) 뉴스 방송을 제공하는 특정 방송국 서버 또는 특정 방송국의 방송 송출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 뉴스 방송과 연관된 서비스, 예를 들어, 뉴스 방송에 대한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방송 게시판, 뉴스 방송의 상세 방송 내용을 알려주는 뉴스 프로그램 앱 등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iii) 뉴스 방송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인 DMB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방송국의 실시간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iv) 뉴스 방송에서 나오는 뉴스 이벤트(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사고 소식)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예를 들어, 사고 소식이 전해진 특정 장소의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전자 장치(200)가 원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원하는 네트워크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또는 IP(Internet Protoc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출력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 자체에 대한 정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컨텐츠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인 경우를 예로 들자. 이 경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방송국에서 생성하여 송출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소정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국 또는 서버의 URL 등을 포함하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소정 컨텐츠를 송출하는 서버,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 또는 장치에서 직접 외부 디스플레이(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외부 디스플레이(270)가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 자체가 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가 소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 자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면 자체를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인식 또는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인식 등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수신부(210)'는 데이터 수신부(미도시)에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의 전자 장치, 외부의 디스플레이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할 복수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수신부(210)를 통하여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유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음파 수신 모듈, 예를 들어, 마이크 또는 마이크로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유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는 전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무선 데이터, 예를 들어, Wi-fi 통신 규격에 따라서 형성되는 Wi-fi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송신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Wi-fi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수신된 Wi-fi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음파 데이터, 예를 들어, 초음파 데이터, 또는 RF(Radio Frequency)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외부 디스플레이(270)에서 송신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수신된 음파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수신부(210)와 같은 데이터 수신부(미도시)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 무선 데이터, 또는 음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형태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는 각각 도 2에서 도시한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에 동일 대응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도 2에서 도시한 외부 디스플레이(270)에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310)가 포토 다이오드(310)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외부 디스플레이(370)를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제어부(380) 및 디스플레이(39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370)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디스플레이(39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90)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390)가 LED 어레이(390)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제어부(38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LED 어레이(39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디스플레이(구체적으로, LED 어레이(3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되도록 제어하고, 변조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LED 어레이(390)의 점멸 및 밝기가 조절되도록, LED 어레이(3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서 LED 어레이(39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프로세서(381),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송신 제어회로(382), VLC 구동 회로(383) 및 메모리(38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1)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 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384)는 프로세서(38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설정 데이터 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384)는 프로세서(381)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이용하는 변조 방식 등을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VLC 송신 제어회로(382)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에 따라서 변조할 수 있다. 여기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변조 방식은 OOK(On Off Keying),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PWM(Pulse Width Modulation), NRZ(Non Return to Zero), FSK(Frequency Shifting Key)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 PWM 방식을 이용할 경우, 발광 소자의 종류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390)의 밝기를 밝고 어두운 구간의 폭을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PWM 방식으로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VLC 구동 회로(383)는 VLC 송신 제어회로(382)에서의 변조 방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를 구동시킨다. VLC 구동 회로(383)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발광 소자들, 예를 들어, LED 소자를 점멸 및 밝기 조절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LED 소자를 이용하는 LED 어레이의 경우, LED 의 빠른 밝기 변화 및 점멸 동작으로 인하여, 소정 변조 기술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최대 10Gbps 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가 1초에 40-50 회 이상 점멸되는 경우에는 인간의 눈은 이러한 발광 소자의 점멸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점등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사용자는 눈의 어른거림 등과 같은 불편함이 없이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370)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빠른 전송 속도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외부 디스플레이(37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수신부(310)로 가시광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광 수신 장치, 예를 들어, LED 소자와 같은 수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광 장치 또는 영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수신부(310)로 포토 다이오드(310)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포토 다이오드(310)는 외부 디스플레이(370)의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토 다이오드(310)는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가시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310)는 LED 어레이(39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가시광의 점멸 횟수 및 밝기 변화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310)가 Rolling Shutter 방식으로 구동되는 영상 센서(image sensor)(미도시)로 구성되는 경우, 영상 센서(미도시)는 감지되는 영상 에서의 띠와 같은 패턴의 변화, 예를 들어, 도 1의 화면들(120, 130, 및 140)에서 나타나는 띠와 같은 패턴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사람의 눈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띠의 변화를 뜻한다. 따라서, 화면들(120, 130, 및 140)에서의 패턴의 변화는 사람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으나, 영상 센서(미도시)로는 감지되어 시청자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수신 복호부(321), 프로세서(322), 및 메모리(323)를 포함할 수 있다.
VLC 수신 복호부(321)는 포토 다이오드(310)에서 수신되는 소정 방식으로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전송받고, 변조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할 수 있다. 프로세서(322)는 VLC 수신 복호부(321)에서 복호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2)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20)에서 제어되는 전자 장치(300) 및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은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 또는 300)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수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수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에 대응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수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수신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300)에 대응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에 비하여,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각각은 제어부(420), 구체적으로,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전자 장치(200)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43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은 전술한 LED 어레이(390)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전자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장치는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420)는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전자 장치(4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전자 장치(400)가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위치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2초 이상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를 구동시켜 수신부(410)를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 및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내에 포함되는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와는 독립적인 모듈로 전자 장치(400) 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제어부(420)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4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통신부(450)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 또는 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5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통신 규격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5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소정 데이터, 및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메모리(460)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적어도 하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메모리(460)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460)는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420)에 포함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의 내부에 포함되는 메모리(미도시)와 별도로, 메모리(46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메모리(460)는 제어부(420)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획득된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동작들을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는 전술한 외부 디스플레이(370) 및 전자 장치(200, 300, 또는 40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외부 디스플레이(530),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외부 디스플레이(530),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간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53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531)을 디스플레이 한다(S571). 도 5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530)가 디스플레이 하는 소정 컨텐츠가, 소정 방송국에서 제작 및 송신하는 예능 프로그램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500)가 제1 사용자(501)이 이용하는 스마트 폰(5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의 상세 구성(예를 들어, 수신부(410), 제어부(420), 디스플레이(430), 사용자 인터페이스(440), 및/또는 통신부(450) 및 메모리(460))을 참조하도록 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는 가시광 통신(520)을 통하여 영상(531)에 포함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다(S573).
여기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은 전자 장치(500)가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다가, 시청하는 영상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전자 장치(500)의 수신부(410)를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영상(531)으로 향하게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소정 키(미도시)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소정 키(미도시)의 조작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신부(410)를 통하여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키가 직접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음성 요청, 또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음성 요청 또는 특정 모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500)를 들어서 수신부(410)가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정면을 향하도록 전자 장치(5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사용자의 모션을 가시광 통신 데이터 수신 요청으로 인식하고,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500)의 마이크(미도시) 등의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시청 중인 컨텐츠를 공유해줘', '컨텐츠 공유', 또는 '가시광 ~' 등의 기 등록된 음성 명령을 입력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50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5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영상(531)을 통하여 출력되며, 전자 장치(500)의 수신부(410)는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소정 컨텐츠인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인, 예능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예능 프로그램의 방송 정보, 예능 프로그램의 특성 정보,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예능 프로그램과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서버 또는 방송국에 접근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또는 연결)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EPG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시청자 게시판, 예능 프로그램의 실시간 채팅방,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배우들에 대한 정보,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화면 자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제어부(420)는 수신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복호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74).
상기된 예에서,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예능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EPG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500)에 포함되는 제어부(420)는 EPG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국 또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인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20)는 EPG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자 게시판 또는 실시간 채팅방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인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URL 형태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5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한 후속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획득되기 전 또는 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40)에 포함되는 키가 직접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음성 요청, 또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음성 요청 또는 특정 모션의 감지에 대응하여 S576 단계의 동작 또는 S578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작(S576)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500)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S573)을 수행하기 이전에,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바로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530)는 화면을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접속 명령까지 함께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의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1 데이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명령 까지 함께 수신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전자 장치(5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국의 서버에 접속하여(S576), 소정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577).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소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00)는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 또는 서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을 가상 현실(VR) 컨텐츠 또는 증강 현실(AR) 컨텐츠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단체 톡 방 또는 별도의 게시판 등을 신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국에서 시청률 집계를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방송국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집계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특정 집계 서버로 전자 장치(400)가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에서 진행하는 풀(Pool)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경품(또는 복원)의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ㅇ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및 전자 장치(400)가 위치한 장소에 대응되는 날씨 및 뉴스 정보 등을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날씨 및 뉴스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직접적으로 영상 인식하여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가 전자 장치(5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501)가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자신의 스마트 폰(500)을 통하여 보길 원할 경우, 제1 사용자(501)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예능 프로그램이 어느 방송국 또는 어느 채널에서 송신되는지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국 또는 채널의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예능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스마트 폰(500)을 조작하여야만 한다.
또한, 제1 사용자(501)가 방송중인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를 제2 사용자(570)와 공유하려면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 예를 들어, URL을 찾아서 제2 사용자(570)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그러나, TV를 시청중인 경우 해당 컨텐츠의 URL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정보검색 등을 통해 해당 URL을 알아 낸다고 하더라도 이를 전자 메시지 등으로 보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경우, 제1 사용자(501)가 제2 사용자(570)에게 URL 을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전송하더라도, 제2 사용자(570)가 해당 URL 을 수신해서 접속했을 때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종료되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0)가 가상 현실(VR) 기기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기인 경우,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본 입력 장치로 터치 패드(Touchpad)등을 이용하므로, 사용자 입력이 용이 하지 않으며, 원하는 컨텐츠에 접속하려면 여러 가지 복잡한 단계(메뉴선택, 문자 입력 등)를 거쳐야 하고 이에 따라 접속을 위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를 공유하는데 여러 단계의 복잡한 조작 및 오랜 조작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531)을 스마트 폰(500)이 시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바로 해당 예능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00)는 'VLC 통신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전술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 획득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500)는 'VLC 통신 데이터에 근거한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스마트 폰(500)에서 바로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S575). 여기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전자 장치(500) 각각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독립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전자 장치(5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501)는 외부 디스플레이(530)를 통하여 시청하던 예능 프로그램이 재미있다고 생각하여 친구인 제2 사용자(570)와 공유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제2 사용자(570)의 스마트 폰인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560)에 대응되는 메시지, 외부 전자 장치(560)의 제2 사용자(570)가 가입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또는 메일, 외부 전자 장치(560)의 제2 사용자(570)가 가입하고 있는 메일 또는 채팅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사용자(501)는 복잡한 조작 및 복잡한 조작을 위한 긴 시간 소요 없이, 소정 컨텐츠, 예를 들어, 예능 프로그램을 제2 사용자(570)와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전자 장치(500)가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5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복수개의 외부 전자 장치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560)에서는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S579).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560)는 예능 프로그램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예능 프로그램을 빠르고 편리하게 재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570)는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재생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자신의 스마트 폰(560)을 통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마트 폰(560)의 화면(561)은 외부 디스플레이(530)와 동일한 영상(53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해당 예능 프로그램의 송신 서버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하며, 전자 장치(500)가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한 경우, 제2 사용자(570)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 예를 들어, URL 를 선택함으로써, 바로 해당 예능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또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700) 및 전자 장치(7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370, 530) 및 전자 장치(300, 500)에 각각 대응되므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자 장치(750)가 수신하는 제1 데이터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7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는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 또는 공식 채팅방이 될 수 있으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정보 또는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에 대한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디스플레이하는 소정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전자 장치(75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 또는 공식 채팅방에 대응되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전자 장치(750)는 접속된 서버 또는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 및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750)의 화면(76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인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게시판에 대응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여, 공식 게시판이 화면(760)의 일부 영역(7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요리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요리 프로그램에서 설명하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일부 영역(770)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700)를 통하여 시청중이던 컨텐츠를 빠르고 편리하게 자신의 전자 장치(750)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가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위치한 공간을 벗어나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700)를 통하여 시청 중이던 컨텐츠를 검색 및 이용하기 위한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해당 컨텐츠 또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또는 서비스를 편리하고 빠르게 자신의 전자 장치(750)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자신이 원하는 친구들에게 공유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통하여, 전자 장치(75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전송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5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8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 새롭게 개설되는 채팅방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게시판 등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는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채팅방(860)을 신규로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860) 상에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자 장치(75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에서 제공하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을 전자 장치(750)의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대화방, 게시판 또는 채팅방, 또는 실시간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전자 장치(750)의 제어부(42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9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와 연관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 부가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소정 컨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 부가 정보 및/또는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정 컨텐츠는 뉴스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영상(910)은 뉴스 프로그램 시청 화면이 될 수 있다.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뉴스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버 또는 장치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750)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청중인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시청중인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인터넷 서버에서 정보 검색을 수행하여, 소정 컨텐츠인 뉴스 프로그램에서의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해당 뉴스 프로그램에서 현재 출력하고 있는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출력하는 뉴스 이벤트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자동차 사고 소식인 경우, 전자 장치(750)는 해당 뉴스 이벤트를 상세히 나타내는 정보, 해당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뉴스 댓글 리스트, 또는 해당 뉴스 이벤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자동차 사고로 인한 특정 지역의 교통 정체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영상(910)은 광고 화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750)는 소정 컨텐츠인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광고 컨텐츠에서의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는, 광고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 광고 컨텐츠에 등장하는 모델에 대한 정보, 광고 컨텐츠에 등장하는 물품들에 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에서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는 광고 대상인 상품의 가격, 판매 장소, 상품의 특성, 상품의 재질 또는 성분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950)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1010)을 디스플레이 한다.
전자 장치(750)는 가시광 통신(720)을 통하여 전송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는,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시청자들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의견을 개시하기 위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에 대응되는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는 소정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시청자 또는 사용자들이 의견을 개시하기 위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창(105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창(1050)에 포함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은 소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이미 존재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창(1050)에 포함되는 채팅방 또는 게시판은 소정 컨텐츠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750)에서 새롭게 개설한 채팅방 또는 게시판이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가 스포츠 경기를 중계하고 있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해당 예에서, 전자 장치(750)는 사용자가 중계중인 스포츠 경기에 대하여 친구들과 채팅하기 위한 채팅방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여 채팅방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창(105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이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가상 사물이나 정보가 실제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의미한다.
증강 현실 컨텐츠는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게임, 영화, 또는 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1110)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소정 시점에서 영상(1110)을 출력하고, 후속되는 시점에서 영상(112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컨텐츠는 증강 현실 컨텐츠(AR Cont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는 가시광 통신(1130)을 통하여 수신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화면(11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가상 현실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전자 장치(400)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 사용자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1150, 1160, 117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복수개의 전자 장치(1150, 1160, 1170) 각각의 사용자들은 가상 현실 컨텐츠를 편리하게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외부 디스플레이(7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1110, 1120)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400)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150, 1160, 117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외부 디스플레이(70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간판(Digital Signage)가 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간판(700)에서 특정 시간에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특정 영상을 출력하면서, 디지털 간판(700)이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400)는 디지털 간판(7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400)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영상을 증강 현실 컨텐츠로 이용 및 공유할 수 있다.
기존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와 공유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의 GPS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 및 공유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원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게만 증강 현실 컨텐츠가 이용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외부 디스플레이(700)의 출력 영상 만이 선택적으로 증강 현실 컨텐츠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상 현실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가상 현실 컨텐츠는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게임, 영화, 또는 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가상 현실 컨텐츠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또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전용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컨텐츠 용 전용 전자 기기를 가상 현실(VR) 기기라 칭할 수 있다. 가상 현실 기기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기기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양하지 않으며 작은 터치 패드 또는 작은 조작 키를 이용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원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조작 단계가 필요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하므로,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가상 현실 컨텐츠를 빠르게 이용 및 공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5의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1210)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400)는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1210)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이용하기 위해서, 화면(1210)을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도 5의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소정 컨텐츠가 가상 현실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420)는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컨텐츠를 전자 장치(400)의 디스플레이(43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는 획득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1210)을 재생하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공간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있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들 각각에서, 화면(1210)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자 장치(122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2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3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3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4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250)는 화면(1210)을 통하여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면(121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자 장치(12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공간에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들 각각의 전자 장치(1220, 1230, 1240, 1250, 1260)를 이용하여 동시에 화면(1210)에 대응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페어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신부(410)가 수신하는 제1 데이터(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데이터)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 장치(400)와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50)의 주위에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750)는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133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750)는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일 외부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디스플레이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750)는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수신부(410)가 복수개의 외부 디스플레이(1320, 1330, 1340)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1330)의 화면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13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75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페어링을 동작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310)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1360)를 보고, 식별된 외부 디스플레이(1330)가 자신이 페어링 동작 수행을 원하는 외부 디스플레이인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전자 장치(750)의 사용자는 페어링 연결을 요청하는 메뉴 창(1350)을 이용하여 페어링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 장치(750)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외부 디스플레이(1330)와의 페어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0, 300, 400, 500 또는 750 등)에서 수행되는 동작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500), 외부 디스플레이(530) 및 외부 전자 장치(560)를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을 설명한다. 또한, 전자 장치(500)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40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처리 방법이 되며, 가시광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로 형성된 수신부(4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 또는 5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외부 디스플레이(530)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 전자 장치(50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5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한다(S1410). S141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수신부(4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S1410 단계에서 수신된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S1420). S142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420 단계의 동작은,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하여, S1420 단계에서 획득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S1430). S1430 단계의 동작은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430 단계에서의 전자 장치(500)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으로는, 도 6에서 도시된 S576 동작 및 S577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S1430 단계에서의 외부 전자 장치(560)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으로는, 도 6에서 도시된 S578 동작 및 S579 동작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S1430 단계에서의 전자 장치(500) 및 외부 전자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은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동작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방법(1400)은 도 6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500)에서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작(S577) 및 외부 전자 장치(560)에서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작(S57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하여, 소정 컨텐츠에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 및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소정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와 구별되며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와 관련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접속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방송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의 특성 정보,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컨텐츠는 광고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광고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컨텐츠는 가상 현실 컨텐츠(Virtual Reality Contents)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외부 디스플레이가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때, 전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을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인,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와 구별되며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되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와 관련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소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컨텐츠,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소정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컨텐츠로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사이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80002991A 2018-01-09 2018-01-09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KR10235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91A KR102351498B1 (ko) 2018-01-09 2018-01-09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CN201980007735.8A CN111567055A (zh) 2018-01-09 2019-01-08 数据处理方法及其电子设备
US16/242,741 US10970028B2 (en) 2018-01-09 2019-01-08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EP19738597.4A EP3707912A4 (en) 2018-01-09 2019-01-08 DATA PROCESSING PROCESS AND ASSOCIATED ELECTRONIC APPARATUS
PCT/KR2019/000234 WO2019139318A1 (en) 2018-01-09 2019-01-08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91A KR102351498B1 (ko) 2018-01-09 2018-01-09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18A KR20190084818A (ko) 2019-07-17
KR102351498B1 true KR102351498B1 (ko) 2022-01-14

Family

ID=6714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91A KR102351498B1 (ko) 2018-01-09 2018-01-09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70028B2 (ko)
EP (1) EP3707912A4 (ko)
KR (1) KR102351498B1 (ko)
CN (1) CN111567055A (ko)
WO (1) WO2019139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9502A1 (en) * 2020-06-26 2021-12-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rendering of user-specific information using a display device
TWI759955B (zh) * 2020-11-10 2022-04-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通訊系統及其方法
US11533283B1 (en) * 2020-11-16 2022-12-20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 user interface sharing of content
WO2022210336A2 (en) * 2021-03-29 2022-10-06 Jvckenwood Corporation Broadcasting contextual information through modification of audio and video interfa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5318A1 (en) * 2014-07-30 2016-02-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8350B2 (en) * 2005-02-28 2010-10-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playlist
US20080136621A1 (en) * 2006-12-07 2008-06-12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lan management using rf tags
GB2449485A (en) * 2007-05-24 2008-11-26 Iti Scotland Ltd Authentication device requiring close proximity to client
KR101442836B1 (ko) * 2008-01-07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영상 부가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WO2009119168A1 (ja) * 2008-03-28 2009-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操作対象装置、遠隔操作装置の制御方法、操作対象装置の制御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9008315B2 (en) * 2012-01-20 2015-04-14 Digimarc Corporation Shared secret arrangements and optical data transfer
KR101621095B1 (ko) * 2009-09-16 201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통한 부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288525B2 (en) 2010-04-27 2016-03-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ter-device communications using visible light
US20120207441A1 (en) * 2011-02-11 2012-08-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augmenting sensory perception of subject of interest
KR101762607B1 (ko) * 2011-02-11 2017-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US8984107B2 (en) * 2011-05-26 2015-03-17 Electric Imp Incorporated Optically configured modularized control system to enable wireless network control and sensing of other devices
US20140094143A1 (en) * 2011-06-28 2014-04-03 The Boeing Company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itons
US9444547B2 (en) * 2011-07-26 2016-09-13 Abl Ip Holding Llc Self-identifying one-wa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optical signals
KR20130013720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백라이트유닛을 구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13716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백라이트유닛을 구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US8732801B2 (en) * 2011-12-09 2014-05-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JP2013150299A (ja) * 2011-12-20 2013-08-01 Panasonic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接続方法
JP5834188B2 (ja) * 2012-04-03 2015-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可視光受信装置および可視光受信方法
JP5521125B2 (ja) * 2012-05-24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通信方法
KR20140032566A (ko) * 2012-09-06 2014-03-17 전자부품연구원 가시광 통신 및 광 네트워킹이 가능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2891889B (zh) * 2012-09-26 2015-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共享方法和装置
US9825702B2 (en) * 2012-11-12 2017-11-21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Center For Industry Collaboration OLED display apparatus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0523876B2 (en) * 2012-12-27 2019-12-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9979438B2 (en) * 2013-06-07 2018-05-22 Apple Inc. Controlling a media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US20140380443A1 (en) * 2013-06-24 2014-12-25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Network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06705A (ko) 2013-07-09 2015-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JP6355423B2 (ja) * 2013-11-08 2018-07-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表示方法
US20150223277A1 (en) 2014-01-31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o manage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9531578B2 (en) * 2014-05-06 2016-12-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necting devices to networks
JP6591262B2 (ja) * 2014-11-14 2019-10-1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再生方法、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94814B2 (ja) 2014-11-18 2018-03-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34077B1 (ko) * 2014-12-01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착 기기 및 이의 전자 기기 제어 방법
EP3298813B1 (en) * 2015-05-19 2019-04-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mmunications system, a station, a controller of a light source, and methods therein for authenticating the station to access a network.
US10965735B2 (en) * 2016-02-14 2021-03-30 Bentley J. Olive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and expertise distribution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2483843B1 (ko) 2016-06-30 2022-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6790553A (zh) * 2016-12-24 2017-05-3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设备的界面共享方法和装置
US10291320B2 (en) * 2017-03-31 2019-05-1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using light capturing sensors
US9794965B1 (en) * 2017-06-05 2017-10-17 Chengfu Yu Autonomous and remote pairing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utilizing a cloud service
WO2019037128A1 (zh) * 2017-08-25 2019-02-28 索尔思光电(成都)有限公司 光模块、光模块系统及光模块的监控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5318A1 (en) * 2014-07-30 2016-02-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7912A4 (en) 2020-12-30
KR20190084818A (ko) 2019-07-17
CN111567055A (zh) 2020-08-21
WO2019139318A1 (en) 2019-07-18
US20190212966A1 (en) 2019-07-11
US10970028B2 (en) 2021-04-06
EP3707912A1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498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10521668B2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11533541B2 (en) Video access methods and apparatuses, client, terminal, server and memory medium
US10701448B2 (en) Video delivery method for delivering videos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viewpoints, video reception method, server, and terminal device
US10819428B2 (en)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80114566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JP6568276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通信装置
US11354815B2 (en)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110063523A1 (en) System and method in a television controller for providing user-selection of objects in a television program
CN108476258B (zh) 用于电子设备控制对象的方法以及电子设备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US10255243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CN104871451A (zh) 信息通信方法
CN105072567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521710B2 (en) Method of identifying, locating, tracking, acquiring and selling tangible and intangible objects utilizing predictive transpose morphology
KR20200122040A (ko)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연동한 지능형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67653B1 (ko)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EP3590205B1 (en) Associating content with one or more light beacons based on a geographical indicator
CN104956608A (zh) 信息通信方法
US10510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light code and video
KR20230040676A (ko) 전자장치 및 키트
KR20230040677A (ko) 통신그룹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40678A (ko) 비밀신호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CN112051943A (zh) 基于光通信装置的信息显示方法和相应的电子设备
CN110366831A (zh) 从与不同光信标相关联的内容项中进行选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