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60B1 - 이중구조 방충망 - Google Patents

이중구조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060B1
KR102334060B1 KR1020190110155A KR20190110155A KR102334060B1 KR 102334060 B1 KR102334060 B1 KR 102334060B1 KR 1020190110155 A KR1020190110155 A KR 1020190110155A KR 20190110155 A KR20190110155 A KR 20190110155A KR 102334060 B1 KR102334060 B1 KR 10233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insertion groove
insect
frame
mesh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957A (ko
Inventor
최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Priority to KR102019011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내측 테두리에 제1망삽입홈을 형성하되, 제1망삽입홈 연장 돌출된 내벽면을 형성한 방충망틀을 구비하고, 이 방충망틀의 제1망삽입홈에 제1방충망의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며, 방충망틀의 내벽면에 방충망프레임을 탈, 부착 가능하게 끼움 설치하고, 방충망프레임 테두리에 제2방충망을 고정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가 제1, 제2방충망에 순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하거나 혹은 실외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제2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의 내벽면에서 이탈시켜, 제1방충망을 통해 실내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의 내벽면에 끼움 설치하여, 방충망틀에 제1, 제2방충망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되, 이 제1, 제2방충망으로 공기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손쉽게 걸러낼 수 있고, 또한, 실외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제2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에서 이탈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방충망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제2방충망 손상시 이탈 분리된 방충망프레임의 제2방충망을 교체하여 제2방충망을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구조 방충망{Dual structure screen}
본 발명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틀의 내벽면에 제2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탈, 부착 가능하게 끼움 설치하여, 실외의 공기 오염 상태에 따라 방충망틀에 제2방충망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이중구조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건물의 창문이나 혹은 문 등에 설치되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날아들어오는 벌레를 막는데 사용된다.
이때, 이러한 방충망은 격자의 크기에 따라 일반방충망, 미세방충망 또는 초미세방충망으로 구분되고, 상대적으로 일반방충망에 비해 초미세방충망의 홀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벌레를 차단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이중 방충망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각형태의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1삽입구를 형성한 제1고정프레임, 제1고정프레임 상단에서 연장형성되어 내측에 제2삽입구를 형성한 제2고정프레임, 테두리가 제1, 제2고정프레임의 제1, 제2삽입구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1, 제2방충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제2방충망의 테두리는 고정고무에 권취되고, 그 상태에서 제1, 제2삽입구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고무에 의해 상기 제1, 제2고정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고정프레임은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제1, 제2방충망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제2고정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제2방충망이 메인프레임의 제2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제2방충망의 탈, 부착이 불가능하고, 탈, 부착 불가로 인해 제2방충망 손상시 메인프레임을 이탈시킨 후, 제2고정프레임에서 제2방충망을 강제 이탈시켜, 제2방충망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일부가 항상 제1방충망 및 제2방충망에 연속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현저히 저하되고, 특히, 실, 내외의 공기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 공기가 오염된 상태로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15-0004303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 테두리에 제1망삽입홈을 형성하되, 제1망삽입홈 연장 돌출된 내벽면을 형성한 방충망틀을 구비하고, 이 방충망틀의 제1망삽입홈에 제1방충망의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며, 방충망틀의 내벽면에 방충망프레임을 탈, 부착 가능하게 끼움 설치하고, 방충망프레임 테두리에 제2방충망을 고정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가 제1, 제2방충망에 순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하거나 혹은 실외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제2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의 내벽면에서 이탈시켜, 제1방충망을 통해 실내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허용하는 이중구조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은, 사각틀 형상으로, 실외방향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실내측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제1망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망삽입홈에서 실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연장 돌출된 내벽면을 형성한 방충망틀과;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대직경홀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제1망삽입홈에 삽입 고정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를 걸러내는 제1방충망; 사각틀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상기 내벽면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되는 방충망프레임;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소직경홀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방충망프레임 테두리에 고정되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제2방충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틀은, 상기 내벽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상단 일측에 상기 방충망틀의 제1망삽입홈의 개구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충망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는 제2망삽입홈과; 고무재질을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 저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내벽면에 끼움 밀착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을 상기 내벽면에 고정하는 마감가스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틀은, 제1방충망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1망삽입홈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방충망의 테두리를 상기 제1망삽입홈에 강제 고정하는 제1고정대를 형성하고,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상기 제2방충망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2망삽입홈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2방충망의 테두리를 상기 제2망삽입홈에 강제 고정하는 제2고정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상기 제2망삽입홈 내측 상, 하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대의 상,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대가 상기 제2망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대는, 상기 제2망삽입홈 방향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의 내벽면에 끼움 설치하여, 방충망틀에 제1, 제2방충망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되, 이 제1, 제2방충망으로 공기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손쉽게 걸러낼 수 있고, 또한, 실외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제2방충망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방충망틀에서 이탈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방충망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제2방충망 손상시 이탈 분리된 방충망프레임의 제2방충망을 교체하여 제2방충망을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고, 제1방충망과 제2방충망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제1, 제2방충망 사이에 먼지가 잔류된 우려가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에서 방충망프레임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의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충망틀(100)은 사각틀 형상으로, 실외방향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실내측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101a)를 형성한 제1망삽입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서 실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연장 돌출된 내벽면(102)을 형성한다.
상기 방충망틀(100)은 창틀(미도시)의 가이드레일(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벽면(102)은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마감가스켓(302)이 억지 끼움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방충망틀(100)에 고정한다.
상기 방충망틀(100)은 상기 내벽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102a)을 더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102a)은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이 상기 방충망틀(100)의 내벽면(10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충망틀(100)은 제1방충망(200)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1망삽입홈(101)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방충망(200)의 테두리를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 강제 고정하는 제1고정대(103)를 형성한다.
상기 제1망삽입홈(101)은 상기 제1고정대(103)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망삽입홈(101)은 상기 개구부(101a)를 통해 상기 제1고정대(103)가 억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1방충망(200)은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대직경홀(201)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 삽입 고정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를 걸러낸다.
상기 제1방충망(200)의 대직경홀(201)은 상기 제2방충망(400)의 소직경홀(40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방충망(20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충망프레임(300)은 사각틀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상기 내벽면(102)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된다.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은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를 고정한다.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은 상단 일측에 상기 방충망틀(100)의 제1망삽입홈(101)의 개구부(101a)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충망(400)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는 제2망삽입홈(301)과, 고무재질을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 저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내벽면(102)에 끼움 밀착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내벽면(102)에 고정하는 마감가스켓(3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망삽입홈(301)은 상기 제2고정대(303)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망삽입홈(301)은 상기 제2방충망(400)이 상기 제1방충망(200)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방충망(400)을 고정한다.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은 상기 제2방충망(400)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2망삽입홈(301)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를 상기 제2망삽입홈(301)에 강제 고정하는 제2고정대(303)를 형성한다.
상기 제2망삽입홈(301) 내측 상, 하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돌기(301a)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대(303)의 상,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01a)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대(303)가 상기 제2망삽입홈(30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303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제2고정대(303)는 상기 제2망삽입홈(301) 방향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대(303)는 상기 걸림돌기(301a)에 눌려 압축되었다가 상기 걸림홈(303a)이 상기 걸림돌기(301a)에 위치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돌기(301a)에 걸림된다.
상기 제2고정대(303)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이 재질은 폴리아미드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방충망(400)은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소직경홀(401)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방충망프레임(300) 테두리에 고정되어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상기 제2방충망(400)의 소직경홀(401)은 상기 제1방충망(200)의 대직경홀(2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방충망(400)은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방충망(400)은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제1방충망(200)에 밀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방충망틀(100)의 개구부(101a)를 통해 제1망삽입홈(101)으로 제1방충망(200) 테두리를 삽입하여, 상기 제1방충망(200)이 상기 방충망틀(100) 테두리에 고정 되도록한다.
이때, 상기 제1방충망(200)의 테두리는 상기 제1고정대(103)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망삽입홈(101) 내로 억지 끼움되는 상기 제1고정대(103)에 의해 당김되어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제1방충망(200)의 테두리가 상기 방충망틀(100) 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당겨져, 상기 제1방충망(200)이 상기 방충망틀(100) 사이에 팽팽한 상태로 펼쳐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제2망삽입홈(301)에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되, 저면에 마감가스켓(302)을 끼워넣는다.
여기서,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는 상기 제2고정대(303)에 권취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2망삽입홈(301) 내로 억지 끼움되는 상기 제2고정대(303)에 의해 당겨져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는 상기 방충망프레임(300) 방향으로 당겨져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특히, 상기 제2방충망(400)을 권취한 상기 제2고정대(303)는 상기 제2망삽입홈(301) 방향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따라, 상기 제2망삽입홈(301)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돌기(301a)에 눌림되었다가, 상기 걸림홈(303a)이 상기 걸림돌기(301a)에 도달하는 순간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걸림돌기(301a)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대(303)가 상기 제2망삽입홈(30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2방충망(400)이 고정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방충망틀(100)의 내벽면(102) 방향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마감가스켓(302)이 상기 내벽면(102)에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내벽면(102) 내측 테두리에 끼움 고정한다.
이때, 상기 내벽면(102)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내벽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0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가스켓(302)이 상기 걸림턱(102a)을 지나쳐 상기 걸림턱(102a)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이 상기 방충망틀(100)의 내벽면(10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대(303)에 의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에 고정된 상기 제2방충망(400)은 상기 제1방충망(200)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제1방충망(200)과 제2방충망(400)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제2방충망(200, 400)을 이중구조로 형성한 이중구조 방충망의 방충망틀(100)을 창틀(미도시)에 슬라이딩 결합하면, 실외 공기가 제1방충망(200)의 대직경홀(201)을 통과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1방충망(200)에 걸러지고, 이어서 제2방충망(400)의 소직경홀(401)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2방충망(400)에 걸러져 실내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된다.
즉, 제1방충망(200)은 제2방충망(400)에 비해 그 직경홀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입자가 미세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먼지 또는 이물질과 함께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어서, 제2방충망(400)은 먼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충망프레임(300)과 상기 내벽면(102) 사이는 상기 마감가스켓(302)에 밀폐 차단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과 상기 내벽면(102) 사이의 틈새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만약,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방충망(400)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300)을 파지하여, 상기 제1방충망(2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당겨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방충망틀(100)에서 이탈시킨다.
그러면, 상기 방충망틀(100)에 상기 제1방충망(200)이 잔류되고, 이에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방충망(200)의 대직경홀(201)을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그대로 유입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실외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걸러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2방충망(400)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방충망틀(100)의 내벽면(102)에 억지끼움하여, 이중 구조의 방충망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방충망(400)이 고정된 방충망프레임(300)을 방충망틀(100)에 탈, 부착하여,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걸러내거나 혹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구조는, 방충망프레임(300)을 방충망틀(100)의 내벽면(102)에 끼움 설치하여, 방충망틀(100)에 제1, 제2방충망(200, 400)을 이중구조로 구성하되, 이 제1, 제2방충망(200, 400))으로 공기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손쉽게 걸러낼 수 있고, 또한, 실외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제2방충망(400)이 설치된 방충망프레임(300)을 방충망틀(100)에서 이탈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방충망(200)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 방충망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방충망틀 101 : 제1망삽입홈
101a : 개구부 102 : 내벽면
102a : 걸림턱 103 : 제1고정대
200 : 제1방충망 201 : 대직경홀
300 : 방충망프레임 301 : 제2망삽입홈
301a : 걸림돌기 302 : 마감가스켓
303 : 제2고정대 303a : 걸림홈
400 : 제2방충망 401 : 소직경홀

Claims (7)

  1. 사각틀 형상으로, 실외방향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실내측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101a)를 형성한 제1망삽입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서 실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연장 돌출된 내벽면(102)을 형성한 방충망틀(100)과;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대직경홀(201)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 삽입 고정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를 걸러내는 제1방충망(200);
    사각틀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가 상기 내벽면(102)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되는 방충망프레임(300);
    일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소직경홀(401)을 형성하고, 테두리가 상기 방충망프레임(300) 테두리에 고정되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제2방충망(400);
    로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틀(100)은,
    상기 내벽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턱(102a)을 형성하고, 제1방충망(200)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1망삽입홈(101)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1방충망(200)의 테두리를 상기 제1망삽입홈(101)에 강제 고정하는 제1고정대(103)를 형성하며,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은,
    상단 일측에 상기 방충망틀(100)의 제1망삽입홈(101)의 개구부(101a)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충망(400) 테두리를 삽입 고정하는 제2망삽입홈(301)과, 고무재질을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 저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내벽면(102)에 끼움 밀착되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을 상기 내벽면(102)에 고정하는 마감가스켓(302) 및 상기 제2방충망(400) 테두리를 권취하되, 상기 제2망삽입홈(301) 내로 억지 끼움되어, 상기 제2방충망(400)의 테두리를 상기 제2망삽입홈(301)에 강제 고정하는 제2고정대(30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방충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은,
    상기 제2망삽입홈(301) 내측 상, 하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돌기(301a)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대(303)의 상,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01a)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대(303)가 상기 제2망삽입홈(30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303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방충망.
  6. 제 1항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대(303)는,
    상기 제2망삽입홈(301) 방향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방충망.
  7. 제 1항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대(303)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 방충망.
KR1020190110155A 2019-09-05 2019-09-05 이중구조 방충망 KR10233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55A KR102334060B1 (ko) 2019-09-05 2019-09-05 이중구조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55A KR102334060B1 (ko) 2019-09-05 2019-09-05 이중구조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57A KR20210028957A (ko) 2021-03-15
KR102334060B1 true KR102334060B1 (ko) 2021-12-06

Family

ID=7513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55A KR102334060B1 (ko) 2019-09-05 2019-09-05 이중구조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0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978A (ja) * 2006-01-25 2007-08-09 Seiki Juko Kk 花粉除け網戸及び該網戸における花粉除けスクリーンの張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555A (ja) * 1997-05-30 1998-12-15 Tsugio Akagi 遮光枠付き防虫網戸
KR20150004303U (ko) 2014-05-23 2015-12-02 김길석 이중 방충망 프레임
KR101911817B1 (ko) * 2016-09-05 2018-10-25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이중 방충망 창호
KR20190000499U (ko) * 2017-08-15 2019-02-25 이상현 이중방충망 창호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978A (ja) * 2006-01-25 2007-08-09 Seiki Juko Kk 花粉除け網戸及び該網戸における花粉除けスクリーンの張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57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100443A4 (en) Shower door assembly
US20140230385A1 (en) Pleated filter with automatic lower end hold down
KR20180114378A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2334060B1 (ko) 이중구조 방충망
KR101717702B1 (ko) 원터치형 원단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기반 롤블라인드
KR102113947B1 (ko)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200460972Y1 (ko) 차양막 이탈방지장치
KR102057846B1 (ko) 클린룸의 부직포필터 교체장치
KR20090008700U (ko) 착탈식 방충창
CN210564301U (zh) 一种带有棘轮锁绳机构的折叠纱窗
KR101986515B1 (ko) 방충망장치
KR101795578B1 (ko) 시선 차단기능을 갖는 도어용 방충망
JP2005264450A (ja) 防花粉兼用網戸
KR200209777Y1 (ko) 방충망 고정대
KR200319626Y1 (ko) 방충망 어셈블리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KR200310925Y1 (ko) 정전기식 창호용 방진망
KR102235214B1 (ko) 미세먼지 방충망 설치구조
CN211874342U (zh) 门栏
KR200465297Y1 (ko) 방충망 보수재
KR102121491B1 (ko)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CN218376270U (zh) 一种防干粉窗纱的透气结构
KR20210055996A (ko) 이중구조 방충망
KR102303856B1 (ko) 헤파 필터 구조체가 구비되는 방충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