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932B1 -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932B1
KR102333932B1 KR1020200075443A KR20200075443A KR102333932B1 KR 102333932 B1 KR102333932 B1 KR 102333932B1 KR 1020200075443 A KR1020200075443 A KR 1020200075443A KR 20200075443 A KR20200075443 A KR 20200075443A KR 102333932 B1 KR102333932 B1 KR 10233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ower
seat
transf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민
김경민
황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932B1/ko
Priority to US17/339,364 priority patent/US11660986B2/en
Priority to CN202110630151.5A priority patent/CN113895320B/zh
Priority to DE102021116102.9A priority patent/DE102021116102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고정레일을 히든 상태로 장착하고, 시트와 조립되는 이송레일을 고정레일에 랙 피니언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며,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전력을 모터로 공급하는 파워공급용 케이블을 고정레일의 내부에 히든 상태로 배열하는 동시에 이송레일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레일 및 파워공급용 케이블의 히든 처리가 가능하여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POWER RAIL DEVICE FO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와 조립되는 이송레일이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히든 상태로 장착하고, 파워공급용 케이블도 고정레일의 내부에 히든 상태로 배열시킴으로써, 외관상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파워 롱 레일 장치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실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의 전후진 이동 스트로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 파워 롱 레일 장치는 기존의 200 ~ 250mm 의 전후진 이동 스트로크 대비 500 ~ 1000mm의 전후진 이동 스크로크를 제공할 수 있고, 시트를 실내의 원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거나 및 승하차가 수월한 위치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는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므로, 일반 차량 뿐만 아니라 향후 출시될 자율주행 차량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개, 상기 파워 롱 레일 장치는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송레일과,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파워를 제공하는 모터 및 파워 케이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레일 위에는 시트가 조립된다.
이에,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파워 케이블을 통하여 모터로 전력이 공급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시트와 조립된 이송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전후진 이동을 하여, 시트의 전후진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워 롱 레일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승객의 실내 활동을 위한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가 요구되고 있는 점에 반하여, 상기 고정레일이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된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에 대한 저해 요소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이송레일의 전후 이동 스트로크 길이가 증대되는 것이 비례하여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전력을 모터로 전달하는 파워 케이블 내지 와이어링 등의 길이도 증대됨에 따라, 파워 케이블 내지 와이어링이 미흡한 마감 처리로 인하여 플로어 패널 상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파워 케이블 내지 와이어링도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에 대한 저해 요소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로어 패널에 고정레일을 히든 상태로 장착하고, 시트와 조립되는 이송레일을 고정레일에 랙 피니언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며,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전력을 모터로 공급하는 파워공급용 케이블을 고정레일의 내부에 히든 상태로 배열하는 동시에 이송레일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레일 및 파워공급용 케이블의 히든 처리가 가능하여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개방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롤러 이송통로, 메인 이송통로 및 랙 장착공간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로어 패널 내에 히든 상태로 장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랙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랙; 상기 고정레일의 위쪽에 배열되는 시트 장착판과, 상기 고정레일 내의 메인 이송통로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레일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레일 내의 롤러 이송통로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 상기 이송레일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고정레일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 지지판에 연결되어 고정레일의 메인 이송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워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레일은, 개방통로의 아래쪽에 레일 지지판 및 파워 케이블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메인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메인 이송통로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롤러 이송통로와 랙 장착공간이 격판을 사이에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의 외측면 상부 위치에는 플로어 패널과의 조립을 위한 패널 장착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의 바닥면에는 파워 케이블이 안착되는 배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레일의 시트 장착판에는 기어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기어박스 장착판이 일체로 더 형성되고, 이 기어박스 장착판의 저면에 기어박스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지지판의 앞쪽 및 뒤쪽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로 구성되어, 고정레일 내의 롤러 이송통로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워 케이블은 구부러짐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로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레일 장치는: 상기 고정레일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파워 케이블의 일단부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브라켓에 장착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레일 지지판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제2브라켓과, 파워 케이블의 타단부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브라켓에 장착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모터 간에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에는 플로어 패널 저면부에 배열되는 제1와이어를 매개로 전원 공급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플로어 패널에 고정레일을 히든 상태로 장착하여,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둘째, 시트와 조립되는 이송레일을 고정레일에 랙 피니언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고, 피니언에 모터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인가하여, 이송레일을 원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전력을 모터로 공급하는 파워공급용 케이블을 고정레일의 내부에 히든 상태로 배열하는 동시에 이송레일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파워공급용 케이블의 히든 처리가 가능하여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위한 저해 요소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의 조립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의 구성 중 이송레일과 파워 케이블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의 조립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고정레일을 지시한다.
상기 고정레일(100)은 로워레일이라고도 칭하며, 플로어 패널의 상면 평탄화를 위하여 플로어 패널의 저부에 히든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레일(100)은 상부에 이송레일(20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하여 전후로 길다란 개방통로(101)가 관통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이송레일(20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메인 이송통로(102)를 비롯하여 롤러 이송통로(103) 및 랙 장착공간(104)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레일(100)의 상판부에 형성된 개방통로(101)의 바로 아래쪽 내부에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 및 파워 케이블(300)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메인 이송통로(102)가 형성되고, 고정레일(100)의 측판부를 이루는 메인 이송통로(102)의 양측 상부 및 하부 위치에 각각 롤러 이송통로(103)와 랙 장착공간(104)이 격판(105)을 사이에 두고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00)의 외측면 상부 위치에는 플로어 패널(10)과의 조립을 위한 패널 장착단(106)이 돌출 형성되는 바, 이 패널 장착단(106)이 플로어 패널(10)의 저면에 밀착되어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레일(100)이 플로어 패널(10)의 저부에 히든된 상태로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레일(100)의 상판부와 플로어 패널(10)의 상면이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어, 결국 플로어 패널(10)의 평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레일(100) 내의 바닥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설홈(107)이 형성되는데, 이 배설홈(107)에는 얇은 두께의 플랫 구조를 가지면서 구부러짐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로 된 파워 케이블(300)이 안착되며 배설된다.
한편, 상기 고정레일(100)의 랙 장착공간(104)에는 랙(110)이 장착되며, 이 랙(110)의 치 부분이 메인 이송통로(102)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이송레일(200)은 어퍼레일이라고도 칭하며, 상기 고정레일(100)의 위쪽에 배열되는 시트 장착판(201)과 상기 고정레일(100) 내의 메인 이송통로(102)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레일 지지판(202)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이송레일(200)의 시트 장착판(201)에 시트의 시트쿠션이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 지지판(202)이 고정레일(100) 내의 메인 이송통로(102)를 따라 전후진하게 되면,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 양측부에 롤러(2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레일(100) 내의 롤러 이송통로(103)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레일(200)의 안정적인 전후진 이동을 위하여 상기 롤러(210)는 상기 레일 지지판(202)의 앞쪽 및 뒤쪽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롤러(211)와 제2롤러(212)로 구성되어, 고정레일(100) 내의 롤러 이송통로(103)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송레일(200)은 전동 방식에 의하여 고정레일(100)을 따라 전후로 이송되며, 이를 위한 전동 구동 수단으로서 상기 이송레일(200)의 소정 위치에 기어박스(220)가 장착되고, 상기 기어박스(220)의 입력측에 모터(230)가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220)의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고정레일(200)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222)에 상기 랙(110)과 맞물리는 피니언(240)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레일(200)의 시트 장착판(201)에 기어박스(220)를 장착하기 위한 기어박스 장착판(203)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일체로 더 형성되고, 이 기어박스 장착판(203)의 저면에 기어박스(220) 및 모터(230)가 조립된다.
이에, 상기 이송레일(200)의 시트 장착판(201)의 상면이 시트쿠션과의 조립을 위하여 평평한 장착자리면으로 형성되어, 시트쿠션 프레임과의 밀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2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케이블(300)도 상기 고정레일(100) 내에 이송레일(20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즉, 상기 파워 케이블(300)은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에 연결되어 고정레일(100)의 메인 이송통로(10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230)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고정레일(100) 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설홈(107)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로 된 파워 케이블(300)이 안착되며 배설되고, 이 파워 케이블(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제1케이블 커넥터(301)와 제2케이블 커넥터(302)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레일(100)의 후단부에 장착된 제1브라켓(310)에 제1케이블 커넥터(301)가 장착되고, 상기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의 전단부에 장착된 제2브라켓(320)에 제2케이블 커넥터(302)가 장착되며, 상기 파워 케이블(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301)와 제2케이블 커넥터(302)에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파워 케이블(300)의 타단부는 배설홈(107)으로부터 위쪽으로 둥글게 휘어져서 제2케이블 커넥터(302)에 도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301)에는 플로어 패널 저면부에 배열되는 제1와이어(303)를 매개로 전원 공급용 커넥터(30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302)와 모터(230) 간에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305)가 더 연결되는 바, 이 제2와이어(305)는 제1케이블 커넥터(302)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레일(100)의 개방통로(101)를 지나서 모터(230)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용 커넥터(304)로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가 제1와이어(302)와 제1케이블 커넥터(301)와 파워 케이블(300)과 제2케이블 커넥터(302)와 제2와이어(305)를 차례로 경유하여 모터(230)로 공급됨으로써, 모터(23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 레일 장치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가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100)이 플로어 패널(10)의 저면부에 히든된 상태로 장착됨과 함께 이송레일(20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롤러(210)를 비롯한 랙(110)과 피니언(240) 등이 고정레일(200) 내에 배치됨으로써, 플로어 패널(10)의 평탄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기 파워 케이블(300)이 고정레일(100) 내에 이송레일(20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배열됨에 따라 파워공급용 케이블(300)의 히든 처리가 가능하여 플로어 패널(10)의 평탄화를 위한 저해 요소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워 레일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의 구성 중 이송레일과 파워 케이블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와 같이 모터(230)로 전류가 인가되어 모터(230)가 구동되면, 모터(230)의 회전력이 기어박스(220)에서 감속 조절된 후 회전축(222)으로 출력됨으로써, 회전축(222)과 연결된 피니언(240)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니언(240)이 회전하는 동시에 랙(110)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롤러(211)와 제2롤러(212)를 포함하는 롤러(210)가 고정레일(100) 내의 롤러 이송통로(103)를 따라 구름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롤러(210)가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에 취부된 상태이므로, 레일 지지판(202) 및 시트 장착판(201)이 일체로 된 이송레일(200)이 고정레일(10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은 고정레일(100) 내의 메인 이송통로(102)를 따라 전후진하고, 시트 장착판(201)은 고정레일(100)의 위쪽 위치에서 전후진하게 되며, 결국 시트 장착판(201) 상에 조립되는 시트가 원하는 위치까지 전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와 조립되는 이송레일(200)을 모터 및 랙 피니언 방식을 이용하여 플로어 패널(10)에 히든된 상태로 장착된 고정레일(100)을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용이하게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레일(200)이 고정레일(100)을 따라 전후진 이동할 때, 상기 파워 케이블(300)의 타단부가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에 제2브라켓(320)을 매개로 장착된 제2케이블 커넥터(302)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 케이블(300)의 타단부가 이송레일(200)의 레일 지지판(202)에 의하여 끌려가거나 밀리면서 고정레일(100) 내의 메인 이송통로(102)를 따라 함께 전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20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전력을 모터로 공급하는 파워 케이블(300)을 고정레일(100)의 내부에 히든 상태로 배열하는 동시에 이송레일(10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파워 케이블(300)의 히든 처리가 가능하여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를 위한 저해 요소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결국 플로어 패널의 평탄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 플로어 패널 100 : 고정레일
101 : 개방통로 102 : 메인 이송통로
103 : 롤러 이송통로 104 : 랙 장착공간
105 : 격판 106 : 패널 장착단
107 : 배설홈 110 : 랙
200 : 이송레일 201 : 시트 장착판
202 : 레일 지지판 203 : 기어박스 장착판
210 : 롤러 211 : 제1롤러
212 : 제2롤러 220 : 기어박스
222 : 회전축 230 : 모터
240 : 피니언 300 : 파워 케이블
301 : 제1케이블 커넥터 302 : 제2케이블 커넥터
303 : 제1와이어 304 : 전원 공급용 커넥터
305 : 제2와이어 310 : 제1브라켓
320 : 제2브라켓

Claims (10)

  1. 상부에 이송레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개방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롤러 이송통로, 메인 이송통로 및 랙 장착공간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로어 패널 내에 히든 상태로 장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랙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랙;
    상기 고정레일의 위쪽에 배열되는 시트 장착판과, 상기 고정레일 내의 메인 이송통로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레일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레일 내의 롤러 이송통로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
    상기 이송레일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고정레일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 지지판에 연결되어 고정레일의 메인 이송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모터에 전력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워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레일은,
    개방통로의 아래쪽에 레일 지지판 및 파워 케이블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메인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메인 이송통로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롤러 이송통로와 랙 장착공간이 격판을 사이에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의 외측면 상부 위치에는 플로어 패널과의 조립을 위한 패널 장착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내의 바닥면에는 파워 케이블이 안착되는 배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 케이블은 구부러짐 가능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로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의 시트 장착판에는 기어박스를 장착하기 위한 기어박스 장착판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일체로 더 형성되고, 이 기어박스 장착판의 저면에 기어박스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지지판의 앞쪽 및 뒤쪽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로 구성되어, 고정레일 내의 롤러 이송통로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의 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파워 케이블의 일단부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브라켓에 장착되는 제1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레일 지지판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파워 케이블의 타단부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브라켓에 장착되는 제2케이블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블 커넥터와 모터 간에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와이어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 커넥터에는 플로어 패널 저면부에 배열되는 제1와이어를 매개로 전원 공급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KR1020200075443A 2020-06-22 2020-06-22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KR10233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43A KR102333932B1 (ko) 2020-06-22 2020-06-22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US17/339,364 US11660986B2 (en) 2020-06-22 2021-06-04 Powered rail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CN202110630151.5A CN113895320B (zh) 2020-06-22 2021-06-07 用于车辆座椅的电动导轨装置
DE102021116102.9A DE102021116102B4 (de) 2020-06-22 2021-06-22 Angetriebene schienen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43A KR102333932B1 (ko) 2020-06-22 2020-06-22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932B1 true KR102333932B1 (ko) 2021-12-02

Family

ID=7882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443A KR102333932B1 (ko) 2020-06-22 2020-06-22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60986B2 (ko)
KR (1) KR102333932B1 (ko)
CN (1) CN113895320B (ko)
DE (1) DE10202111610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0804A1 (en) * 2018-10-11 2021-12-02 Kai Zhao Long rail assembly for vehicle seat adjustment
EP3844020B1 (en) * 2018-10-19 2023-08-23 Magna Seating Inc. Removable seat used with a long rail assembly
EP3853063B1 (en) * 2018-12-11 2023-11-15 Magna Seating Inc. Power supply connection for power long rail assembly
KR20220060244A (ko) *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JP2022152176A (ja) * 2021-03-29 2022-10-12 株式会社Tf-Metal ギヤボックス機構及び当該ギヤボックス機構を備える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22202436A1 (de) 2021-12-07 2023-06-07 Adient Us Llc Schiene, Schienenpaar und Sitzlängs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Sitz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583A (ko) * 2008-09-22 2010-03-31 다이모스(주)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JP2019006274A (ja) * 2017-06-26 2019-01-17 日本発條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2019022379A (ja) * 2017-07-20 2019-0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JP2020040633A (ja) * 2018-09-13 2020-03-19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00058186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4373B2 (ja) * 1996-10-03 2008-01-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可動座席の配線構造
FR2790236B1 (fr) 1999-02-25 2001-05-1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amovible de vehicule
US7000967B2 (en) * 2002-12-27 2006-02-21 Ts Tech Co., Ltd. Slidable vehicle seat provided with automotive electronic parts
JP4467061B2 (ja) * 2005-01-11 2010-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給電装置
JP2010213399A (ja) 2009-03-09 2010-09-24 Yazaki Corp 給電装置
JP5351643B2 (ja) * 2009-07-24 2013-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給電構造
JP5745645B2 (ja) * 2010-12-30 2015-07-08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メタルズ アンド メカニズム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2つのレール対を備える自動車シート用前後調節装置
JP2018193007A (ja) 2017-05-19 2018-12-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装置
FR3071199A1 (fr) 2017-09-15 2019-03-2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KR102507945B1 (ko) * 2018-03-26 2023-03-09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권취 장치 및 슬라이드 시트용 플랫 케이블 라우팅 구조
CA3058045C (en) * 2018-10-09 2023-11-28 Magna Seating Inc. Long rail assembly with side opening for vehicle seat adjustment
CN109969046B (zh) * 2019-04-26 2024-03-15 南京车世达智能科技有限公司 汽车座椅电动滑轨系统
CN110641324A (zh) 2019-10-31 2020-01-03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电动滑轨组件及外滑轨
CN110641322A (zh) 2019-10-31 2020-01-03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电动滑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583A (ko) * 2008-09-22 2010-03-31 다이모스(주)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JP2019006274A (ja) * 2017-06-26 2019-01-17 日本発條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2019022379A (ja) * 2017-07-20 2019-02-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JP2020040633A (ja) * 2018-09-13 2020-03-19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00058186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6102B4 (de) 2023-11-02
US11660986B2 (en) 2023-05-30
CN113895320B (zh) 2023-11-24
US20210394647A1 (en) 2021-12-23
CN113895320A (zh) 2022-01-07
DE102021116102A1 (de)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932B1 (ko) 자동차의 시트용 파워 레일 장치
JP2780320B2 (ja)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05857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49619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및 틸팅 장치
US7125077B2 (en) Seat bolste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6119401A (en) Dual-slider window regulator with three flexible, inextensible drive members
US6305740B1 (en) Automotive vehicle having moveable roof panel
US5447352A (en) Seat slide mechanism for vehicles
US8678488B1 (en) Roll blind system for panorama sun roof of vehicle
JP200620575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8700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US20220212570A1 (en) Electrically Powered Slide Rail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Electrically Powered Slide Rail
CN102529657A (zh) 车辆的全景车顶装置
JP467919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JP2003127776A (ja) 自動車用電動ステップ装置
KR20200080843A (ko) 견인휠을 이용한 와이어 구동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JPH0546968Y2 (ko)
JPWO2015011795A1 (ja) 乗り物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579360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418904Y2 (ko)
JP2007270426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7415804B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004124446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CN209813768U (zh) 汽车座椅调整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