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99B1 -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99B1
KR102333299B1 KR1020190157293A KR20190157293A KR102333299B1 KR 102333299 B1 KR102333299 B1 KR 102333299B1 KR 1020190157293 A KR1020190157293 A KR 1020190157293A KR 20190157293 A KR20190157293 A KR 20190157293A KR 102333299 B1 KR102333299 B1 KR 10233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ring
connector
contac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542A (ko
Inventor
정태호
이영춘
조태석
이한규
Original Assignee
대영코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코어텍(주) filed Critical 대영코어텍(주)
Priority to KR102019015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는,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위치확인부 및 제2 위치확인부를 구비한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노면전차 감지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접촉되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몸체부,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몸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되,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Electric power supply for tram}
본 발명은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된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을 감지하고,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설정된 궤도 위를 주행하는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가선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지 않고 주행하는 전기 차량을 사용한 무가선 교통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무가선 교통 시스템의 전기 차량은 축전 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무가선 교통 시스템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83302호)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교통 시스템은, 차량에 가동의 수전부를 갖고, 차량이 충전을 위해 역의 급전 시설에 정지하였을 때에 그 가동의 수전부가 그 급전 시설에 형성된 급전부에 접촉된다. 그리고 차량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지령에 의해, 축전 장치에 대한 충전이 개시된다.
축전 장치의 전력 축적량이 소정값이 된 경우에는, 차재 제어 장치로부터 수전부에 수전 정지 지령 신호가 출력되어 수전부를 급전부로부터 분리시킴과 함께, 수전부와 축전 장치 사이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차재 제어장치에 의해 수전 전력량, 충전 전압 및 충전 시간 등이 제어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69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된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을 감지하여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는,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위치확인부 및 제2 위치확인부를 구비한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노면전차 감지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접촉되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몸체부,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몸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되,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측면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는, 개방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폐쇄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가 은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위치확인부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확인부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재차 감지되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상기 지지부의 관통홀을 따라 승강하는 커넥터 이송부,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위치 이동간 상승 이동 한계와 하강 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한계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 이송부가 상기 한계센서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승 이동 한계 또는 하강 이동 한계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승강부 관통홀 및 커넥터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이송부는,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를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커넥터 승강부,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평행하게 위치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 외주면을 각각 둘러 싸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 이동 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 간,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보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한계센서부는, 상부 일측면에 위치한 제1 한계감지부와 하부 일측면에 위치한 제2 한계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한계감지부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한계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한계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한계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한계감지부가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한계감지부가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커넥터 이송부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충전부, 상기 제2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충전부, 상기 제1 충전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충전부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충전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충전부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1 스프링부, 상기 제1 스프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부가 상기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전 위치인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과정의 한계 위치인 제2 위치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완충감지부, 상기 제1 완충감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감지부의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완충감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2 스프링부, 상기 제2 스프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가 상기 제2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전 위치인 제3 위치에서, 상기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과정의 한계 위치인 제4 위치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완충감지부, 상기 제2 완충감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완충감지부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완충감지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1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완충감지 표시부에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2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완충감지 표시부에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1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감지하지 못하였거나,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2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감지 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1 스프링부는, 상기 제1 스프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1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1-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1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1-2 스프링,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1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1-1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1 스프링 고정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2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2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1-2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2 스프링 고정부, 상기 제1-1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1-1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1 스프링 안착부, 상기 제1-2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2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1-2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2 스프링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는, 상기 제2 스프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2-1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2-2 스프링,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1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1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2-1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1 스프링 고정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2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2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2-2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2 스프링 고정부, 상기 제2-1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2-1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1 스프링 안착부, 상기 제2-2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2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2-2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2 스프링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상기 제1-1 스프링과 상기 제1-2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스프링과 상기 제1-2 스프링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수평감지부, 상기 제2-1 스프링과 상기 제2-2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스프링과 상기 제2-2 스프링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수평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평감지부 또는 상기 제2 수평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된 무가선 노면전차를 감지하고 전력 공급 도중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며, 그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커넥터 이송부가 하측으로 위치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센서부, 전력공급용 커넥터부와 커넥터 승강부 및 커넥터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프링부와 상기 제2 스프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평감지부와 제2 수평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1, 이하 전력공급장치)는,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을 감지하여 몸체부(20)와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의 접촉 간의 충격을 완충하고 무가선 노면전차(T)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력공급장치(1)는,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접점부(P1)와 제2 접점부(P2)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위치확인부(Q)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부(Q)는,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위치확인부(Q1) 및 제2 위치확인부(Q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장치(1)는, 노면전차 감지부(10), 몸체부(20), 고정부(30), 커버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10)는, 상기 고정부(30)에 연결되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을 감지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고정부(30)에 연결된 채, 상기 고정부(3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접촉되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별도의 노면전차 충전소 또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운행이 종료되는 종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는, 상기 고정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2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는, 비 또는 눈에 의한 습기나 먼지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속품에 끼게 되어, 전기적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부속품의 노후를 가속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2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0)는, 상기 고정부(30)에 안착된 경우, 상기 몸체부(20)를 커버하되,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 도 6 참조)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는, 측면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1)는, 개방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폐쇄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20)가 은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41)가 개방되어 상기 몸체부(20)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20)를 구성하는 부속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부(20)를 구성하는 부속품의 교체 및 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10)에 의한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몸체부(20)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접점부(P1) 및 상기 제2 접점부(P2)는,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10)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12) 및 제2 감지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2)와 상기 제2 감지부(14)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감지부(12) 및 상기 제2 감지부(14)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12)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14)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제1 감지부(12)와 상기 제2 감지부(14) 사이에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가 위치한 상태로, 이는 상기 제1 감지부(12)와 상기 제2 감지부(1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몸체부(20)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대향한 상태를 의미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가 본 발명의 전력공급장치(1)로 진입하면, 순차적으로 제1 위치확인부(Q1)가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지나고, 이어서 제2 위치확인부(Q2)가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지난다.
이 때,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가 대향하여 배치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는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지나고, 제2 위치확인부(Q2)는 제1 감지부(12)만 지난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 감지부(12) 및 상기 제2 감지부(14)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12) 및 상기 제2 감지부(14)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14)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Q2)가 재차 감지되면,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확인부(Q1)는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지나고, 제2 위치확인부(Q2)는 제1 감지부(12)만 지나고, 제2 감지부(14)는 지나면 되지 않아야 하나, 만약 무가선 노면전차(T)의 동작 미숙 또는 동작 오류로 인해, 제2 위치확인부(Q2)가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모두 지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몸체부(20)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제2 감지부(14)에 제2 위치확인부(Q2)가 재차 감지되면, 무가선 노면전차(T)가 뒤로 후진한 경우이며, 이에 따라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는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0)는 몸체부(20)가 위치 이동되어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10)는, 상기 고정부(30) 일측에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 도 1 참조)의 진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1 감지부(12)와 제2 감지부(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감지부(12)와 상기 제2 감지부(14)는 상기 고정부(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며, 이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정차 위치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감지부(12)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4)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는, 지지부(22), 커넥터 이송부(24),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 한계센서부(28)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제1 감지부(12)와 상기 제2 감지부(1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3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 상기 커넥터 이송부(24)와 상기 한계센서부(28)를 고정 및 지지하고 그 밖에 별도의 구동부재 등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이송부(24)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상기 지지부(22)의 관통홀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커넥터 이송부(24)가 상기 지지부(22)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는, 상기 커넥터 이송부(24)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P)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접촉이란,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접촉을 말한다.
상기 한계센서부(28)는, 상기 커넥터 이송부(24)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이송부(24)의 위치 이동간 상승 이동 한계와 하강 이동 한계를 감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커넥터 이송부가 하측으로 위치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2)는 승강부 관통홀(222), 가이드부 관통홀(224)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 관통홀(222)은 커넥터 승강부(242, 도 9 참조)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 관통홀(224)은 커넥터 가이드부(244, 도 9 참조)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 관통홀(224)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이송부(24)는 커넥터 승강부(242, 도 9 참조), 커넥터 가이드부(244, 도 9 참조), 보호부(246, 도 9 참조)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는,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를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는, 별도의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나사와 같은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의 위치이동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상기 지지부(22)로부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246)는, 상기 지지부(22)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 외주면을 각각 둘러 싸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의 위치 이동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상기 승강부 관통홀(222)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246)는,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의 위치 이동간,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와 상기 가이드부 관통홀(224)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246)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244)의 위치 이동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공지의 주름관 일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센서부, 전력공급용 커넥터부와 커넥터 승강부 및 커넥터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한계센서부(28)는, 제1 한계감지부(282), 제2 한계감지부(28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한계감지부(282)는, 상기 한계센서부(28)의 상부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한계감지부(282)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한계감지부(282)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상기 제1 한계감지부(282)를 지나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벽이나 별도의 부재와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한계감지부(28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의 하부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한계감지부(284)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한계감지부(28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가 상기 제2 한계감지부(284)를 지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시, 정차해 있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와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한계감지부(282)와 상기 제2 한계감지부(28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프링부와 상기 제2 스프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이송부(24)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242)와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를 연결하는 연결부(248)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26)는, 제1 충전부(262), 제2 충전부(264), 제1 완충부(266), 제2 완충부(268)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충전부(262)는 상기 제1 접점부(P1)와 접촉한다.
상기 제2 충전부(264)는 상기 제2 접점부(P2)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2 충전부(264)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완충부(266)는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연결부(248)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248)와 상기 제1 충전부(262)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상기 제2 완충부(268)는 상기 제2 충전부(264)와 상기 연결부(248)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248)와 상기 제2 충전부(264)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완충부(266)와 상기 제2 완충부(268)는,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2 충전부(264)가 상기 제1 접점부(P1)와 상기 제2 접점부(P2)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며, 충격 완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파손과 상기 전력공급장치(1)의 파손을 동시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완충부(266)는, 제1 스프링부(302), 제1 완충감지부(304), 제1 완충감지 표시부(30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스프링부(302)는,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1 접점부(P1)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는, 상기 제1 스프링부(30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부(302)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가 진입하기 전 상기 제1 스프링부(302)가 대기중인 상태의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위치란, 상기 제1 스프링부(302)가 탄성 변형에 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최대 완충 한계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가 상기 제1 스프링부(302)의 상기 제2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프링부(302)의 완충 한계를 벗어나 상기 제1 스프링부(302)의 파손을 막고자 함이다.
상기 제1 완충감지 표시부(306)는,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의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완충감지 표시부(306)는 시각적으로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의 감지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의 오작동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완충감지 표시부(306)는 발광하는 공지의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부(268)는, 제2 스프링부(312), 제2 완충감지부(314), 제2 완충감지 표시부(316)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스프링부(312)는, 상기 제2 충전부(264)와 상기 제2 접점부(P2)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제2 완충감지부(314)는, 상기 제2 스프링부(31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312)의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위치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가 진입하기 전 상기 제2 스프링부(312)가 대기중인 상태의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제4 위치란, 상기 제2 스프링부(312)가 탄성 변형에 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최대 완충 한계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2 완충감지부(314)가 상기 제2 스프링부(312)의 상기 제4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제2 스프링부(312)의 완충 한계를 벗어나 상기 제2 스프링부(312)의 파손을 막고자 함이다.
상기 제2 완충감지 표시부(316)는, 상기 제2 완충감지부(314)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감지부(304)의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사, 상기 제2 완충감지 표시부(316)는 시각적으로 상기 제2 완충감지부(314)의 감지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2 완충부(268)의 오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완충감지 표시부(316)는 발광하는 공지의 조명 장치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프링부(302)는, 제1-1 스프링(411), 제1-2 스프링(412), 제1-1 스프링 고정부(413), 제1-2 스프링 고정부(414), 제1-1 스프링 안착부(415), 제1-2 스프링 안착부(416)를 구비한다.
상기 제1-1 스프링(411)은, 상기 제1 스프링부(302)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1 접점부(P1)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제1-2 스프링(412)은, 상기 제1 스프링부(302)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1 접점부(P1)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은 탄성을 가진 공지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1 스프링 고정부(413)는, 상기 연결부(248)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스프링(411)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1 스프링(411)을 관통하며, 상기 제1-1 스프링(411)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스프링 고정부(413)는 상기 제1-1 스프링(4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1 스프링(411)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연결부(248)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 스프링 고정부(414)는, 상기 연결부(248)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2 스프링(412)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2 스프링(412)을 관통하며,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1-2 스프링 고정부(414)는 상기 제1-2 스프링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연결부(248)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1 스프링 안착부(415)는, 상기 제1-1 스프링(411)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스프링(411)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1-1 스프링(411)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1 스프링 안착부(415)는, 상기 제1-1 스프링(41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1 스프링(411)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1 스프링(411)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스프링(411)은, 압축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압축이 해제될 수 있으나, 상기 제1-1 스프링 안착부(415)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1 스프링 안착부(415)의 수용공간 내에서 변형의 형태가 강제되어,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 스프링 안착부(416)는, 상기 제1-2 스프링(412)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1-2 스프링(412)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2 스프링 안착부(416)는, 상기 제1-2 스프링(4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2 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 스프링(412)은, 압축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압축이 해제될 수 있으나, 상기 제1-2 스프링 안착부(416)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2 스프링 안착부(416)의 수용공간 내에서 변형의 형태가 강제되어,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부(312)는, 제2-1 스프링(421), 제2-2 스프링(422), 제2-1 스프링 고정부(423), 제2-2 스프링 고정부(424), 제2-1 스프링 안착부(425), 제2-2 스프링 안착부(426)를 구비한다.
상기 제2-1 스프링(421)은, 상기 제2 스프링부(312)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264)와 상기 제2 접점부(P2)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상기 제2-2 스프링(422)은, 상기 제2 스프링부(312)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264)와 상기 제2 접점부(P2)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은 탄성을 가진 공지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1 스프링 고정부(423)는, 상기 연결부(248)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1 스프링(421)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1 스프링(421)을 관통하며, 상기 제2-1 스프링(421)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2-1 스프링 고정부(423)는 상기 제2-1 스프링(42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1 스프링(421)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연결부(248)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 스프링 고정부(424)는, 상기 연결부(248)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2 스프링(422)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2 스프링(422)을 관통하며,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2-2 스프링 고정부(424)는 상기 제2-2 스프링(422)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연결부(248)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1 스프링 안착부(425)는, 상기 제2-1 스프링(421)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스프링(421)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2-1 스프링(421)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1 스프링 안착부(425)는, 상기 제2-1 스프링(42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1 스프링(421)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2-1 스프링(421)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1 스프링(421)은, 압축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압축이 해제될 수 있으나, 상기 제2-1 스프링 안착부(425)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2-1 스프링 안착부(425)의 수용공간 내에서 변형의 형태가 강제되어,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2 스프링 안착부(426)는, 상기 제2-2 스프링(422)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2-2 스프링(422)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2 스프링 안착부(426)는, 상기 제2-2 스프링(42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2 스프링(422)은, 압축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압축이 해제될 수 있으나, 상기 제2-2 스프링 안착부(426)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2-2 스프링 안착부(426)의 수용공간 내에서 변형의 형태가 강제되어,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평감지부와 제2 수평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공급장치(1)는 제1 수평감지부(418), 제2 수평감지부(42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감지부(418)는,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감지부(418)는,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달라짐에 따른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간의 수평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수평감지부(418)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감지부(418)는,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이한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일종의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압축 높이가 상이한 경우란, 상기 제1 스프링부(302)의 상기 제1 충전부(262)와 상기 제1 접점부(P1)가 제대로 접하지 못하여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원활한 전력공급을 위해서 상기 제1-1 스프링(411)과 상기 제1-2 스프링(41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동일하여야 한다.
상기 제2 수평감지부(428)는,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수평감지부(428)는,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간의 수평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수평감지부(428)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압축 높이가 상이한 경우란, 상기 제2 스프링부(312)의 상기 제2 충전부(264)와 상기 제2 접점부(P2)가 제대로 접하지 못하여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에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T)의 원활한 전력공급을 위해서 상기 제2-1 스프링(421)과 상기 제2-2 스프링(422)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동일하여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T: 무가선 노면전차
P: 전력수급용 커넥터부
P1: 제1 접점부
P2: 제2 접점부
Q: 위치확인부
Q1: 제1 위치확인부
Q2: 제2 위치확인부
1: 전력공급장치
10: 노면전차 감지부
12: 제1 감지부
14: 제2 감지부
20: 몸체부
22: 지지부
24: 커넥터 이송부
28: 한계센서부
30: 고정부
40: 커버부
50: 제어부

Claims (12)

  1. 삭제
  2.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구비하는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위치확인부 및 제2 위치확인부를 구비한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노면전차 감지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접촉되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몸체부;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몸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되,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측면에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개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는,
    개방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폐쇄된 경우,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부가 은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위치확인부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노면전차 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확인부와 상기 제2 위치확인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확인부가 감지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감지된 후, 상기 제2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확인부가 재차 감지되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상기 지지부의 관통홀을 따라 승강하는 커넥터 이송부,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수급용 커넥터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위치 이동간 상승 이동 한계와 하강 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한계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 이송부가 상기 한계센서부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승 이동 한계 또는 하강 이동 한계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커넥터 이송부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승강부 관통홀 및
    커넥터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이송부는,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를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커넥터 승강부,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평행하게 위치이동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커넥터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 외주면을 각각 둘러 싸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 이동 간,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의 위치 이동 간, 상기 커넥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관통홀 사이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보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센서부는,
    상부 일측면에 위치한 제1 한계감지부와 하부 일측면에 위치한 제2 한계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한계감지부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한계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한계감지부는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한계감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한계감지부가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한계감지부가 상기 커넥터 승강부를 감지하면, 상기 커넥터 승강부가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이송부는,
    상기 커넥터 승강부와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력공급용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충전부,
    상기 제2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충전부,
    상기 제1 충전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충전부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1 완충부 및
    상기 제2 충전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충전부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1 스프링부,
    상기 제1 스프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부가 상기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전 위치인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과정의 한계 위치인 제2 위치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완충감지부,
    상기 제1 완충감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감지부의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완충감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제2 스프링부,
    상기 제2 스프링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가 상기 제2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기 전 위치인 제3 위치에서, 상기 접점부와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과정의 한계 위치인 제4 위치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완충감지부,
    상기 제2 완충감지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완충감지부 감지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완충감지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1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완충감지 표시부에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2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완충감지 표시부에 감지여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부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1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제1 완충감지부가 감지하지 못하였거나,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상기 제2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압축 높이가 상기 제4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제2 완충감지부가 감지 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부는,
    상기 제1 스프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1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1-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충전부와 상기 제1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1-2 스프링,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1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1-1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1 스프링 고정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2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1-2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1-2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2 스프링 고정부,
    상기 제1-1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1-1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1 스프링 안착부,
    상기 제1-2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2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1-2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2 스프링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는,
    상기 제2 스프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2-1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충전부와 상기 제2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제2-2 스프링,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1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1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2-1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1 스프링 고정부,
    상기 연결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2 스프링을 향해 돌출된 채, 상기 제2-2 스프링을 관통하며, 상기 제2-2 스프링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2 스프링 고정부,
    상기 제2-1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제2-1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1 스프링 안착부,
    상기 제2-2 스프링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2 스프링의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제2-2 스프링에 인가된 압축력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2 스프링 안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스프링과 상기 제1-2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스프링과 상기 제1-2 스프링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수평감지부,
    상기 제2-1 스프링과 상기 제2-2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스프링과 상기 제2-2 스프링간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수평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평감지부 또는 상기 제2 수평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무가선 노면전차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KR1020190157293A 2019-11-29 2019-11-29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KR10233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93A KR102333299B1 (ko) 2019-11-29 2019-11-29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93A KR102333299B1 (ko) 2019-11-29 2019-11-29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42A KR20210067542A (ko) 2021-06-08
KR102333299B1 true KR102333299B1 (ko) 2021-12-01

Family

ID=7639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93A KR102333299B1 (ko) 2019-11-29 2019-11-29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0023A (zh) * 2009-06-18 2009-11-18 上海交通大学 单杆转动型公交电车受电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6933B1 (en) * 2008-07-01 2016-10-05 Proterra Inc.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
KR101266914B1 (ko) 2011-09-30 2013-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저상 트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0023A (zh) * 2009-06-18 2009-11-18 上海交通大学 单杆转动型公交电车受电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42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211B1 (ko) 인출식 승강 단
CN100453278C (zh) 用于检测自主移动机器人的提升的装置
US20070257528A1 (en) Head Rest Control Device and Active Head Rest
CN102822077B (zh) 用于小顶层空间电梯的可收缩止动器
KR101471544B1 (ko) 열차 플랫폼 스크린 안전장치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방법
JPH05189041A (ja) 移動作業ロボットの障害物検知装置
TWI748071B (zh) 高架搬運車
CN106427866A (zh) 车辆用侧碰撞检测组件
KR102413563B1 (ko) 유해 동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CN113173084B (zh) 车辆用充电系统
JP3988333B2 (ja) 移動ロボットの充電電極構造
KR102333299B1 (ko)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JP477777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KR102333298B1 (ko) 무가선 노면전차 전력공급장치
US11453574B2 (en) Elevator cars with camera mount
CN213011400U (zh) 一种无井道智能家用电梯安全运行空间保护装置
KR20170036971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장치용 리미트스위치
CN109515552B (zh) 一种适用于物流的自动导引车
KR101901411B1 (ko) 도어 어셈블리
JP5311783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ガイドレール
KR101670729B1 (ko) 바닥센서를 이용한 승강장안전시스템
TWI681890B (zh) 包括乘客及障礙物檢測功能的電車平臺安全裝置
JP2014177756A (ja) 機械式駐車装置
JP4698845B2 (ja) エレベーターの緩衝装置
KR20090027560A (ko) 전동차용 팬터그래프의 파손 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