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12B1 -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12B1
KR102333212B1 KR1020200065977A KR20200065977A KR102333212B1 KR 102333212 B1 KR102333212 B1 KR 102333212B1 KR 1020200065977 A KR1020200065977 A KR 1020200065977A KR 20200065977 A KR20200065977 A KR 20200065977A KR 102333212 B1 KR102333212 B1 KR 102333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unit
rotation spe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석
Original Assignee
이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석 filed Critical 이길석
Priority to KR102020006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7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 F16H3/72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with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e.g. regulating brake or fluid throttle,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48Inputs being a function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3/44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out permanent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and the set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차량 - 상기 차량은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을 구비함. -이 구비하는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제2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로 상기 제1 동력부 및 상기 제2 동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VEHICLE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차량의 바디에 배치되어, 구동 모듈에 발생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을 갖춘 자동차에서는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포함된 유해성분에 의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고 연비의 향상 등을 위해 연료의 연소에 의한 구동력의 생성과 함께 전기적 에너지에 의한 구동력의 생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 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의 개발이 있어 왔다.
전기자동차에는 전기 모터, 배터리 및 복수개의 유성기어로 이루어진 변속기로 구성된다,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맞는 속도와 토크 제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기존의 변속기(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0377호, 2018. 06. 26, 공개, "전기 자동차용 2단 변속기")는 연속적으로 단을 변형시키지 못함으로써, 변속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으며 저속과 고속으로만 변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 및 모터의 효율적인 운영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일정 범위 내에서 기어비를 무한대에 가까운 단계로 제어할 수 있는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전기 차량 - 상기 차량은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을 구비함. -이 구비하는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제2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로 상기 제1 동력부 및 상기 제2 동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 대비 상기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에 관한 것인 감속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감속비를 설정하여, 설정된 상기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감속비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며, 일반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고속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반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 증가율이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 증가율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일반 감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고속 감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에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정보인 부하 정보를 수집하는 부하 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계측부에서 전달되는 부하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감속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기어 단수를 입력하는 변속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변속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속비를 설정하여, 설정된 상기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감속비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며,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속도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에 인가되는 전력이 중단한 후 상기 제2 동력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제2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로 상기 제1 동력부 및 상기 제2 동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일정 범위 내에서 무한대에 가까운 단계로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어,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낮은 발열로 냉각 장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파워트레인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기 구조를 단순화 하여, 변속기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감속비가 가변적으로 변하게 되어, 변속 충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동축과 구동축이 지속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구동축과 중동축의 분리/결합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동력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변속기에 비해 다양한 동작 조건을 가지고 있어, ECU 학습 및 운용에 다양한 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일반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고속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은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60) 및 상기 구동 모듈(60)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후술하는 제1 동력부(110)와 제2 동력부(120)에 인가되는 부하에 대한 정보인 부하 정보를 수집하는 부하 계측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전력을 저장하고 있는 베터리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기어의 단수를 입력 또는 설정할 수 있는 변속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가속 페달 및 상기 가속 페달의 눌러진 정도를 감지하는 가속 페달 센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브레이크 페달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눌러진 정도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베터리부(7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제어, 관리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바디는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모듈(60)은 바퀴, 조향 장치, 브레이크 등,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60)은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110) 및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상기 제1 동력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131), 상기 제2 동력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132) 및 상기 선기어(131)와 상기 링기어(13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60)로 상기 제1 동력부(110) 및 상기 제2 동력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60)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133)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제1 동력부(110)와 제2 동력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부(110) 및/또는 제2 동력부(120)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동력부(110) 및/또는 상기 제2 동력부(120)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일 수 있다.
유성 기어부(130)는 선기어(131), 링기어(132) 및 플래닛 캐리어(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래닛 캐리어(133)는 링기어(132)와 선기어(131) 사이에 배치되는 플래닛 기어와 각각의 플래닛 기어와 연결되어 선기어(131)에 대해서 플래닛 기어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회전되는 캐리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성 기어부(130)는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는 상기 선기어(1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선기어(131)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선기어(131)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개의 매개 수단(일례로 기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선기어(131)의 연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 동력부(120)는 상기 링기어(13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12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링기어(132)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120)와 상기 링기어(132)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개의 매개 수단(일례로 기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120)와 상기 링기어(132)의 연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제1 제어부(141)와 제2 제어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가속 페달 센서(3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40), 상기 변속 입력부 및/또는 BMS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들을 통대로, 상기 제1 동력부(110)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2 목적 회전수 및 감속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41)는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대한 정보,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대한 정보 및 감속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제어부(142)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제어부(141)는 VCU((Vehicle Control Unit)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제어부(141)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제어부(142)는 상기 제1 제어부(141)로부터 전달받은 제1 목적 회전수, 제2 목적 회전수 및 감속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동력부(110) 및/또는 제2 동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142)는 MCU(Motor Control Unit)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142)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기어(131)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132)의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선기어(131)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132)의 회전수 대비 상기 플래닛 캐리어(133)의 회전수에 관한 것인 감속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선기어(131)의 회전수(S), 링기어(132)의 회전수(R) 및 플래닛 캐리어(133)(C)의 회전수 간의 관계는 아래의 식 1-1과 같을 수 이다.
(
Figure 112020056095012-pat00001
= 선기어(131)의 기어수,
Figure 112020056095012-pat00002
= 링기어(132)의 기어수,
Figure 112020056095012-pat00003
= 플래닛 캐리어(133)의 기어수)
Figure 112020056095012-pat00004
··········· (식 1-1)
여기서, 플래닛 캐리어(133)(C)를 기준으로 식을 정리하자면 아래의 식 1-1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0056095012-pat00005
·········· (식 1-2)
이하에서, 예시로서 선기어(131) 기어수를 30, 플래닛 캐리어(133)(플래닛 기어)의 기어수를 23개 및 링기어(132)의 기어수를 78개로 설정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다만, 기어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기어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탑승자는 변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주행 상황에 따라 변속 모드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변속 모드는 제어부(140)가 주행 상황 및 탑승자의 차량 조작에 따라 설정한 감속비를 기초로 변속이 진행되는 제1 변속 모드와 탑승자가 변속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기어 단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감속비를 기초로 변속이 진행되는 제2 변속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변속 모드는 CVT(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변속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변속 모드는 수동 변속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일반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동력부 가동에 따른 감속비에 대한 도면이고, 도 2(b)는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제2 동력부의 회전수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2(c)는 차량의 속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1 변속 모드이고, 일반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가 가속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도중에 가속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탑승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가 먼저 증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는 0이며,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도 0일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가 아닌 상기 제1 동력부가 먼저 가속되게 제어하는 이유는 가속 시에는 많은 토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감속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가속되는 차량의 속도 증가율을 상승시키고, 변속 충격을 완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여기서, 일반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 증가율이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 증가율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고,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가 동일해지는 경우, 선기어와 링기어는 1:1 비율로 감속되므로, 고속 주행에 적합한 감속비인 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속도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을 경우, 차량의 속도를 증가 시키고 싶은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함께 증가 시키고, 차량의 속도를 감소 시키고 싶은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함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동력부(110)가 회전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동력부(1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A 구간, 도 4(a))
이 때, 감속비는 3.6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베터리부의 전력이 상기 제1 동력부(110)에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속도 증가율이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R10)보다 작은 회전수(R20)에 도달될 때,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이 시작될 수 있다(B 구간, 도 4(b)).
여기서,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 속도 증가율이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 속도 증가율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 속도가 함께 증가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 증가가 A 구간 보다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가 동일하지는 지점에서부터는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의 증가율과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 증가율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C 구간)
이는, 고속 주행에서 안정적인 승차감을 형성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고속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시스템의 제1 변속 모드 중 가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동력부 가동에 따른 감속비에 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제2 동력부의 회전수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3(c)는 차량의 속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제1 변속 모드이고, 고속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가 가속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도중에 가속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탑승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가 먼저 증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1 동력부만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만 빠르게 가속됨으로써, 빠른 차체 속도와 높은 감속비가 유지되어 큰 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가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속도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동력부(110)가 회전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동력부(1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A 구간, 도 4(a))
이 때, 감속비는 3.6으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베터리부의 전력이 상기 제1 동력부(110)에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속도 증가율이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 동시에 가동되는 경우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R10)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제2 동력부(12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선기어와 플래닛 캐리어만 회전되고, 링 기어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가 제1 목적 회전수(R10)에 도달되고 나서 상기 제2 동력부(120)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B 구간, 도 4(b))
이 때,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110)와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 속도가 함께 증가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 증가가 A 구간 보다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일반 가속 모드와 비교하여, B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감속비가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높은 토크와 상대적으로 큰 속도 변화가 구현될 수 있다.
탑승자가 계속해서 가속 페달을 밟는다면,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가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와 동일해 질 때까지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가 계속해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가 동일하지는 지점에서부터는 상기 제1 동력부(110)의 회전수의 증가율과 상기 제2 동력부(120)의 회전수 증가율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C 구간)
이는, 고속 주행에서 안정적인 승차감을 형성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일, 설정된 감속비를 기초로,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상태애서 감속비가 변경되도록 가속이 이루어 지는 경우, 제1 동력부(110)가 먼저 가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력부(110)가 설정된 회전수(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고 난 후에 제2 동력부(120)가 설정된 회전수(제2 목적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제1 동력부(110)가 설정된 회전수(제1 목적 회전수)를 향해 회전 수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2 동력부(120)가 설정된 회전수(제2 목적 회전수)를 향해 회전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첫 번째 경우는 급 가속 시에 발생될 수 있고, 두 번째 경우는 일반 가속 시에 발생될 수 있다.
제1 변속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일반 감속 모드와 고속 감속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고속 감속 모드를 채택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소정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반 감속 모드를 채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속 감속 모드와 일반 감속 모드가 채택되는 기준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주행 상황 및 모터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될 수 있다.
일반 감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고속 감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소되어, 감속비를 증가시켜,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저속의 경우에는 급작스러운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우선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변속 변화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을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는 함께 감소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소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감속비를 증가시켜,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고속의 경우에는 속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작게 하여야, 감속에 따른 차량 슬립 및 승차감 저감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가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고 나서,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선기어
회전수(RPM)
링기어
회전수(RPM)
플래닛 캐리어
회전수(RPM)
감속비
기준 3000 2500 2638.89 2.08
A 3000 2700 2783.33 2.05
B 3200 2500 2694.44 2.12
C 3000 2300 2494.44 2.12
D 2800 2500 2583.33 2.05
구체적인 일례로서, 표 1을 참조하면, 기준 상황에서 선기어 회전수는 3000RPM이고, 링기어 회전수는2500RPM일 경우,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는 2638.89RPM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상황에서 C 상황으로 감속되는 경우와, 기준 상황에서 D 상황으로 감속되는 경우를 살펴볼 때, C 상황의 경우, 플래닛 캐리어 회전수의 감소율이 D 상황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의 경우에는 제2 동력부를 먼저 감속시키고, 고속의 경우에는 제1 동력부를 먼저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변속 모드에서, 상기 부하 계측부에서 전달되는 부하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감속비가 변경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구동 모듈을 통해 상기 플래닛 캐리어로 전달되는 부하가 현재 제1 동력부와 제2 동력부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보다 임의의 값 이상이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감속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는 일정하거나, 변경 전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의 회전 수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구동 모듈을 통해 상기 플래닛 캐리어로 전달되는 부하가 현재 제1 동력부와 제2 동력부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보다 임의의 값 이하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감속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는 일정하거나, 변경 전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의 회전 수 일 수 있다.
제1 변속 모드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 동력부가 선기어를 회전시키고 제2 동력부가 링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속도 변화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제2 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탑승자는 변속 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기어 단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단수를 기초로 제1 목적 회전수, 제2 목적 회전수 및 감속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상기 제1 목적 회전수, 제2 목적 회전수 및 감속비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만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되도록 제어되는 이유는, 빠른 가속 및 높은 토크 발생을 위해서 일 수 있다.
제2 변속 모드는 사용자가 즉각적인 속도 변화를 하고자 할 때 활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제1 동력부가 먼저 가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설정된 감속비에 도달된 후부터는, 차량의 속도 변화가 되는 경우에는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유지되도록(감속비가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에서 설정한 감속비로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가 함께 증가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가 설정한 감속비로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가 함께 감소될 수 있다.
제2 변속 모드에서 가속 단계의 자세한 설명은 제1 변속 모드의 고속 가속 모드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차량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차량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저속의 기어 단수에서는 큰 토크와 빠른 차량의 감속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속의 기어 단수에서는 작은 토크와 상대적으로 느린 감속이 유리하기 때문에,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제적인 일례로서, 기어 단수가 총 5개로서, 제1 단, 제2 단, 제3 단, 제4 단 및 제5 단이 있을 수 있다.
여겨서 미리 정해진 기준은 3단이라고 가정할 경우, 제2 단에서 제1 단으로 변경되면서, 차량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동력부의 회전수가 우선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5 단에서 제4 단으로 변경되면서, 차량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동력부의 회전수가 우선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속도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5 단의 경우 감속비가 2일 수 있다.
제5 단의 경우, 선기어의 감속비와 링기어의 감속비가 1:1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에 인가되는 전력이 중단한 후 상기 제2 동력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동력부를 갑자기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부에 많은 전력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동력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잠시 중단시킨 후, 상기 제2 동력부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기 시작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에 다시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동력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부의 회전은 동력부의 일 구성이 모터 축이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가속은 차량의 속도 증가를 의미할 수 있고, 감속은 차량의 속도 감소를 의미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 제1 동력부 120 : 제2 동력부
130 : 유성 기어부 140 : 제어부

Claims (11)

  1. 차량 - 상기 차량은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을 구비함. -이 구비하는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제2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로 상기 제1 동력부 및 상기 제2 동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 대비 상기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에 관한 것인 감속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은,
    기어 단수를 입력하는 변속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변속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속비를 설정하여, 설정된 상기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감속비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며,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2 동력부가 상기 제2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기어 단수에서 기어 단수 변경과 함께 감속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우선적으로 감속되어,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속도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의 회전수와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고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1 동력부에 인가되는 전력이 중단한 후 상기 제2 동력부를 회전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
  11.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차량 바디;
    상기 차량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바디를 위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변속 시스템;
    기어 단수를 입력하는 변속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변속 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와 이격되며,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동력부, 상기 제1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제2 동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동 모듈로 상기 제1 동력부 및 상기 제2 동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 모듈로 전달하는 플래닛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 기어부, 상기 차량용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선기어의 회전수와 상기 링기어의 회전수 대비 상기 플래닛 캐리어의 회전수에 관한 것인 감속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동력부가 회전되어야 하는 회전수인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변속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감속비를 설정하여, 설정된 상기 제1 목적 회전수, 상기 제2 목적 회전수 및 상기 감속비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며,
    가속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동력부가 상기 제1 목적 회전수에 도달된 후 상기 제2 동력부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제1 동력부와 상기 제2 동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KR1020200065977A 2020-06-01 2020-06-01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KR10233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77A KR102333212B1 (ko) 2020-06-01 2020-06-01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77A KR102333212B1 (ko) 2020-06-01 2020-06-01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212B1 true KR102333212B1 (ko) 2021-11-30

Family

ID=7872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977A KR102333212B1 (ko) 2020-06-01 2020-06-01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204A (ja) * 2000-10-30 2002-09-11 Noriaki Toyoshima 旋回制御歯車式自動無段変速機
KR20200041369A (ko) * 2017-08-24 2020-04-21 지잉 자오 전송 디바이스, 전기 차량 포함 디바이스 및 운전 디바이스에 대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204A (ja) * 2000-10-30 2002-09-11 Noriaki Toyoshima 旋回制御歯車式自動無段変速機
KR20200041369A (ko) * 2017-08-24 2020-04-21 지잉 자오 전송 디바이스, 전기 차량 포함 디바이스 및 운전 디바이스에 대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255B1 (en) Hybrid vehicle
JP3514142B2 (ja) 車両制御装置
JP4623062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8177004B2 (en) Control system for drive unit of hybrid vehicle
US6819985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CA2704804C (en) Hybrid-vehicle drive system with a transmission
US8147366B2 (en) Power output apparatus and vehicle
JP3893938B2 (ja) 変速機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車駆動構造
US7552003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US7828692B2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EP2807062B1 (e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JP5227043B2 (ja) 動力出力装置および車両
JP4190490B2 (ja)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装置,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2006233801A (ja) 動力出力装置、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US20080153660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wertrain,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JP2012224321A (ja) 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JP528898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6118359A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077600A (ja)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793278B2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33212B1 (ko) 전기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시스템
US10279801B2 (en) Hybrid vehicle
JP2007239504A (ja) 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5727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08511806A (ja) 輸送機関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