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056B1 -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056B1
KR102333056B1 KR1020210069426A KR20210069426A KR102333056B1 KR 102333056 B1 KR102333056 B1 KR 102333056B1 KR 1020210069426 A KR1020210069426 A KR 1020210069426A KR 20210069426 A KR20210069426 A KR 20210069426A KR 102333056 B1 KR102333056 B1 KR 10233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type table
fitting groov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은
Original Assignee
정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은 filed Critical 정성은
Priority to KR102021006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3Cable or current inlet for drawer or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7Drawers with sliding t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으로서, 테이블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Reactive display imaging experience system}
본 발명은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조명수단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개발 역시 접근성이 상당히 낮아졌다. 현대 미술의 경우의 경우만 해도, 새롭게 개발되는 기술들을 미술품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포함시키려는 노력을 기 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조명수단 역시, 전시회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조명 시스템의 경우에는, 관람자의 행동과는 무관하게 일률적인 조명을 제공해주는 것에 그쳤다. 전시회에 전시되는 전시품의 경우 관람자의 관심을 끌기 어렵지 않지만, 그 외의 장소에 전시되는 전시품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쉽지 않다.
예를 들면, 호텔이나 건물 등의 로비에 전시되는 미술품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 들은 그냥 지나치지 마련이다.
따라서, 관람자의 관심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는 조명수단이나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대 전시회에 맞는 조명수단이나 조명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시용 물품이 위치하는 테이블의 수납함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전시용 물품(조명부, 관리부)이 수납되는 것에 사용될 수도 있고, 전시장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납형 테이블부를 이용함에 따라 관리자의 휴게 또는 식사 공간이 제공될 수 있는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은, 테이블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은, 상기 테이블의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단말기;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안내음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서비스부;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온도 또는 압력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통수신부; 상기 통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터치부에 입력된 온도 또는 압력이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를 발광하고,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온도 또는 압력을 무시하도록 상기 무선단말기를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부에 안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서비스부를 제어하고,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서비스부를 제어하는 무선제어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맞닿아 상기 터치부에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을 가하는 터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무선제어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강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무선제어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약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은, 하단 일측면에 위치하며, 하단으로부터 외측면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납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상기 전시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전시용 차량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공간은, 측부에 상기 테이블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가이드레일(413)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테이블에 입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공간은, 전면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으로 수납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형성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가이드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양측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평 상태의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지지부가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지지부는,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형성부; 및 상부에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돌출형성부는,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돌출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동 경로 끝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지지부의 상기 제1 돌출형성부를 통해 지지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기 전면형성부의 상부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양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고정되는 '
Figure 112021062105034-pat00001
자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곡면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하부 양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시 상기 끼움홈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역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구속하기 위한 걸림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상기 이탈방지부를 해당 높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스핀되면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은, 테이블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을 유지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은, 상기 테이블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차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시용 차량; 및 상기 조명부의 일측면에 상기 전시용 차량이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전시용 차량이 상기 조명부의 일측면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가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시용 차량이 상기 조명부의 일측면에서 제거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의 발광을 중지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은, 하단 일측면에 위치하며, 하단으로부터 외측면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납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상기 전시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전시용 차량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공간은, 측부에 상기 테이블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가이드레일(413)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테이블에 입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공간은, 전면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으로 수납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형성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가이드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홈은, 양측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평 상태의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지지부가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지지부는,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형성부; 및 상부에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돌출형성부는,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돌출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동 경로 끝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지지부의 상기 제1 돌출형성부를 통해 지지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기 전면형성부의 상부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양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고정되는 '
Figure 112021062105034-pat00002
자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곡면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하부 양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시 상기 끼움홈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역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구속하기 위한 걸림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상기 이탈방지부를 해당 높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스핀되면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은 전시용 물품이 위치하는 테이블의 수납함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의 내부에는 전시용 물품(조명부, 관리부)이 수납되는 것에 사용될 수도 있고, 전시장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납형 테이블부를 이용함에 따라 관리자의 휴게 또는 식사 공간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 및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이 포함되는 전시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 및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이 포함되는 전시장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10) 및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50)은 하나의 전시장(1)에서 전시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전시장에서 각각 전시될 수도 있다.
도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10)은 제어부(100), 전시용 차량(300) 및 조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시용 차량(300)은 테이블(200)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차량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명부(500)는 테이블(200)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조명부(500)의 일측면에 전시용 차량(300)이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전시용 차량(300)이 조명부(500)의 일측면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조명부(500)가 발광하도록 조명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전시용 차량(300)이 조명부(500)의 일측면에서 제거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조명부(500)의 발광을 중지하도록 조명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400)은 수직방향으로 수납공간(410)에 수납된 상태의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수평방향으로 전개하는 구조를 통해,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수납함(400)은 수납공간(410)과, 수납공간(410)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형 테이블부(420)와,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회동축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410)은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수납공간(410)의 측부에는 테이블(20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가이드레일(413)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410)은 제1 가이드레일(413)을 통해 테이블(200)에 입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수납공간(410)의 전면부에는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직방향으로 수납되는 끼움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411)은 수납공간(4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형성부(412)와 수납공간(41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수납형 테이블부(420)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411)은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수납형 테이블부(420) 및 이탈방지부(430)의 수직 이동을 위한 가이드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끼움홈(411)의 양측부에는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평 상태의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지지하는 테이블지지부(4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지지부(440)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형성부(441)가 마련되고,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형성부(4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형성부(441)는 수평 상태로 배치된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저면을 지지하고, 제2 돌출형성부(442)는 이탈방지부(430)의 이동 경로 끝에 배치되어 이탈방지부(430)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상태의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상술한 테이블지지부(440)의 제1 돌출형성부(441)를 통해 지지되는 구성이지만, 이 수평 상태의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수납공간(4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형성부(412)의 상부면을 통해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끼움홈(411)을 통해 수납공간(410)에 수납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저면에는 제2 가이드레일(421)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 가이드레일(421)은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저면에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납공간(410)의 슬라이딩 결합부(45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가이드레일(421)은 슬라이딩 결합부(450)에 의해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부(450)는 수납공간(410)의 전면부에 고정되면서 제2 가이드레일(421)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즉, 슬라이딩 결합부(450)는 양단부가 수납공간(410)에 고정되는 '
Figure 112021062105034-pat00003
자 형태의 연결부(451)와, 연결부(4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4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결합부(452)는 제2 가이드레일(421)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 결합부(452)에는 제2 가이드레일(421)에 곡면 접촉되는 절곡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미도시)는 제2 가이드레일(421)과 곡면 접촉되므로, 결합부(452)와 제2 가이드레일(421) 간의 작동력이 일층 부드러워질 수 있다.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하부 양측단에는 이탈방지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부(430)는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수직방향 이동시 끼움홈(41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회동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30)는 탄성부재(460)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460)는 끼움홈(411)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끼움홈(411)의 상부로 이동되는 이탈방지부(43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탈방지부(430)의 상부에는 끼움홈(411)의 상단에 위치한 이탈방지부(430)를 구속하기 위한 걸림형성부(4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형성부(461)는 이탈방지부(430)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홈(411)의 상단에 진입한 이탈방지부(430)를 해당 높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홈(411)의 상단에 진입한 이탈방지부(430)는 해당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스핀되면서,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납공간(410)의 끼움홈(411)에 수납되어 있던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끼움홈(411)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가이드레일(421)은 슬라이딩 결합부(450)의 결합부(452)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다.
결국, 이탈방지부(430)는 끼움홈(411)의 상단까지 다다르게 되어 탄성부재(460)의 걸림형성부(461)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회동시키면, 결합부(452)는 연결부(45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430)는 걸림형성부(461) 상에서 스핀되고, 수납형 테이블부(420)의 저부는 테이블지지부(440)의 제1 돌출형성부(441)에 의해 지지되어,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수납공간(410)의 끼움홈(411)에 수납형 테이블부(42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활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되므로, 이 소정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410)의 끼움홈(411)에 수납되어 있던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회동시키면,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수납형 테이블부(420)는 식사 또는 사무 정리를 위한 협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테이블(200)에 수납되어 있던 수납공간(410)을 당기면, 수납공간(410)내에 수납되어 있던 각종 용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수납함(4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410)의 내부에는 전시용 물품(조명부, 관리부)이 수납되는 것에 사용될 수도 있고, 전시장(1)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납형 테이블부(420)를 이용함에 따라 관리자의 휴게 또는 식사 공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413)은 봉쇄부재(413') 및 슬라이더 지지부(413c)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지지부(413c)는 플레이트(413c1), 그 양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가이드레일(413c5), 및 이 플레이트 가이드레일을 따라 활주 이동하는 플레이트 레일(413c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지지부(413c)를 수납 공간부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 플레이트(413c1)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구멍이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출식 수납기구의 경우, 슬라이더 지지부의 플레이트(413c1)에 공지된 형식으로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댐퍼 부착형 봉쇄부재(413')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봉쇄부재(413')는 동체, 동체에 부착되는 속도조절부(4132), 동체의 측부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부(4134), 및 일측은 이동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플레이트(413c1)에 고정되는 탄성부(4133)을 포함하며, 동체는 적당한 고정수단, 예를 들면 고정모듈(4136)에 의해 플레이트(413c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4134)는 제 1위치(인출위치)와 제 2위치(인입위치)사이를 왕복 이동하되, 인출위치로부터 인입위치로의 이동은 탄성부(41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탄성부(4133)에 의한 인출위치로부터 인입위치로의 이동 시 속도조절부(4132)에 의해 스프링 힘이 완충되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4134)에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고정핀 결합부(4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핀 결합부(4135)는 연결벽체(413a)의 하단에 일단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연결벽체(413a)를 슬라이더 지지부(413c),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더 지지부(413c)의 플레이트 레일(413c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핀(413b)과 분리가능 하게 결합하며, 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기구의 작동상태, 특히 봉쇄부재(413')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슬라이더 지지부(413c)와 봉쇄부재(413')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구성부분은 2점쇄선으로 표시하였다.
인출형성부(413d)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봉쇄부재(413')의 탄성부(4133)은 인장상태로 봉쇄부재의 동체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인출형성부(413d)를 인입위치로 밀어 넣으면, 연결벽체(413a)의 하단에 일단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받침부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핀(413b)이 봉쇄부재의 이동부(4134)의 고정핀 결합부(4135)와 만나게 될 수 있다.
고정핀(413b)이 고정핀 결합부(4135)를 그 고정상태로부터 해제하면, 고정핀 결합부(4135)는 고정핀(413b)과 결합한 채로 탄성부(4133)의 수축력에 의해 탄성부(4133)의 수축상태로 자동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133)에 의한 인출위치로부터 인입위치로의 이동시 속도조절부(4132)에 의해 스프링 힘이 완충되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인출형성부(413d)는 사용자가 완전 인입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봉쇄부재(413')에 의해 완전 인입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편리하며, 나아가서 속도조절부(4132)의 완충력에 의해 부드럽게 인입되어 가구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인출형성부(413d)의 인출은 위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완전 인입위치의 인출형성부(413d)를 인출하면, 탄성부(4133)는 인장되고 이동부(4134)의 고정핀 결합부(4135)가 그 고정위치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고정핀 결합부가 고정핀(413b)과 해제될 수 있다.
인출형성부(413d)를 계속 인출시키면, 고정핀(413b)은 완전히 고정핀 결합부와 해제되며, 인출형성부(413d)는 인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50)은 터치부(910), 무선단말기(900), 서비스부(730), 통수신부(710), 무선제어부(700) 및 터치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910)는 테이블(200)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전시용 물품을 의미할 수 있고, 무선단말기(900)는 테이블(200)의 상단에 위치하되 터치부(9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서비스부(730)는 무선단말기(900)의 터치부(910)에 입력되는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안내음 또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비스부(730)는 무선제어부(70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강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음을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부(730)는 무선제어부(70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약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통수신부(710)는 무선단말기(900)의 터치부(910)에 온도 또는 압력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내용을 무선제어부(7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제어부(700)는 통수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터치부(910)에 입력된 온도 또는 압력이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무선단말기(900)를 발광할 수 있다.
무선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온도 또는 압력을 무시하도록 무선단말기(900)를 제어하며 서비스부(730)에 안내음을 발생하도록 서비스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서비스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모듈(800)은 무선단말기(900)의 터치부(910)에 맞닿아 터치부(910)에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Claims (2)

  1. 테이블 상단에 위치하며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상단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단말기;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온도 또는 압력에 따라 안내음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서비스부;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온도 또는 압력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통수신부;
    상기 통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터치부에 입력된 온도 또는 압력이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를 발광하고,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해당 온도 또는 압력을 무시하도록 상기 무선단말기를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부에 안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서비스부를 제어하고,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서비스부를 제어하는 무선제어부; 및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터치부에 맞닿아 상기 터치부에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을 가하는 터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무선제어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하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강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음을 발생하고,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무선제어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온도 또는 기 설정된 압력의 범위 이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입력된 세기보다 약한 세기로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경고음을 발생하고,
    상기 테이블은,
    하단 일측면에 위치하며, 전후로 이동 가능한 수납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납함은,
    전시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전시용 차량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측부에 상기 테이블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가이드레일(413)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테이블에 입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전면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으로 수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형성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가이드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끼움홈은,
    양측부에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수평 상태의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지지부(440)가 설치 가능하고,
    상기 테이블지지부는,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형성부(441); 및
    상부에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형성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형성부는,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돌출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이동 경로 끝에 배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지지부의 상기 제1 돌출형성부를 통해 지지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에 결합되는 상기 전면형성부의 상부면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이동 경로가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는,
    양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고정되는 '
    Figure 112021072703275-pat00004
    자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곡면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하부 양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수직방향 이동시 상기 끼움홈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직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의 회동축 역할이 가능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구속하기 위한 걸림형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형성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상기 이탈방지부를 해당 높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 진입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스핀되면서 상기 수납형 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69426A 2021-05-28 2021-05-28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KR10233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26A KR102333056B1 (ko) 2021-05-28 2021-05-28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26A KR102333056B1 (ko) 2021-05-28 2021-05-28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056B1 true KR102333056B1 (ko) 2021-12-01

Family

ID=7893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426A KR102333056B1 (ko) 2021-05-28 2021-05-28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367A (ko) * 2011-09-28 2013-04-05 조홍래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367A (ko) * 2011-09-28 2013-04-05 조홍래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4837B (zh) 悬臂托盘桌以及包括该悬臂托盘桌的飞机乘客套间
KR101694922B1 (ko) 안전 서랍장
KR100981862B1 (ko) 전개가능한 비디오 암
US8061777B2 (en)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US7063024B2 (en) Computer monitor lift and storage mechanism
US20070240347A1 (en) Flat panel display elevating apparatus
US20100006717A1 (en) Height Positioning Device for a Presentation Device
KR102333056B1 (ko) 반응형 전시 영상 체험 시스템
JPH0472208A (ja) 重量物の移動装置
US9788649B2 (en) Storage system
US4703701A (en) Desk with height and angle adjustable table top
KR102332951B1 (ko) 안전체험용 전시 조명 출력 시스템
US3544186A (en) Storage cabinet having a readily slidable and removable tilting-resistant drawer assembly
US3750995A (en) Mounting device for projection screen
US3534935A (en) Sliding display or storage units and catch mechanisms therefor
CN115461571A (zh) 高度可调节的悬挂灯具
KR102197403B1 (ko) 롤테이너의 높이 가변장치
JP6920073B2 (ja) テーブル
KR20080063685A (ko)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조절을 위한탄성력 조절 장치
US2466996A (en) Flexible member retriever apparatus
EP1191866B1 (en) Extendable swivel mounting bracket
GB2285911A (en) Wall mountable support and storage receptacle
KR102223895B1 (ko) 작업용 의자
US20230268698A1 (en)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hold and release mechanism
KR102447455B1 (ko) 쇼 컨셉 전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