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011B1 -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011B1
KR102333011B1 KR1020210086898A KR20210086898A KR102333011B1 KR 102333011 B1 KR102333011 B1 KR 102333011B1 KR 1020210086898 A KR1020210086898 A KR 1020210086898A KR 20210086898 A KR20210086898 A KR 20210086898A KR 102333011 B1 KR102333011 B1 KR 10233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pening
unit
closing
blu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찬오
이현철
이은영
유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앤
Priority to KR102021008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06T5/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DB, 저장DB에 저장된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을 확인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제어장치가 내장된 영상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 객체를 쉽게 확인하여 정확한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CORRECTING IMAGE BY RECOGNIZING DISTORTION}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지리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지형 및 지리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지리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때, 도화이미지는 제작 시점이 오래 지나면, 새로운 도화이미지로 갱신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서는 항공영상을 새로 수집하여, 기존 도화이미지에 항공영상 내의 신규 객체를 도화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존 도화이미지에 왜곡이 있을 경우, 신규 항공영상을 통해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더라도 정확한 도화이미지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을 쉽게 확인하여 정확한 기존 도화이미지를 제작한 후 이를 토대로 기존 도화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할 시 신규 객체를 작업자가 일일히 확인하여 도화이미지를 갱신하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 객체를 쉽게 확인하여 정확한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화이미지 업데이트시 신규 항공이미지 내의 신규 객체를 신속하게 찾아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DB; 저장DB에 저장된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을 확인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제어장치가 내장된 영상도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고, 색상이 변하는 지점이 이어져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객체로 인식하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하는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도화 객체를 추출하고,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하는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 중심위치가 서로 인접하는 폐회로 객체와 도화 객체의 면적을 비교하여 폐회로 객체 면적에 비해 기준 값 이상 차이 나는 도화 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되, 정상도화코드가 입력된 도화객체 이외의 도화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는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에 의해 지정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고, 외곽라인 표시를 음성으로 알리는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을 도화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도화모듈; 도화모듈에 의해 수정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가 신규 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게 수정 도화이미지와 신규 항공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이미지중첩모듈; 이미지중첩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여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이 변하는 지점이 이어져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건물객체로 인식하여 추출하고,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일정 색상값으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객체가 존재하고 색상객체 내에 일정 색상값을 갖고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라인이 존재하면 색상객체를 도로객체로 인식하여 추출하는 객체추출모듈; 객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와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비교하고,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제외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의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수정 도화이미지에 표시하되, 미리 설정된 색상값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의 일정 범위의 색상값을 포함하는 신규 항공이미지 건물객체를 블러링객체로 인식하여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출력하지 않는 신규객체표시모듈;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 및 이에 따른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에서의 영역을 잘라내어 블러링객체영상으로 추출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 신규객체표시모듈에 의해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객체 중 선택된 객체의 표시를 해제하는 객체표시해제모듈; 저장DB에 저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 해당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매칭되게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하는 영상지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도화기가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가 형성되는 도화수납부;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도화기를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제1홀딩부; 및 개폐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영상도화기를 개폐유닛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제2홀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영상도화기는, 제어장치가 내장되는 영상도화본체; 영상도화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영상도화안착부; 및 영상도화안착부에 장착되는 영상도화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도화완충부는, 영상도화안착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 완충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 및 한 쌍의 절개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개폐유닛은,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1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1주름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개폐부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2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2주름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홀딩부는,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며 개방공간부 방향으로 승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 복수의 홀딩 실린더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 및 가압바에 마련되며 영상도화안착부의 하부를 가압하여 영상도화기를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2홀딩부는, 제1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 제2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어 영상도화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 클램핑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 및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도화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집게; 를 포함하고, 한 쌍의 클램핑 집게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왜곡 객체를 보정한 수정 도화이미지를 토대로 도화 갱신 작업을 수행하여 보다 정확한 갱신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으며,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시, 기존 도화이미지에 수정객체를 표시함으로써, 기존 도화이미지를 쉽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 신규객체가 존재할 경우,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분석하여, 신규 항공이미지와 중첩되어 신규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신규객체 외곽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수정 도화이미지를 신속하게 1차 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객체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표시할 시, 표시된 외곽라인에 대응하는 신규객체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여, 도화가 필요없는 객체(예를 들어 자동차)의 표시를 해제함으로서, 다수의 신규객체 외곽라인에 대해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의 신규객체 중 도로객체의 외곽라인을 색상값을 이용하여 쉽게 추출할 수 있어, 보다 쉽고 정확하게 도로객체를 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값을 이용해 신규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도시할 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 외곽라인을 도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가 수정 도화이미지에서 신규객체로 도화되지 않도록 하여, 수정 도화이미지의 수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와,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1차 도화가 이루어진 후 다수의 상기 블러링객체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상기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표시한 후,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 내를 도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블러링객체에 대한 도화작업만을 중점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블러링객체의 도화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를 추출할 시, 상기 블러링처리객체가 아닌 객체영상이 추출되면, 1차 도화후 이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처리객체 추출로 인해 미도화된 신규객체에 대해 정확한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객체가 있는 기존 항공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를 토대로 왜곡 객체가 정상적으로 도화된 기존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도화이미지에 수정할 왜곡 객체가 표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도화이미지가 수정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되어 보안(블러링)처리된 신규 항공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 도화이미지에 객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신규객체의 외곽라인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블러링객체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표시해제모듈에 의해 객체가 해제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객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블러링처리된 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도화가 완료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가 제2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가 제1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입력기(100), 영상도화기(200), 디스플레이(110) 및 저장DB(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입력기(100)는 영상도화기(20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이 적용된다.
상기 저장DB(120)는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항공이미지가 도화된 기존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121)와; 기존 도화이미지의 도화 객체 중, 기존 항공이미지에 존재하는 왜곡 객체가 정상적으로 도화된 도화 객체에, 정상도화코드를 입력하는 정상도화코드입력모듈(122)을 갖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21)는 신규 항공이미지를 저장하고, 영상도화기(20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영상도화기(200)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듀얼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기(200)에는 제어장치(210)가 내장되며, 제어장치(210)는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210l)과,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210m)과,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210j)과,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과, 도화모듈(210i)과, 이미지중첩모듈(210a)과, 객체추출모듈(210b)과, 신규객체표시모듈(210c)과,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210d)과,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210f)과, 객체표시해제모듈(210e)과,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210g) 및, 영상지정모듈(210h)를 갖춘다.
상기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210l)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고, 색상값이 변하는 경계라인이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객체로 인식하며, 상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210l)는 상기 폐회로 객체의 외곽라인 위치를 추출한 후, 외곽라인 위치를 토대로 상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210m)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도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210m)은 상기 도화 객체의 외곽라인 위치를 추출한 후, 외곽라인 위치를 토대로 상기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210j)은 상기 중심위치가 인접하는 폐회로 객체와 도화 객체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폐회로 객체 면적에 비해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도화 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되, 정상도화코드가 입력된 도화객체 이외의 도화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한다.
상기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은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210j)에 의해 지정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이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외곽라인 표시를 음성으로 알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곽라인은 점멸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알림은 상기 외곽라인의 위치를 알리는 음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중첩모듈(210a)은 도화모듈(210i)에 의해 수정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가 신규 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게 수정 도화이미지와 신규 항공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상기 객체추출모듈(210b)은 이미지중첩모듈(210a)에 의해 출력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여,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계라인이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건물객체로 인식하여 추출하고,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일정 색상값으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색상객체 내에 일정 색상값을 갖고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라인이 존재하면 상기 색상객체를 도로객체로 인식한다.
상기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은 객체추출모듈(210b)에 의해 추출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와,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비교하고,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제외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의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수정 도화이미지에 표시하되, 미리 설정된 색상값을 기준 범위 이상 포함하는 신규 항공이미지 건물객체를 블러링객체로 인식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210d)은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 및 이에 따른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저장DB(120)에 저장한다.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210f)은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를 잘라 블러링객체영상을 추출하여 저장DB(120)에 저장한다.
상기 객체표시해제모듈(210e)은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에 의해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객체 중 선택된 객체의 표시를 해제한다.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210g)은 저장DB(120)에 저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 해당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매칭되게 상기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상기 영상지정모듈(210h)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한다.
상기 도화모듈(210i)은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에 의해 표시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을 도화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그리고 도화모듈(210i)은 상기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상기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 안을 객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도화하거나 상기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상기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도화한다. 또한 도화모듈(210i)은 객체표시해제모듈(210e)에 의해 해제되지 않은 객체를 수정 도화이미지에 도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객체가 있는 기존 항공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토대로 왜곡 객체가 정상적으로 도화된 기존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등에 표시된 각 도형은 지형지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지형지물의 영상을 도형 형태로 도식화한 것이다.
항공이미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이 발생한 왜곡 객체(a)가 존재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왜곡 객체(a)가 있는 항공이미지를 토대로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왜곡 객체(a)가 존재하는 실제 위치에서 촬영한 보조 영상(예를 들어 객체의 3D 영상 또는 객체의 근접 촬영 영상)을 참조하여, 제어장치(210)의 도화모듈(210i)를 매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이 보정된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이때, 작업자는 저장DB(120)의 정상도화코드입력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도화이미지의 도화 객체 중, 상기 항공이미지에 존재하는 왜곡 객체가 정상적으로 도화된 도화 객체(b)에, 정상도화코드를 입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가 저장DB(120)의 저장부(121)에 저장된 상태에서, 신규 항공이미지가 수집되면 기존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위해, 작업자는 저장DB(120)에 저장된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왜곡도화객체 지정신호를 입력하면,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210l)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고, 색상값이 변하는 경계라인이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객체로 인식하여, 상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한다.
그리고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210m)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도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한다. 이때 기존 도화이미지의 도화 객체 추출은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일정 색상값을 갖고서 폐회로를 이루는 색상값을 추출함으로써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도화이미지에 수정할 왜곡 객체가 표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도화이미지가 수정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와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가 추출되면,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210j)은 상기 중심위치가 인접하는 폐회로 객체와 도화 객체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폐회로 객체 면적에 비해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도화 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되, 정상도화코드가 입력된 정상도화 객체(b) 이외의 도화 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한다.
그리고,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은,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210j)에 의해 지정된 지정왜곡도화 객체(c)의 외곽라인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기존 도화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외곽라인 위치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때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은 정상도화 객체(b)의 중심에 원 표시를 하여 정상도화 객체(b)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상도화 객체(b)에 원 표시가 이루어지면 작업자가 도화 작업을 위해 기존 도화이미지와 기존 항공이미지를 육안으로 비교할 시 정상도화 객체(b)의 존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제어장치(210)의 도화모듈(210i)을 매개로,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210k)에 의해 표시된 지정왜곡도화 객체(c)의 외곽라인을 도화하여, 도 5와 같은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되어 보안(블러링)처리된 신규 항공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정 도화이미지에 객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신규객체의 외곽라인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가 제작되면, 작업자는 입력기(100)를 통해 중첩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장치(210)의 이미지중첩모듈(210a)이, 상기 수정 도화이미지가 신규 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게 수정 도화이미지와 신규 항공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중첩모듈(210a)에 의해 수정 도화이미지와 신규 항공이미지의 중첩이 이루어지면, 객체추출모듈(210b)은 도 6과 같은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여 신규 항공이미지 내에서 색상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계라인이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건물객체로 추출한다.
이때, 객체추출모듈(210b)은 검은색 색상값을 갖고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색상객체 내에 노란색 색상값을 갖고서 기준 길이 이어지는 색상라인이 존재하면, 상기 검은색 색상값을 갖는 색상객체를 아스팔트로 인식하고 상기 노란색 색상값을 갖는 색상라인을 중앙선으로 인식하여 상기 색상객체를 도로객체로 추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신규 항공이미지는 상기 도로객체를 이루는 상기 아스팔트 및 중앙선이 명확히 보일 수 있는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객체추출모듈(210b)에 의해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가 추출되면,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은 상기 추출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와,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비교하고,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제외한 신규 항공이미지의 신규 건물객체의 외곽라인(d) 및 도로객체의 외곽라인(e)을 추출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에 상기 외곽라인을 출력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은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또는 도로객체의 외곽위치에 대응하는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에서 색상값을 추출하여,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의 색상값이 일정범위 내의 값을 가지면서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위치를 상기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또는 도로객체와 매칭되는 객체로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은 색상값을 이용하여 수정 도화이미지의 객체와 신규 항공이미지의 객체의 매칭을 비교하지만, 수정 도화이미지 내의 객체와 신규 항공이미지 내의 객체를 비교할 수 있는 기술이면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블러링객체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은 신규 항공이미지의 블러링 처리 색상값을 기준 범위 이상 포함하는 신규 항공이미지 건물객체를 블러링객체로 인식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추출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는, 신규 항공이미지 내의 객체 색상값과 차이가 큰 색상값으로 블러링 처리된 영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에 신규객체의 외곽라인을 출력할 시,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블러링처리된 객체를 제외함으로써, 블러링처리된 객체가 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신규객체표시모듈(210c)에 의한 블러링객체 인식이 완료되면,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210d)은 인식된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 및 이에 따른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을 저장DB(12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장치(210)의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210f)은,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를 잘라 블러링객체영상을 추출하여 저장DB(12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210d)에 의해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추출되면,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210f)은 상기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 위치좌표를 따라 구역을 설정하여 상기 구역 내의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도 8(a,b)와 같은 블러링객체영상을 추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표시해제모듈에 의해 객체가 해제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제어장치(210)의 객체표시해제모듈(210e)은, 입력기(1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객체 중 입력기(100)에 의해 선택된 객체의 표시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차량 등 도화에 필요없는 객체(일정 크기 이하의 객체)가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되었을 시,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상기 차량을 선택(클릭)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요없는 객체의 표시가 해제된다.
이때 작업자는 디스플레이(110)에 신규 항공이미지를 띄운 후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상기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객체를 확인하여, 상기 필요없는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도화기(200)에 이미지위치전환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이미지위치전환모듈(미도시)에 이미지위치전환신호를 입력하면, 이미지위치전환모듈(미도시)이 신규 항공이미지를 수정 도화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신규 항공이미지를 통해 상기 필요없는 객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도화가 필요없는 객체 표시를 해제함으로써, 다수의 객체 표시에 대한 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입력기(100)를 통해 도화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장치(210)의 도화모듈(210i)을 매개로, 상기 해제되지 않은 객체를 수정 도화이미지에 1차 도화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입력기(100)를 통해 제어장치(210)의 도화모듈(210i)에 신호를 입력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라인이 표시된 객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에 도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도화는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지만, 입력기(10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도화모듈(210i)이 자동으로 상기 외곽라인이 표시된 객체를 도화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객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1차 도화가 이루어진 후,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블러링객체영상 출력신호를 입력하면, 제어장치(210)의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210g)은, 입력기(1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장DB(120)에 저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 해당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매칭되게 상기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블러링객체영상 출력신호를 입력하면,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210g)은 저장DB(120)에 저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는 블러링객체영상에는 해당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매칭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확인하여,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과, 실제로는 블러링처리가 되지 않았지만 상기 블러링객체영상과 함께 추출된 객체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수정 도화이미지 보정시 블러링객체와 신규객체에 대한 도화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블러링처리된 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도화가 완료된 수정 도화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 작업자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서 실제 블러링처리가 이루어진 블러링객체영상을 입력기(100)를 통해 클릭하면, 영상지정모듈(210h)은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 위치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되되어 디스플레이(110)에 나타내지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서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을 입력기(100)를 통해 클릭하면, 영상지정모듈(210h)은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 위치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되어 디스플레이(110)에 나타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 도화신호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면, 도화모듈(210i)은 상기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 안을 객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도화한다.
이때 도화모듈(210i)은 상기 외곽라인 안에 아무것도 표현되지 않아 상기 외곽라인이 해당하는 위치가 주변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도화한다.
또한, 작업자가 입력기(100)를 통해, 상기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 도화신호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면, 도화모듈(210i)은 상기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도 14와 같이 도화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차 도화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입력기(10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도화모듈(210i)에 의해 상기 2차 도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최초 도화 시 최초 항공이미지(이하 기존 항공이미지)에 존재하는 왜곡 객체를 정상적으로 도화한 후, 상기 왜곡 객체에 대응하는 최초 도화이미지(이하 기존 도화이미지)의 도화 객체에 정상도화코드를 입력한다.
한편 기존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시 작업자가 실수를 하여 기존 도화이미지에 왜곡 객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도화이미지를 토대로 도화 갱신 작업을 수행할 시,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를 비교하여 기존 도화이미지 내의 왜곡 객체를 확인(인식)함으로써, 기존 도화이미지 내의 왜곡 객체를 수정도화한다.
이때 기존 항공이미지의 왜곡 객체는 상기 왜곡 객체에 대응하는 기존 도화이미지의 정상도화 객체와 매칭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정상도화 객체가 왜곡 객체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왜곡 객체를 확인할 시 정상도화코드가 입력된 상기 정상도화 객체를 제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갱신 도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도화이미지를 수정한 후, 수정 도화이미지를 신규 항공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할 시, 기존 도화이미지에 수정객체를 표시함으로써, 기존 도화이미지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 신규객체가 존재할 경우,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분석하여, 신규 항공이미지와 중첩되어 신규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신규객체 외곽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수정 도화이미지를 신속하게 1차 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객체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표시할 시, 표시된 외곽라인에 대응하는 신규객체 영상을 작업자가 확인하여, 도화가 필요없는 객체(예를 들어 자동차)의 표시를 해제함으로서, 다수의 신규객체 외곽라인에 대해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의 신규객체 중 도로객체의 외곽라인을 색상값을 이용하여 쉽게 추출할 수 있어, 보다 쉽고 정확하게 도로객체를 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값을 이용해 신규객체의 외곽라인을 수정 도화이미지에 도시할 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 외곽라인을 도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가 수정 도화이미지에서 신규객체로 도화되지 않도록 하여, 수정 도화이미지의 수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와,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1차 도화가 이루어진 후 다수의 상기 블러링객체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객체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상기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표시한 후, 상기 블러링객체 외곽라인 내를 도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블러링객체에 대한 도화작업만을 중점적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블러링객체의 도화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블러링처리된 블러링처리객체를 추출할 시, 상기 블러링처리객체가 아닌 객체영상이 추출되면, 1차 도화후 이를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처리객체 추출로 인해 미도화된 신규객체에 대해 정확한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도화기(200)는 영상도화본체(220), 영상도화본체(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영상도화안착부(230) 및 영상도화안착부(230)에 장착되는 영상도화완충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도화본체(220)는 제어장치(210)가 내장되어 도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기(100)와 디스플레이(110)는 영상도화본체(2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저장DB(120)는 영상도화본체(220)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영상도화안착부(230)를 이용하여 영상도화기(200)는 제1홀딩부(500) 또는 제2홀딩부(6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도화수납부(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완충부(240)는 영상도화안착부(23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241), 완충바디(241)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241)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242) 및 한 쌍의 절개홀(24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241)에 마련되어 완충바디(241)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243)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도화기(200)가 제1홀딩부(500)의 베이스플레이트(520) 또는 제2홀딩부(600)의 제1바디(610)와 제2바디(620)에 체결시 한 쌍의 절개홀(242)에 의해 체결되는 영역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접촉 영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영상도화기(200)의 체결 시 복수의 완충홀(243)에 의해 완충바디(241)가 부드럽게 수축 또는 팽창되어 영상도화기(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폭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도화기(200)를 제2홀딩부(6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충격이나 진동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완충부(240)는 고무나 섬유 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가 제2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도화기가 제1홀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영상도화기(200)가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310)가 형성되는 도화수납부(300),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310)를 개폐하는 개폐유닛(400),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제1홀딩부(500) 및 개폐유닛(4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영상도화기(200)를 개폐유닛(400)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제2홀딩부(600)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도화기(200)는 제1홀딩부(500)에 의해 도화수납부(300)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2홀딩부(600)에 의해 도화수납부(3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400)은 개방공간부(310)가 마련된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 내부에 배치시 영상도화기(200)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개방공간부(31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400)은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310)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410)와,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310)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410)는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 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411),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411)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411)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412)와,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4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412)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412)의 로드를 덮는 제1주름부(413)와,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4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개폐부(410)의 제1개폐바디(411)와 제2 개폐바디(421)는 내부가 비어있어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410)의 제1개폐실린더(412)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압 펌프나 유압 펌프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공기나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는 제2개폐실린더(42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름부(413)는 주름지게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개폐시 신축되어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주름부(413)는 제1개폐실린더(412)의 로드를 덮도록 마련되어 물이나 먼지 등이 제1개폐실린더(412)의 내부나 로드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제2주름부(42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414)은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부(420)는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310)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421),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421)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421)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422),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42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422)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422)의 로드를 덮는 제2주름부(423), 도화수납부(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4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홀딩부(500)는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홀딩부(500)는 영상도화기(200)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거나, 작업 중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또는 바람이 심한 경우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딩부(500)는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800),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700), 회전기구(7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310)의 방향으로 승강(상승 또는 하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520), 베이스플레이트(520)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530), 복수의 홀딩실린더(530)에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520)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540), 가압바(540)에 마련되며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하부를 가압하여 영상도화기(200)를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패드(55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800)와 회전기구(7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홀딩실린더(53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550)는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하부에 접촉되어 영상도화안착부(230)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패드(550)는 고무를 포함하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영상도화안착부(23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의 내부에 배치할 경우,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공간부(3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는 제1개폐실린더(412)와 제2개폐실린더(422)에 의해 당겨져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높이조절부(800)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520)를 개방공간부(310)에 삽입되게 상승시키며 이때 영상도화기(200)는 개방공간부(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바로 하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홀딩실린더(530)를 작동시켜 탄성패드(550)로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하부를 가압한다.
마지막으로 높이조절부(800)를 작동시켜 베이스플레이트(520)를 설정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제1개폐바디(411)와 제2개폐바디(421)로 개방공간부(310)를 밀폐한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제1개폐바디(411) 및 제2개폐바디(421)에 마련되어 제1홀딩부(500)자는 별개로 영상도화기(20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영상도화기(200)를 이용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할 시 도화수납부(3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홀딩부(600)에 영상도화기(200)를 체결시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제1개폐바디(411)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610), 제2개폐바디(421)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620), 제1바디(610) 및 제2바디(620)에 각각 마련되어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610)는 제1개폐바디(41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411)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620)는 제2개폐바디(421)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421)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630)는 제1바디(610) 및 제2바디(620)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631), 클램핑바디(631)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632),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632)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도화안착부(230)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집게(6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홀딩부(600)는 영상도화기(200)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고정의 견고성을 전술한 제1홀딩부(500)와 다르게 집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핑집게(633)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810), 하부조절부(8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820) 및 중간조절부(8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8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조절부(8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조절부(8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조절부(8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조절부(8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8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조절부(810)는 내부에 중공(8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8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8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조절부(8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8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820)는 하부조절부(8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8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8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8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8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8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8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조절부(8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8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조절부(830)는 중간조절부(8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8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절부(8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8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8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조절부(820)의 제1외측하단부(821)는 하부조절부(810)의 케이스단부(8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조절부(820)의 제1세로단부(823)는 상부조절부(830)의 제2세로단부(8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조절부(820)의 제1내측하단부(822)는 상부조절부(830)의 제2세로단부(8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조절부(820)의 제1외측하단부(821)는 중간조절부(8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813)를 타고 넘어 하부조절부(8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8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조절부(820)는 케이스돌기(8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8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8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822) 및 제1세로단부(8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8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810), 중간조절부(820) 및 상부조절부(830)의 중공(811)에는 세로탄성부(8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840)는 상부조절부(8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조절부(8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조절부(8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8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8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8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조절부(8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조절부(8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850)는 하부조절부(8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8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조절부(8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8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8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8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8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8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860)에서 세로와이어(850)를 감으면 상부조절부(8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860)에서 세로와이어(850)를 풀면 상부조절부(8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8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조절부(830)는 세로와이어(8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8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조절부(820)도 제1내측하단부(822)가 제2세로단부(8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820)와 상부조절부(830)는 하부조절부(8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세로인출부(860)로부터 세로와이어(850)가 풀리면, 상부조절부(830)가 세로탄성부(8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조절부(830)는 하부조절부(8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조절부(820)의 제1외측하단부(821)는 하부조절부(8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8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조절부(830)만 하부조절부(8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조절부(820)는 하부조절부(8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조절부(8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조절부(820)의 제1세로단부(823)와 상부조절부(830)의 제2세로단부(831)가 접촉되면, 중간조절부(820)에도 세로탄성부(8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조절부(820)의 제1외측하단부(821)가 케이스돌기(8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조절부(820)도 하부조절부(8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조절부(820)와 상부조절부(8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세로인출부(86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860)로부터 세로와이어(8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조절부(810)로부터 상부조절부(830), 중간조절부(820) 순으로 높이조절부(8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도화기(200)를 도화수납부(300) 내부에 수납할 때에는 세로와이어(850)가 세로인출부(8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820) 또는 상부조절부(8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700)는, 베이스플레이트(5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520) 및 영상도화기(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710) 및 수평회전부(7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710)는, 베이스플레이트(52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711), 회전케이스(7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베이스플레이트(52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7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7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712), 회전로드(7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713), 회전케이스(7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7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711a) 및 회전연장판(7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7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7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712)는 회전케이스(7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712)의 상단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520) 및 영상도화기(20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7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7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7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713)은 회전걸림부(7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714)은 회전케이스(7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7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711)와 회전로드(7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7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부(720)는 수평회전부(7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721), 제어로드(722), 멈춤부(723), 제어스프링(724), 방지부(725), 제어이동부(726), 제어이동케이스(727) 및 제어손잡이(7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7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7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7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7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7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7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7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7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7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7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7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7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7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7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7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7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723)는 이러한 멈춤홈(7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723)는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723)는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712)는 멈춤부(7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7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7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7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7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712b)는 멈춤부(723)가 회전로드(712)의 멈춤홈(7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723)가 멈춤홈(7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724)은 멈춤부(723)와 회전케이스(7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724)은 제어로드(722) 및 멈춤부(7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725)는 제어케이스(7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7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725)의 외측면과 방지홈(7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725)가 방지홈(7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722) 및 멈춤부(7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7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726)는 방지부(7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727)는 제어케이스(7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7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726)는 제어이동케이스(7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728)는 제어이동케이스(7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7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7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7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7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7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7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7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7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7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722)는 제어스프링(7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723) 역시 멈춤홈(7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7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520)는 멈춤부(7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520)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728)를 놓고, 제어스프링(7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7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7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723)가 멈춤홈(7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7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725)는 방지홈(7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7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7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입력기 110 : 디스플레이 120 : 저장DB
200 : 영상도화기 210 : 제어장치 220 : 영상도화본체
230 : 영상도화안착부 240 : 영상도화완충부 241 : 완충바디
242 : 절개홀 243 : 완충홀 300 : 도화수납부
310 : 개방공간부 400 : 개폐유닛 410 : 제1개폐부
411 : 제1개폐바디 412 : 제1개폐실린더 413 : 제1주름부
414 : 제1가이드레일 420 : 제2개폐부 421 : 제2개폐바디
422 : 제2개폐실린더 423 : 제2주름부 424 : 제2가이드레일
500 : 제1홀딩부 520 : 베이스플레이트 530 : 홀딩실린더
540 : 가압바 550 : 탄성패드 600 : 제2홀딩부
610 : 제1바디 620 : 제2바디 630 : 클램핑부
631 : 클램핑바디 632 : 클램핑실린더 633 : 클램핑집게
700 : 회전기구 710 : 수평회전부 711 : 회전케이스
711a : 회전걸림부 712 : 회전로드 712a : 멈춤홈
712b : 멈춤돌기 713 : 회전연장판 714 : 회전볼
720 : 회전제어부 721 : 제어케이스 721a : 방지홈
722 : 제어로드 723 : 멈춤부 724 : 제어스프링
725 : 방지부 726 : 제어이동부 727 : 제어이동케이스
728 : 제어손잡이 800 : 높이조절부 810 : 하부조절부
811 : 중공 812 : 케이스단부 813 : 케이스돌기
820 : 중간조절부 821 : 제1외측하단부 822 : 제1내측하단부
823 : 제1세로단부 830 : 상부조절부 831 : 제2세로단부
840 : 세로탄성부 850 : 세로와이어 860 : 세로인출부
870 : 인출결합부

Claims (1)

  1. 항공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DB; 저장DB에 저장된 기존 항공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기존 도화이미지의 왜곡을 확인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제어장치가 내장된 영상도화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고, 색상이 변하는 지점이 이어져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객체로 인식하며, 폐회로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하는 폐회로객체위치추출모듈;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서 도화 객체를 추출하고, 도화 객체의 중심위치를 추출하는 도화객체위치추출모듈; 중심위치가 서로 인접하는 폐회로 객체와 도화 객체의 면적을 비교하여 폐회로 객체 면적에 비해 기준 값 이상 차이 나는 도화 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되, 정상도화코드가 입력된 도화객체 이외의 도화객체를 왜곡도화 객체로 지정하는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 왜곡도화객체지정모듈에 의해 지정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기존 도화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고, 외곽라인 표시를 음성으로 알리는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 왜곡도화객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된 왜곡도화 객체의 외곽라인을 도화하여 수정 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도화모듈; 도화모듈에 의해 수정도화된 수정 도화이미지가 신규 항공이미지의 상측에 위치하게 수정 도화이미지와 신규 항공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이미지중첩모듈; 이미지중첩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색상값을 추출하여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색상이 변하는 지점이 이어져 폐회로를 이루면 해당 폐회로를 건물객체로 인식하여 추출하고, 신규 항공이미지에서 일정 색상값으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객체가 존재하고 색상객체 내에 일정 색상값을 갖고서 기준 길이 이상 이어지는 색상라인이 존재하면 색상객체를 도로객체로 인식하여 추출하는 객체추출모듈; 객체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와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비교하고, 수정 도화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를 제외한 신규 항공이미지의 건물객체 및 도로객체의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수정 도화이미지에 표시하되, 미리 설정된 색상값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의 일정 범위의 색상값을 포함하는 신규 항공이미지 건물객체를 블러링객체로 인식하여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을 출력하지 않는 신규객체표시모듈;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 및 이에 따른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을 추출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블러링객체외곽라인저장모듈; 블러링객체의 외곽라인의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신규 항공이미지의 위치에서의 영역을 잘라내어 블러링객체영상으로 추출하여 저장DB에 저장하는 블러링객체영상추출모듈; 신규객체표시모듈에 의해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된 객체 중 선택된 객체의 표시를 해제하는 객체표시해제모듈; 저장DB에 저장된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에 해당 블러링객체 외곽라인의 위치좌표가 매칭되게 다수의 블러링객체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블러링객체영상출력모듈;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실제 블러링처리된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블러링객체영상 중 블러링처리되지 않은 블러링객체영상이 지정되면, 블러링객체영상의 외곽라인을 블러링객체영상에 대응하는 수정 도화이미지에 출력하는 영상지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도화기가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방공간부가 형성되는 도화수납부;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방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도화기를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제1홀딩부; 및 개폐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영상도화기를 개폐유닛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제2홀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도화기는,
    제어장치가 내장되는 영상도화본체; 영상도화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영상도화안착부; 및 영상도화안착부에 장착되는 영상도화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도화완충부는,
    영상도화안착부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완충바디; 완충바디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절개홀; 및 한 쌍의 절개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완충바디에 마련되어 완충바디의 수축 및 팽창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홀;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방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일측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바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1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1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1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1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1주름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개폐부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폐공간부의 타측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개폐바디에 연결되어 제2개폐바디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실린더; 일측부는 제2개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개폐실린더의 바디에 결합되어 제2개폐실린더의 로드를 덮으며 제2개폐바디의 개폐시 신축되는 제2주름부; 및 도화수납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딩부는,
    도화수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며 개방공간부 방향으로 승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딩실린더; 복수의 홀딩 실린더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이동되는 가압바; 및 가압바에 마련되며 영상도화안착부의 하부를 가압하여 영상도화기를 위치 고정시키는 탄성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홀딩부는,
    제1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1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1바디; 제2개폐바디에 마련되어 제2개폐바디와 같이 이동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어 카메라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클램핑바디; 클램핑바디에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 및 한 쌍의 클램핑실린더에 각각 연결되어 영상도화안착부의 하부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핑 집게; 를 포함하고, 한 쌍의 클램핑 집게는 서로 접하는 영역이 회전 가능하도록 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구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에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10086898A 2021-07-02 2021-07-02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3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98A KR102333011B1 (ko) 2021-07-02 2021-07-02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98A KR102333011B1 (ko) 2021-07-02 2021-07-02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011B1 true KR102333011B1 (ko) 2021-12-01

Family

ID=7890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98A KR102333011B1 (ko) 2021-07-02 2021-07-02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570B1 (ko) * 2022-03-04 2022-06-14 (주)서원공간정보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62904B1 (ko) * 2022-04-26 2022-11-04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12697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변화된 지형을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WO2023153538A1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한컴인스페이스 Ai 기반 지형변화 자동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83B1 (ko) * 2010-03-02 2010-10-29 명화지리정보(주) 지피에스 좌표를 기준으로 한 지형 및 지물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의 지역별 보정시스템
KR101565496B1 (ko) * 2014-07-22 2015-11-0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46573B1 (ko) * 2018-10-24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KR102195534B1 (ko) * 2020-08-18 2020-12-28 (주)디에스정보기술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여 지정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183B1 (ko) * 2010-03-02 2010-10-29 명화지리정보(주) 지피에스 좌표를 기준으로 한 지형 및 지물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의 지역별 보정시스템
KR101565496B1 (ko) * 2014-07-22 2015-11-0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46573B1 (ko) * 2018-10-24 2019-05-21 (주)동광지엔티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KR102195534B1 (ko) * 2020-08-18 2020-12-28 (주)디에스정보기술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여 지정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38A1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한컴인스페이스 Ai 기반 지형변화 자동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408570B1 (ko) * 2022-03-04 2022-06-14 (주)서원공간정보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62904B1 (ko) * 2022-04-26 2022-11-04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12697B1 (ko)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변화된 지형을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011B1 (ko)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해 왜곡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삼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US438337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adjustable jig
US12000955B2 (en) Autonomous setup and takedown of calibration environment for vehicle sensor calibration
KR102311384B1 (ko) 디지털 촬영이미지의 위치별 3차원 가시화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174822B1 (ko) 지도 데이터와 이미지 합성을 통한 지형 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39B1 (ko)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 갱신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5072430B (zh) 一种调整投影图像的方法和设备
KR101946573B1 (ko)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195534B1 (ko)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여 지정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JP6898433B2 (ja) 作業領域画像検出装置を有する曲げ機械
US7262789B2 (en) Method of creating a virtual window
KR102307616B1 (ko) 3차원 입체영상이미지의 형성을 위해 드론과 차량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462904B1 (ko)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오차를 인식하여 도화이미지를 수정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60074B1 (ko)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11383B1 (ko) 드론을 이용한 오류 정보의 보정 처리가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487808B1 (ko) 변화된 지형지물을 확인하여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3679729A (zh) 基于彩色标定板的全自动摄像机参数标定方法
CN102342088A (zh) 用于校正车载照相机的校正指标、利用该校正指标的车载照相机的校正方法以及用于使用该校正指标的车载照相机的校正装置的程序
KR102323924B1 (ko)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정보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6678B1 (ko)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N113390336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可调式屏幕贴合对位装置和标定方法
CN105865338B (zh) 煤气柜活塞的偏移、扭转测量方法和装置
JPWO2019030820A1 (ja) 飛行体、飛行体制御装置、飛行体制御方法および飛行体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