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146B1 -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146B1
KR102332146B1 KR1020210083369A KR20210083369A KR102332146B1 KR 102332146 B1 KR102332146 B1 KR 102332146B1 KR 1020210083369 A KR1020210083369 A KR 1020210083369A KR 20210083369 A KR20210083369 A KR 20210083369A KR 102332146 B1 KR102332146 B1 KR 10233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reservation
server
liv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344A (ko
Inventor
김한나
안현정
신선영
조항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8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서버에서,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고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접근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방송 예약 시각에 라이브 방송이 시작되면,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여, 상기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서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더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2 WAY LIVE BROADCAST}
본 발명은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쇼핑몰에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라이브 방송을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일 플랫폼을 선택하여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온라인 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 온라인 시장은 초기 비용이 적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다. 또한 온라인 시장에서는, 동일한 상품을 여러 쇼핑몰에서 취급할 경우 가격 비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시장에 비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은 상품의 사진만을 업로드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의류의 경우에는 상품의 사진만을 통해 실제 상품을 착용하였을 때의 느낌을 알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기반 자료가 부실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웹 사이트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서로 공유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 서버에서,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고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접근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방송 예약 시각에 라이브 방송이 시작되면,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여, 상기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서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더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메인 서버에 있어서,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 및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서버에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방송 예약 시각을 기반으로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방송 예약 요청을 추기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접근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전송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데이터 공유 모듈,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 상기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상기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고,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웹 사이트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웹 사이트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라이브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시스템의 구동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메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라이브 방송이 진행되기 이전에 시청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라이브 방송 중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라이브 방송 중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이 동작하기 위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진행자(10)가 라이브 방송을 촬영함과 동시에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메인 서버(20)에 전송하면, 메인 서버(20)는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서버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표시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제1 어플리케이션(25)을 통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로부터 라이브 방송에 대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피드백으로는 채팅 메시지, 좋아요(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좋아요는 상품의 인기 순위를 결정하는데 참고될 수 있으며, 그 개수로 산정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방송 진행자가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면, 파트너십 관계에 있는 고객사 서버(30)에 접근 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용 채널을 생성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의 특정 소스에 접근하여, 방송 진행자(10)로부터 수신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고객사 서버(30)에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고객사 서버(30) 역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을 통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로부터 라이브 방송에 대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것이다. 고객사 서버(30)는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인 서버(20)는 제1 사용자 피드백 뿐 아니라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더 표시할 수 있으며, 고객사 서버(30)는 제2 사용자 피드백 뿐 아니라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은 작성자의 ID와 닉네임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25) 및 제2 어플리케이션(35)에 표시될 때, 작성자의 닉네임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웹 페이지에서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을 더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메인 서버의 구성도로, 이하에서는 서버로 명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메인 서버(20)는 통신 모듈(100), 데이터 처리 모듈(200), 데이터 공유 모듈(300), 저장 모듈(400),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500)을 포함할 것이다.
통신 모듈(100)은 파트너십이 설정된 고객사 서버(30)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할 것이다. 방송 예약 요청은 예약 제목, `고유 식별 ID, 방송 예약 시각, 방송 시간, 대기 이미지, 관련 상품 URL, API 또는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것이다. 고유 식별 ID는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 진행자의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와 고객사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예약 요청이 검증된 고객사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라이브 방송이 고객사에 소속된 방송 진행자에 의해 진행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대기 이미지는 방송 예약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전에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표시될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방송 예약 시간이 오후 2시 30분이고, 대기 시간을 30분이라고 가정하면, 서버는 오후 2시부터 라이브 방송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대기 이미지를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기 이미지는 라이브 방송에서 다룰 상품에 대한 정보, 그에 관련된 텍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좌표는 고객사 서버에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라이브 방송을 표시할 방송 노출 영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의미한다. 이때 위치 좌표는 고객사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본 값이며, 관리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통신 모듈(100)은 방송 예약 요청에 대한 예약이 완료되면, 고객사 서버(30)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0)은 방송 예약 시간이 되어 라이브 방송이 시작되면, 라이브 방송 데이터 및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모듈(100)은 라이브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방송 진행자로부터 수신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와,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수신된 방송 예약 요청을 이용하여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을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저장 모듈(400)에 저장된 방송 예약 정보가 기록된 방송 예약 리스트를 로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방송 예약 요청에서 방송 예약 시각과 방송 시간을 추출하고, 방송 시간대를 연산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방송 예약 리스트에서 연산된 방송 시간대에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것이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예약 실패 메시지를, 존재하지 않으면 예약 성공 메시지를 생성하여 고객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예약 성공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예약 식별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예약 식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방송 예약 시각이 되면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는 방송 진행자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예약 시각이 오후 2시 30분이고, 방송 시간이 1시간이라고 가정하면,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방송 예약 리스트에서 오후 2시 30분부터 오후 3시 30분 사이에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방송 예약 리스트에 오후 3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예약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고객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예약 실패 메시지에 방송 예약 시각 전후에 존재하는 방송 예약 정보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방송 예약 시간이 오후 2시 30분이면, 전후 2시간동안 존재하는 방송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예약된 방송 시각과 방송 시간을 예약 실패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예약 실패 메시지는 "예약 실패, 에러코드 001, 현재 예약 내역: 오후 3시, 1시간 방송 예약 중"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약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고객사 서버(30)는 오후 3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시간대를 피하여 다시 방송 예약 요청을 생성하여 방송 예약을 보다 수월히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200)은 예약 성공 메시지를 생성하면,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정보를 추가할 것이다.
데이터 공유 모듈(300)은 방송 예약 요청에 포함되어 있던 API를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30)에 접근 가능하고, 고객사 서버(3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모듈(300)은 전용 채널을 생성함으로써, 고객사 서버의 특정 코드에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다. 데이터 공유 모듈(300)은 고객사 서버의 특정 코드에 접근함으로써, 고객사 서버(30)가 미리 설정한 방송 노출 영역의 위치 좌표에 라이브 방송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모듈(300)은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30)에 제1 어플리케이션(25)에서 표시되는 라이브 방송에 대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공유 모듈(300)은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30)로부터 제2 어플리케이션(35)에서 표시되는 라이브 방송에 대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어플리케이션(25)과 제2 어플리케이션(35)에서 표시되는 라이브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시청자가 현재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일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피드백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저장 모듈(400)은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방송된 모든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은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저장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도 3과 같이 방송 예약 시각에서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전부터 방송 예약 시각까지 대기 이미지와 잔여 시간을 표시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고객사 서버도 방송 노출 영역에 대기 이미지와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방송 진행자가 라이브 방송 중이면, 라이브 방송 데이터,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서버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피드백은 방송 채팅창에 표시될 수 있는데, 방송 채팅창은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의 제2 어플리케이션(35)에 표시된 화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라이브 방송 데이터와 라이브 방송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것이다.
이때 표시되는 화면은 도 1의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표시된 화면이나 도 4와 같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도 4와 같이, 도 1의 제 어플리케이션(25)에 표시된 화면에서, 시청자로부터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는 방송 노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화면에서 숨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는 사용자 피드백이 가리지 않는 깔끔한 라이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시청자로부터 스크롤 입력이 수신되면, 도 5와 같이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플로팅(floating)하고, 관련 상품의 자세한 정보와 결제 요청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모듈(500)은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저장 모듈(400)에 저장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메인 서버(20)와 파트너십이 설정된 고객사 서버(30)는 방송 진행자의 단말(10)로부터 라이브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 예약 시간, 방송 시간, 대기 이미지, 관련 상품 URL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단계 105에서, 고객사 서버(30)는 방송 진행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제2 방송 예약 요청을 이용하여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방송 예약 요청은 예약 제목, 고유 식별 ID(단말 식별 정보, 고객사 고유 식별 정보), 방송 예약 시각, 방송 시간, 대기 이미지, 관련 상품 URL, API 또는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것이다.
단계 109에서, 고객사 서버(30)는 제1 방송 예약 정보를 메인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10에서, 고객사 서버(30)로부터 제1 방송 예약 정보를 수신한 메인 서버(20)는 고객사(30)와 파트너십을 설정할 때 미리 부여한 고객사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예약 요청이 검증된 고객사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판단하여 고 객사를 검증할 수 있다.
단계 115에서 메인 서버(20)는 수신한 방송 예약 시각을 기반으로 방송 예약 정보가 기록된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여 예약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리스트에서 방송 예약 시각으로부터 방송 시간이 지날 때 까지의 방송 시간대에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시각에 대응하는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메인 서버(20)는 관리자 서버(30)에 예약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기 이전에 방송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예약 식별 정보를 더 생성하여 방송 예약 요청에 대한 고유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리스트에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면, 고객사 서버(30)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S118)하고, 고객사 서버(30)에 접근 가능한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S120)할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와 라이브 방송 데이터 및 사용자 피드백을 공유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라이브 방송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어플리케이션(25)의 방송 노출 영역을 활성화(S125)하고, 고객사 서버(30) 역시 웹 사이트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의 방송 노출 영역을 활성화(S128)할 수 있다.
방송 노출 영역이 활성화되면,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방송 예약 시각까지 제1 어플리케이션(25)의 방송 노출 영역에 대기 이미지와 잔여 시간을 표시(S130)할 수 있다. 이때 방송 노출 영역은 기 설정된 것으로 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이미지는 도 3과 같을 수 있다. 한편, 라이브 서버(30) 또한 제2 어플리케이션(35)에 대기 이미지와 잔여 시간을 표시(S133)할 수도 있다.
단계 135에서,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시각에 사전에 부여된 예약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 진행자가 메인 서버(20)에 접속하였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 서버(20)는 방송 진행자의 단말(10)이 접속하면, 저장소에 저장된 방송 예약 리스트에서 방송 진행자의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예약 정보가 있는 지 확인할 것이다. 만약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메인 서버(20)는 방송 진행자의 단말(디스플레이 모듈, 10)에 예약 정보 노출 페이지를 표시하여 방송 진행자가 예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단계 140에서, 메인 서버(20)는 방송 예약 시각에 방송 진행자 단말이 접속하여 있으면, 방송 진행자 단말에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이브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단계 145에서, 메인 서버(20)는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메인 서버(20)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25)의 방송 노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50에서, 메인 서버(20)는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55에서, 메인 서버(20)로부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고객사 서버(30)는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의 방송 노출 영역에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표시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제1 어플리케이션(25)에서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S160)하고, 고객사 서버(30)는 고객사 서버(30)에 연결된 웹 페이지 및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에서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S163)할 수 있다. 단계 165에서, 메인 서버(20)와 고객사 서버(30)는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서로 공유할 것이다.
메인 서버(20)는 제1 사용자 피드백과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제1 어플리케이션(25)의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방송 노출 영역)의 일부분에 위치한 방송 채팅창에 표시할 수 있다(S170). 또한 고객사 서버(30)도 제1 사용자 피드백과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35)의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방송 노출 영역)의 일부분에 위치한 방송 채팅창에 표시할 수 있다(S173).
단계 160에서 173까지의 과정은 라이브 방송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되어 메인 서버(20)와 고객사 서버(30)가 사용자 피드백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메인 서버(20)는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방송 시간 동안 수신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S175)한 후 제1 어플리케이션(25)에 저장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반복하여 표시(S180)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서버(20)는 고객사 서버(30)에도 저장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여 고객사 서버에 연동된 웹 페이지 및/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삭제
삭제

Claims (8)

  1.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 서버가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고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방송 예약 시각에 라이브 방송이 시작되면,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접근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의 특정 소스에 접근하여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제2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에 위치한 방송 채팅창에 함께 표시하여 고객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사 서버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2 사용자 피드백 및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에 위치한 방송 채팅창에 함께 표시하여 고객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방송 진행자 단말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2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방송 예약 요청을 통해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은 고유 식별 정보, 상기 방송 예약 시각, 방송 시간, 대기 이미지, 관련 상품 URL, 또는 전용 채널 AP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송 예약 요청은 고유 식별 정보, 상기 방송 예약 시각, 상기 방송 시간, 또는 상기 관련 상품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 정보는 상기 방송 진행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사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예약 정보가 기록된 것으로,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고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예약 시각 및 방송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에 대응되는 라이브 방송의 방송 시간대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에서 상기 방송 시간대에 상기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방송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면 고객사 서버에 예약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완료 메시지는 예약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라이브 방송을 시작하면, 사전에 부여된 상기 예약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방송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방송이 검증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은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웹 페이지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표시할 방송 노출 영역의 위치 좌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객사 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고객사의 웹 페이지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좌표에 표시하는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좌표는 상기 고객사로부터 미리 설정된 것인 쌍방향 라이브 방송 지원 방법.
  6.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메인 서버에 있어서,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로부터 방송 예약 시각을 포함하는 제1 방송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예약 완료 메시지 및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서버에 연동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방송 예약 시각을 기반으로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방송 예약 요청을 추가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접근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피드백을 전송하고, 상기 고객사 서버에 연동된 웹 페이지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데이터 공유 모듈;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사 서버의 특정 소스에 접근하여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제2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1 사용자 피드백 및 상기 고객사 서버와 연동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제2 사용자 피드백을 상기 라이브 방송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분에 위치한 방송 채팅창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피드백을 함께 표시하여 고객이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이브 방송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라이브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반복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송 예약 요청은 고유 식별 정보, 상기 방송 예약 시각, 방송 시간, 대기 이미지, 관련 상품 URL, 또는 전용 채널 AP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 정보는 방송 진행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사 서버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완료 메시지는 예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식별 정보 및 예약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방송을 검증하고, 상기 방송 예약 시각과 상기 방송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예약 요청에 대응되는 라이브 방송의 방송 시간대를 연산하며, 상기 방송 예약 리스트에 상기 방송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정보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메인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방송 예약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상기 방송 예약 시각까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대기 이미지와 상기 방송 예약 시각까지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모듈은 상기 대기 이미지와 상기 잔여 시간을 상기 고객사 서버에 전송하는 메인 서버.
KR1020210083369A 2019-10-31 2021-06-25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369A KR102332146B1 (ko) 2019-10-31 2021-06-25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30A KR20210052019A (ko) 2019-10-31 2019-10-31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83369A KR102332146B1 (ko) 2019-10-31 2021-06-25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30A Division KR20210052019A (ko) 2019-10-31 2019-10-31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344A KR20210080344A (ko) 2021-06-30
KR102332146B1 true KR102332146B1 (ko) 2021-12-01

Family

ID=759178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30A KR20210052019A (ko) 2019-10-31 2019-10-31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83369A KR102332146B1 (ko) 2019-10-31 2021-06-25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30A KR20210052019A (ko) 2019-10-31 2019-10-31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52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40A1 (ko) * 2022-06-02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0005B (zh) * 2021-06-30 2023-08-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间的信息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97838B1 (ko) * 2021-07-29 2023-02-08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라이브 영상과 라이브 채팅을 스트리밍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27243B1 (ko) 2021-09-08 2024-01-18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그룹 식별자(id)에 기초하여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6456141B (zh) * 2023-06-08 2023-10-13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563B1 (ko) 2005-05-19 2005-12-19 주식회사 현대홈쇼핑 티비 홈쇼핑방송과 인터넷 홈쇼핑방송간의 실시간데이터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0430B1 (ko) 2017-03-23 2019-05-2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147B1 (ko) * 2001-11-01 2004-10-12 조승호 홈쇼핑 광고 방송 단말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10065155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인터넷 프로토콜 tv 서비스 장치, 양방향 통신용 리모컨 및 양방향 통신용 리모컨의 영상구현 방법
US9554175B2 (en) * 2011-07-20 2017-01-24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trigger compaction
KR101692755B1 (ko) * 2015-05-08 2017-01-04 스타일미러 주식회사 양방향 통신으로 사진, 동영상 공유가 가능한 미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563B1 (ko) 2005-05-19 2005-12-19 주식회사 현대홈쇼핑 티비 홈쇼핑방송과 인터넷 홈쇼핑방송간의 실시간데이터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0430B1 (ko) 2017-03-23 2019-05-2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40A1 (ko) * 2022-06-02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19A (ko) 2021-05-10
KR20210080344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146B1 (ko) 쌍방향 라이브 방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100755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ching augmented reality target data at user devices
CN104980809B (zh) 一种弹幕处理方法和装置
US75126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rouping messaging buddies in an electronic network
CN106874460B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系统
US2013004662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Recommendation, Recommender System, and Recommender Computer Program Product
US97128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1893604B2 (en) Server-side content management
CA3079743C (en) Beacon based campaign management
CN109478194B (zh) 用于提供注释有社交场境的媒体消费历史的方法、系统、以及介质
US102572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uniform resource locator to call for different types of content
KR101783431B1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2616064B (zh) 直播间信息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CA2491891A1 (en) Techniques for conducting a survey using an item selection system
US2016026164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viting users to participate in an interactive session
CN115018581A (zh) 一种直播间对象信息展示方法、装置、介质及设备
US9940645B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in-video programming
US10616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chatrooms for consultation
CN104581371A (zh) 用于媒体互动的方法、终端、服务器以及系统
US9898751B1 (en) Direct purchase of merchandise
US9692932B2 (en) Information conveying method and system
US20240161157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igital concierge services
JP2003168047A (ja) 評価情報提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297512A (zh) 服务页面的跳转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