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847B1 -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847B1
KR102331847B1 KR1020210035055A KR20210035055A KR102331847B1 KR 102331847 B1 KR102331847 B1 KR 102331847B1 KR 1020210035055 A KR1020210035055 A KR 1020210035055A KR 20210035055 A KR20210035055 A KR 20210035055A KR 102331847 B1 KR102331847 B1 KR 10233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rame
rope
seabed
seawee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해양
Priority to KR102021003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암반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의 모종이 이식된 종사로프를 해저 암반에 설치하기 위한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해저 암반의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경사도에 따라 절곡되는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Apparatus for transplanting seaweeds rope on sea bedrock}
본 발명은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의 모종이 이식된 종사로프를 해저 암반에 설치하기 위한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이다.
해조류란 해저에서 식생하는 조류의 총칭으로, 해저의 토양에 뿌리를 내려 영양을 흡수하고 햇볕을 받아 성장하는 식물이다.
이와같은 해조류는 하구로부터 유입되는 질소나 인과 같은 많은 오염물질들을 빠르게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지하경 및 뿌리조직은 퇴적물을 안정화시키며, 퇴적물 내의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들을 흡수제거하는 특징으로 인해 자연정화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자연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생물의 산란장 및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생육지로도 사용됨에 따라 연안 수산생산성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방조제 공사를 위한 매립 또는 간척사업, 해안도로 건설 등으로 인한 연안의 빈번한 개발로 인하여 연안 밑 하구지역에 각종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생태계가 황폐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조류의 개체수가 점차적으로 축소되면서 그에 따른 해양생물의 생육이 저하되어 어족자원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며, 부영양화에 의한 적조와 같은 환경 오염이 발생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정화능력이 우수한 해조류의 인위적인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잠수부가 해조류의 모종을 직접 파지한 상태로 잠수하여 해저면에 심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잠수부가 해저면에 도달하기 전에 해조류의 모종이 해류에 의해 유실되어 해저면에 이식된 해조류의 생존률이 매우 낮았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94533 호에는 해저 암반에 고정유니트를 이용해 모조줄을 해저 암반에 고정시킴으로써 해저 암반에 해조류 군락을 형성할 수 있는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37093호에는 종사로프를 암반에 고정하기 위해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ㄴ"자 형상을 이루는 고정판을 암반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천연 암반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및 조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사로프를 암반에 직접 고정시키는 방식 및 구성은 가요성의 종사로프가 물살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해저 암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니트를 해저 암반에 설치하기 위해 고정유니트의 수만큼 해저 암반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종사로프를 교체하는 작업 시 고정유니트를 해저 암반으로부터 제거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94533호 :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37093호 : 천연 암반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및 조성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사로프를 해저에 설치하기 위한 해저 암반의 천공작업을 최소화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사로프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고정틀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된 상기 종사로프로부터 성장하는 상기 해조류의 잎 또는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틀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파지클램프와, 상기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종사로프와 맞닿는 일측에 핀고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핀고정공을 통해 상기 종사로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종사로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핀고정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틀은 상기 종묘가 이식된 위치 또는 종묘의 수량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식별눈금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틀 또는 상기 체결구에 설치되며 해조류의 포자를 해류에 편승되게 확산시키는 포자확산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포자확산유닛은 상기 고정틀 또는 상기 체결구에 설치되며 결속공이 관통 형성된 아이너트와, 일측이 상기 결속공을 통해 상기 아이너트와 결속되는 결속로프와, 상기 결속로프의 타측에 결속되고 상기 포자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이 형성된 모조주머니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고정틀이 해저 암반에 설치 된 상태에서 종사로프가 체결구에 의해 고정틀에 체결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사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최소화 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암반에 고정된 고정틀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구를 해체 및 재설치 하는 방법을 통해 종사로프의 철거 및 재설치가 가능하여 종사로프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해저 암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해저 암반이 이식된 상태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7은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파지클램프가 걸림편을 더 구비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고정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고정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해저 암반(1)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해저 암반(1)의 형상에 따라 절곡되는 고정틀(10)과, 해조류(2)의 종묘가 이식되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고정틀(10)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20)와, 고정틀(10)을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30)와, 종사로프(20)를 종사로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틀(10)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40)를 포함한다.
고정틀(1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틀(10)은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된 종사로프(20)로부터 성장하는 해조류(2)의 잎 또는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종사로프(20)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1)이 관통 형성된다.
도 11에는 고정틀(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틀(10')은 관통공(11)이 생략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관통공(11)은 고정틀(10)의 폭방향을 따라 중심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11)은 고정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이다. 관통공(11)의 종사로프(20)의 외경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관통공(11)은 고정틀(10)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부에 해저 암반에 고정구(30)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고정공(12)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공(12)은 고정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틀(10)이 절곡됨에 따라 고정틀(10) 및 고정구(30)가 상호 상대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고정틀(10)은 해수에 노출된 환경에서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해저 암반(1)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곡될 수 있게 소성변형 또는 탄성변형 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된다.
고정틀(10)과 후술할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에는 밀착부(43)가 종사로프(20)를 고정틀(10)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호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파지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체결공은 고정틀(1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틀 체결공(13a, 13b)과, 후술할 제1 및 제 2결합부(45, 47)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체결공(45a, 47b)으로 구분된다. 제 1 및 제 2 고정틀 체결공(13a, 13b)는 고정틀(10)의 폭 방향을 따라 관통공(11)의 양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한편, 종사로프(20)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꼬아만든 로프에 해조류(2)의 포자를 이식시킨 뒤 포자가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물을 감음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종사로프(20)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해중의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30)는 고정틀(10)을 해저 암반(1)의 표면에 대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일부가 해저 암반(1)에 매설될 수 있는 앵커볼트(31)와, 앵커볼트(31)의 상부 일부가 고정틀(10)의 고정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볼트(31)와 나사결합되어 고정틀(10)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나사(32)가 적용된다.
체결구(40)는 종사로프(20)를 고정틀(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파지클램프(41)와, 파지클램프(41) 및 고정틀(10)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과, 파지클램프(41) 및 종사로프(20)를 상호 체결하는 핀고정구(49)를 포함한다.
파지클램프(41)는 일측에 종사로프(20)의 외주면 일부가 밀착되며 종사로프(20)를 고정틀(10)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43)와, 밀착부(43)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고정틀(10)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클램프(41)는 새들클램프(saddle clamp) 방식이 적용된다.
밀착부(43)와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는 일체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밀착부(43)는 종사로프(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43a)이 마련되도록 호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밀착부(43)는 종사로프(20)와 맞닿는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핀고정공(43b)이 관통 형성된다.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는 밀착부(43)의 양 단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결합부체결공(45a, 47a)는 파지클램프(41)의 제1 및 제 2결합부(45, 47)가 고정틀(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고정틀체결공(13a, 13b)와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파지수단은 제 1 및 제2 고정틀체결공(13a, 13b)와 제 1 및 제 2 결합부체결공(45a, 47b)에 각각 관통 삽입되는 파지볼트(51)와, 파지볼트(51)와 나사결합되어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와 고정틀(10)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너트(52)가 적용된다.
핀고정구(49)는 둥근나사머리와, 둥근나사머리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나사몸로 이루어진 드릴형 나사못이 적용된다. 핀고정구(49)는 하단부에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연장되어 종사로프(20)에 찔러넣기 용이한 첨단부가 형성된다. 핀고정구(49)의 나사몸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나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핀고정구(49)는 밀착부(43)의 핀고정공(43b)에 관통삽입된다. 핀고정구(49)는 밀착부(43)와 관통결합되며 밀착부(43)와 밀착된 종사로프(20)에 박히도록 결합됨으로써 종사로프(20)와 파지클램프(41)를 상호 체결한다. 핀고정구(49)는 종사로프(20)의 핀고정공(43b)을 통해 종사로프(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종사로프(2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파지클램프(41)가 종사로프(20)를 충분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체결될 시 제외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11에는 고정틀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틀(10'')은 일측이 해저 암반(1)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90,90')과,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90,90')의 사이에서 두께방향과 평행한 축선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단위고정틀(97)을 포함한다. 제 3단위고정틀(97)은 일측이 제 1단위고정틀(9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제 2단위고정틀(9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은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된 종사로프(20)로부터 성장하는 해조류(2)의 잎 또는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종사로프(20)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91, 91', 98)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91, 91', 98)은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90, 90', 97)의 폭방향을 따라 중심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91, 91', 98)은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체결공은 제 1단위고정틀(90)에 형성되는 제 1-1체결공(93a)과, 제 2단위고정틀(90')에 형성되는 제 1-2체결공(93a')과, 제 3단위고정틀(97)에 형성되는 제 1-3체결공(99a)로 구분된다.
제 2체결공은 제 1단위고정틀(90)에 형성되는 제 2-1체결공(93b)과, 제 2단위고정틀(90')에 형성되는 제 2-2체결공(93b')과, 제 3단위고정틀(97)에 형성되는 제 2-3체결공(99b)로 구분된다.
고정공은 제 1단위고정틀(9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고정공(92)과, 제 2단위고정틀(9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고정공(92')으로 구분된다.
제 1단위고정틀(90)은 타측 부분이 제 1힌지축(95)을 통해 제 3단위고정틀(97)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제 2단위고정틀(90')은 타측 부분이 제 2힌지축(96)을 통해 제 3단위고정틀(97)의 타측과 힌지결합된다. 제1 및 제 2힌지축(95, 96)은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의 두께방향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 3단위고정틀(97)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제 3단위고정틀들은 두께방향과 평행한 축선으로 상대회전 가능하여 상호 절첩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단위고정틀(90)과 제 2단위고정틀(9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제 3단위고정틀(97)이 두께방향과 팽행한 축선을 갖도록 힌지결합되어 직렬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 2, 3단위고정틀(90, 90', 97)은 해저 암반(1)의 표면에 인접하게 설치시 해저 암반(1)에 형성된 수초 또는 다른 암반과 같은 장애물을 피하여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파지클램프(41)와 고정틀(10)을 상호 체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파지수단이 끼움못(55)으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지수단은 체결공을 통해 끼움결합되어 파지클램프(41)와 고정틀(10)을 상호 체결하는 끼움못(55)을 구비한다.
끼움못(55)은 체결공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삽입축(56)과, 삽입축(56)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삽입머리(57)와, 삽입축(56) 및 삽입머리(47)가 체결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삽입축(56)의 삽입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58)를 포함한다.
삽입축(56)은 상호 포개어진 제 1 또는 제 2결합부(45, 47)와 고정틀(10)의 두께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된다. 삽입머리(57)는 삽입축(56)의 일측에서 삽입축(56)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삽입축(56)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삽입머리(57)는 체결공보다 넓은 외경을 가지며,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넓어지는 직경의 부채꼴 외형을 갖는다. 삽입머리(57)는 삽입머리(57)와 삽입축(56)의 사이가 비어있게 구성되어 체결공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머리(57)의 종단부가 삽입축(56)과 근접하도록 탄성변형 될 수 있게 구성된다. 삽입머리(57)는 삽입축(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머리(57)는 두 개가 형성된 것이다. 이탈방지부(58)는 삽입축(56)의 타측에서 상기 삽입축(56)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연장된다. 이탈방지부(58)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삽입머리(57) 및 삽입축(56)을 제 1 및 제 2고정틀 체결공(13a, 13b)과 제 1 및 제 2결합부체결공(45a, 47b)에 용이하게 박아넣을 수 있도록 넓적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수단이 끼움못(55)을 구비하는 구성은 작업자가 파지클램프(41)를 고정틀(10)에 체결하기 위해 별도의 렌치 및 스패너와 같은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며, 단순히 손가락으로 삽입머리(57)를 누르는 동작으로 끼울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8에는 파지클램프(41)를 고정틀(10)과 체결하기 전 가조립 할수 있도록 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체결공은 고정틀(10)에 형성되는 제 2고정틀 체결공(13b)과, 제 2결합부(47)에 관통 형성되는 제 2결합부체결공(47b)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고정틀(10)에는 폭 방향의 일측에 걸림편(60)이 걸리도록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공(13c)가 관통 형성된다. 걸림공(13c)은 고정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걸림공(13c)은 후술할 걸림편(60)의 두께 이상의 폭으로 형성된다. 걸림공(13c)은 걸림편(60)의 폭 이상의 길이로 연장된다.
파지클램프(41)는 제 1 또는 제 2결합부(45, 4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편(60)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편(60)이 같이 제 1결합부(45)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결합부(45)는 밀착부(43)가 종사로프(20)와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부(43)의 단부로부터 걸림공(13c)의 상부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된다.
걸림편(60)은 제 1결합부(45)의 종단부로부터 제 1결합부(45)와 직교하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편연결부(61)와, 걸림편연결부(61)의 종단부로부터 걸림편연결부(61)와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편밀착부(62)를 포함한다. 걸림편연결부(61) 및 걸림편밀착부(62)는 제 1결합부(45)의 종단부를 절곡하여 제 1결합부(45)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편연결부(61)는 고정틀(10)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편(60)을 구비하는 파지클램프(41)는 사용자가 걸림편밀착부(62)를 걸림공(16c)에 삽입한 상태에서 밀착부(43)를 종사로프(20)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종사로프(20)가 고정틀(10)에 밀착되게 밀착부(43)를 가압하면 걸림편밀착부(62)의 상면이 고정틀(10)의 하면과 밀착되며 걸림편연결부(61)가 걸림공(16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2결합부(47)는 앞서 설명한 파지볼트(51) 및 파지너트(52)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고정틀(10)과 상호 체결될 수 있음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클램프(41)에 걸림편(60)이 형성된 구성은 파지클램프(41)의 일측을 걸림공(16c)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파지클램프(41)를 가설할 수 있어 파지클램프(41)를 고정틀(10)에 체결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도 9에는 파지수단이 파지편(65a, 65b)으로 이루어진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지수단은 제 1 또는 제 2결합부(45, 47)의 하부에 고정틀(10)의 폭 방향의 단부가 감싸지는 파지공간(66)을 마련하도록 연장되어 제 1 또는 제 2결합부(45, 47)와 함께 고정틀(10)을 파지하는 파지편(65a, 65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편(65a, 65b)은 제 1결합부(45)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파지편(65a)과, 제 2결합부(47)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파지편(65b)으로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 중 제 1 결합부(45)에만 형성되고, 제 2결합부(47)에는 앞서 서술된 다른 방식의 파지수단과 병존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 2파지편(65a, 65b)가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는 각각의 종단부의 거리가 고정틀(10)의 폭 이상의 거리를 갖는 길이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파지편(65a, 65b)은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파지편연장부(67a, 67b)와, 제 1 및 제 2파지편연장부(67a, 67b)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파지유도부(68a, 68b)로 각각 구분된다.
제 1 및 제 2파지편연장부(67a, 67b)는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의 종단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밀착부(43)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파지편연장부(67a, 67b)와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의 사이에는 고정틀(10)의 폭 방향의 각 단부가 감싸질 수 있는 파지공간(66)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및 제 2파지유도부(68a, 68b)는 제 1 및 제 2파지연장부(67a, 67b)의 종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및 제 2파지유도부(68a, 68b)는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밀착부(4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에 고정틀(10)와 밀착됨에 따라 제 1 및 제 2파지연장부(67a, 67b)를 제 1 및 제 2결합부(45, 47)로부터 벌어지게 유도하는 제 1 및 제 2파지유도단(69a, 69b)이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지편(65a, 65b)을 구비하는 파지수단은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가 없는 상태에서도 파지클램프(41)를 고정틀(10)에 체결하거나, 종사로프(20)를 교체하기 위해 파지클램프(41)를 취외하는 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해조류(2)의 종묘가 부착된 종사로프(20)가 고정틀(20)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틀(20)이 고정구(30)에 의해 해저 암반(1)에 고정됨으로써 종사로프(20)를 설치하기 위한 암반(1)의 천공작업을 최소화 시킴에 따라 종사로프(20)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고정틀(10)이 해저 암반(1)의 표면 경사도를 따라 절곡됨으로써 종사로프(20)로부터 성장함에 따라 연장되는 해조류(2)의 뿌리가 해저 암반(1)에 생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작업자가 종사로프(20)를 체결구(40)를 이용해 고정틀(10)에 체결시키거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사로프(20)를 교체하기 위해 암반으로부터 고정구(30)를 취외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교체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체결구 외의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체결공은 고정틀(1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틀 체결공(13a, 13b)로 구성된다. 종사로프(20)는 고정틀(10)의 하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의 체결구(80)는 파지클램프(81)가 U볼트(U-bolt) 방식이 적용된 것이다.
파지클램프(81)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측에 종사로프(20)가 수용될 수 있는 반원 단면의 수용공간(83a)를 형성하도록 호형으로 연장된 밀착부(83)와, 밀착부(83)의 양 단부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며 고정틀(10)의 제 1 및 제 2 고정틀 체결공(13a, 13b)에 관통 삽입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85, 87)을 구비한다.
밀착부(83)는 제 1 및 제 2고정틀체결공(13a, 13b)의 간격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경의 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결합부(85, 87)는 제 1 및 제 2고정틀체결공(13a, 13b)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밀착부(83)와 제 1 및 제 2결합부(85, 87)은 제 1 및 제 2고정틀체결공(13a, 13b)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결합부(85, 87)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파지너트(93)가 각각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사사선이 형성된다.
파지수단은 파지클램프(81)와 함께 종사로프(20)를 가압 지지하는 가압편(91)과, 파지클램프(81)를 고정틀(10)과 체결하는 파지너트(93)을 포함한다.
가압편(91)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가압편(91)은 제 1 및 제 2고정틀체결공(13a, 13b)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 2가압편체결공(91a, 91b)가 형성된다.
파지너트(93)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 1 및 제 2 결합부(85, 87)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너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지클램프(81)는 수용공간(83a)에 종사로프(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결합부(85, 87)가 제 1 고정틀체결공(13a, 13b) 및 제1 및 제 2가압편체결공(91a, 91b)에 관통 삽입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파지너트(93)는 제1 및 제 2결합부(85, 87)에 나사결합되며 가입편(91)과 밀착부(83)가 고정틀(10) 및 종사로프(20)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파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파지클램프(81)가 U볼트 방식으로 구성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종사로프(20)가 고정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종사로프(20)가 해저 암반(1)과 더욱 인접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해조류(2)의 뿌리가 해저 암반(1)에 용이하게 생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조류(2)의 종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식별눈금 및 포자확산유닛 외의 구성요소들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고정틀(10) 또는 상기 체결구(40)에 설치되며 해조류의 포자를 해류에 편승되게 확산시키는 포자확산유닛(70)을 더 구비한다.
고정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식별눈금(14)이 표시된다. 식별눈금(14)은 고정틀(10)의 폭 방향의 일측에 형성된다. 식별눈금(14)은 기호 또는 이미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식별눈금(14)은 관통공(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포자확산유닛(70)은 고정틀(10) 또는 체결구(40)에 설치되며 결속공(72)이 관통 형성된 아이너트(71)와, 일측이 상기 결속공(72)을 통해 상기 아이너트와 결속되는 결속로프(73)와, 상기 결속로프(72)의 타측에 결속되고 해조류의 포자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해조류의 포자(76)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75)이 형성된 모조주머니(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너트(71)는 파지볼트(51)에 설치된다. 아이너트(71)는 일측에 파지볼트(51)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고리부가 형성된 부재이다. 결속로프(72)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가 꼬아져 제조되며, 가요성을 갖는 로프가 적용된다. 모조주머니(74)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유출공(75)이 관통 형성된 그물망이 적용된다. 모조주머니(74)는 수용공간 내에 다수의 해조류의 포자(76)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포자확산유닛(70)은 고정틀(10)에 아이너트(71)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가 형성되거나 별도의 고정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아이너트(71)가 고정틀(10)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포자확산유닛(70)에 의해 해조류의 포자(78)가 해류에 편승되어 외부로 확산됨에 따라 해조류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가 설치된 해저 암반(1) 주변 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에서 번식하는 것을 유도하여 해조류의 번식영역을 확장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는 고정틀(10)에 식별눈금(14)이 표시됨으로써, 하나의 고정틀(10)에 고정된 종사로프(20)에 종묘가 이식된 위치 및 수량을 파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정틀(10)이 설치된 지역에서 종묘의 유실율을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1 : 해저 암반 2 : 해조류
10 : 고정틀 20 : 종사로프
40 : 체결구 60 : 걸림편

Claims (10)

  1.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와;
    상기 고정틀 또는 상기 체결구에 설치되며 해조류의 포자를 해류에 편승되게 확산시키는 포자확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포자확산유닛은 상기 고정틀 또는 상기 체결구에 설치되며 결속공이 관통 형성된 아이너트와, 일측이 상기 결속공을 통해 상기 아이너트와 결속되는 결속로프와, 상기 결속로프의 타측에 결속되고 상기 해조류의 포자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해조류의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이 형성된 모조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체결된 상기 종사로프로부터 성장하는 상기 해조류의 잎 또는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3. 삭제
  4.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틀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파지클램프와, 상기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은 상기 밀착부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호 동축을 이루는 위치에 상기 파지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일측에서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삽입축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머리와, 상기 삽입축의 타측에서 상기 삽입축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연장되어 상기 삽입축 및 상기 삽입머리가 상기 체결공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축의 삽입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끼움못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5.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틀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파지클램프와, 상기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틀은 폭 방향의 일측에 상기 파지클램프의 단부가 걸리도록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파지클램프는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편연결부와, 상기 걸림편연결부의 종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편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착부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면 상기 고정틀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걸림편연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밀착부을 포함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6.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틀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파지클램프와, 상기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부의 하부에 상기 고정틀의 폭 방향의 단부가 감싸지는 파지공간을 마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결합부와 함께 상기 고정틀을 파지하는 파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7.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종사로프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고정틀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틀과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파지클램프와, 상기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고정틀을 상호 체결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종사로프와 맞닿는 일측에 핀고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핀고정공을 통해 상기 종사로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종사로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핀고정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종묘가 이식된 위치 또는 종묘의 수량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식별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9. 삭제
  10. 해저 암반의 표면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해저 암반의 형상에 따라 절곡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틀과;
    해조류의 종묘가 이식되며 상기 해저 암반과 인접하도록 상기 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는 종사로프와;
    상기 고정틀을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와;
    상기 종사로프를 상기 종사로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틀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틀은 일측이 상기 해저 암반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과,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단위고정틀에 의해 지지되며 두께방향과 평행한 축선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단위고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KR1020210035055A 2021-03-18 2021-03-18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KR10233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55A KR102331847B1 (ko) 2021-03-18 2021-03-18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55A KR102331847B1 (ko) 2021-03-18 2021-03-18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847B1 true KR102331847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055A KR102331847B1 (ko) 2021-03-18 2021-03-18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0097A (zh) * 2022-08-22 2022-12-30 三亚中科海洋研究院 用于造礁石珊瑚移植的装置及固定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928A (ja) * 2001-11-26 2003-06-03 Shibata Ind Co Ltd 海藻等の養殖基盤および養殖方法
KR100994533B1 (ko) 2010-03-10 2010-11-15 주식회사 오션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KR101193516B1 (ko) * 2012-03-14 2012-10-22 정희영 해조부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6410B1 (ko) * 2013-04-10 2013-12-04 김기준 해중림조성장치
KR101937093B1 (ko) 2018-05-21 2019-01-11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천연 암반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및 조성방법
KR102010005B1 (ko) * 2018-06-26 2019-08-12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해중림조성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928A (ja) * 2001-11-26 2003-06-03 Shibata Ind Co Ltd 海藻等の養殖基盤および養殖方法
KR100994533B1 (ko) 2010-03-10 2010-11-15 주식회사 오션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KR101193516B1 (ko) * 2012-03-14 2012-10-22 정희영 해조부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6410B1 (ko) * 2013-04-10 2013-12-04 김기준 해중림조성장치
KR101937093B1 (ko) 2018-05-21 2019-01-11 주식회사 비에스해양개발 천연 암반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및 조성방법
KR102010005B1 (ko) * 2018-06-26 2019-08-12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해중림조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0097A (zh) * 2022-08-22 2022-12-30 三亚中科海洋研究院 用于造礁石珊瑚移植的装置及固定方法
CN115530097B (zh) * 2022-08-22 2023-12-29 三亚中科海洋研究院 用于造礁石珊瑚移植的装置及固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966B1 (ko) 해중림초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중림초 조성방법
KR102331847B1 (ko) 해조류 종사줄 암반직접이식장치
JP4916294B2 (ja) 草体移植具および水底における草体の移植方法
KR101415493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수중 저연승 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0953803B1 (ko) 잘피 이식용 구조물
KR101199306B1 (ko)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US9681645B2 (en) Structure for attracting and accumulating aquatic organisms
JP4215737B2 (ja) アマモ場の造成方法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KR20210139069A (ko)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1207552B1 (ko)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CN102598934A (zh) 一种水生植物栽种装置及栽种方法
JP2008193917A (ja) テングサ海藻礁
JP2007259790A (ja) 植栽基盤および植栽方法
KR102487951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해조류 이식판 설치방법
CN105900713B (zh) 一种水下种草装置
CN109566284A (zh) 一种快速种植沉水植物的方法
KR102077278B1 (ko) 친환경 모조 주머니
CN210480988U (zh) 一种适用于深水河湖水系的原位生态修复装置
KR101961801B1 (ko) 암반 종묘 이식 블록
KR100720124B1 (ko) 해중림조성용 계단식 조림초
CN218042831U (zh) 一种用于河口生态修复的植被固定装置
KR102448872B1 (ko) 해초 생육공간이 마련된 소파블록
Alkire Artificial regeneration of bottomland hardwoods in southern Mississippi on lands damaged by Hurricane Katrina
JP4398055B2 (ja) 藻場造成用海藻種苗の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