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069A -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 Google Patents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069A
KR20210139069A KR1020200057344A KR20200057344A KR20210139069A KR 20210139069 A KR20210139069 A KR 20210139069A KR 1020200057344 A KR1020200057344 A KR 1020200057344A KR 20200057344 A KR20200057344 A KR 20200057344A KR 20210139069 A KR20210139069 A KR 20210139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seagrass
present
unit
zal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임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5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9069A/ko
Publication of KR2021013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4Transplanting machines for deeper setting or shifting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는 잘피;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을 골부분에 위치시키는 V자형 철심;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과 철심의 골 부분을 묶는 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지상 잘피 고정 작업이 용이하고, 수중 잘피 이식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이식 후 잘피가 온전하게 식립 유지되는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Seagrass transplanting unit and transplantation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잘피의 서식지 조성하기 위한 잘피 이식 작업시, 파도나 조류에 의해 이식된 잘피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잘피가 해저면에 깊숙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여 해양 생태계를 복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잘피로 불리우는 거머리말속의 해초는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왕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 등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모래나 뻘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의 해저면에 서식하는 해초류로서 측지가 발생하여 영양 번식을 하거나 일정시기에 꽃을 피워 수분이 이루어진 후 종자로도 번식한다.
이러한 거머리말속 해초의 지하경 및 뿌리 조직은 퇴적물을 안정화시키고, 퇴적물 내의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을 흡수 제거할 수 있는 자연정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뛰어난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이들 서식지는 해양 생물의 산란장 및 보육장으로 사용되며 생물종 다양성 및 연안환경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 하구 및 연안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잘피는 잎, 엽초, 지하경 및 뿌리로 구분되며, 뿌리가 착생하는 지하부(地下部)에는 미세한 입자들이 덮혀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갯지렁이 등이 서식할 수 있어 게나 어류의 먹이를 공급해 주고, 엽초나 잎에 형성된 부착 조류나 주위의 해양 동식물을 섭식하기 위해 어류가 몰려들게 되므로 다양한 해양 동물의 생육지나 은신처로 사용되므로 건강한 잘피 군락은 건강한 생태계유지와 수산생산성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잘피 군락은 우리나라 연안의 수자원 보호에 기여하는 역할이 대단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십 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매립, 해안선 공사와 준설 등으로 잘피 서식지가 50~70%이상이 훼손되었으며, 세계적으로도 근래에 인위적인 요인 및 자연적인 요인으로 절반이상의 잘피서식지가 감소하여 그 생태적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잘피 서식지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다양한 잘피 서식지 복원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잘피 서식지 복원 기술인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207552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방으로 잘피가 수용되기 위한 움푹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부 양단에는 소정 절개된 체결홈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퇴적물에 박히도록 뾰족한 삽입부가 형성된 잘피고정핀과, 상기 수용홈부에 잘피가 견고하게 결착되도록 잘피에 점착되는 점토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점토가 상기 잘피고정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점토와 상기 잘피고정핀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려 지지되는 고정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207552 등과 같이 점토를 사용하는 모든 방법들은 실제 수중에서 잘피 이식 작업 중, 또는 식립 후에 점토가 수중에서 빠르게 녹아 없어짐에 따라 잘피를 묶는 부분이 느슨하게 되어버려, 거친 파도와 조류에 이식 작업 중이나 이식 후 잘피들이 정상 이식되지 못하고 떠내려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잘피 고정핀으로 사용하는 나무 소재는 실상 수중에서 잘 분해되지 못하므로, 수중 바닥에 오래 박혀 유해 환경을 조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739342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역시 점토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식 작업시 수중에서 점토가 녹아 부력에 의해 잘피가 떠내려가 버리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어서 잘피 이식 작업에 실질적인 개선 작업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207552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0002]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739342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상 잘피 고정 작업이 용이하고, 수중 잘피 이식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이식 후 잘피가 온전하게 식립 유지되는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잘피;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을 골부분에 위치시키는 V자형 철심;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과 철심의 골 부분을 묶는 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잘피는 채취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한 후, 지하경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잘피는 2개 이상의 잘피를, 지하경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철심 골 부분에 대고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끈은 종이, 코코넛 섬유 또는 야자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수중 잘피를 채취, 수집하는 제1 단계;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하고 지하경 부분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키는 제2 단계; 2개의 잘피를 지하경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V자형 철심의 골부분에 대고 종이, 코코넛 섬유 또는 야자섬유으로 묶어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박스에 담아 수중 이식지에 운반, 투척하는 제4 단계; 수중에서 잠수부가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의 철심을 바닥에 박아 이식시키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지상 잘피 고정 작업이 용이하고, 수중 잘피 이식 작업 환경이 개선되며, 이식 후 잘피가 온전하게 식립 유지되는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잘피 형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잘피를 교차시킨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철심을 위치시킨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단계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단계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단계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단계 실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단계 실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후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이며, 도 2는 잘피 형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잘피를 교차시킨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철심을 위치시킨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단계 실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단계 실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단계 실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 단계 실시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단계 실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후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잘피 단위 이식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잘피(1); V자형 철심(2); 및 끈(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잘피(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한 후, 지하경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켜 준비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잘피의 갯수는 2개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잘피 또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잘피에도 잘 적응되고 있다.
본 발명의 잘피는 지하경 부분을 철심에 끈으로 고정시켜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잘피를 사용하는 경우, 지하경(10)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실시한다.
본 발명의 철심(2)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철사를 V자형으로 절곡시킨 것으로서, 상기 철심(2)의 골 부분(20)에 잘피 지하경(10) 부분을 위치시키고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끈(3)으로 묶어 완성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잘피(1)의 갯수가 2개 또는 2개 이상인 경우, X자형으로 지하경(10) 부분을 교차시켜 상기 철심(2)의 골 부분(20)에 넣고 끈(3)으로 묶어 완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철심(2)의 무게는 함께 묶는 잘피(1)의 수중 부력을 극복하는 무게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철심(2) 무게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표현된 철심은 본 발명의 요지를 표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통상 철심의 길이는 잘피 길이의 1/6~1/8 정도가 적합하지만, 이식지의 해류나 파도, 해저 이식지 토양 상태 등에 따라 철심의 길이와 굵기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하면,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잘피 이식을 위하여 수중에 투하한 경우, 작업 대기 중에도 잘피가 떠 올라 흩어지지 않고 수중 바닥에 앉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점토를 사용하여 자중을 형성시키는 종래기술방식과 달리 철심에 의해 부력에 대항하므로, 물에 녹을 염려가 없어 수중 작업 시간을 재촉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철심(2)의 V자 형상은 도 1과 같이 잘피를 쉽게 묶을 수 있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단부를 바닥을 향하게 하여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진흙 바닥에 아무런 도구없이 식립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끈(3)은 일반적인 철끈이나, 플라스틱 끈도 무방하지만, 수중 환경에 무해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물에 녹는 종이, 코코넛 섬유 또는 야자섬유와 같은 친환경 자연 소재의 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이 소재 끈의 실시예로는 빵포장에 사용하는 빵끈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이용한 잘피 단위 이식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단계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중 잘피를 채취, 수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2 단계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하고 지하경 부분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키는 단계로서, 제1 단계와 제2 단계는 종래기술방식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 단계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상에서 2개의 잘피(1)를 지하경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V자형 철심(2)의 골부분에 대고 종이 끈(3)으로 묶어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3 단계는 단순히 철심(2)에 잘피(1)를 끈(3)으로 묶는 작업에 불과하므로 잘피 단위 이식체의 형성 노력과 시간이 크게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4 단계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박스에 담아 수중 이식지에 운반, 투척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철심(2) 자중에 의하여 부력에 대항하므로, 제4 단계의 상황에서 잘피(1)가 수중 바닥에 잘 앉아 있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잘피(1)를 수중 바닥에 별도로 고정시키는 작업없이 안정적으로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단계는 수중에서 잠수부가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의 철심(2)을 바닥에 박아 이식시키는 단계로서,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철심(2)을 수중 바닥의 진흙에 식립시키는 것으로 이식이 종료되며, 이 과정이 손으로 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잘피(1)를 최적 이식 효율을 가지는 이식 단위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지상에서 잘피 이식 단위체를 쉽게 만들 수 있고, 수중 이식 작업 중에는 철심(2) 무게에 의해 이식지 바닥에 가라 앉아 있으므로 작업 환경을 편리하게 하고, 철심(2)을 도구없이 수중 바닥에 바로 식립함으로써, 이식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철 성분은 수중 생태계에서 이로운 작용만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철심(2)은 수중 생태 환경에 이롭고, 잘피(1) 생장 시간이 지나면 종이 끈은 녹아 없어지므로 잘피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종래기술방식의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207552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에 비교할 때, 대나무가 수중에서 매우 오랜 시간 썩지 않아 수중 생태 환경에 유해한 문제점, 이식 작업시 부력에 의해 뜨므로 작업 환경이 부자연스러운 문제점, 지주 두께에 의한 식립이 힘든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고 있다.
또한, 선등록 특허 등록번호 10-1739342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이 이식 작업시 수중에서 점토가 녹아 부력에 의해 잘피가 떠 내려가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잘피
2 : 철심
3 : 끈
10 :지하경
20 : 골 부분

Claims (5)

  1. 잘피;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을 골부분에 위치시키는 V자형 철심;
    상기 잘피 지하경 부분과 철심의 골 부분을 묶는 끈;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는
    채취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한 후, 지하경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는
    2개 이상의 잘피를, 지하경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철심 골 부분에 대고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종이, 코코넛 섬유 또는 야자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
  5. 수중 잘피를 채취, 수집하는 제1 단계;
    잘피의 퇴적물을 세척하고 지하경 부분 3~ 5 마디를 남기고 절단시키는 제2 단계;
    2개의 잘피를 지하경 부분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V자형 철심의 골부분에 대고 종이, 코코넛 섬유 또는 야자섬유으로 묶어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들을 박스에 담아 수중 이식지에 운반, 투척하는 제4 단계;
    수중에서 잠수부가 상기 잘피 단위 이식체의 철심을 바닥에 박아 이식시키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잘피 단위 이식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20200057344A 2020-05-13 2020-05-13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20210139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44A KR20210139069A (ko) 2020-05-13 2020-05-13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44A KR20210139069A (ko) 2020-05-13 2020-05-13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69A true KR20210139069A (ko) 2021-11-22

Family

ID=7871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344A KR20210139069A (ko) 2020-05-13 2020-05-13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90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87B1 (ko) 2023-02-15 2023-06-13 주식회사해림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장치
KR102541886B1 (ko) 2023-02-15 2023-06-13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방법
KR102598569B1 (ko) 2023-05-16 2023-11-07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잘피 이식 및 고정장치
KR102599261B1 (ko) 2023-06-14 2023-11-07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말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잘피 이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552B1 (ko) 2010-03-09 2012-12-03 주식회사 한국해양생태연구소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KR101739342B1 (ko) 2016-11-30 2017-05-24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552B1 (ko) 2010-03-09 2012-12-03 주식회사 한국해양생태연구소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KR101739342B1 (ko) 2016-11-30 2017-05-24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87B1 (ko) 2023-02-15 2023-06-13 주식회사해림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장치
KR102541886B1 (ko) 2023-02-15 2023-06-13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방법
KR102598569B1 (ko) 2023-05-16 2023-11-07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잘피 이식 및 고정장치
KR102599261B1 (ko) 2023-06-14 2023-11-07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말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잘피 이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9069A (ko)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Vanderklift et al. Using propagules to restore coastal marine ecosystems
JP4916294B2 (ja) 草体移植具および水底における草体の移植方法
KR101199306B1 (ko)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KR101207552B1 (ko)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KR101069721B1 (ko)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킨 해조류 및 산호 수중 이식방법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JP4358833B2 (ja) 植栽基盤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1208099B1 (ko) 매트식 잘피 이식장치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KR101421659B1 (ko) 잘피류 이식장치
KR101346681B1 (ko) 해초류 이식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방법
KR101245237B1 (ko) 말잘피 이식방법
KR20170088556A (ko) 공기압을 이용한 잘피 이식장치
KR101853235B1 (ko) 잘피 보호컵
KR101739342B1 (ko)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1346680B1 (ko) 해초류 이식 도구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방법
KR101414575B1 (ko) 해초류 고정 도구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방법
KR101962942B1 (ko) 해조류 이식용 지지구
KR102495854B1 (ko) 갯벌용 친환경 잘피이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KR102598569B1 (ko) 잘피 이식 및 고정장치
KR102541887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장치
KR102599261B1 (ko) 말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잘피 이식방법
KR102541886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