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751B1 -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751B1
KR102331751B1 KR1020200013361A KR20200013361A KR102331751B1 KR 102331751 B1 KR102331751 B1 KR 102331751B1 KR 1020200013361 A KR1020200013361 A KR 1020200013361A KR 20200013361 A KR20200013361 A KR 20200013361A KR 102331751 B1 KR102331751 B1 KR 10233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door
bracket
piec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9463A (en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Priority to KR102020001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751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와는 별도의 건물 각 층의 홀에 직립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 위쪽의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설치된 프론트 걸림 브라켓(20);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지는 리어 걸림 브라켓(3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어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12)의 상하부에는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installed upright in a hall of each floor of a building separate from the car door of an elevator ca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or pit. An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separated, comprising: a front locking bracket 20 installed on a door slide frame 11 above the elevator door 10; and a rear locking bracket 30 provided in the elevator door 10 and hooked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wherein the door slide frame 11 is the elevator pit from which the elevator door 10 is lifted. It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holder frame is provided with a rai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hanger roller 14A and a lower hanger roller 14B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ail 12, and the lower hanger 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at a position adjacent to (14B).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와는 별도로 건물 각 층의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door departure that can prevent an elevator door installed in a hall of each floor of a building separate from an elevator car moving an elevator pit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It is about prevention devices.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 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진입구에 설치되는 홀도어를 포함하는데, 각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카도어와 홀도어를 모두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엘리베이터카가 해당 층의 홀에 정지되었을 때 엘리베이커카에 설치된 카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elevator includes a car door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moving along the hoistway of a building and a hall door installed at an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hoistway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ll ar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 is open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ning of the car door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in the hall of the corresponding floor so that passengers can get on or off.

이때, 엘리베이터 도어(10)에는 앞쪽에 이탈 방지 브라켓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행거롤러가 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이 앞쪽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앞쪽은 이탈 방지 브라켓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10)의 행거롤러가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oor 1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elevator door hanger roller is separated from the rail. The portion indicated by A in FIG. 1 is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elevator door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hanger roller of the elevator door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by installing an anti-separation bracket.

그런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앞쪽은 기존의 이탈 방지 브라켓에 의해 이탈되지는 않지만 뒤쪽(도 1에서 B로 표시된 부분)은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레일(12)에서 이탈해 버리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승강통로(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엘리베이터 피트 쪽으로 휘어지면서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에서 행거롤러(14)(즉,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ㅠ) 부분)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해버리면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제위치에서 이탈해 버린다. 이처럼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외부의 강한 충격(예를 들어, 사람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이탈해버리면 사람이 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된다.However, when the elevator door 10 receives a strong impact from the outside, the front side is not separated by the existing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but the rear side (the portion marked with B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rail 12 due to the strong impact. Because it is thrown away, it often happens that the elevator door falls into the hoistway (elevator pit). 2 and 3,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ile the elevator door 10 is closed, the elevator door 10 is bent toward the elevator pit, and the hanger roller from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14) (that is,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 part) is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the elevator door is disengaged from its position. In this way, if the elevator door 10 is separated due to a strong external impact (eg, a strong impact such as a person hitting the elevator door), serious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such as a person falling into the elevator pit. do.

국내등록특허 제10-0903971호(2009.06.15 등록)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903971 (registered on June 15, 2009) 국내등록특허 제10-1047856호(2011.10.12 등록)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047856 (Registered on Oct. 12, 2011) 국내등록특허 제10-1257717호(2013.04.18 등록)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257717 (Registered on April 18,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와는 별도로 건물 각 층의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도어(홀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installed in the h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shock, separately from the elevator car moving the elevator pit, and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hall door) from being separated even by an external shoc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ensure safety by preventing i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와는 별도의 건물 각 층의 홀에 직립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위쪽의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프론트 걸림 브라켓;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에 걸려지는 리어 걸림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elevator door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installed upright in the h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separate from the car door of the elevator ca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or pit A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comprising: a front locking bracket installed on a door slide frame above the elevator door;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comprising a; rear locking bracket provided on the elevator door and hooked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의 상하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장착된 상부 행거롤러와 하부 행거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행거롤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slide frame is fixed to the wall of the elevator pit from which the elevator door is raised and lowered, the door slide frame is provided with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upper and lower hanger rollers and upper and lower hanger rollers mounted on the elevator door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ail. It is arrang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ar locking bracket is hooked to the front locking bracke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hanger roller.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에 걸려져서, 상기 상부 행거롤러와 상기 하부 행거롤러가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rear locking bracket is caught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upper hanger roller and the lower hanger roll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에는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에 걸려지는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hooking piece, and the rear 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hooking piece hooked on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hooking piece.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에는 후방 쪽으로 연장된 프론트 걸림 연장편이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연장편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어 도어 이탈 방지편은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의 한쪽 측단부에서 다른 쪽 측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편의 앞쪽에서 상기 리어 도어 이탈 방지편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front locking extens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the front locking extension is provided with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on hooking piece,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hooking piece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ar door separation The prevention piece extends from one side end of the rear locking bracket to the other side end, a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piece from the front of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piece.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단부에는 롤러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롤러 브라켓에 상기 레일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상부 행거롤러와 상기 하부 행거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ller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door, the upper and lower hanger roller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ail are mounted on the roller bracket, and the front locking bracket is mounted.

상기 레일의 하부에 확보된 롤러 수용 스페이스에 상기 하부 행거롤러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 행거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저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 행거롤러보다 상기 롤러 수용 스페이스 쪽으로 더 전진하여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hanger roller is accommodated in the roller accommodating space secured under the rai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anger roller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locking bracket is higher than the lower hanger 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dvanced further toward the roller receiving space.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롤러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locking bracke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ller bracket by a fastener.

상기 레일의 상면에는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행거롤러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이 상기 상부 돌출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hanger roller, and the coupling groove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locking bracke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slide frame by a fastener.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어가 이탈해버리는 경우를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이 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levator door due to an external strong impact, and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shock, thereby preventing a person from falling into the elevator pi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erious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in advance.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doo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5 is a front view of an elevator door employing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door employing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Fig.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doo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엘리베이터카는 건물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피트(승강구)를 따라 승강하고, 엘리베이터카가 건물의 각 층의 홀에 구비된 홀도어와 마주하도록 멈추어섰을 때에 승강홀에 구비된 홀도어와 카도어가 같이 열리게 되는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와는 별도로 건물 각 층의 홀에 직립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는 홀도어로서, 이하에서는 홀도어를 엘리베이터 도어(10)로 칭하기로 한다.The elevator car goes up and down along the elevator pit (hoistway) formed in the building, and when the elevator car stops to face the hall door provided in the h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hall door and the car door provided in the elevator hall are opened together.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10 installed upright in the h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separately from the car door of the elevator ca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levator p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door 10 is a hall door, and the hall door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vator door 10 hereinafter.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 위쪽의 벽체에는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는 길이 방향(즉, 좌우 측단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일(12)의 상면에는 상부 돌출부(12P)가 구비된다. 상부 돌출부(12P)는 레일(12)의 상면보다 더 위로 돌출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레일(12)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배면보다 더 뒤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저면 아래에는 롤러 수용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즉, 레일(12)의 하부에 롤러 수용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롤러 수용 스페이스는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행거롤러(14B)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다.A door slide frame 11 is installed on the wall above the elevator door 10 in the elevator pit. The door slide frame 11 is provided with rails 12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At this time, an upper protrusion 12P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2 . The upper protrusion 12P is a portion that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2 . In addition, the rail 12 protrudes further back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slide frame 11 . A roller accommodating space is secured under the bottom of the door slide frame 11 . That is, a roller accommodating space is secured under the rail 12 . The roller accommodation space is a space into which the lower hanger roller 14B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door 10 can enter.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상단부에는 도어 행거 프레임(13)이 구비된다. 도어 행거 프레임(13)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상단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이해 결합된다. 상기 도어 행거 프레임(13)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패널 구조를 취한다. 도어 행거 프레임(13)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 door hanger frame 1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 The door hanger frame 13 is coupled to a fastener such as a bolt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 The door hanger frame 13 has a panel structur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oor hanger frame 13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door slide frame 11 .

상기 도어 행거 프레임(13)에는 행거롤러(14)가 구비된다. 행거롤러(14)는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로 구성되는데,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장착된다.The door hanger frame 13 is provided with a hanger roller 14 . The hanger roller 14 is composed of an upper hanger roller 14A and a lower hanger roller 14B, and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re mounted on the door hanger frame 13 .

상기 상부 행거롤러(14A)는 외주면에 오목홈(14GR)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행거롤러(14A)의 오목홈(14GR) 부분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 상면에 구비된 상부 돌출부(12P)에 결합된다. 즉, 상부 행거롤러(14A)가 오목홈(14GR)에 의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구비된 레일(12)의 상부 돌출부(12P)에 걸쳐진 상태로 결합된 구조가 된다.The upper hanger roller (14A)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14G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ncave groove 14GR of the upper hanger roller 14A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12P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 That is, the upper hanger roller 14A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12P of the rail 12 provided in the door slide frame 11 by the concave groove 14GR.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는 상부 행거롤러(14A)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구비된다.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구비된 축결합홀에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축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에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하부 행거롤러(14B)가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구비된 레일(12)의 하부에 롤러 수용 스페이스가 확보되는데,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가 상기 레일(12) 아래에 확보된 롤러 수용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배치된다. 하부 행거롤러(14B)의 외주면은 도어 스라이드 프레임의 레일(12) 저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provided on the door hanger frame 13 to be disposed below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 screw portion is provided on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nd a screw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fitted into the shaft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door hanger frame 13. By coupling the nut to the door hanger frame 13,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coupled to the structure. A roller accommodating space is secured under the rail 12 provided in the door slide frame 11,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enters the secured roller accommodating space under the rail 12 and is dispos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configur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는 프론트 걸림 브라켓(JAMB/BK)(20)이 구비된다.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은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과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구비한다.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서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은 체결구에 의해서 도어 장착 프레임(15)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은 체결구에 의해서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이 체결구에 의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과 도어 장착 프레임(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된다.The door slide frame 11 is provided with a front locking bracket (JAMB/BK) 20 .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ncludes a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and a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 I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mounting frame 15 by a fastener, and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is a door slide frame by a fastener. (11) is fixed. Accordingly,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removably coupled to the door slide frame 11 and the door mounting frame 15 by means of fasteners.

상기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은 각 층의 홀에 구비된 도어 장착 프레임(JAMB)(15)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은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전면과 나란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기준으로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한쪽 후단부에서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이 구비된다. 프론트 걸림 연장편(25)도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은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후방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구조가 된다.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mounting frame (JAMB) 15 provided in the hole of each floor.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of the door slide frame 11 . A front locking extension piece 25 extending to protrude backward from one rear end of 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based on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is provided. The front locking extension 25 also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lide frame 11 . The front locking extension 25 has a structure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

상기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에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은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구조가 된다.The front locking extension piece 25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27 .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27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on locking piece 27 has a structur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locking extension piece 25 .

또한,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기준으로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다른 쪽 후단부에는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28)이 더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28)은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된다.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기준으로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다른 쪽 후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걸림 연장편(25)보다 뒤쪽으로 더 짧게 연장된 프론트 보강 걸림 연장편(28EP)이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보강 걸림 연장편(28EP)에 상기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28)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front reinforcement bracket piece 28 is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rear end of 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based on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 The front reinforcement bracket piece 28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lower engaging bracket piece 22 . On the other rear end of the front lower latching bracket piece 22 with respect to the front upper latching bracket piece 24, a front reinforcement latching extension 28EP extending shorter backward than the front latching extension 25 is provided. and the front reinforcement bracket piece 28 is provided on the front reinforcement hook extension piece 28EP.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는 리어 걸림 브라켓(30)에 구비된 리어 도어 이탈 방지편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는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에는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에 걸려지는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이 구비된다.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piece provided in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hooked.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on hooking piece 27, and the rear locking bracket 30 has a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hooking piece 34 caught by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on hooking piece 27. this is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은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과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을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ncludes a rear side bracket piece 32 and a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 piece 34 .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한쪽 측단부에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이 구비된다.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은 리어 걸림 브라켓(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A rear side bracket piece 32 is provided at one side end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locking bracket 30 .

상기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은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에 구비된다. 상기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은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은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한쪽 측단부에서 다른 쪽 측단부 쪽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은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된다.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34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3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34 has a structure extending from one side end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toward the other side end.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34 is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축홀(30SH)이 구비된다.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도어 행거 프레임(13)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이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형성된 축결합홀과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축홀(30SH)을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배면쪽에서 너트를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에 있는 나사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과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같이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provided with shaft holes 30SH through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disposed to face the door hanger frame 13,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formed in the door hanger frame 13 with a shaft coupling hole and the rear locking bracket 30 By coupling the nut to the threaded portion on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from the rear side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n the state coupled through the shaft hole 30SH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hanger frame 13 is mounted together.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에는 앞쪽으로 더 많이 돌출된 리어 연장 걸림편(36)이 더 구비된다. 리어 연장 걸림편(36)은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리어 연장 걸림편(36)은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의 위쪽에 배치된다.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protruding more forward. The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 The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is disposed above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34 .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편의 앞쪽에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은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의 옆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도어 이탈 방지편은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의 앞쪽에 배치된다.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engaging piece 34 of the rear engaging bracket 30 is hooked from the front of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piece of the front engaging bracket 20 .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disposed next to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27 of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 In addition,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piece of the rear engaging bracket 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engaging piece 27 of the front engaging bracket 20 .

또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에서 가장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어 연장 걸림편(36)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 아래의 롤러 수용 스페이스로 들어가 있으면서 동시에 하부 행거롤러(14B)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protruding most forward from the rear locking bracket 30 enters the roller accommodating space under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hanger roller 14B. going further insid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10) 위쪽에 설치된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엘리베이터 도어(10)에 구비된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걸려짐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에서 주요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ar locking bracket 30 provided in the elevator door 10 is hooked to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nstalled above the elevator door 10, so that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re is a main feature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10 even when applied.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는 좌우로 개폐되는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에 각각 설치된다.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that are opened and close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에 상기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은 기존 이탈 방지 브라켓으로 인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이라 함은 제1엘리베이터 도어(10) 제2엘리베이터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부 쪽을 의미하는데,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에 가해지면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은 기존의 이탈 방지 브라켓으로 인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은 기존의 이탈 방지 브라켓으로 행거롤러(14)(즉,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의 이탈이 방지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while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closed, the first elevator door 10 ) and the front of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e to the existing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The front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means the inner end side facing each other when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close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while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closed,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The front of the door 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e to the existing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The front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is an existing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anger roller 14 (that is,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do.

이때,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은 기존에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이탈되기 때문에, 심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이라 함은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내측단부와 반대되는 외측단부 부분을 의미하는데,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어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은 기존의 이탈 방지 브라켓으로 인하여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의 이탈이 되지 않지만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에서는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이탈되어서 신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previously separated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a serious safety accident is caused.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means an outer end portion opposite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the first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the front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Although the lower hanger roller 14B does not separate, at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re separated to prevent a serious safety accident. it will cause

그런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로 인하여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앞쪽은 물론 뒤쪽에서도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However, due to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of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prevented from the front as well as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do. That is, the rear of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외부(주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있는 건물 각 층의 홀)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이 방지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엘리베이터 도어(10)와 제2엘리베이터 도어(10)를 편의상 엘리베이터 도어(10)라 칭하기로 한다.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elevator door 10 (mainly the hall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door 10 is located), a process in which the elevator door 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Hereinafter, the first elevator door 10 and the second elevator door 10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vator door 10 for convenience.

엘리베이터 도어(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에는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도어 이탈 방지편이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의 앞쪽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In normal times when the elevator door 10 is not subjected to an external impact while the elevator door 10 is closed,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ng piece of the rear engaging bracket 30 is 27) is placed at a certain distance in front of it.

이러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화살표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리어 걸림 브라켓(30)(뒤쪽 이탈 방지 브라켓)이 프론트 걸림 브라켓(20)(JAMB B/K)에 걸려짐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In this stat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rear latching bracket 30 (rea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attached to the front latching bracket 20 (JAMB B/K)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of the elevator door 10 are primari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by being caught on the door.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엘리베이터 피트 쪽으로 휘어지면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하려고 할 때에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이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의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에 걸려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0) 뒤쪽에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 엘리베이터 도어(10) 뒤쪽에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는 것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서 이탈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elevator door 10 is bent toward the elevator pit, and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re the rails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Since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engaging piece 34 of the rear engaging bracket 30 is caught by the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engaging piece 27 of the front engaging bracket 20 when trying to separate from the elevator door 10, the rear In this,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re primari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 In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to prevent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primarily means tha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is the door. It is to primarily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lide frame 11 .

또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에서 가장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어 연장 걸림편(36)은 하부 행거롤러(14B)보다 더 깊이 들어가 있으면서 동시에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보다 더 깊이 들어가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10) 뒤쪽에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 엘리베이터 도어(10) 뒤쪽에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는 것은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는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엘리베이터 피트 쪽으로 휘어지면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도어 승강 프레임의 레일(12)에서 이탈되려고 할 때에 리어 걸림 브라켓(30)에서 가장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어 연장 걸림편(36)이 상기 레일(12)의 저면에 걸려져서 밖으로 빠지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0)의 뒤쪽이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리어 걸림 브라켓(30)(뒤쪽 이탈 방지 브라켓)이 프론트 걸림 브라켓(20)(JAMB B/K)에 걸려져서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하고 하부 행거롤러(14B)보다 더 깊이 들어가 있는 리어 걸림 브라켓(30)으로 인하여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레일(12)에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protruding most forward from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deeper than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locking piece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 34), to prevent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secondarily from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Secondary preventing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a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means tha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is the door. It is to prevent secondaril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frame (11).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elevator door 10 is bent toward the elevator pit,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try to separate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elevating frame. Since the rear extension locking piece 36 protruding most forward from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rail 12 and does not fall ou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is the door slide frame 11 This is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locking bracket 30 (rea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caught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JAMB B/K), so that the elevator door 10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is primari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elevator door 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2 of the door slide frame 11 due to the rear latching bracket 30 that is deeper than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to prevent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외부의 강한 충격(예를 들어, 사람이 엘리베이터 도어(10)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어가 이탈해버리는 경우를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면서 사람이 엘리베이터 피트로 추락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vator door 10 due to an external strong impact (for example, a strong impact such as a person hitting the elevator door 10) when the elevator door is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eriou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such as a person falling into an elevator pit while the elevator door 10 is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을 구성하는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에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28)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이 고정되는 구조를 더 강화하고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서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reinforcement bracket piece 28 is further provided in the front lower engaging bracket piece 22 constituting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so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fixed is further strengthened and Since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caught by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for preventing the elevator door 10 from being separated, the case where the elevator door 10 is separated from its posi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more reliably preventable.

한편,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에는 경사진 장홀 형태의 축홀(30SH)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축홀(30SH)에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축홀(30SH)을 따라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이동시켜서 제위치를 맞춘 다음에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의 롤러축에 너트를 체결하면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을 도어 행거 프레임(13)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홀 형태의 축홀(30SH)로 인하여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설치 위치를 간편하고 빠르게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30SH in the form of an inclined long hole, and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0SH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 When the nut is fastened to the roller shaft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fter proper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along the shaft hole 30SH in the It can be fixed to the door hanger frame (13). Due to the long hole-shaped shaft hole 30S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can be easily and quickly adjusted and install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엘리베이터 도어 11.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
12. 레일 12P. 상부 돌출부
13. 도어 행거 프레임 14. 행거롤러
14A. 상부 행거롤러 14B. 하부 행거롤러
14GR. 오목홈 15. 도어 장착 프레임
20. 프론트 걸림 브라켓 22.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
24.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 25. 프론트 걸림 연장편
27. 프론트 도어 이찰 방지 걸림편 28.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
28EP. 프론트 보강 걸림 연장편 30. 리어 걸림 브라켓
30SH. 축홀 32.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
34.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 36. 리어 연장 걸림편
10. Elevator door 11. Door slide frame
12. Rail 12P. upper overhang
13. Door hanger frame 14. Hanger roller
14A. Upper hanger roller 14B. lower hanger roller
14 GR. Concave groove 15. Door mounting frame
20. Front catch bracket 22. Front lower catch bracket
24. Front upper latching bracket piece 25. Front latching extension piece
27. Front door slip prevention jamming piece 28. Front reinforcement bracket piece
28 EP. Front Reinforcement Hanging Extension 30. Rear Hanging Bracket
30SH. Shaft hole 32. Rear side bracket
34.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jam piece 36. Rear extension jam piece

Claims (8)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 위쪽의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설치된 프론트 걸림 브라켓(20);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지는 리어 걸림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은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과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은 체결구에 의해서 도어 장착 프레임(15)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은 체결구에 의해서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이 체결구에 의해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과 상기 도어 장착 프레임(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은 각 층의 홀에 구비된 도어 장착 프레임(15)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은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전면과 나란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한쪽 후단부에서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이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연장편(25)도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연장편(25)에 프론트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27)이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상부 걸림 브라켓편(24)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하부 걸림 브라켓편(22)의 다른 쪽 후단부에는 프론트 보강 브라켓편(28)이 더 구비되며,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은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과, 상기 리어 사이드 브라켓편(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어 도어 이탈 방지 걸림편(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As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10),
a front locking bracket 20 installed on the door slide frame 11 above the elevator door 10;
It is provided in the elevator door 1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locking bracket 30 that is hooked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ncludes a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and a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and 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is attached to the door mounting frame 15 by means of a fastener.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is fixed to the door slide frame 11 by means of a fastener, and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connected to the door slide frame 11 by means of a fastener. It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coupled to the door mounting frame (15),
The front lower engaging bracket piece 22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mounting frame 15 provided in the hole of each floor, and the front upper engaging bracket piece 24 is the door slide frame 11 .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front of the and extended to protrude backward from one rear end of the front lower engaging bracket piece 22 with respect to the front upper engaging bracket piece 24. provided, and the front locking extension 25 also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slide frame 11,
The front locking extension piece 25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separation preventing locking piece 27, and the other rear end of the front lower locking bracket piece 22 is provided on the other rear end of the front upper locking bracket piece 24 based on the front locking piece 24. A reinforcing bracket piece 28 is further provided,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ncludes a rear side bracket piece 32 provided at one side end and a rear door separation prevention locking piece 34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ide bracket piece 32.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12)의 상하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장착된 상부 행거롤러(14A)와 하부 행거롤러(14B)가 배치되며,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slide frame 11 is fixed to the wall of the elevator pit from which the elevator door 10 is lifted, and the door slide frame 11 is provided with a rai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hanger roller 14A and a lower hanger roller 14B mounted on the elevator door 10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wer hanger roller 14B. The front locking bracket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hung on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이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에 걸려져서, 상기 상부 행거롤러(14A)와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가 상기 레일(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caught on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so that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are connected to the rail 12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departure fro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의 상단부에는 롤러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롤러 브라켓에 상기 레일(12)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상부 행거롤러(14A)와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가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roller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upper hanger roller 14A and the lower hanger roller 14B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ail 12 are mounted on the roller bracket, and the front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amming bracket (20) is moun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2)의 하부에 확보된 롤러 수용 스페이스에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의 외주면이 상기 레일(12)의 저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 행거롤러(14B)보다 상기 롤러 수용 스페이스 쪽으로 더 전진하여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accommodated in the roller accommodating space secured under the rail 1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anger roller 14B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bottom of the rail 12,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rear locking bracket (30) enters more advanced toward the roller accommodating space than the lower hanger roller (14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걸림 브라켓(30)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롤러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locking bracket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ller bracket by a faste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2)의 상면에는 상부 돌출부(12P)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행거롤러(14A)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이 상기 상부 돌출부(12P)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 upper protrusion 12P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2, and a coupling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hanger roller 14A, so that the coupling groove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12P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걸림 브라켓(20)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도어 슬라이드 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or door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locking bracke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slide frame (11) by a fastener.
KR1020200013361A 2020-02-04 2020-02-04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102331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61A KR102331751B1 (en) 2020-02-04 2020-02-04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361A KR102331751B1 (en) 2020-02-04 2020-02-04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463A KR20210099463A (en) 2021-08-12
KR102331751B1 true KR102331751B1 (en) 2021-11-26

Family

ID=7731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61A KR102331751B1 (en) 2020-02-04 2020-02-04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7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996B (en) * 2022-06-14 2023-10-27 新疆天奥电梯有限公司 Driv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elev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745A (en) 2000-09-12 2002-03-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Door adjustment tool for elevator
JP2018104137A (en)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oor device and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791A (en) * 2002-07-05 200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Shaft door assembly having an auxiliary roller for preventing deviation of shaft doors
KR20080113860A (en) *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tructure of doorroom for protecting outdoor of doorguideshoe
KR100903971B1 (en) 2007-09-10 2009-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door clutch having lock for car door
KR100943458B1 (en) * 2008-01-30 2010-02-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KR101149247B1 (en) * 2009-11-04 2012-05-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KR101047856B1 (en) 2010-09-29 2011-07-08 이정배 The varifocals mould for regular astigmatism and the varifocals astigmatic lens
KR101257717B1 (en) 2012-04-30 2013-04-24 권순범 Safe elevato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745A (en) 2000-09-12 2002-03-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Door adjustment tool for elevator
JP2018104137A (en)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oor device and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463A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6126B2 (en) Elevator escape arrangement
KR100899955B1 (en)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US20060075708A1 (en) Elevator hall door and door hanger apparatus
KR102331751B1 (en)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102318064B1 (en) Elevator platform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1496005A1 (en) Landing stage door of elevator
KR200489586Y1 (en) Side safety device of construction lift
JP6218161B2 (en) Elevator Fesher Plate and Assembling Method of Fesher Plate
KR101784701B1 (en) Separ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elevator door
KR102050864B1 (en) Device For Preventing Breakaway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KR102184683B1 (en) Elevator door system with interlock assembly
JP6975686B2 (en) Elevator maintenance safety device
KR100813911B1 (en) Secession prevention chapterr of elevator platformd door
KR20120004121A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system windows and doors
KR101639582B1 (en) Elevator door assembly with reinforced safety structure
KR20100006592U (en)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KR101009872B1 (en)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CN211310512U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for sensor module
CN214456073U (en) Elevator landing door structure and elevator
CN110407069B (en) Elevator car structure
CN110709345A (en) Attachment platform for a work platform
JP3807851B2 (en) Elevator hoistway
KR20110046898A (en) Platform door disconnection prevention system of elevator
KR200477750Y1 (en)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