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458B1 -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 Google Patents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458B1
KR100943458B1 KR1020080009406A KR20080009406A KR100943458B1 KR 100943458 B1 KR100943458 B1 KR 100943458B1 KR 1020080009406 A KR1020080009406 A KR 1020080009406A KR 20080009406 A KR20080009406 A KR 20080009406A KR 100943458 B1 KR100943458 B1 KR 10094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elevator door
prevention brack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3544A (en
Inventor
한성봉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458B1/en
Publication of KR2009008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4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승장도어에 일정량 이상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승장도어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for an elevator doo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for an elevator door, which can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of the elevator door even when external pressur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o that the safety of the elevator door can be ensur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는, 승장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슈 사이의 승장도어 하단에는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슈가 가이드되는 실 홈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평행을 이루도록 보조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보조홈 내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면서 승장도어 하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in the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scape prevention bracket is protru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 door between the pair of guide shoe provided in the escape door, An auxiliary groove is formed parallel to the groove, and the low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is guided in the auxiliary groove to prevent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door from being separated.

승장도어, 가이드슈, 실,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 보조홈, 보강부재 A folding door, a guide shoe, a thread, an undershooting prevention bracket, an upper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an auxiliary groov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0001]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연계되어 개폐되는 승장도어에 일정량 이상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승장도어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door detachment structure for preventing an elevator door from being disengaged from an elevator door when an external pressur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o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door.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elevator apparatus installed in various kind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used when a passenge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a passenger- An elevator car for moving a passenger while moving in a downward direction, a mechanical part for moving the elevator car to a corresponding floor of the passenger with a motor par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ower and a hoisting machine,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so as to smoothly and stably operate the elevator car while controlling the mechanical unit.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 치된 카도어 및, 해당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장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해당 층에서 승객이 승차 및 하차를 행할 시에는 상기 카도어 및 승장도어가 동시에 개폐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evator apparatus includes a car door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moving along a hoistway, and a lift door installed at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when a passenger boarding or getting off the car, The door and the elevator door ar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즉, 상기 카도어는 소정 동력을 매개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승장도어는 상기 카도어에 설치된 클러치 장치를 매개로 종동으로 개폐되게 된다.      That is, the card is opened and closed via a predetermined power, and the charging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 clutch device installed on the card door.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지정된 정차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승장도어가 수동으로 열리게 되면, 승객이 승강로 아래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승장도어에는 록킹 장치가 필수적으로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levator car is manually opened when the elevator car is out of the designated stop position, there is a danger that the passenger may fall down the elevator shaft, so that a locking device is essentially attached to the elevator door.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장도어(3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 상에 행거롤러(22)를 매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2) 하측의 보조롤러(23)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30)가 유동됨이 없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1A and 1B are a front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ng structure. The elevating door 30 of the elevator apparatus is mounted on a guide rail 12 provided inside the case 10, (30) can be moved left and right by the auxiliary roller (23) below the guide rail (12) in a state where the door (22) is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승장도어(30)의 하단부 측에는 가이드슈(32)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슈(32)가 실(40)의 홈(4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장도어(30)가 승강장 측으로부터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The guiding shoe 32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elevating door 30 so that the guiding shoe 32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groove 42 of the chamber 40, Is not separated from external pressure or impact from the landing side.

그러나, 종래의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실의 홈 및 가이드슈의 취부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승장도어 한 개에 두 개의 가이드슈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의 홈 내에 가이드슈가 6밀리미터[mm] 내지 15밀리미터[mm] 정도 삽입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 정도의 구조로는 어느 정도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에는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으나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나 자전거, 전동 휠체어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보다 큰 외부 압력이나 충격에 대해서는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unting structure of the thread groove and the guide shoe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above-mentioned elevator door, when the guide shoe has a length of 6 millimeters [mm] in the groove of the thread, To about 15 millimeters [mm]. Wit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elevator door due to some external pressure or impact. However, inline skates, bicycles, electric wheelchai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ulnerable to a larger external pressure or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최근, 산업자원부 산하 기술표준원 주관으로 시행된 승강도어의 이탈에 따른 추락사고 방지방안 마련을 위한 회의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 국내에 설치된 승장도어는 일반적으로 평균 230주울[J]의 충격에너지를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As a result of the meeting to prepare a plan to prevent a fall caused by the departure of the elevator door conducted under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under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currently the domestic elevator doors are generally designed to withstand an impact energy of 230 Joules It is designed.

그러나, 실제로 승장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이나 충격은 230주울[J]의 충격에너지를 훨씬 웃돌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기술표준원은 2008년 9월 건축 허가분부터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가 견딜 수 있는 충격에너지를 450주울[J] 이상으로 규정하는 고시를 한 상황이다.      However, in reality, the external pressure or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doors far exceeds the impact energy of 230 Joules [J]. Accordingly, from September 20, 2008, the Korea Technology Standards Agency (KDNO) To [J] of 450 Joules or mor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승장도어에 일정량 이상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승장도어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door which is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by interlocking with a car door of an elevato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for an elevator door that can prevent escape of passengers by securing safety of the passeng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는,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슈 사이의 승장도어 하단에는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슈가 가이드되는 실 홈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평행을 이루도록 보조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보조홈 내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면서 승장도어 하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for preventing escape of an elevator lift door, the elevator door including: a pair of guide shoes provided on the elevator door, An auxiliary reces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read groove to which the guide shoe is guided and is parallel to the groove so that the low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is guided in the auxiliary groove and is guided in the lower So as to prevent escap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홈은 그 상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측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승장도어의 하단에 그 측면이 "┛"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홈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auxiliary groove is formed to have a square shape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the lower release prevention bracket is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lift door so that the side surface thereof has a shape of "┛"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able to flow through an open portion of the housing.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승장도어 상단부에 구비되는 행거프레임의 행거롤러 하 측에 해당되는 지점에는 그 측면이 "∪" 형상을 갖는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과 대응되는 지점의 케이스 내면에는 그 측면이 "∩" 형상을 갖는 보강부재가 결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은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승장도어 상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an upper breakaway prevention bracket having a "U" shape at its s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of the hanger roller of the hanger fram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 door, The reinforcing member having a shape of "∩" sid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able to flow in the upp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through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upp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So as to prevent depar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door.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탈방지 구조를 추가로 적용시킴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측에 일정량 이상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승장도어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므로서, 승강장에 위치한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scape prevention structure is further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or lift door, even if an external pressure or impact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applied to the elevator lift door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passenger located on the platform is fallen into the hoistway, and thus the safety of the elevator device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4b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는, 엘리베이터 장치 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카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각층 승강장에 구비되는 승장도어(30)의 상부 및 하부에 별도의 이탈방지 구조를 적용시켜 승강장으로부터 가해지는 일정량 이상의 외부 압력이나 충격에도 승장도어(30)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구현된다.      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vator door 30 provided at each floor,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interlocking with a car door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So that any disengagement of the elevator door 30 can be prevented even if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pressure or shock is applied from the landing platform.

여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30)의 하부 측에 구비되는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는, 한 개의 승장도어(30) 하단에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슈(32)의 사이에 해당하는 승장도어(30) 하단에는 판형의 부재를 일정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이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승장도어(30)의 한 쌍의 가이드슈(32)가 가이드되는 실(40)의 홈(42) 일측에는 상기 실(40)의 홈(42)과 평행을 이루도록 보조홈(44)이 요입 형성된다.      Here, in the escape prevention structu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lift door 30, there is a gap between the guide shoe 32 provided at a lower end of one of the elevating doors 30, A lower release preventing bracket 34 formed by bending a plate-like me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door 30 and a pair of guide shoe 32 of the elevating door 30 is guided by a guide An auxiliary groove 4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oove 42 of the chamber 40 to be parallel to the groove 42 of the chamber 40.

이때, 상기 승장도어(30)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은 상기 승장도어(30) 판넬에 결합되어 그 하단에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이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40) 내부에 실(40)의 홈(42)과 평행을 이루도록 요입 형성되는 보조홈(44)은 그 상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측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lower escape prevention bracket 3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door 30 is coupled to the panel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door 30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ascending / The auxiliary groove 44 formed in the chamber 40 so as to be in parallel with the groove 42 of the chamber 40 has a square shape in which an upper part of the auxiliary groove 44 is opened.

이에 따라, 상기 승장도어(30) 하단에 돌출된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은 수직부분이 상기 보조홈(44)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부분을 통해 상기 보조홈(44) 내에 단속되게 되며, 또한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은 상기 보조홈(44)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단속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됨과 아울러, 승강장 측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한 승장도어(30) 하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scape prevention bracket 34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lift door 30 has a vertic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auxiliary groove 44, And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34 is selectively guided and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34 is intermittently movable in the auxiliary groove 44.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parture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30)의 상부 측에 구비되는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장도어(30)를 가이드레일(12)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행거프레임(20)의 행거롤러(22) 하측에 해당되는 지점에는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과 대응되는 케이스(10) 내면의 일정 지점에는 보강부재(14)가 구비됨에 따라 구성된다.      The elevator lift door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lift door 30 so that the hanger roller 22 of the hanger frame 20 provided for mounting the elevator lift door 30 on the guide rail 12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breakaway prevention bracket 24 .

이때,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은 그 측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재(14)는 그 측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보강부재(14)의 일측이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 설치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24 is formed such that its side surface has a substantially "U" shap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has a substantially "∩" shape, And one side thereof is coupled and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 is movable through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 및 보강부재(14)는 행거프레임(20) 및 케이스(10)에 각각 볼트(14a,24a)가 체결됨에 따라 고정 설치되게 된다.      The upper breakaway prevention bracket 24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are fixedly installed as the bolts 14a and 24a are fastened to the hanger frame 20 and the case 10, respectively.

따라서,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 및 보강부재(14)에 의해 승강장 측으로부터의 임의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승장도어(30) 상부 측이 승강로 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door 30 is pushed to the hoistway side by an arbitrary external force from the landing side by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of a certain size or more It can be prevented.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장도어(30)의 하단부 측에는 실(40)의 보조홈(44)을 따라 유동되는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을 설치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승장도어(30) 상측의 행거프레임(20)에는 케이스(10)의 보강부재(14)와 대응되는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을 설치함에 따라 승강장으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외력에 의해 승장도어(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lift door 30 is provided with a low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34 which flows along the auxiliary groove 44 of the chamber 40, Since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member 14 of the case 10 is installed in the hanger frame 20 above the lift door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dislocation from occurring.

즉, 상기 승장도어(30)의 하측 부분에 외력이 가해질 시에는 상기 승장도어(3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슈(32) 및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34)이 각각 실(40)의 홈(42) 및 보조홈(44)에 단속되어 승장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므로, 종래의 가이드슈(32)만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구조에 비해 승강장 측으로부터 인가되는 보다 큰 외력에도 대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30, the pair of guide shoe 32 and the lower escape prevention bracket 34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30 are connected to the seals 40,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greater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landing side as compared with the disengagement prevention structure made of only the conventional guide shoe 32 It will be possible.

또한, 상기 승장도어(30)의 상측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상기 승장도어(30)의 행거프레임(20)에 설치되는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의 개방부분을 통해 케이스(10)에 설치된 보강부재(14)의 단부 측이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14)가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24)을 단속하여 상기 승장도어(30)의 상측 부분이 승강로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30 is provided to the case 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per escape prevention bracket 24 provided on the hanger frame 20 of the elevator door 30 The reinforcement member 14 interrupts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24 to prevent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door 30 from being pushed to the hoistway side as the end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s fluidly coupled It will be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단면도,      Figs. 1A and 1B are a front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scape prevention structure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4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도 4b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케이스, 12: 가이드레일,        10: case, 12: guide rail,

14: 보강부재, 14a, 24a: 볼트,        14: reinforcing member, 14a, 24a: bolt,

20: 행거프레임, 22: 행거롤러,        20: a hanger frame, 22: a hanger roller,

24: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 30: 승장도어,        24: upper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30: elevator door,

32: 가이드슈, 34: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        32: guide shoe, 34: lower release prevention bracket,

40: 실, 42: 홈,        40: thread, 42: groove,

44: 보조홈.       44: Auxiliary groove.

Claims (3)

승장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슈 사이의 승장도어 하단에는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슈가 가이드되는 실 홈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평행을 이루도록 보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An elevator door is formed by projecting a low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at a lower end of a lift door between a pair of guide shoe provided at a lift door and an auxiliary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a thread groove guided by the guide shoe, In the departure-avoidance structure, 상기 보조홈은 그 상측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측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은 상기 승장도어의 하단에 그 측면이 "┛"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홈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상기 보조홈 내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면서 승장도어 하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Wherein the auxiliary recess is formed to have a square shape on an upper part thereof, and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bracket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lift door so as to form a "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doo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doo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승장도어 상단부에 구비되는 행거프레임의 행거롤러 하측에 해당되는 지점에는 그 측면이 "∪" 형상을 갖는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과 대응되는 지점의 케이스 내면에는 그 측면이 "∩" 형상을 갖는 보강부재가 결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은 상기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상부 이탈방지 브라켓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승장도어 상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An upper breakaway prevention bracket having a "U" shape at its s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hanger roller of the hanger frame provid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ift door,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reakaway prevention bracket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shape of a side surface of which is "? &Quot;,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in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through an opened upper side of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Of the elevator door (1).
KR1020080009406A 2008-01-30 2008-01-30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KR1009434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06A KR100943458B1 (en) 2008-01-30 2008-01-30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06A KR100943458B1 (en) 2008-01-30 2008-01-30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44A KR20090083544A (en) 2009-08-04
KR100943458B1 true KR100943458B1 (en) 2010-02-22

Family

ID=4120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06A KR100943458B1 (en) 2008-01-30 2008-01-30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4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983A1 (en) * 2011-02-28 2013-12-19 Sematic S.P.A. Landings or car doors for lifts and mounting method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50Y1 (en) * 2013-11-29 2015-07-17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assembly
KR102331751B1 (en) * 2020-02-04 2021-11-26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KR102507740B1 (en) * 2022-06-30 2023-03-09 지승현 Entrance door assembly for elev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465U (en) 1977-07-11 1979-02-07
JPS63167482U (en) * 1987-04-23 1988-11-0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465U (en) 1977-07-11 1979-02-07
JPS63167482U (en) * 1987-04-23 1988-11-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983A1 (en) * 2011-02-28 2013-12-19 Sematic S.P.A. Landings or car doors for lifts and mounting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44A (en)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280B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04968593A (en) Elevator and means for forming a safety space
JPWO2006097997A1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device
EP2269936B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KR100943458B1 (en)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KR101937698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With Spring Means
JP5571130B2 (en) Elevator equipment
CN107098236B (en) Elevator maintenance panel
KR20170043763A (en) Safety-enhanced elevator
JP4738466B2 (en) Elevator equipment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US20170137263A1 (en) Elevator apparatus
JP2008184271A (en) Elevator device
KR200493995Y1 (en)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elevator platform
KR101784701B1 (en) Separation prevention apparatus of elevator door
KR102214035B1 (en) Structure For Door Of Elevator Or Boarding Gate Having Function Of Prevent Separation
KR200477750Y1 (en)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assembly
KR200457792Y1 (en)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CN105712148A (en) Emergent stopping device of car
KR100813911B1 (en) Secession prevention chapterr of elevator platformd door
KR20190123526A (en) A Dual-Engagement Typed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From Escaping For Elevator
CN206336894U (en) The elevator door of locking device is discharged with manual emergency
JP2016145092A (en) Elevator device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