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59B1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1259B1 KR102331259B1 KR1020210102766A KR20210102766A KR102331259B1 KR 102331259 B1 KR102331259 B1 KR 102331259B1 KR 1020210102766 A KR1020210102766 A KR 1020210102766A KR 20210102766 A KR20210102766 A KR 20210102766A KR 102331259 B1 KR102331259 B1 KR 102331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fine dust
- inner housing
- separation space
- sepa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cooling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5—F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03—Determining electric mobility, velocity profile, average speed or velocity of a plurality of 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이 설치되고, 흡기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과, 흡기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배치되고,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보온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외부 온도 조건과 상관없이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보온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외부 온도 조건과 상관없이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지의 분류는 입자 크기에 따라 총부유먼지(일반적으로 50 ㎛ 이하의 공기 중 에 떠있는 모든 먼지, total suspended particle, TSP)와 먼지 입자의 지름이 10 ㎛ 이하인 미세먼지(PM10) 및 2.5 ㎛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로 구분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발생원에서 직접 대기중에 배출되기도 하지만 가스상으로 배출된 기체의 상변화에 따라 2차 오염물질로 대기 중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대기 중 미세먼지의 조성은 발생원에 따라 다르다. 모래먼지, 나대지 등 흙에서 발생한 먼지는 무기물질, 미네랄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연소에 의해 발생된 먼지는 검댕, 황화합물, 유기탄소, 미네랄성분, 미량의 중금속 등을 함유하고 있다. 대기 중에서 2차로 생성된 미세먼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준휘발성 유기화합물로 변화되어 황산화물(SOX)이나, 질소산화물(NOX), 수증기 등과 결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유기탄소, 황화합물, 질소산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미세먼지는 대도시지역의 체감 오염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에 함유된 중금속 및 유해성 물질은 직접적인 인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고려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를 기상청에서 매일 발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가 증가함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 입자의 개수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실험실이나 클린룸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빛이 입자상 물질에 부딪혀 산란되는 원리를 이용한 '광산란법'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광산란법'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온도 조건이 소정 온도(약 40℃) 이상일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런데 최근 국내의 여름철 기온은 40℃에 육박하며, 이와 같이 주변 온도가 40℃에 육박할 경우 옥외에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하우징 내부 온도는 복사열에 의해 40℃를 훨씬 웃돌게 되므로, 옥외에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광산란법'이 적용되는 경우 더운 여름철에 측정 정확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보온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외측 하우징에 흡기 팬이 배치되는 흡기구와, 배기 팬이 배치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복사열에 의해 외부 온도보다 이격 공간의 온도가 소정 이상 높을 시 외부 공기를 이격 공간에 유동시켜,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추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이격 공간이 일부 단면적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는 격벽을 배치하여, 외부 공기가 이격 공간의 일부 공간에서만 편향되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격벽을 다수개 배치하여 이격 공간 상에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이 설치되고, 흡기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과, 흡기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배치되고,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외측 하우징은 하면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기 팬을 장착하는 흡기구와, 하면 타측에 배치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기 팬을 장착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흡기관은 내측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외측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외측 하우징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와, 이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 그리고 이격 공간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외측 하우징의 외부 온도가 이격 공간의 온도보다 기준값 이상 낮으면, 흡기 팬 또는 배기 팬을 작동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은 상하면 및 둘레면이 외측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이격 공간이 일부 단면적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흡기구와 배기구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이격 공간의 분리 공간 중, 서로 다른 분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격벽은 하나 이상 구비되되, 이격 공간이 짝수개의 분리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홀수개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격벽 중, 좌우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은 이격 공간을 상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하고, 좌우 방향으로 짝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은 이격 공간을 하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하며, 흡기구는 짝수개의 분리 공간 중, 일측 끝단의 분리 공간에 배치되고, 배기구는 짝수개의 분리 공간 중, 타측 끝단의 분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이격 공간과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환기 루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기 루바는 이격 공간에서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유동방향 전단부를 향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은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측 하우징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배출관을 구비하고, 배출관은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외측 하우징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배출 팬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보온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외부 온도 조건과 상관없이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하우징에 흡기 팬이 배치되는 흡기구와, 배기 팬이 배치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복사열에 의해 외부 온도보다 이격 공간의 온도가 소정 이상 높을 시 외부 공기를 이격 공간에 유동시켜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복사열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 공간이 일부 단면적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는 격벽을 배치하여 외부 공기가 이격 공간의 일부 공간에서만 편향되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을 다수개 배치하여 이격 공간 상에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이용한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의 냉각 효율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을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을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주변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미세먼지 측정부가 배치되는 내부의 온도는 주변 온도의 영향을 덜 받도록 보온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10)과, 내측 하우징(10)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주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11)이 설치되고, 흡기관(11)은 내측 하우징(10)에 수용된 미세먼지 측정부와 연통되어 미세먼지 측정부가 주변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 가능하도록 한다.
주변의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서 미세먼지 측정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상측의 공기를 수집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흡기관(11)은 내측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며, 외측 하우징(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측정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상측에서 수집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20)은 내측 하우징(10)보다 큰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측 하우징(10)을 수용하는데, 이때, 수용된 내측 하우징(10)과 외측 하우징(20)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외면이 외측 하우징(2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6개의 외면이 모두 외측 하우징(2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 사이에 이격 공간(S)에 의해 내측 하우징(10)에 대한 보온 기능을 갖게되며, 이로 인해 내측 하우징(10)에 수용 배치되는 미세먼지 측정부가 외부 온도 조건과 상관없이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외측 하우징(20)은 이격 공간(S)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흡기구(21)를 구비하며, 흡기구(2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배출 가능하도록 배기구(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공기가 흡기구(21)를 통해 유입되고 이격 공간(S)을 지나 배기구(23)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도록 흡기구(21) 또는 배기구(23)에 팬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구(21)에는 흡기 팬(211)이 장착 작동하여 흡기구(21)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기되도록 할 수 있고, 배기구(23)에는 배기 팬(231)이 장착 작동하여 이격 공간(S)으로 흡기된 외부 공기가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 중 하나만 구비할 수 있지만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을 모두 구비할 수도 있으며, 흡기구(21) 또는 배기구(23)가 각각 다수개 구비되고 이에 따라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 또한 다수개 구비되어 각 흡기구(21) 또는 배기구(23)에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흡기구(21)를 통한 흡기와 배기구(23)를 통한 배기가 미세먼지 농도 측정을 위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11)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흡기구(21)와 배기구(23)는 외측 하우징(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구(21)와 배기구(23)는 외측 하우징(20) 하면에서 서로 간에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구(21)와 배기구(23)가 외측 하우징(20) 하면에 배치시 흡기구(21) 및 배기구 하측에 흡기 또는 배기를 위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측 하우징(20)은 하나 이상의 지지대(3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된 공기가 흡기구(21)를 통해 다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 하우징(20)은 배기구(23) 둘레 중 흡기구(21)를 향하는 일부 둘레를 가로막도록 돌출 형성되는 배기 가드벽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드벽을 통해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가 흡기구(21)를 향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복사열에 의해 외부 온도보다 이격 공간(S)의 온도가 소정 이상 높을 시 외부 공기를 이격 공간(S)에 유동시켜,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40)와, 이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50), 그리고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을 작동 제어하는 팬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40)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도록 외측 하우징(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외측 하우징(20)의 복사열에 의한 측정 오차를 방지하고자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주변에 배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50)는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이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내부 온도 센서(50)는 외측 하우징(20)의 내벽에 장착되거나 내측 하우징(10)의 외벽에 장착될 수 있는데, 외측 하우징(20)의 복사열에 의한 측정 오차를 방지하고자 바람직하게는 내측 하우징(10)의 외벽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40)에서 측정한 외부 온도 정보와 내부 온도 센서(50)에서 측정한 이격 공간 온도 정보는 팬 제어부(60)로 제공될 수 있다. 팬 제어부(60)는 제공받은 외부 온도 정보와 이격 공간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흡기 팬(211) 및 배기 팬(231)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제어부(60)는 이격 공간의 온도가 설정값(예를 들면 40℃) 이상이고, 동시에 외부 온도가 이격 공간의 온도보다 기준값(예를 들면 5℃) 이상 낮으면,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이 작동하도록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 제어부(60)가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을 작동 제어하면, 이격 공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되고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여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에 의해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복사열에 의해 외부 온도보다 이격 공간의 온도가 소정 이상 높을 시 외부 공기를 이격 공간에 유동시켜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복사열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 제어부(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격 공간(S)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외부 온도가 이격 공간(S)의 온도보다 기준값 이상 낮으면,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을 작동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를 통해 이격 공간 및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런데 도 3을 참조하여,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된 외부 공기가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되기까지의 유동 흐름을 살펴보면,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된 외부 공기는 내부 공기에 비하여 온도가 낮기 때문에 이격 공간(S)의 상단부에는 일부만 유동되고, 대부분의 흡기된 외부 공기가 이격 공간(S)의 상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하단부를 통해 유동되어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된 외부 공기 중 대부분이 이격 공간의 하단부를 통해 유동하여 배기되는 경우, 외부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가 이격 공간의 하단부만 편향되게 되어 전체적인 이격 공간에 대한 냉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1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통해 살펴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이격 공간(S)이 일부 단면적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이격 공간(S)을 좌우 분리하는 격벽(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70)은 이격 공간(S)을 좌측 분리 공간(도면 상의 우측 공간, S1)과 우측 분리 공간(도면 상의 좌측 공간, S2)으로 좌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격벽(70)은 좌측 분리 공간(S1)과 우측 분리 공간(S2)이 격벽(70)의 상측 공간을 통해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구비된 경우, 내측 하우징(10)의 정면, 저면, 배면을 따라 배치되어 이격 공간(S)을 좌우 분리하되, 내측 하우징(10)의 상면을 통해서는 좌측 분리 공간(S1)과 우측 분리 공간(S2)이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흡기구(21)와 배기구(23)는 격벽(70)에 의해 분리된 좌측 분리 공간(S1)과 우측 분리 공간(S2) 중 서로 다른 분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21)가 좌측 분리 공간(S1)에 배치되는 경우 배기구(23)는 우측 분리 공간(S2)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기구(21)가 우측 분리 공간(S2)에 배치되는 경우 배기구(23)는 좌측 분리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기구(21)가 좌측 분리 공간(S1)에 배치되고 배기구(23)가 우측 분리 공간(S2)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격벽(70)에 의해 이격 공간(S)이 좌우 분리되어 좌측 분리 공간(S1)과 우측 분리 공간(S2)이 형성되되 좌측 분리 공간()과 우측 분리 공간()은 이격 공간(S)의 상단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좌측 분리 공간(S1)에 흡기구(21)가 배치되고 우측 분리 공간(S2)에 배기구(23)가 배치되는 경우, 흡기구(21)를 통해 이격 공간(S)에 흡기된 외부 공기 전체가 이격 공간(S)의 대부분의 공간을 통과한 후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흡기구(21)를 통해 좌측 분리 공간(S1)의 하단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배기구(23)가 배치된 우측 분리 공간(S2)을 향해 유동하되, 좌측 분리 공간(S1)의 하단부 또는 중단부에서는 격벽(70)에 가로막혀 우측 분리 공간(S2)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상단부를 통해 우측 분리 공간(S2)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분리 공간(S2) 상단부로 유동된 외부 공기는 우측 분리 공간(S2) 하단의 배기구(23)를 통해 유동되어 배기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하우징(10)의 6면이 이격된 상태로 외측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배치되기 위해서는 내측 하우징(10)을 외측 하우징(20) 내부에서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수단이 요구되는데, 격벽(70)이 구비되는 경우, 격벽(70)이 지지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지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70)은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된 외부 공기 중 대부분이 이격 공간(S)의 하단부를 통해 유동하여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기된 외부 공기 전체가 이격 공간(S)의 대부분의 공간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이격 공간(S) 및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21)가 좌측 분리 공간(S1)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경우, 흡기 팬(211)이 외부 공기를 강제로 상향 유동시키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10) 하측으로는 외부 공기의 유동이 적을 수 있다. 따라서, 격벽(70)은 내측 하우징(10) 하측에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유동 팬을 설치 작동시켜 좌측 분리 공간(S1)을 유동하는 외부 공기 중 일부가 내측 하우징(10)의 하측에서 관통공을 통과하여 우측 분리 공간(S2)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유동 팬의 크기 또는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하여 흡기구(21)를 통해 흡기된 외부 공기 중 일부만이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동 팬 또한 팬 제어부(60)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으며, 팬 제어부(60)는 유동 팬이 흡기 팬(211) 및 배기 팬(231)과 함께 작동하도록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의 작동 제어 시 유동 팬을 함께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3개의 격벽 구비 시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는 격벽(70)을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70)은 이격 공간(S)이 짝수개의 분리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홀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격벽(70-1, 70-2, 70-3)이 구비되어, 이격 공간(S)이 네 개의 분리 공간(S3, S4, S5, S6)으로 분리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3개의 격벽(70-1, 70-2, 70-3) 중, 좌우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70-1, 70-3)은 이격 공간(S)을 상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하고, 좌우 방향으로 짝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S70-2)은 이격 공간(S)을 하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치되는 첫 번째 격벽(70-1)과 세 번째 격벽(70-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0)의 정면, 저면, 배면을 따라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되, 내측 하우징(10)의 상면을 통해서는 좌우 분리된 분리 공간이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좌우 방향으로 짝수 번째 배치되는 두 번째 격벽(70-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0)의 정면, 상면, 배면을 따라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되, 내측 하우징(10)의 하면을 통해서는 좌우 분리된 분리 공간이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개의 격벽(70-1, 70-2, 70-3)에 의해 이격 공간(S)은 좌우 방향으로 네 개의 분리 공간(S3, S4, S5, S6)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격 공간(S)의 좌측 방향(도면 상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첫 번째 분리 공간(S3)과 두 번째 분리 공간(S4)은 서로 간에 첫 번째 격벽(70-1)의 상측 공간을 통해 연통되고, 두 번째 분리 공간(S4)과 세 번째 분리 공간(S5)은 서로 간에 두 번째 격벽(70-2)의 하측 공간을 통해 연통되고, 세 번째 분리 공간(S5)과 네 번째 분리 공간(S6)은 서로 간에 세 번째 격벽(70-3)의 상측 공간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흡기구(21)와 배기구(23)는 첫 번째 분리 공간(S3) 또는 네 번째 분리 공간(S6)중 서로 다른 분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21)가 첫 번째 분리 공간(S3)에 배치되는 경우 배기구(23)는 네 번째 분리 공간(S6)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기구(21)가 네 번째 분리 공간(S3)에 배치되는 경우 배기구(23)는 첫 번째 분리 공간(S6)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기구(21)가 첫 번째 분리 공간(S3)에 배치되고 배기구(23)가 네 번째 분리 공간(S6)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격벽(70)이 배치되고, 다수개의 격벽(70)에 의해 분리된 각 분리 공간 간의 연통 공간이 상하 교번 배치되는 경우, 흡기구(21)를 통해 이격 공간(S)에 흡기된 외부 공기가 이격 공간(S)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여 유동한 후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되므로 이격 공간(S) 내에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흡기구(21)를 통해 첫 번째 분리 공간(S3)의 하단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배기구(23)가 배치된 네 번째 분리 공간(S6)을 향해 유동하되, 각 격벽(70-1, 70-2, 70-3)에 의해 가로막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유동한 후 배기구(23)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격 공간(S) 상에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외부 공기를 이용한 이격 공간(S) 및 내측 하우징의 냉각 효율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을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10)의 둘레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공간과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환기 루바(1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외부 공기는 환기 루바(13)를 통해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어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의 측정 공간과는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환기 루바(13)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환기 루바(13)를 통해 이격 공간의 공기가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의 공기가 이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0)에서 덥혀진 외부 공기가 다시 이격 공간으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내측 하우징(10)은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과 외측 하우징(20)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배출관(15)을 구비하고, 배출관(15)은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외측 하우징(2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배출 팬(151)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팬(151) 또한 팬 제어부(60)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으며, 팬 제어부(60)는 배출 팬(151)이 흡기 팬(211) 및 배기 팬(231)과 함께 작동하도록 흡기 팬(211)과 배기 팬(231)의 작동 제어 시 배출 팬(151)을 함께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환기 루바(13)은 이격 공간으로부터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되, 내측 하우징(10)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은 저감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환기 루바(13)는 이격 공간(S)에서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내측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이격 공간(S)에서 유동하는 외부 공기 유동방향 전단부를 향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환기 루바(13)가 내측 하우징(10)의 좌측 외면(도면 상의 우측면)에 배치되고 내측 하우징(10)의 좌측 외면과 접하는 이격 공간에서 외부 공기가 상향 유동한다면, 내측 하우징(10)의 좌측 외면에 배치되는 환기 루바(13-1)는 상향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유리하도록 하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환기 루바(13)가 내측 하우징(10)의 우측 외면(도면 상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내측 하우징(10)의 우측 외면과 접하는 이격 공간에서 외부 공기가 하향 유동한다면, 내측 하우징(10)의 우측 외면에 배치되는 환기 루바(13-2)는 하향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유리하도록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환기 루바(13)를 통해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IS)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IS)에서 유동하며 내측 하우징 내부 공간(IS)의 온도를 낮춘 후 배출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미세먼지 측정장치
10: 내측 하우징
11: 흡기관
13: 환기 루바
15: 배출관
151: 배출 팬
20: 외측 하우징
21: 흡기구
211: 흡기 팬
23: 배기구
231: 배기 팬
30: 지지대
40: 외부 온도 센서
50: 내부 온도 센서
60: 팬 제어부
70: 격벽
10: 내측 하우징
11: 흡기관
13: 환기 루바
15: 배출관
151: 배출 팬
20: 외측 하우징
21: 흡기구
211: 흡기 팬
23: 배기구
231: 배기 팬
30: 지지대
40: 외부 온도 센서
50: 내부 온도 센서
60: 팬 제어부
70: 격벽
Claims (8)
-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미세먼지 측정부가 수용되는 내측 하우징; 및
상기 흡기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배치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과 상기 외측 하우징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하면 및 둘레면이 상기 외측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은, 하면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기 팬을 장착하는 흡기구와, 하면 타측에 배치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배기 팬을 장착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공간이 일부 단면적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상기 이격 공간을 좌우 분리하는 별도의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는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이격 공간의 분리 공간 중, 서로 다른 분리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은 상기 내측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외측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 센서; 및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 온도가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보다 기준값 이상 낮으면, 상기 흡기 팬 또는 배기 팬을 작동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은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이격 공간이 짝수개의 분리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홀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격벽 중, 좌우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은 상기 이격 공간을 상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하고, 좌우 방향으로 짝수 번째 배치되는 격벽은 상기 이격 공간을 하단부만을 통해 좌우 연통하도록 좌우 분리하며,
상기 흡기구는 짝수개의 분리 공간 중, 일측 끝단의 분리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는 짝수개의 분리 공간 중, 타측 끝단의 분리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상기 이격 공간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환기 루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루바는 상기 이격 공간에서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이격 공간에서의 외부 공기 유동방향 전단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배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외측 하우징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배출 팬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2766A KR102331259B1 (ko) | 2021-08-04 | 2021-08-04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2766A KR102331259B1 (ko) | 2021-08-04 | 2021-08-04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1259B1 true KR102331259B1 (ko) | 2021-12-07 |
Family
ID=7886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2766A KR102331259B1 (ko) | 2021-08-04 | 2021-08-04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125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8881B1 (ko) * | 2022-07-13 | 2022-09-28 | 김윤수 | 초정밀 전자부품 생산 공정용 파티클 농도측정방법 |
KR20230058759A (ko) * | 2021-10-25 | 2023-05-0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 먼지 유해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먼지의 유해성 평가 방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328B1 (ko) | 2014-09-23 | 2015-02-16 | 대한민국 | 입자 개수 농도 측정 장치 |
JP2017096153A (ja) * | 2015-11-24 | 2017-06-01 | 株式会社デンソー | 制御装置 |
KR101832100B1 (ko) * | 2017-07-27 | 2018-04-04 |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90000639A (ko) * | 2017-06-23 | 2019-01-03 | (주) 아이스퀘어 | 방사능 측정 장치 |
KR20190054565A (ko) * | 2017-11-14 | 2019-05-22 | 한국원자력연구원 | 연구용 원자로의 감쇠탱크 |
KR102105253B1 (ko) | 2018-11-22 | 2020-04-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 장치 |
KR20200049142A (ko) * | 2018-10-31 | 2020-05-08 | 주식회사 경동전자 | 공기질 측정 장치 |
KR20200092629A (ko) * | 2019-01-25 | 2020-08-04 | 주식회사 이노서플 |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
KR20210075485A (ko) * | 2019-12-13 | 2021-06-23 |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 미세먼지 측정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
-
2021
- 2021-08-04 KR KR1020210102766A patent/KR1023312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328B1 (ko) | 2014-09-23 | 2015-02-16 | 대한민국 | 입자 개수 농도 측정 장치 |
JP2017096153A (ja) * | 2015-11-24 | 2017-06-01 | 株式会社デンソー | 制御装置 |
KR20190000639A (ko) * | 2017-06-23 | 2019-01-03 | (주) 아이스퀘어 | 방사능 측정 장치 |
KR101832100B1 (ko) * | 2017-07-27 | 2018-04-04 |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90054565A (ko) * | 2017-11-14 | 2019-05-22 | 한국원자력연구원 | 연구용 원자로의 감쇠탱크 |
KR20200049142A (ko) * | 2018-10-31 | 2020-05-08 | 주식회사 경동전자 | 공기질 측정 장치 |
KR102105253B1 (ko) | 2018-11-22 | 2020-04-27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 장치 |
KR20200092629A (ko) * | 2019-01-25 | 2020-08-04 | 주식회사 이노서플 |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
KR102157179B1 (ko) | 2019-01-25 | 2020-09-18 | 주식회사 이노서플 |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
KR20210075485A (ko) * | 2019-12-13 | 2021-06-23 |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 미세먼지 측정 조립체 및 이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갖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8759A (ko) * | 2021-10-25 | 2023-05-0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 먼지 유해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먼지의 유해성 평가 방법 |
KR102532165B1 (ko) | 2021-10-25 | 2023-05-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미세 먼지 유해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 먼지의 유해성 평가 방법 |
KR102448881B1 (ko) * | 2022-07-13 | 2022-09-28 | 김윤수 | 초정밀 전자부품 생산 공정용 파티클 농도측정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1259B1 (ko)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
KR102157179B1 (ko) |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 |
KR102000707B1 (ko) |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 |
KR101866877B1 (ko) | 라돈 저감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 |
SE0401304L (sv) | Sätt och anordning för avskiljning av stoftpartiklar | |
EP2596844A1 (en) | Grease Filter | |
CN203737045U (zh) | 立灯式新风过滤一体机 | |
CN114341561B (zh) | 用于建筑物的供暖、通风和制冷系统的室内空气质量净化系统 | |
Lee et al. | Effect of a system air conditioner on local air quality in a four-bed ward | |
CN210399298U (zh) | 一种无尘车间 | |
KR20190068869A (ko) |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 |
CA2801002A1 (en) | Air blowing device | |
KR102146765B1 (ko) | 습식 세정 장치 | |
CN203848443U (zh) | 一种过桥式窗式动力型通风净化装置 | |
KR20150008294A (ko) | 지붕형 산업용 분진 여과시스템 | |
KR20190087872A (ko) |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시스템 | |
JP2001033072A (ja) | 換気システム | |
KR102337848B1 (ko) |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 |
CN213453253U (zh) |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教室灯具 | |
CN204730328U (zh) | 空气净化器 | |
CN210269527U (zh) | 一种具有分离气室的油烟监测设备 | |
KR100511690B1 (ko) | 크린룸장치 | |
CN109489173B (zh) | 换气系统 | |
CN206669902U (zh) | 一种能够净化空气的室外环境检测设备 | |
CN221288988U (zh) | 一种多功能通风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