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967B1 -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967B1
KR102330967B1 KR1020180073374A KR20180073374A KR102330967B1 KR 102330967 B1 KR102330967 B1 KR 102330967B1 KR 1020180073374 A KR1020180073374 A KR 1020180073374A KR 20180073374 A KR20180073374 A KR 20180073374A KR 102330967 B1 KR102330967 B1 KR 10233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user
point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65A (ko
Inventor
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9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adapted or bridged legacy communication protocols, e.g. emulation, protocol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서, 인쇄 장치에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인쇄 장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고정 SSID 설정 또는 원 타임 SSID 설정을 행한다. 인쇄 장치는, 고정 SSID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의 기동에 따라 무선 LAN I/F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게 한다. 인쇄 장치는, 원 타임 SSID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 무선 LAN I/F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게 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는 점점 더 무선 LAN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LAN 기능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PC나 모바일 단말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 장치를 통하지 않고 외부 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6555호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사용해서 모바일 단말기와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인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소프트웨어 AP 모드) 및 Wi-Fi Direct(등록 상표)가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저가 인쇄 장치의 조작 패널을 조작해서 인쇄 장치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시킴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와 인쇄 장치 사이에서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직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쇄 장치의 조작을 완료하면, 유저는 인쇄 장치의 조작 패널을 조작해서 인쇄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키게 한다. 이 경우, 유저는, 직접 무선 통신의 이용이 필요하게 될 때마다, 인쇄 장치의 조작 패널을 조작해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 및 정지를 지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 조작은 손이 많이 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와 같이, 인쇄 장치에 항상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게 하여(즉,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상시 온 상태로 설정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인쇄 장치의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보안의 관점에서, 인쇄 장치에의 접속에 필요한 SSID 등의 접속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마다 변경하는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지 않는 한 접속 정보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인쇄 장치의 운용의 보안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서, 인쇄 장치에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인쇄 장치로서,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제1 설정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설정을 행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 및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인쇄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제1 설정,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설정 중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인쇄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상기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제1 설정,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접속 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설정 중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에서, 인쇄 장치에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인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을 위한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접속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제1 실시예)이다.
도 6은 접속해제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제1 및 제2 실시예)이다.
도 7은 접속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제2 및 제3 실시예)이다.
도 8은 접속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제3 실시예)이다.
도 9는 접속해제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제3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당해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종별 설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인쇄 장치(100)를 예시한다.
<네트워크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상정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인쇄 장치(100)는, 무선 LAN 규격에 따른 통신 기능을 갖는다. 인쇄 장치(100)는, 마찬가지로 무선 LAN 규격을 따르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110)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인쇄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110) 등의 외부 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인쇄 장치(100)가 마스터 디바이스(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인쇄 장치의 구성>
도 2는, 인쇄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인쇄 장치(100)는, 제어 유닛(200); 및 제어 유닛(200)에 접속된 프린터(207), 스캐너(213), 조작 유닛(209), 무선 LAN 칩(211) 및 유선 LAN 칩(215)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200)은, 제어 유닛(200)에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의 인쇄 기능, 스캔 기능, 카피 기능,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유닛(200)은, 시스템 버스(205)에 접속된 디바이스로서, CPU(201), RAM(202), ROM(20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4), 스캐너 인터페이스(I/F)(212), 프린터 I/F(206), 조작 유닛 I/F(208), 무선 LAN I/F(210) 및 유선 LAN I/F(214)을 구비한다.
CPU(201)는, 시스템 버스(205)를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인쇄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202)은, CPU(201)의 주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ROM(203)은, 인쇄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CPU(201)는, ROM(203)에 저장된 각 제어 프로그램을 RAM(202)에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실행한다. HDD(204)는, 각종 프로그램 및 인쇄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는 1개의 CPU(201)에 의해 후술하는 각 처리 동작(대응하는 흐름도에 의해 나타냄)을 실행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CPU가 협동해서 각 처리 동작을 실행하도록 인쇄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프린터(207)는,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110)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 또는 스캐너(213)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터(207)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스캐너(213)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판독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캐너(213)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207)에 의한 인쇄 처리에 사용되거나 HDD(204)에 저장된다. 조작 유닛(209)은,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부 및 키보드를 구비하고,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 유닛(209)을 통해 인쇄 장치(100)에 대하여 지시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 LAN 칩(211)은, 무선 LAN 규격에 따르는 무선 통신(무선 LAN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칩이다. 무선 LAN I/F(210)는, 무선 LAN 칩(211)을 제어함으로써, 외부 액세스 포인트나 모바일 단말기(110) 등의 외부 장치와의 무선 LAN 통신을 실현한다. 무선 LAN I/F(210) 및 무선 LAN 칩(211)은, IEEE802.11a/b/g/n/ac 등의 무선 LAN 규격에 따른다. 유선 LAN 칩(215)은, 유선 LAN에 접속되고, 유선 LAN을 통한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칩이다. 유선 LAN I/F(214)는, 유선 LAN 칩(215)을 제어함으로써, 유선 LAN을 통해 PC 단말기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실현한다.
무선 LAN I/F(210)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중계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외부 장치와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LAN I/F(210)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는,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인쇄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소프트웨어 AP 모드)에 의해 실현된다.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 대신에, Wi-Fi Alliance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Wi-Fi Direct(등록 상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실현하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무선 다이렉트 기능"이라고 칭한다.
<인쇄 장치의 조작 화면>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을 위한 조작 화면의 예(조작 화면(300))를 도시한다. 조작 화면(300)에서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사용할지의 여부(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의 온 및 오프)의 설정과, 사용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종별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이 오프일 경우, 무선 다이렉트 기능이 무효화되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SID 종별 설정으로서, 고정 모드(고정 SSID) 또는 원 타임 모드(원 타임 SSID)를 설정할 수 있다. 고정 SSID가 설정된 경우, 인쇄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SSID 및 KEY(패스워드, 암호화 키 또는 접속 키 등)를,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로서 사용한다. 원 타임 SSID가 설정된 경우, 인쇄 장치(100)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개시(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된(이전 동작의 것과 상이한) SSID 및 KEY를,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로서 사용한다.
인쇄 장치(100)의 CPU(201)는, 조작 화면(300)의 설정 내용에 따라,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SSID 및 KEY)의 설정으로서, 고정 SSID 또는 원 타임 SSID를 설정한다. 조작 화면(300)의 설정 내용 등을 나타내는 설정값 등의 각종 설정값은 HDD(204)에 저장된다. ROM(203)이 NVRAM(불휘발성 RAM) 영역을 갖는 경우에는, ROM(203)의 NVRAM 영역에 각종 설정값이 저장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SSID 설정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접속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제1 설정의 일례이다. 원 타임 SSID 설정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접속 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설정의 일례이다.
도 4a 및 도 4b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의 조작 화면(400)은, 예를 들어 조작 유닛(209)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유저가 선택한 경우에 조작 유닛(209)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조작 화면(400)에서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를 유저가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화면(400)에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 지시가 행해지면, 인쇄 장치(100)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시키고, 도 4b의 조작 화면(410)을 조작 유닛(209)에 표시한다. 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개시되면(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설정되면), 인쇄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수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다. 조작 화면(410)에는, 모바일 단말기(110) 등의 외부 장치가 인쇄 장치(100)에 대해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접속 정보(SSID 및 KEY)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조작 화면(410)에 표시된 SSID 및 KEY를 사용하여, 인쇄 장치(100)에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 필요한 조작을 유저가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화면(410)에서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정지)를 유저가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화면(410)에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정지 지시가 행해지면, 인쇄 장치(100)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정지되면(무선 다이렉트 기능이 오프 상태로 설정되면), 인쇄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수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다.
<접속 처리>
도 5는, 인쇄 장치(100)에서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한 접속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수순에서는, CPU(201)는, 인쇄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무선 LAN I/F(210)를 동작시킴으로써 외부 장치(본 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단계의 처리는, ROM(2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201)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에서 실현된다.
인쇄 장치(100)의 전원이 넣어진 후, 단계 S101에서, CPU(201)는, HDD(204)에 저장된 설정값을 참조하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무선 다이렉트 기능 설정이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다이렉트 기능 설정은, 조작 화면(300)을 통해 유저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사용하는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3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CPU(201)는 단계 S1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02에서, CPU(201)는, 조작 유닛(209)에 조작 화면(400)을 표시한 경우에, "개시" 버튼을 무효화한다(예를 들어, 그레이 아웃하거나 표시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를 유저가 지시할 수 없게 되고,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그 후, CPU(201)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03에서, CPU(201)는, HDD(204)에 저장된 설정값을 참조하고, SSID 종별 설정을 판정한다.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제1 설정)인 경우에는, CPU(201)는 단계 S103으로부터 단계 S1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04에서, CPU(201)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용의 SSID 및 KEY(접속 정보)로서, 미리 설정되고 HDD(204)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값을 설정한다.
그 후, 단계 S105에서,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처리를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0)는, 인쇄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인 경우에는, 인쇄 장치(100)의 기동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을 제어한다.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제2 설정)일 경우에는, CPU(201)는 단계 S103으로부터 단계 S10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08에서, CPU(201)는 유저로부터의 개시 지시를 기다린다. 조작 유닛(209)에 표시한 조작 화면(400)에서 개시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리면(터치되면), CPU(201)는 개시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단계 S109로 진행시킨다.
단계 S109에서, CPU(201)는, 난수를 사용해서 SSID 및 KEY(접속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SSID 및 KEY를 액세스 포인트 동작용의 SSID 및 KEY로서 설정한다. 그 후, 단계 S105에서, CPU(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0)는, 인쇄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을 제어한다.
이어서, CPU(201)는 단계 S105로부터 단계 S106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06에서,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무선 다이렉트 접속의 접속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201)는,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07로 진행시키고, 수신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와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인쇄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110) 사이에서 무선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 유저는 모바일 단말기(110)를 사용하여 인쇄 또는 스캔을 인쇄 장치(100)에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된 경우, 도 5의 수순에 의한 처리를 종료하고, 도 6의 수순에 의한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06에서,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10로 진행시킨다. 단계 S110에서,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06로 복귀시킨다. 즉, CPU(201)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아도,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시킨다.
이와 같이, 인쇄 장치(100)가 고정 SSID 설정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유저가 조작 화면(400)을 조작해서 개시 지시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 장치(모바일 단말기(110))가 인쇄 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단계 S110에서, CPU(201)는, SSID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11로 진행시킨다. 단계 S111에서,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CPU(201)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접수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된다. 그 후, CPU(201)는, 처리를 단계 S108에 복귀시키고, 조작 화면(400)을 조작 유닛(209)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개시 지시를 기다린다.
이와 같이, 인쇄 장치(100)가 원 타임 SSID의 설정하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온 상태(접속 요구 대기 상태)가 무제한적으로 계속되지 않는다. 유저로부터의 개시 지시에 의해 다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개시하는 경우, 이전 동작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SSID 및 KEY가 생성 및 설정된다(단계 S109).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접속 처리>
도 6은, 인쇄 장치(100)에서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단계의 처리는, ROM(2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201)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에서 실현된다.
외부 장치(본 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동안에, 단계 S151에서,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해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조작 화면(410)에서 정지 버튼이 터치되었을 경우,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접속해제 요구를 수신한 경우, 유선 LAN 칩(215)에 의한 전파의 송신/수신이 정지된 경우, 또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의 계속 시간이 인쇄 장치(1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접속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대응한다. CPU(201)는, 이들 접속해제 이벤트 중 임의의 것이 발생하면, 처리를 단계 S152에 진행시킨다.
단계 S152에서, CPU(201)는, 모바일 단말기(110)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시점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10)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이 접속해제되었을 뿐이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즉,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계속된다.
이어서, 단계 S153에서, CPU(201)는, 단계 S151에서의 접속해제 이벤트가, 조작 화면(410)에서 정지 버튼을 사용해서 행해지는,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해제 이벤트가 정지 지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CPU(201)는 처리를 단계 S154로 진행시킨다. 단계 S154에서,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SSID 종별 설정에 관계없이, 무선 LAN I/F(210)에 의해 실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정지된다. 이것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는(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는) 의도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유저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다시 개시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화면(400)을 사용해서 개시 지시를 행할 필요가 있다.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 처리가 완료되면, CPU(201)는 도 6의 수순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201)는,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10(도 5)로 진행시킨다. 그 결과, CPU(201)는, 단계 S110에서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일 경우에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시킨다(단계 S106). 이와 같이, 인쇄 장치(100)가 고정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유저가 조작 화면(400)을 조작해서 개시 지시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 장치(모바일 단말기(110))가 인쇄 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CPU(201)는, 단계 S110에서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S111).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0)는, 조작 화면(400)을 통해 유저로부터 개시 지시가 행해질 때까지, 무선 LAN I/F(210)이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 장치(100)가 원 타임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1회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이 완료되면,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가 항상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다음에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로 설정될 때에는, 이전 동작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SSID 및 KEY가 생성 및 설정된다(단계 S109).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에서는, 무선 LAN I/F(210)는,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인쇄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한다.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SSID 및 KEY) 설정으로서, 고정 SSID 설정(제1 설정) 또는 원 타임 SSID 설정(제2 설정)을 행한다. CPU(201)는, 고정 SSID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100)의 기동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를 제어하고, 원 타임 SSID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CPU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기능(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100)에서, 인쇄 장치(100)에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SSID 및 KEY가 고정 설정 또는 원 타임 설정인지 여부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유저 지시에 의해 온 상태로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온 상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유저가 불필요한 조작을 행하는 수고를 경감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안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당해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종별 설정 및 상시 온 설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인쇄 장치(100)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 장치의 조작 화면>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을 위한 조작 화면의 예(조작 화면(310))를 도시한다. 조작 화면(310)에서는, 조작 화면(300)에서의 설정 내용 이외에,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위한 상시 온 설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CPU(201)는, 조작 화면(310)에서 상시 온 설정으로서 "유효"가 선택된 경우에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상시 온 설정을 행한다. 상시 온 설정으로서 "무효"가 선택된 경우에는, CPU(201)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상시 온 설정을 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시 온 설정은,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이며, 상시 온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100)의 기동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를 제어한다. 한편,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이며, 상시 온 설정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를 제어한다.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인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을 제어한다.
<접속 처리>
도 7은, 인쇄 장치(100)에서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한 접속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단계의 처리는, ROM(2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201)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에서 실현된다. 도 7에서는, 제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제3 실시예(후술함)에 관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7의 처리에서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인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예(도 5)와 상이하다. 이로 인해, 이하에서는 주로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일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01 내지 S103의 처리는 제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3에서,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인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201에 진행시킨다. 단계 S201에서, CPU(201)는, HDD(204)에 저장된 설정값을 참조하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201)는,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1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201)는 처리를 단계 S108로 진행시킨다. 단계 S104 내지 S107의 처리는 제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상시 온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인쇄 장치(100)가 고정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고 있어도, 조작 화면(400)을 통해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처리(단계 S105)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상태에서, 인쇄 장치(100)의 기동에 따라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처리(단계 S105)를 행한다.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가 고정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고 있어도,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지 여부를 유저가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저에 대해 적절한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PU(201)가 단계 S106에서 무선 LAN I/F(2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및 단계 S110에서,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일 경우, CPU는 처리를 단계 S202로 진행시킨다. 단계 S202에서, CPU(201)는,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06로 복귀시키고,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시킨다. 이와 같이,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할 경우에는, 유저가 조작 화면(400)을 조작해서 개시 지시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 장치(모바일 단말기(110))가 인쇄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CPU(201)는, 상시 온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11에 진행시키고,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시 온 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온 상태(접속 요구 대기 상태)가 무제한적으로 계속되지 않는다. 또한, 유저로부터의 개시 지시에 의해 다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개시한 경우에는, 원 타임 SSID의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전 동작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SSID 및 KEY가 생성 및 설정된다(단계 S109).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의 보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속해제 처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처리의 수순은 제1 실시예(도 6)와 마찬가지이다. 단, 단계 S153에서,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CPU(201)는 도 5의 단계 S110가 아니고, 도 7의 단계 S11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단계 S151에서의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일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S154). CPU(201)는,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이며,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하면,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시킨다(단계 S110, S202, 및 S106). 한편, CPU(201)는,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이며, 상시 온 설정이 무효일 때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S110, S202, 및 S111). CPU(201)는,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고,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 S110 및 S1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장치(100)가 고정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고 있어도, 상시 온 설정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지 여부를 유저가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는 유저의 요구에 더 적합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일 경우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조작 화면(310)에서,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으로 설정된 경우에만,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상시 온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조작 화면(310)에서 상시 온 설정이 유효화된 경우에는, SSID 종별 설정을 자동으로 고정 SSID 설정으로 설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SSID 종별 설정으로서 개인별 SSID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의 SSID 종별 설정 및 상시 온 설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인쇄 장치(100)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 장치의 조작 화면>
도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설정을 위한 조작 화면의 예(조작 화면(320))을 도시한다. 조작 화면(320)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작 화면(310)에서의 설정 내용 이외에, SSID 종별 설정으로서, 고정 모드(고정 SSID), 원 타임 모드(원 타임 SSID), 또는 개인별 모드(개인별 SSID)를 설정할 수 있다. 고정 SSID 및 원 타임 SSID의 설정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개인별 SSID 설정이 행해진 경우, 인쇄 장치(100)는,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개시(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유저마다 상이한 SSID 및 KEY를,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로서 사용한다. 개인별 SSID 설정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유저마다 상이한 접속 정보를 사용하는 제3 설정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장치(100)는, 인쇄 장치(100)에 IC 카드 등을 사용해서 유저가 처음으로 로그인하면, 로그인한 유저에 고유한 SSID 및 KEY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SSID 및 KEY를 HDD(204)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유저 A가 로그인했을 경우, SSID 및 KEY(패스워드)로서 각각 "AAA001" 및 "12345"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또한, 유저 B가 로그인했을 경우, SSID 및 KEY(패스워드)로서 "BBB001" 및 "54321"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 유저마다 상이한(각 유저에 고유한) SSID 및 KEY가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로서 사용된다.
인쇄 장치(100)는, 동일한 유저에 의해 인쇄 장치(100)에 대해 이루어진 2회째 및 그 이후의 로그인 동작에 대해서는, HDD(204)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당해 유저에 대응하는 SSID 및 KEY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2회째 및 이후의 로그인 동작 시에는, 이전 로그인 동작시에 사용된 SSID 및 KEY가 변경 없음이 사용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110)를 인쇄 장치(100)에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의해 접속시키기 위한 유저 조작이 간략화될 수 있다.
<접속 처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인쇄 장치(100)에서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한 접속 처리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단계의 처리는, ROM(2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201)가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에서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인 경우 및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인 경우의 처리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의 처리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이하에서는 주로,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단계 S101 내지 S102의 처리는 제1 실시예(도 5)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3에서,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301(도 8)에 진행시킨다. 단계 S301에서, CPU(201)는, HDD(204)에 저장된 설정값을 참조하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201)는,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3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303로 진행된다.
단계 S303에서는, CPU(201)는, 조작 유닛(209)에 표시된 조작 화면(400)을 통해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 처리를 단계 S304로 진행시킨다. 한편, 단계 S302에서는, CPU(201)는,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유저가 로그인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처리를 단계 S304로 진행시킨다.
단계 S304에서, CPU(201)는, 로그인한 유저에 고유한 SSID 및 KEY을 HDD(204)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SSID 및 KEY를 액세스 포인트 동작용의 SSID 및 KEY(접속 정보)로서 설정한다. CPU(201)는, 유저가 인쇄 장치(100)에 처음으로 로그인했을 경우에는, 당해 유저에 고유한 SSID 및 KEY를 새롭게 생성한다. 또한, CPU(201)는, 생성한 SSID 및 KEY를,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위한 SSID 및 KEY로서 설정하며, 생성된 SSID 및 KEY를 HDD(204)에 저장한다. 생성된 SSID 및 KEY를 HDD(204)에 저장하는 대신, 유저가 로그인할 때마다,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유저 정보로부터 동일한 SSID 및 KEY를 생성하는 처리가 행해지도록 설정해도 된다.
그 후, 단계 S305에서, CPU(201)는, 단계 S105와 마찬가지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개시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이며, 무선 다이렉트 기능에 대한 상시 온 설정이 유효한 경우, 유저가 인쇄 장치(100)에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이 온 상태로 설정된다(액세스 포인트 동작이 개시된다). 즉,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 인쇄 장치(100)에의 유저의 로그인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210)를 제어한다.
이어서, 단계 S306에서, CPU(201)는, 무선 LAN I/F(210)가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무선 다이렉트 접속의 접속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201)가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CPU(201)는 처리를 단계 S107에 진행시키고, 수신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와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그 후, 도 8의 수순에 따른 처리를 종료하고, 도 9의 수순에 따른 처리를 개시한다.
CPU(201)는, 로그아웃 이벤트가 발생한(유저가 인쇄 장치(100)로부터 로그아웃한) 경우(단계 S308에서 ""예"), 또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의 개시로부터 미리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309에서 "예"), 처리를 단계 S310에 진행시킨다. 그렇지 않을 경우(단계 S309에서 "아니오"), CPU(201)는, 처리를 단계 S306에 복귀시키고, 계속해서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하기를 기다린다. 단계 S310에서, CPU(201)는, 단계 S111와 마찬가지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을 오프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가 수신되기 전에 인쇄 장치(100)로부터 유저가 로그아웃하면, CPU(201)는 무선 LAN I/F(210)에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 후, CPU(201)는 처리를 단계 S301에 복귀시킨다.
<접속해제 처리>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인쇄 장치(100)에서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처리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단계의 처리는, ROM(20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201)가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0)에서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SID 종별 설정이 원 타임 SSID 설정인 경우 및 SSID 종별 설정이 고정 SSID 설정인 경우에 대한 처리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S351 내지 S354의 처리는 단계 S151 내지 S154(도 6)와 마찬가지이다. 단, 단계 S354에서, CPU(201)는, 단계 S351에서의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로부터의 정지 지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355에 진행시킨다.
단계 S355에서,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일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356에 진행시키고, 무선 다이렉트 기능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그 후, CPU(201)는, 처리를 단계 S302(도 8)에 진행시키고,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단계 S355에서, CPU(201)는, SSID 종별 설정이 개인별 SSID 설정이 아닌(고정 SSID 설정 또는 원 타임 SSID 설정인)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110(도 7)에 진행시키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장치(100)가 개인별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는 경우에, 유저의 로그인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100)가 개인별 SSID 설정하에서 운용되는 경우에도, 상시 온 설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유저 지시에 의해 온 상태로 설정할지 또는 유저의 로그인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온 상태로 설정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인쇄 장치(100)는 유저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화상 처리 장치이며,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미리 정해진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기 위한 제1 설정,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적어도 이전의 접속 정보와는 상이한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기 위한 제2 설정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 및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전력 오프 상태(power OFF state)로부터 정규 전력 상태(normal power state)로 시프트하는 개시 동작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하지 않고 개시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함 -,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한 후에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접속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용으로 설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개시 동작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유저로부터 상기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접속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용으로 설정하며,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는 동안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상기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상기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하게 하며,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ON)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개시 동작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한 후에 상기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접속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상기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인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며,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상기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되면,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계속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항상 온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이 설정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되면,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상기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제1 설정, 상기 제2 설정,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 유저마다 상이한 접속 정보를 사용하는 제3 설정 중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3 설정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한 유저의 로그인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 유저가 로그아웃하면,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 확립된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기 위한 접속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해제 이벤트가 유저에 의한 정지 지시가 아니며 상기 제3 설정이 행해진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정지하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 및 Wi-Fi Direct 중 하나에 의해 행해지는, 화상 처리 장치.
  14.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화상 처리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미리 정해진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는 제1 설정,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적어도 이전의 접속 정보와는 상이한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는 제2 설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전력 오프 상태에서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하는 개시 동작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하지 않고 개시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함 -,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한 후에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외부 장치와의 무선 다이렉트 접속을 위해서 화상 처리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다이렉트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의 설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미리 정해진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는 제1 설정,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적어도 이전의 접속 정보와는 상이한 접속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는 제2 설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전력 오프 상태에서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하는 개시 동작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은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를 접수하지 않고 개시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함 -,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설정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가 정규 전력 상태로 시프트한 후에 유저에 의한 개시 지시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73374A 2017-06-27 2018-06-26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30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5590A JP6853742B2 (ja) 2017-06-27 2017-06-27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7-125590 201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65A KR20190001565A (ko) 2019-01-04
KR102330967B1 true KR102330967B1 (ko) 2021-11-25

Family

ID=6469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374A KR102330967B1 (ko) 2017-06-27 2018-06-26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40125B2 (ko)
JP (1) JP6853742B2 (ko)
KR (1) KR102330967B1 (ko)
CN (1) CN1091444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1310B2 (ja) 2019-05-28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16784B2 (en) * 2019-07-11 2023-03-28 Kyndryl, Inc. Personal-public service set identifiers connection implemented by a WA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015A1 (en) 2001-11-01 2003-05-15 Seiko Epson Corporation Station for wireless network
JP2013214804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通信装置
US20140366101A1 (en) 2012-02-09 2014-12-1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US20170064723A1 (en) 2015-08-26 2017-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of a device to a wireless access point
US20170094581A1 (en) 2015-09-30 2017-03-30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Relaying apparatus of a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730B2 (ja) * 2001-05-14 2011-02-23 株式会社リコー 無線印刷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JP5659870B2 (ja) 2011-03-03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電子装置、及び簡易アクセスポイントの決定方法
EP3716599A1 (en) * 2011-12-12 2020-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JP6119481B2 (ja) * 2013-07-23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5980258B2 (ja) * 2014-03-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4792B2 (ja) * 2015-02-26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5924B2 (ja) * 2015-09-1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6283B2 (ja) * 2015-11-18 2020-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1572B2 (ja) * 2015-11-28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5769B2 (ja) * 2015-11-28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4194B2 (ja) * 2017-02-28 2020-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1015A1 (en) 2001-11-01 2003-05-15 Seiko Epson Corporation Station for wireless network
US20140366101A1 (en) 2012-02-09 2014-12-1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JP2013214804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通信装置
US20170064723A1 (en) 2015-08-26 2017-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of a device to a wireless access point
US20170094581A1 (en) 2015-09-30 2017-03-30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Relaying apparatus of a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3742B2 (ja) 2021-03-31
CN109144434B (zh) 2022-07-12
US20180373475A1 (en) 2018-12-27
JP2019009696A (ja) 2019-01-17
CN109144434A (zh) 2019-01-04
KR20190001565A (ko) 2019-01-04
US10540125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254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US1177075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7356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near-field and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US2023026958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30967B1 (ko)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64254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10747476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performs an access point operation to cause the printing apparatus to operate as an access point, and an operation conforming to Wi-Fi® direct
JP2019009696A5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668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s of a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US2023036302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3038540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