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51B1 -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51B1
KR102330751B1 KR1020200164101A KR20200164101A KR102330751B1 KR 102330751 B1 KR102330751 B1 KR 102330751B1 KR 1020200164101 A KR1020200164101 A KR 1020200164101A KR 20200164101 A KR20200164101 A KR 20200164101A KR 102330751 B1 KR102330751 B1 KR 10233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stopper
trigger
blade memb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상
Original Assignee
씨와이오토텍 주식회사
알에프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와이오토텍 주식회사, 알에프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와이오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60Planarisation devices; Compression devices
    • B22F12/67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7Process control of powder bed aspects, e.g.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50Means for feeding of material, e.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소재를 도포하는 리코더 장치의 유지 보수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3차원 금속 프린터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3차원 프린터의 챔버에 구비되어 원료 분말을 도포하는 리코터장치로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2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2 스토퍼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션 스프링, 상기 제1 스토퍼에 간섭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을 억제하였다가,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를 회전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Recoater device of 3D printer and 3D printe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분말 소재를 도포하는 리코더 장치의 유지 보수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3차원 금속 프린터와 관련된다.
금속 3차원 프린터는 다양한 입체물을 금속 재질로 성형하는 것으로, 4차 산업의 한 축을 이루는 고도의 기술 집적 장비와 프로세스로 이루어진 성형기기이다.
3차원 프린터는 미세 금속 분말을 원재료로 하여 베드 위에 한 층씩 도포한 후 목적한 부분만 레이저 빔으로 소결시키는 방식을 반복하여 입체물을 성형하게 된다.
성형물의 정밀도는 원료의 선택, 원료를 도포하는 높이, 레이저 빔의 스펙 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원료의 도포층 높이를 매번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야 의도한 높이에 맞춰 성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수평 방향에서 좌우 이동하는 리코터장치의 하부에는 원료를 쓸고 지나가면서 일정한 두께로 베드 위에 새로운 도포층을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도포층의 높이를 매우 정밀하게 형성하기 위해 브레이드의 건전성이 중요하고, 일정 횟수의 도포 작업 후에는 새로운 블레이드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러한 블레이드의 교체는 챔버를 개방하고 수행되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9608호 (2009.05.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5124호 (2017.03.06)
본 발명은 챔버의 개방 없이 적어도 1회의 블레이드로 교환이 가능하여 잦은 블레이드 유지보수에 따라 작업 시간이 단축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리코터장비와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3차원 프린터의 챔버에 구비되어 원료 분말을 도포하는 리코터장치로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2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2 스토퍼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션 스프링, 상기 제1 스토퍼에 간섭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을 억제하였다가,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를 회전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스토퍼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1 스토퍼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후퇴 이동한 상기 트리거에 의해 상기 제1 스토퍼의 간섭이 해제된 후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트리거에 간섭되면서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이 멈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토퍼의 일면과 상기 제2 스토퍼의 일면은, 서로 평행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트리거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원료 분말의 적층과 부분 소결을 반복하여 입체물을 성형하는 3차원 프린터에 있어서, 성형 가공이 수행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바닥에 구비되며 성형 진행에 따라 하강하는 베드모듈, 상기 베드모듈의 일측에 위치하며 원료 분말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모듈, 상기 베드모듈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드부에 도포하고 남은 원료 분말이 수거되는 재료수거모듈, 상기 재료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재료수거모듈까지 원료 분말을 이동시키는 도포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코터장치 및 상기 베드모듈에 오른 도포층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소결시키는 빔조사모듈을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도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바디의 수평 이동 구간을 초과하여 상기 바디가 이동될 때에, 상기 챔버에 구비된 구조물이 상기 트리거와 접촉하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한 제1 스토퍼에 간섭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코터장치를 추가로 더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트리거를 작동시켜 새로운 블레이드로 교체되어, 블레이드 유지보수 기간을 2배로 늘릴 수 있다. 그에 따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잦은 블레이드 교체에 따라 작업시간이 줄어든 기존 방식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리코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코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200)는 챔버(210), 베드모듈(240), 재료공급모듈(250), 재료수거모듈(260), 리코터장치(100) 및 빔조사모듈(270)을 포함하는 것으로, 원료 분말의 적층과 부분 소결을 반복하여 입체물을 성형하는 것이다.
챔버(210)는 성형 가공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내부는 외부와 단절된다. 성형 가공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가스 조성을 변경하거나 공기압을 조절하는 가스설비, 공기 펌프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분진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챔버(210)의 바닥 부분에는 베드모듈(240), 재료공급모듈(250) 및 재료수거모듈(260)이 구비된다. 베드모듈(240)은 챔버(210)의 중앙에 위치하며, 액추에이터(A)에 의해 승강 제어되는 베드(241)가 구비된다. 액추에이터(A)는 한 차례 소결 가공이 완료되면 설정한 깊이로 하강하고, 그 위에 새로운 도포층이 덮여 형성된다.
재료공급모듈(250)은 베드모듈(240)의 일측에 위치하며, 원료 분말이 저장되어 있다. 베드모듈(240)과 마찬가지로 바닥 부분이 액추에이터(A)에 의해 조금씩 상승되어, 1회 도포층을 형성할 때마다 일정량의 원료 분말을 공급한다.
한편 재료수거모듈(260)은 베드모듈(240)에 새로운 도포층을 형성하고 남은 원료 분말이 자유 낙하하여 모이는 공간을 제공한다. 재료수거모듈(260)은 베드모듈(240)을 사이에 두고 재료공급모듈(25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리코터장치(100)의 하부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되며, 베드모듈(240)의 하강 작동과 재료공급모듈(250)의 상승 작동이 진행된 후 수평으로 이동하며 재료공급모듈(250)의 바닥이 상승함에 따라 높아진 원료 분말을 블레이드로 밀어낸다. 블레이드로 밀린 원료 분말은 베드가 하강한 깊이만큼 쌓여 베드 위에 새로운 도포층을 형성하고, 이후 남은 원료 분말은 재료수거모듈(260)로 수거된다.
이후 빔조사모듈(270)이 새로이 오른 도포층에 미리 설계된 패턴에 따라 열에너지를 조사하여 원료 분말을 소결시킨다.
원료 분말로 도포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리코터장치(100)는 재료공급모듈(250)부터 베드모듈(240)을 지나 재료수거모듈(260)까지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리코터장치의 이동 구간(G)을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코터장치와 관련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리코터장치(100)는 바디(10), 블레이드부재(30), 회전체(40), 토션 스프링(50), 트리거(60) 및 구동부(70)를 포함한다.
바디(10)는 블레이드부재(30)를 고정하면서 구동부(70)와 연결되는 부재로, 챔버(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구동부(70)는 회전모터(71), 벨트(72) 및 연결브래킷(73)을 포함하고,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챔버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브래킷(73)은 벨트(72)에 고정되고, 바디(10)와 결합되어 있어 회전모터(71)의 작동에 따라 바디(1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바디(10)의 하부에는 블레이드부재(30)가 장착되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함몰된 공간의 내측에는 블레이드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핀(11)이 구비된다.
블레이드부재(30)는 중앙에 회전홀(31)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 부재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2 블레이드(32, 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회전홀(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2 블레이드(32, 33)가 대칭을 이루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재(30)의 일측 단부에는 조립홈(3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40)는 블레이드부재(30)의 끝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회전홀(31)과 대응하는 장착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홀(411)은 원통 형상의 홀 부재(41) 중심에 형성된다.
회전체(40)의 외주면에는 제1 스토퍼(42)와 제2 스토퍼(43)가 돌출되어 있다. 제1 스토퍼(42)와 제2 스토퍼(43)는 장착홀(41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제1 스토퍼(42)의 일면은 회전체(40)의 외주면과 이어지는 곡면(422)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면은 회전체(40)의 내측을 향하는 평면(421)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토퍼(43)의 일면과 타면도 곡면(432)과 평면(431)으로 형성되며, 제1 스토퍼(42)의 평면(421)과 제2 스토퍼(43)의 평면(431)은 장착홀(4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선 대칭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스토퍼(42)의 평면(421)과 제2 스토퍼(43)의 평면(431)은 서로 평행하다.
나아가 회전체(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2 스토퍼(43)의 돌출 길이는, 제1 스토퍼(42)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재(30)의 단부와 접하는 회전체(40)의 일면에는 조립홈에 대응하여 조립돌기(433)가 돌출되어 있다. 도 3에서 장착홀(411)의 상하에 돌출된 한 쌍의 조립돌기(433)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돌기(433)가 블레이드부재의 조립홈(34)에 들어가면서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가 결합되고, 이후 블레이드부재(30)와 회전체(40)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토션 스프링(50)은 회전체(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체(40)의 홀 부재(41)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토션 스프링(50)의 일단부는 회전체(40) 내부의 돌출물(434)에 걸려 지지되고, 타단부는 마감블록(13)에서 돌출된 지지턱(133)에 걸려 지지된다.
마감블록(13)은 바디(10)의 핀(11)에 블레이드부재(30)와 회전체(40)의 조립체가 결합된 후 바디(10)에 체결되는 부재이다. 마감블록(13)은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양자의 분리 가능한 결합 방식은, 마그네틱, 클램프, 볼트 체결 등 공지된 다양한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마감블록(13)에는 회전체(40)의 장착홀(411)과 블레이드부재(30)의 회전홀(31)에 진입하는 핀(132)이 구비된다.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의 양단부는 핀(11, 13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는 바디(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다.
트리거(60)는 바디(10) 또는 마감블록(13)에 구비되며, 제1 스토퍼(42)에 간섭하거나 간섭을 해제하여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트리거(60)는 마감블록(13)에 형성된 가이드홀(131)을 타고 바디(10)의 두께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61)와, 슬라이더(61)의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체(40)의 외주면을 향하는 지지편(62)을 구비한다.
여기서 가이드홀(131)은 마감블록(13)을 관통하는 것으로, 트리거(60)는 바디(10)의 두께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마감블록(13)을 통과한 슬라이더(61)에 스톱퍼용 볼트(63)가 체결되어, 트리거(60)의 이동 거리를 제약할 수 있다.
트리거(60)의 지지편(62)은 회전체(40)의 제1 스토퍼(42) 또는 제2 스토퍼(43)에 걸려 회전체(40)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다. 트리거(60)가 가이드홀(131)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회전체(40)의 회전을 억제하는 걸림이 해제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트리거는 바디 또는 마감블록에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는 레버로 대체될 수 있다. 레버가 젖혀지면서 래킷 치형에 걸리던 레버의 단부가 치워지면서 회전체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트리거 작동에 따른 블레이드 교체와 관련된다.
도 4는 제1 블레이드(32)가 바디(10)의 아래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가 수평 이동하면서 원료 분말로 도포층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동안 수행하게 된다.
토션 스프링(50)에 미리 비틀림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도면 상의 회전체(40)를 시계 방향으로 수 회 회전시켜 둘 수 있다. 이로써 토션 스프링(50)에 의해 회전체(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트리거(60)의 지지편(62)은 제1 스토퍼(42)의 평면에 접하고 있다. 트리거(60)는 가이드홀(13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아니하므로, 지지편(62)에 걸린 회전체(40)는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5와 도 1을 참고하면, 블레이드의 교체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도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바디(10)의 통상적인 수평 이동 구간(G)을 초과하여 챔버(210)의 벽면 가까이에 바디가 도달하도록 구동부(70)가 작동된다.
챔버(210)의 벽면에 구비된 어떤 구조물(220)과 트리거가 접촉하게 되고, 가이드홀(131)에서 트리거(60)가 수평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여기서 구조물(220)은 챔버(210)의 벽면에 구비되어 돌출된 블록이나 핀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챔버의 벽면 자체에 트리거(60)가 접촉할 수도 있다.
도포층을 형성하는 평상 시의 작동 구간(G)을 벗어나 바디(10)가 더 이동함으로써 트리거(60)가 작동한 이후의 사용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트리거(60)가 도면의 오른쪽으로 밀려남에 따라 제1 스토퍼(42)를 막고 있던 지지편(62)도 수평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제1 스토퍼(42)에 간섭하지 아니하게 된다.
그에 따라 토션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회전체(40) 등이 180도 회전함에 따라 제1 스토퍼(42)보다 더 돌출된 제2 스토퍼(43)가 지지편(62)에 걸리고, 회전체(40)와 블레이드부재(3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블레이드(33)가 바디(10)의 하부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제1,2 블레이드(32, 33)가 자리를 바꾸게 된다.
이때 트리거(지지편)가 수평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스토퍼(42)에 걸렸던 각도에 맞춰 제2 스토퍼(43)가 지지편(62)에 접촉하며 회전체(40)가 멈추게 된다. 즉 트리거(60)가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가 다소 달라지더라도 지지편(62)은 같은 높이에 머물고 있으므로, 회전체(40)는 반 바퀴 회전한 후 멈추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블레이드(33)가 수직 하방을 향하게 된다.
트리거(60)가 후퇴하는 거리는, 제1 스토퍼(42)에 간섭하지 아니하지만 제2 스토퍼(43)는 걸리도록 하는 수준이어야 한다. 이러한 트리거(60)의 후퇴 거리는 슬라이더(61)에 체결된 스톱퍼용 볼트(63)가 마감블록(13)에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블레이드의 위치 교체가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통상적인 작동 범위 내에서 리코터장치(100)가 작동함으로써 도포층 형성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가 수평 이동하는 작동 구간(G)을 초과하여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트리거(60)를 작동시켜 블레이드의 교체를 수행함으로써, 블레이드 교체를 위하여 챔버(210)를 개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적어도 한 쌍의 블레이드를 위치 교환하여 사용하므로, 블레이드 교체의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성형 작업이 중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부재(30)의 회전에 토션 스프링(50)의 복원력을 사용하므로 별다른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지 아니한다. 모터나 전자석을 사용하지 아니함으로써 전력 공급 설비에 따른 비용 증가가 없고, 고장 발생의 우려가 적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프린터
210 : 챔버 G : 구간 220 : 구조물
240 : 베드모듈 241 : 베드 A : 액추에이터
250 : 재료공급모듈 260 : 재료수거모듈
100 : 리코터장치
10 : 바디 11 : 핀 13 : 마감블록 131 : 가이드홀
132 : 핀 133 : 지지턱
30 : 블레이드부재
31 : 회전홀 32 : 제1 블레이드 33 : 제2 블레이드 34 : 조립홈
40 : 회전체
41 : 홀 부재 411 : 장착홀 42 : 제1 스토퍼
421 : 평면 422 : 곡면 43 : 제2 스토퍼
431 : 평면 432 : 곡면 433 : 조립돌기 434 : 돌출물
50 : 토션 스프링
60 : 트리거 61 : 슬라이더 62 : 지지편 63 : 볼트
70 : 구동부 71 : 회전모터 72 : 벨트 73 : 연결브래킷
270 : 빔조사모듈

Claims (6)

  1. 3차원 프린터의 챔버에 구비되어 원료 분말을 도포하는 리코터장치로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2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2 스토퍼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션 스프링,
    상기 제1 스토퍼에 간섭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을 억제하였다가,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재를 회전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바디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스토퍼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1 스토퍼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후퇴 이동한 상기 트리거에 의해 상기 제1 스토퍼의 간섭이 해제된 후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트리거에 간섭되면서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회전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스토퍼의 일면과 상기 제2 스토퍼의 일면은, 서로 평행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트리거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5. 원료 분말의 적층과 부분 소결을 반복하여 입체물을 성형하는 3차원 프린터에 있어서,
    성형 가공이 수행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바닥에 구비되며 성형 진행에 따라 하강하는 베드모듈,
    상기 베드모듈의 일측에 위치하며 원료 분말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모듈,
    상기 베드모듈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드모듈에 도포하고 남은 원료 분말이 수거되는 재료수거모듈,
    상기 재료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재료수거모듈까지 원료 분말을 이동시키는 도포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코터장치 및
    상기 베드모듈에 오른 도포층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소결시키는 빔조사모듈을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6. 제5항에서,
    상기 도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바디의 수평 이동 구간을 초과하여 상기 바디가 이동될 때에, 상기 챔버에 구비된 구조물이 상기 트리거와 접촉하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한 제1 스토퍼에 간섭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KR1020200164101A 2020-11-30 2020-11-30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10233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01A KR102330751B1 (ko) 2020-11-30 2020-11-30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101A KR102330751B1 (ko) 2020-11-30 2020-11-30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51B1 true KR102330751B1 (ko) 2021-11-24

Family

ID=7874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01A KR102330751B1 (ko) 2020-11-30 2020-11-30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7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608A (ko) 2006-08-28 2009-05-1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금속 광조형용 금속분말 및 그것을 이용한 금속 광조형법
KR101715124B1 (ko) 2016-08-31 2017-03-13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의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KR20190027423A (ko) * 2017-09-07 2019-03-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성형품 제조장치
KR101970182B1 (ko) * 2017-10-23 2019-04-17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의 분말도포유닛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608A (ko) 2006-08-28 2009-05-1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금속 광조형용 금속분말 및 그것을 이용한 금속 광조형법
KR101715124B1 (ko) 2016-08-31 2017-03-13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의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KR20190027423A (ko) * 2017-09-07 2019-03-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성형품 제조장치
KR101970182B1 (ko) * 2017-10-23 2019-04-17 윈포시스(주) 3차원 프린터의 분말도포유닛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600B1 (en) Devic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especially a laser sintering machine
US7597835B2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objects by means of successive layer deposition
JP6744107B2 (ja) 粉末焼結積層装置
JP4990316B2 (ja) 工具交換装置
WO20182223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gular and rotational additive manufacturing
KR20170134735A (ko) 분말재료로부터의 3차원 모델의 레이어 식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972816B1 (en) Recoat assembly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4245507A2 (en) Method for forming an object
KR102330751B1 (ko) 3차원 프린터의 리코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US20200269373A1 (en) Tool change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102009006797A1 (de) Linsenbearbeitungsvorrichtung
EP1955811B1 (de) Bearbeitungsmaschine zum Bearbeiten einer optischen Linse
US5335458A (en) Processing of magnetic head flexures with slider elements
KR20170000870A (ko) 도장 장치
US20240059008A1 (en) Resin management system for additive manufacturing
JP2017159406A (ja) スカーフサンディング用研削装置
DE20217416U1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Werkstücks mit Pulver
EP3632589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JP2005193356A (ja) 凹部加工装置
CN217226689U (zh) 涂覆机和借助增材成层方法制造三维工件的设备
CN210121803U (zh) 用于石墨工件的抛光机
EP0251814A2 (en) Engraving machine
US11718026B1 (en) Recoat assembli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00009702A (ko) 가죽 재단기의 커팅날 세정장치
CN116851170A (zh) 一种金属面板喷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