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137B1 -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137B1
KR102330137B1 KR1020197003568A KR20197003568A KR102330137B1 KR 102330137 B1 KR102330137 B1 KR 102330137B1 KR 1020197003568 A KR1020197003568 A KR 1020197003568A KR 20197003568 A KR20197003568 A KR 20197003568A KR 102330137 B1 KR102330137 B1 KR 10233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polyamide
mol
bac
b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257A (ko
Inventor
마띠유 카페로
니꼴라 뒤포르
티에리 브리뽀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3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7Antista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5Ceram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90/00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amid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 BACT는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범위의 몰 비를 갖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3 BAC), 1,4-비스 (아미노메틸) 시클로헥실 (1,4 BAC)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 는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의 몰 비를 갖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바람직하게는 C9, C10, C11 및 C12, 선형 지방족 디아민이고, 그리고 T 는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C10, C11 및 C12 테레프탈산이다.

Description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본 발명은 강화 섬유가 없는 고 Tg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배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체는 이 폴리프탈아미드의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BACT/XT 폴리프탈아미드의 하나의 층 및 또 다른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리어 구조체는 모든 종류의 병, 탱크, 컨테이너, 튜빙 및 용기와 같은 유체의 저장 및/또는 운송을 위해 의도된 물체들에 유용하다. 이 구조체는 또한, 예를 들어, 가스와 같은 유체에 대한 배리어 특성을 필요로 하는 패키징들이 만들어진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물체는 양호한 배리어 특성, 즉 유체, 특히 자동차 유체에 대해, 특히 연료에 대해 매우 낮은 투과성 (permeability) 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 특히 다층 구조체의 제조를 위한 고 Tg BACT/XT 코폴리아미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구조체 및 이들 물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든 종류의 병, 탱크, 컨테이너, 튜빙 및 용기와 같은 물체에 운송 또는 저장되는 유체와 관계없이,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재료는 이것이 액체이건 또는 가스이건간에, 유체가 투과할 수 있으면 안된다.
따라서, 자동차, 그리고 일반적으로 운송 (transport) 분야에서, 연료의 조성은, 특히 생태학적 이유들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바이오 연료가 점진적으로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 연료는 보다 침습적 (aggressive) 이다. 결과적으로, 가솔린 운송용 튜빙과 같은 이들 새로운 연료와 접촉하는 열가소성 부품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 불가결 해지고 있다.
안전성의 이유로 그리고 환경 보존을 위해, 자동차 제조사는, 차가운 상태 (-40℃) 에서 그리고 고온 (125 ℃) 에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유연성 및 파열 강도 (burst strength) 와 같은 기계적 특성, 및 또한 탄화수소에 대해 그리고 그의 첨가제, 특히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에 대해 매우 낮은 투과성 양자 모두를 이 튜빙에 부과한다. 이 튜브는 연료 및 모터 윤활 오일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한다.
출원 WO 2014/064375 는 적어도 90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및 280 ℃ 이하의 용융 온도 Tm 을 갖는 반 결정질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PA) 를 갖는 열가소성 복합 재료의 또는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재료를 함유하는 기계적 또는 구조적 부품들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 레일, 선박 (marine), 도로 운송(road transport), 윈드 (wind), 스포츠, 우주 및 항공 (space and aeronautics), 건설, 사인 (sign) 및 레저 (leisure) 의 분야에서의 응용을 위한 복합 재료 부품들을 위한 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자동차 분야의 응용과 관련된 기계 부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유체, 특히 연료에 대한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이러한 응용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이 조성물은 강화 섬유를 여전히 포함한다.
EP 1988113 에는 다음을 갖는 10T/6T 코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몰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 40 내지 95% 몰의 10T
- 5 내지 40% 의 6T.
EP 1988113 은 이들 조성물의 층으로 형성된 구조체들의 배리어 특성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EP 1741553 에는, (A)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a) 및 9 개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60 몰 % 의 지방족 디아민 및 적어도 50 몰 % 의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반 방향족 폴리아미드 (semi-aromatic polyamide) 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b) 를 포함하고, 층 (b) 는 내부 층인, 2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EP 1741553 은 이 구조체의 배리어 특성에 대해 전적으로 침묵하고 있다.
EP1860134 에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50 내지 100 몰 % 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단위인 디카르복실산 단위 및 디아민 단위의 60 내지 100 %가 9 개 내지 1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아민 단위인 디아민 단위를 포함하는 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상기 반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아민 사슬 말단/산 사슬 말단의 비가 6 이상인, 그러한 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가 기재되어 있다.
EP 1860134 는 특히 9T/9'T (또는 8MT/9T) 화합물을 예시하고, 상기 비가 6 미만, 그리고 특히 4 이하일 때 알코올 내성이 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제 출원 WO 10/015786은 식 A/10.T 를 갖는 코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A는 아미노카르복실산, 락탐으로부터 수득된 모티프 (motif) 및 식 (디아민 Ca).(디(시클로)지방족 산 Cb) 을 갖는 모티프로부터 선택되며, a는 디아민 중의 탄소 원자 수를 나타내고 b는 이산 (diacid) 중의 탄소 원자 수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4 과 36 을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있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다분자성 지수가 (polymolecularity index), Ip 가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WO 10/015786 은 이 구조체 배리어 특성에 대해 전적으로 침묵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폴리아미드는, 코폴리아미드의 온도 유지성 (temperature hold), 가공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심지어 그들의 내 충격성 및 그들의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결정화도 (crystallinity), 결정화 속도 (crystallization kinetics) 의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히 배리어 특성의 측면에서,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프탈아미드를 찾아야 할 현실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놀랍게도, 이들 필요성은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 BACT는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BAC),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4-BA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는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C9, C10, C11 또는 C12이고, T는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C10, C11 또는 C12이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카르복실 산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테레프탈산이 6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방향족 (diaromatic), 디지방족 (dialiphatic) 또는 디(시클로)지방족 (di(cyclo)aliphatic) 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총 디아민 양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BAC 및/또는 적용가능한 경우 X 가 4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아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코폴리아미드에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 이하가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 다만, 테레프탈산, BAC 및 X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코폴리아미드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바람직하게는 10 몰 %의 농도를 초과하지 않고,
- 다만, BACT 및 XT 단위가 여전히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하고,
상기 층이 강화 섬유가 없는, 그러한 구조체로 충족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뜨거울 때를 포함하는, 높은 강성 (높은 Tg), 양호한 가공성 (비교적 낮은 Tm) 간의 절충 때문에 복합 응용들을 위해 원래 개발된, 이들 제품들은 또한 예상보다 더 나은 결정질 구조를 가졌고 배리어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 즉, 유체 운송을 위한, 구조체에서, 특히 다층 구조체에서, 유체에 대해, 특히 자동체 유체에 대해, 특히 연료에 대해 투과성이 매우 낮지만, 아민 사슬 말단/산 사슬 말단의 비가 특히 5 미만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이 폴리아미드의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BACT/XT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및 또 다른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BACT/XT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층은 또한 다른 중합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중합체의 일례로서, 폴리아미드, EVOH, PPS, PPO, 폴리카보네이트, ABS 가 언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 특히 다층 구조체의 제조를 위한 고 Tg BACT/XT 코폴리아미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의 구조체로 제조된 모든 유형의 병, 탱크, 컨테이너, 튜빙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체는 또한, 예를 들어, 패키징들이 만들어는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물체는 양호한 배리어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물체에 관한 것이고 이들 구조체의 그리고 이들 물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특징, 요지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 및 실시예를 읽은 후에 더욱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 BACT는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BAC),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4-BA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는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C9, C10, C11 또는 C12이고, T는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C10, C11 또는 C12이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카르복실 이산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테레프탈산이 6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아민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BAC 및/또는 적용가능한 경우 X 가 4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아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코폴리아미드에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 이하가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 다만, 테레프탈산, BAC 및 X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코폴리아미드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10 몰 % 의 농도를 초과하지 않고,
- 다만, BACT 및 XT 단위가 여전히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하고,
상기 층은 강화 섬유가 없다.
유리하게는,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비 : 아민 사슬 말단을 갖는 기의 양/산 사슬 말단을 갖는 기의 양이 < 5 이며, 상기 아민 사슬 말단의 기의 양 및 산 사슬 말단을 갖는 기의 양은 전위차 측정 (potentiometry) 에 의해 결정된다.
1,3-BAC (또는 1,3 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CAS No.: 2579-20-6) 는 특히 메타-크실렌 디아민 (MXDA) 을 수소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지환족 디아민 단량체이다. 1,3-BAC 는 2개의 이성질체, cis 및 trans 의 형태로 존재하고, 여기서 CAS No.: 2579-20-6 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에 대응한다.
1,4-BAC (또는 1,4 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CAS No.: 2549-07-9) 는 특히 파라-크실렌 디아민 (PXDA) 을 수소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지환족 디아민 단량체이다. 1,4-BAC 는 2개의 이성질체, cis 및 trans 의 형태로 존재하고, 여기서 CAS No.: 2549-07-9 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에 대응한다.
유리하게는, BACT 단위에 사용되는 1,3-BAC 또는 1,4-BAC 는 cis 및 trans 이성질체의 각각의 비율이 0/100 내지 100/0, 특히 75/25 내지 25/75 인 혼합물이다.
유리하게는, 1,3-BAC 중의 cis 이성질체의 비율은 60 %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 초과, 특히 80 % 초과, 특히 90 % 초과이다.
유리하게는, 1,4-BAC 중의 trans 이성질체의 비율은 60 %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 초과, 특히 80 % 초과, 특히 90 % 초과이다.
BAC 및/또는 X 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된 다른 디아민, 특히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디아민, 지환족 디아민 또는 아릴방향족 디아민 이를테면 메타-크실렌 디아민 (MXDA) 에 의해, 30 몰 % 이하로, 치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디아민은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MPMD), 1,6-헥산디아민, 1,8-옥탄디아민 (OMDA), 1,9-노난디아민 (NMDA), 2-메틸-1,8-옥탄-디아민 (MODA),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TMHMD),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TMHMD), 5-메틸-1,9-노난디아민, 1,11-운데칸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1,13-트리데칸디아민, 1,14-테트라데칸디아민, 1,16-헥사데칸디아민 및 1,18-옥타데칸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지환족 디아민은 이소포론디아민, 노르보난디메틸아민,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PACM), 2,2-(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프로판 (PACP), 및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에탄 (MACM)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는 위에 정의된 다른 카르복실 이산, 특히 다른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 카르복실 이산에 의해 30 몰 % 이하로 치환될 수 있다.
방향족 카르복실 이산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NDA) 및 이소프탈산 (IPS)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방족 카르복실 이산은 아디프 산, 수베르 산, 아젤라 산, 세바스 산, 운데칸디오익 산, 도데칸디오익 산, 브라실 산, 테트라데칸디오익 산, 펜타데칸디오익 산, 헥사데칸디오익 산, 옥타데칸디오익 산 및 이량체화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환족 카르복실 이산은 cis- 및/또는 trans-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 산 및/또는 cis- 및/또는 trans-시클로헥산-1,3-디카르복실 산 (CHDA)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BAC 및/또는 X 및/또는 T 는, 서로 독립적으로,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30 몰 % 이하로, 치환될 수 있다.
락탐 및 아미노카르복실 산은 카프로락탐 (CL), α,ω-아미노카프로 산, α,ω-아미노노난 산, α,ω-아미노운데카노익 산 (AUA), 라우릴락탐 (LL) 및 α,ω-아미노도데카노익 산 (ADA)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BAC, X 및 T 단량체들의 총합에 대해 최대 30 몰 %의 치환이, 또 다른 디아민, 또 다른 이산,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든,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BAC, X 및 T 단량체들의 총합에 대해 최대 20 몰 %의 치환이, 또 다른 디아민, 또 다른 이산,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든,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BAC, X 및 T 단량체들의 총합에 대해 최대 10 몰 %의 치환이, 또 다른 디아민, 또 다른 이산,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든, 가능하다.
"강화 섬유" 또는 "섬유 강화제" 라는 표현은 단 섬유 또는 장 섬유의 집합체를 뜻한다. 섬유는 단방향성 (UD) 또는 다방향성 (2D, 3D) 강화의 형태로, 직물 (woven), 시트 (sheet), 스트립 (strip) 또는 트레스 (tress) 의 형태로, 연속적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부직물 (매트) 또는 펠트 (felt) 형태로 절단될 수 있다.
"강화 섬유" 라는 표현은 다음을 뜻한다:
- 무기 섬유, 특히 나노튜브 또는 탄소 나노튜브 (CNT) 의 섬유, 탄소 나노섬유 또는 그레핀을 포함하는 탄소 섬유; 실리카 섬유 이를테면 유리 섬유, 특히 유형 E, R 또는 S2; 붕소 섬유; 세라믹 섬유, 특히 탄화 규소 섬유, 탄화 붕소 섬유, 탄질화 붕소 섬유, 질화 규소 섬유, 질화 붕소 섬유, 현무암 섬유; 금속 및/또는 이의 합금을 함유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특히 알루미나 (Al2O3) 의, 금속 산화물 섬유; 금속화 섬유 이를테면 금속화 유리 섬유 및 금속화 탄소 섬유 또는 앞서 열거된 섬유들의 혼합물.
- 중합체 또는 중합체 섬유, 특히 :
● 열경화성 중합체 섬유 및 보다 특히 하기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비닐 에스테르,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이미드, 예컨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멜라민과 같은 아민과 글리옥살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아미노플라스트 (aminoplast) 로부터 선택되는 것
●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 그리고 보다 특히 하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로부터 선택되는 것
● 폴리아미드 섬유,
● 아라미드 섬유 (이를테면 Kevlar®)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이를테면 식 PPDT, MPD.I, PAA 및 PPA 중 하나를 갖는 것들, PPD 및 MPD 는 각각 p- 및 m-페닐렌 디아민이며, PAA는 폴리아릴아미드이고 PPA 는 폴리프탈아미드임
●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와 같은 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의 섬유,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PEEK), 폴리에테르케톤 케톤 (PEKK),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 케톤 (PEKEKK) 과 같은 폴리아릴에테르 케톤 (PAEK) 의 섬유.
- 또는 위에 열거된 섬유들의 혼합물.
결과적으로, 모든 강화 섬유 및 특히 위에서 정의된 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아래 표 I 에 정의된 비율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아래에 정의된 구조체 No. 1 내지 3 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012343276-pct00001
유리하게는, 위에 정의된 구조체에서, X 는 C9, C10, C11 또는 C12 디아민, 특히 C10, C11 또는 C12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3 (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용융 온도 Tm < 290 ℃, 바람직하게는 < 285 ℃, 보다 바람직하게는 < 280 ℃ 를 갖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2: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 Tg > 120℃, 바람직하게는 >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 140℃ 를 갖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Tg 는 125 내지 165 ℃로 구성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간의 차이 Tm - Tc < 40℃, 바람직하게는 < 30℃ 를 갖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 의해 측정된 코폴리아미드의 결정화의 엔탈피가 40 J/g 초과, 바람직하게는 45 J/g 초과,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J/g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90℃ 및 Tg > 12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90℃ 및 Tg > 13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90℃ 및 Tg > 14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5℃ 및 Tg > 12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5℃ 및 Tg > 13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5℃ 및 Tg > 14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0℃ 및 Tg > 12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0℃ 및 Tg > 13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용융 온도 : Tm < 280℃ 및 Tg > 140℃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하기 특성들 (표 II)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012343276-pct00002
Figure 112019012343276-pct00003
Figure 112019012343276-pct00004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BAC 가 1,3-BA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1,3-BAC 은 cis 및 trans 이성질체의 각각의 비율이 0/100 내지 100/0, 특히 75/25 내지 25/75 인 혼합물이다.
유리하게는, 1,3-BAC 중의 cis 이성질체의 비율은 60 %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 초과, 특히 80 % 초과, 특히 90 % 초과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BAC가 1,3-BAC 이고 XT 가 9T, 10T, 11T 및 12T, 보다 바람직하게는 10T, 11T 및 12T 중에서 선택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XT 는 10T 이며, 10 은 1,10-데칸디아민에 대응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테레프탈산, BAC 및 X 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이 0 과 동일한,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후자의 실시 형태에서, 위에서 정의된 구조체 1 내지 84 에서의 단량체들의 가능한 대체 (substitution) 는 더 이상 없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층 (1) 이 충격 개질제 (impact modifier)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core-shell type modifier) 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충격 개질제" 라는 표현은 표준 ISO 178:2010 에 따라 측정된 굴곡 탄성률 (flexural modulus) 이 100 MPa 미만이고 (DSC 서모그램의 변곡점에서 표준 11357-2:2013 에 따라 측정된) Tg 가 0℃ 미만인 폴리올레핀, 특히 굴곡 탄성률이 < 200 MPa 인 PEBA (polyether-bloc-amide) 와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야 한다.
따라서, 이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이 중합체는 층 (1) 을 형성하는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한다.
충격 개질제의 폴리올레핀은 관능화 또는 비관능화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된 폴리올레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관능화된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카르복실 산 관능기 (function), 카르복실산 무수물 및 에폭시드로부터 선택된 관능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엘라스토머 성질을 갖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EPR), 엘라스토머 성질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EPDM) 및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급 에틸렌-알켄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충격 개질제는 Fusabond F493, Lotader®, 특히 Lotader 5500 또는 Lotader 7500, Escor VA1801 또는 VA1803, Excelsior E1040, Amplify GR216, Tafmer MH5020 또는 Orevac IM80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이 경우 이들이 양자의 혼합물일 때 이들은 0.1/99.9 내지 99.9/0.1,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1 범위의 비이다.
일례로서, 충격 개질제는 하기 혼합물들: F493/Lotader®, 특히 F493/Lotader® 5500 또는 F493/Lotader® 7500 중에서 선택된다.
"코어-쉘형 개질제" 또는 "코어-쉘 개질제" 라는 표현은 또한 "코어-쉘 공중합체"로 표시된다.
"코어-쉘 개질제" 는 엘라스토머 코어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쉘을 갖는 미립자의 형태로 제공되며, 그 입경은 일반적으로 1 ㎛ 미만이고 유리하게는 포괄적으로 150 과 500 nm 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있다.
"코어-쉘형 개질제" 는 폴리올레핀 베이스 (polyolefin base) 를 갖는 충격 개질제와 달리 아크릴 또는 부타디엔 베이스를 갖는다.
쉘의 일례로서,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의 동종중합체, 30 몰 % 이하의 비닐 단량체를 갖는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및 30 몰 % 이하의 비닐 단량체를 갖는 부타디엔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도 있다.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알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쉘 패밀리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동종중합체 및 30 몰 % 이하의 비닐 단량체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형성된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유리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알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일 수 있다. 공중합체 쉘 (A) 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쉘의 제조 중에 적어도 2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이들 단량체는 부틸렌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2관능성 단량체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비닐 아크릴레이트 및 비닐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쉘은 또한 중합 동안 공단량체로서 또는 그래프팅 (grafting) 에 의해, 불포화 관능성 단량체 이를테면 불포화 카브록실 산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실 산 및 불포화 에폭시드를 도입함으로써 가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메트)아크릴산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도 있다.
쉘 또는 쉘들은 스티렌, 알킬스티렌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동종중합체 또는 이들 이전 단량체들 중 하나를 적어도 70 몰 % 그리고 다른 이전 단량체들,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쉘은 또한 중합 동안 공단량체로서 또는 그래프팅에 의해, 불포화 관능성 단량체 이를테면 불포화 카브록실 산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실 산 및 불포화 에폭시드를 도입함으로써 관능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메트)아크릴산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폴리스티렌 쉘을 갖는 코어-쉘 공중합체 (A) 및 PMMA 쉘을 갖는 코어-쉘 공중합체 (A) 가 언급될 수도 있다. 2 개의 쉘을 갖는 코어-쉘 공중합체 (A) 가 또한 존재하는데, 하나는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지고 다른 하나는 PMMA 쉘로 만들어진다. 공중합체 (A)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의 예는 하기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US 4 180 494, US 3 808 180, US 4096 202, US 4 260 693, US 3 287 443, US 3 657 391, US 4 299 928, US 3 985 704.
따라서, "코어-쉘형 개질제"는 충격 개질제의 폴리올레핀과 상이하며, 특히 충격 개질제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와 반응하는 반면, 코어-쉘은 그의 쉘과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코어와는 반응하지 않는 점에서 그렇다.
유리하게는,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는 층 (1) 의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 특히 5 내지 25 중량 %, 그리고 더욱 특히 5 내지 15 중량% 로 존재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35 중량 %, 특히 5 내지 25 중량%, 그리고 보다 특히 5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포함하는 구조체에서, X 는 1,10-데칸디아민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가 단일 층 (1) 으로 구성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본 발명은 단층 튜빙 (monolayer tubing) 에 관한 것이고, 이 실시 형태에서,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층 (1) 은 유기 안정화제, 무기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기 안정화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유기 안정화제의 조합" 이라는 표현은 페놀 유형의 1차 산화방지제, 아인산염 유형의 2 차 산화 방지제 및 선택적으로, 힌더드 아민 광 안정화제 (예 : Ciba 의 Tinuvin® 770) 를 의미하는 HALS, 항-UV (예 : Ciba 의 Tinuvin® 312), 페놀 안정화제 또는 인 함유 안정화제와 같은 다른 안정화제를 의미한다. Crompton 의 Naugard® 445 와 같은 아민 산화 방지제 또는 Clariant의 Nylostab® S-EED 와 같은 다관능 안정화제도 사용될 수 있다.
층 (1) 에 존재하는 유기 안정화제는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 리스트는 제한적이지 않다:
- 페놀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Ciba 의 Irganox® 245, Irganox® 1010, Irganox® 1098, Ciba 의 Irganox® MD1024, Great Lakes 의 Lowinox® 44B25, Adeka Palmarole 의 ADK® Stab AO-80.
- 아인산염과 같은 인 함유 안정화제, 예를 들면 Ciba 의 Irgafos® 168,
- UV 흡수제, 이를테면 Ciba 의 Tinuvin® 312,
-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HALS,
- Crompton 의 Naugard® 445 와 같은 아민 형 안정화제, 또는 심지어 Ciba 의 Tinuvin® 770 과 같은 힌더드 아민 유형,
- Clariant의 Nylostab® S-EED 와 같은 다관능 안정화제.
이들 유기 안정화제들 중 2 이상의 안정화제의 혼합물이 분명히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안정화제는 코폴리아미드의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과 3 중량 % 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있는 함량으로 구조체의 층 (1) 의 코폴리아미드 내에 존재한다.
"미네랄 안정화제" 라는 표현은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뜻한다. 이러한 미네랄 안정화제의 일례로서는, 할라이드 및 아세트산 구리가 언급될 수도 있다. 이차적으로, 은과 같은 다른 금속도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이들은 덜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구리를 함유한 이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연관된다.
이들 미네랄 안정화제는 구조체가 뜨거운 공기중에서, 특히 고온 또는 100-120 ℃ 이상의 고온에 대해 장기 내열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경우에 보다 특별히 채용되는데, 이들이 중합체 사슬의 끊어짐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리 함유 안정화제는, 특히 이온화 가능한, 이온 형태, 예를 들어 착물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구리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층 (1) 내에 존재하는 구리 함유 안정화제는 염화 구리, 염화 제 1 구리, 브롬화 구리, 브롬화 제 1 구리,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제 1 구리, 아세트산 구리 및 아세트산 제 1 구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리 함유 안정화제와 조합된 은과 같은 다른 금속의 할라이드 및 아세테이트가 언급될 수도 있다. 구리 함유 이들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알칼리 금속, 특히 칼륨의 할라이드와 연관된다. 잘 알려진 예는 CuI 와 KI 의 혼합물이며, 여기서 CuI : KI 의 비는 통상적으로 1 : 5 과 1:15 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있다. 그러한 안정화제의 일례는 Ciba의 Polyadd P201 이다.
구리 함유 안정화제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미국 특허 제 2,705,227 호에서 발견된다. 보다 최근에는, Bruggemann 의 Bruggolen H3336, H3337, H3373과 같은 구리 착물과 같은 구리 함유 안정화제가 있다.
유리하게는, 구리 함유 안정화제는 구리 할라이드, 아세트산 구리, 구리 할라이드 또는 아세트산 구리와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 구리와 요오드화 칼륨 (CuI/KI) 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리 함유 안정화제는 코폴리아미드의 성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과 1.5 중량 % 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있는 함량으로 구조체의 층 (1) 내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층 (1) 은 추가적인 전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3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유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3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무기 미네랄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3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유기 안정화제와 미네랄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2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유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2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미네랄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위에 정의된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들의 중량에 대해 5 내지 25 중량 % 의 비율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유기 안정화제와 미네랄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에서, X 는 1,10-데칸디아민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층 (1) 이 특히 카본 블랙 및 흑연, 특히 카본 블랙으로부터 선택된 대전 방지 충전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상기 층 (1) 은 산화 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윤활제, 무기 충전제, 난연제, 조핵제, 가소제 및 착색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강화 섬유는 첨가제로부터 제외되며 특히 "무기 충전제" 라는 용어는 강화 섬유를 제외한다.
유리하게는,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이 층 (1) 의 성분들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 특히 5 내지 15 중량 %의 비율로 층 (1) 에 존재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이 서로 접착될 수 있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서로 접착할 수 있다" 라는 표현은 구조체가 2개의 층들로 구성되면 층들 (1) 및 (2) 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체가 적어도 하나의 제 3 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3 층은 층 (1) 과 층 (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층들 (1) 및 (2) 은 함께 접착되지 않지만, 대조적으로 층들 (1) 및 (3) 은 층들 (3) 및 (2) 이 그러한 것처럼 함께 접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구조체는 함께 접착하는 2개의 층들 (1) 및 (2) 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층 (2) 은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특히 지방족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하나의 락탐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카르복실 산의, 또는 하나의 디아민 및 하나의 디카르복실산의 또는 그러한 것들의 혼합물의 중축합으로부터 나오고, 디아민은 지방족 디아민, 지환족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고 디카르복실 산은 지방족 이산 및 지환족 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아미노카르복실산은 9-아미노노난 산, 10-아미노데카노익 산, 12-아미노도데카노익 산 및 11-아미노운데카노익 산 및 그의 유도체, 특히 N-헵틸-11-아미노운데카노익 산, 유리하게는 12-아미노도데카노익 산 및 11-아미노운데카노익 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락탐은 피롤리디논, 피페리디논, 카프로락탐, 에난토락탐 (enantholactam), 카프릴로락탐 (caprylolactam), 펠라르고락탐 (pelargolactam), 데카놀락탐 (decanolactam), 운데카놀락탐 (undecanolactam), 및 라우로락탐 (laurolactam), 유리하게는 운데카놀락탐 및 라우로락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디아민이 지방족이고 선형인 경우, 식 H2N-(CH2)a-NH2 를 갖는다. 이산은 지방족 (특히 선형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아민이 선형 및 지방족인 경우, 부탄디아민 (a = 4), 펜탄디아민 (a = 5), 헥산디아민 (a = 6), 헵탄디아민 (a = 7), 옥탄디아민 (a = 8), 노난디아민 (a=9), 데칸디아민 (a=10), 운데칸디아민 (a = 11), 도데칸디아민 (a = 12), 트리데칸디아민 (a= 13), 테트라데칸디아민 (a=14), 헥사데칸디아민 (a=16), 옥타데칸디아민 (a = 18), 옥타데칸디아민 (a = 18), 에이코산디아민 (a = 20), 도코산디아민 (a = 22) 및 이량체화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진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디아민이 지환족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2개의 환 (cycle) 들을 포함하는 것들 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일반 식을 갖는다 :
식 중
-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수소 원자로부터 선택된 기를 나타내고
- X 는 :
- 6 내지 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환족 또는 방향족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사슬,
-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환족 기
로 구성된 2가 기 또는 단일 결합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의 지환족 디아민 Ca 는 비스(3,5-디알킬-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3,5-디알킬-4-아미노시클로헥실)에탄, 비스(3,5-디알킬-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3,5-디알킬-4-아미노시클로-헥실)부탄, 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BMACM, MACM 또는 B 로 표시됨), p-비스(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PACM) 및 이소프로필리덴디(시클로헥실아민) (PACP) 중에서 선택된다.
이들 지환족 디아민의 비한정적인 목록은 공개물 “Cycloaliphatic Amines” (Encyclopaedia of Chemical Technology, Kirk-Othmer, 4th Edition (1992), pp. 386-405) 에 제공되어 있다.
지방족 및 선형 디카르복실 산은 숙신산 (b = 4), 펜탄디오익 산 (b =5), 아디프 산 (b=6), 헵탄디오익 산 (b=7), 옥탄디오익 산 (b=8), 아젤라 산 (b=9), 세바스 산 (b=10), 운데칸디오익 산 (b = 11), 도데칸디오익 산 (b = 12), 브라실 산 (b = 13), 테트라데칸디오익 산 (b = 14), 헥사데칸디오익 산 (b = 16), 옥타데카노익 산 (b = 18), 옥타데센디오익 산 (b = 18), 에이코산디오익 산 (b = 20), 도코산디오익 산 (b = 22) 및 36개 탄소를 함유하는 지방산 이량체로부터 선택된다.
위에 언급된 지방산 다이머는 특히 문헌 EP 제 0 471 566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염기 불포화 장쇄 탄화수소 지방산 (예 : 리놀레산 및 올레산) 의 중합 또는 올리고머화에 의해 수득된 이량체화된 지방산이다.
이산이 지환족인 경우, 그것은 하기 탄소 백본들: 노르보르닐메탄, 시클로헥실메탄, 디시클로 헥실메탄, 디시클로헥실프로판, 디(메틸시클로헥실) 프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층 (2) 의 폴리아미드는 호모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정의에 사용되는 명명법은 표준 ISO 16396-1: 2015 “Plastics -- Polyamide (PA) moulding and extrusion materials -- Part 1: Designation system, marking of products and basis for specifications” 에 설명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층 (2) 의 폴리아미드는 PA11, PA12, PA1010, PA1012, PA610 및 PA612 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층 (2) 의 폴리아미드와는 상이한 다른 폴리아미드가 층 (2) 에 존재할 수 있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즉, 위에 정의된 층 (2) 에 있는 폴리아미드와는 상이한 추가의 폴리아미드가 층 (2) 에 존재한다.
용어 "상이한" 은 층 (2) 의 폴리아미드가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특히 지방족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추가의 폴리아미드는 또한 지방족 폴리아미드 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일 수 있으며, 다만, 그것은 층 (2) 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다른 폴리아미드는 층 (2) 에서 위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다만, 층 (2) 의 폴리아미드와 상이하다.
유리하게는, 가소제가 층 (2) 에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층 (2) 의 가소제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 특히 5 내지 15 중량 % 로 존재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가 층 (2) 에 존재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유리하게는,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모든 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 특히 5 내지 25 중량 %, 그리고 더욱 특히 5 내지 15 중량% 로 존재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이 함께 접착하고, 층 (1) 이 위에서 정의된 것들 중 하나이며, 층 (2) 는 다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고, 층 (2) 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전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의 가소제 및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5 내지 35 중량 %의 비율로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이 함께 접착하고, 층 (1) 이 위에서 정의된 것들 중 하나이며, 층 (2) 는 다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고, 층 (2) 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전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의 가소제 및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5 내지 25 중량 %의 비율로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이 함께 접착하고, 층 (1) 이 위에서 정의된 것들 중 하나이며, 층 (2) 는 다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고, 층 (2) 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전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 %의 가소제 및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5 내지 35 중량 %의 비율로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이 함께 접착하고, 층 (1) 이 위에서 정의된 것들 중 하나이며, 층 (2) 는 다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고, 층 (2) 는 층 (2) 의 코폴리아미드의 전체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 %의 가소제 및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5 내지 25 중량 %의 비율로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상기 층 (2) 은 유기 안정화제, 무기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제는 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 (1) 은 유기 안정화제 및 층 (2) 는 무기 안정화제, 특히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 (1) 은 유기 안정화제, 특히 구리를 함유하는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층 (2) 는 유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상기 층 (2) 이 카본 블랙 및 흑연, 특히 카본 블랙으로부터 선택된 대전 방지 충전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상기 층 (2) 은 산화 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윤활제, 무기 충전제, 난연제, 조핵제, 및 착색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로서, 층 (1) 은, 특히 유체에 대한, 배리어 층이고, 상기 유체는 연료로서, 상기 연료는 가솔린, 특히 바이오-가솔린 (가솔린과 알코올의, 특히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혼합물), 또는 디젤, 특히 바이오-디젤인, 상기 연료, 오일, 브레이크 유체, 우레아 용액, 글리콜 함유 냉각 액체, 가스, 특히 압축 공기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배리어 층 (1) 이 유체와 접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 정의된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고, 따라서 구조체가 다른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단층 또는 이중층 (1) 및 (2) 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그 구조체는 2개의 층들 (1) 및 (2) 로 구성되고, 층 (1) 은 배리어 층이다.
결과적으로, 구조체가 2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그것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1) 을 포함한다.
구조체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후자는 유체와 접촉할 수 없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층 (1) 및 위에 정의된 제 2 층 (2) 을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층들 (1) 및 (2) 이 서로 접착할 수 있고, 상기 구조체는 또한 층 (3) 을 포함하고, 상기 층 (3) 은 층 (1)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을 포함하거나 다음의 층들로 구성된다:
(3)//(2)//(1) 또는 (2)//(3)//(1).
유리하게는, 층 (3) 은 층 (1) 과 상이하고, 결합 층이며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구조체 (2)//(3)//(1) 에서, 층 (1) 은 100 내지 300 ㎛, 특히 200 내지 300 ㎛, 특히 250 ㎛의 두께를 가지며, 층 (3) 은 50 내지 100㎛ 또는 100 내지 200㎛, 특히 150㎛ 의 두께를 가지며 층 (2) 는 50 내지 800㎛, 특히 50 내지 200㎛ 또는 500 내지 700㎛의 두께를 갖는다.
결합 층은, 특히 문헌 WO 09/122060에 정의된 바처럼, 질소 원자 당 평균 탄소 원자 수가 4 과 8.5 를 포함한 이들 사이, 유리하게는 4 과 7 사이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용융 온도가 180℃ 이상이고 질소 원자 당 평균 탄소 원자 수가 7 과 10 을 포함한 이들 사이이고, 유리하게는 7.5 와 9.5 사이인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질소 원자 당 평균 탄소 원자 수가 9 와 18 을 포함한 이들 사이, 유리하게는 10 과 18 사이인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층 (1), 위에 정의된 제 2 층 (2) - 층들 (1) 및 (2) 은 서로 접착할 수 있다 -, 및 층 (3) 을 포함하고, 층 (3) 은 층 (1) 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4)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층 (4) 은 EVOH 의 층이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층 (1), 위에 정의된 제 2 층 (2) - 층들 (1) 및 (2) 은 서로 접착할 수 있다 -, 및 층 (3) - 층 (3) 은 층 (1) 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4)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4)//(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하는, 그러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구조체 (2)//(4)//(3)//(1)에서, 층 (3) 은 위에 정의된 결합 층이다.
유리하게는, 구조체 (2)//(4)//(3)//(1)에서, 층 (4) 은 위에 정의된 EVOH 층이다.
유리하게는, 구조체 (2)//(4)//(3)//(1) 에서, 층 (3) 은 위에 정의된 결합 층이고 층 (4) 는 위에 정의된 EVOH 층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구조체는 위에 정의된 층들 (2)//(4)//(3)//(1) 로 구성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층 (1), 위에 정의된 제 2 층 (2) - 층들 (1) 및 (2) 은 서로 접착할 수 있다 -, 층 (3) - 층 (3) 은 층 (1) 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4)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4)//(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구조체는 또한, 결합 층 (3) 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결합 층 (3') 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층 (3')은 층 (3) 에 대해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결합제이지만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구조체는 또한 결합 층 (3') 을 포함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3')//(4)//(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유체와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층 (1) 은 100 내지 200 ㎛, 특히 150 ㎛의 두께를 가지며, 층 (2) 는 100 내지 200 ㎛, 특히 150 ㎛의 두께를 가지며, 층 (3) 은 200 내지 400 ㎛, 특히 300 ㎛ 의 두께를 가지며, 층 (3') 은 200 내지 400 ㎛, 특히 300 ㎛ 의 두께를 가지며, 층 (4) 는 50 ㎛ 내지 150 ㎛, 특히 100 ㎛ 의 두께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 중 하나로 제조된 병, 탱크, 컨테이너, 튜빙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에 정의된 구조체 중 하나로 제조된 필름들로 만들어진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BACT/XT 코폴리아미드의 용도로서:
- BACT는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BAC),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4-BA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는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C9, C10, C11 또는 C12이고, T는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C10, C11 또는 C12이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카르복실 산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테레프탈산이 6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방향족 (diaromatic), 디지방족 (dialiphatic) 또는 디(시클로)지방족 (di(cyclo)aliphatic) 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아민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20 몰 % 이하, 특히 10 몰 % 이하의 BAC 및/또는 적용가능한 경우 X 가 4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특히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아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코폴리아미드에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몰 % 이하가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 다만, 테레프탈산, BAC 및 X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코폴리아미드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바람직하게는 10 몰 %의 농도를 초과하지 않고,
- 다만, BACT 및 XT 단위가 여전히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하는,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 (1) 을 포함하는 구조체, 특히 다층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의 용도로서,
상기 구조체는 강화 섬유가 없는,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BACT/10T 및 비교 폴리아미드의 제조
다음 절차는 제조 프로세스의 일례이며 제한적이지는 않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조성물 및 비교 조성물을 대표한다:
14 리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하기 원료 5 kg 을 첨가한다:
- 500 g 물,
- 디아민,
- 아미노 산 (선택적),
- 테레프탈 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이산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 단일관능 사슬 조절제 : 목표 Mn에 대해 적합한 양의 벤조산 및 50 로부터 100 g 까지 변화하는 (벤조 산),
- 용액 중 차아인산나트륨 35 g,
- 0.1 g 의 WACKER AK1000 소포제 (Wacker Silicones사 제품).
(테스트 마다, 레퍼런싱된) 폴리아미드의 분자 모티프 및 구조체의 성질 및 몰 비는 하기 표 III 에 주어져 있다.
사용된 1,3-BAC 는 75/25 몰% 의 시스/트랜스 비율을 가졌다.
밀폐된 반응기는 잔류 산소가 퍼징된 후, 첨가된 재료에 관하여 230 ℃의 온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30 분의 교반 후, 반응기 내 압력하에서 형성된 증기는 60분에 걸쳐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한편, 대기압에서 Tm + 10 ℃ 로 확립하도록 재료 온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런 다음 특성 표에 표시된 목표 질량 Mn이 얻어질 때까지 20dm3/h (20L/h) 의 질소 퍼지하에서 중합을 계속한다.
그 다음, 중합체는 바닥 밸브를 통해 비워지고 다음으로 수조에서 냉각된 후 과립 (granule) 으로 성형된다.
그런 다음 100 ℃ 로 가열된 몰드 및 Tm + 20 ℃ 와 같은 사출 온도 (injection temperature) 를 사용한, 사출 프레스 (injection press) 를 사용해 100 mm x 100 mm x 1 mm 플레이트 형태로 제품을 사출한다. 완전히 결정화되지 않은 플레이트 (ISO 11357-2:2013에 따른 DSC 가열시 재결정화의 존재) 는 Tg + 30 ℃ 에서의 진공 하에서 2 시간 동안 어닐링된다.
- 내재적 또는 고유 점도는 m-크레졸 단위로 측정된다. 이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표준 ISO 307 : 2007 을 따르지만 용매가 변경된다 (황산 대신 m-크레졸 사용하고 온도는 20 ℃ 이다).
- 유리 전이 온도 Tg 는 표준 ISO 11357-2:2013 에 따라 2차 가열 패스 후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가열 및 냉각 속도는 20 ℃/분이다.
- 용융 온도 Tm 및 결정화 온도 Tc 는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DSC 에 의해 측정된다. 가열 및 냉각 속도는 20 ℃/분이다.
-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의 결정화 엔탈피는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제 2 가열 패스 후에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 아민 및 산 사슬 말단의 수준은 전위차 측정 (potentiometry) 에 의해 결정된다.
- 연료 투과성은 위에 제조된 플레이트들 상에서 CE10: 이소옥탄/톨루엔/에탄올 = 45/45/10 vol% 및 CE85: 이소옥탄/톨루엔/에탄올 = 7.5/7.5/85 vol% 로 중량법 (gravimetric method) 에 따라 60 ℃에서 측정된다. 즉각적인 투과성은 유도 기간 동안 0 이며, 그 다음에는 영구적인 체제 (permanent regime) 에서의 투과성 값에 해당하는 평형 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영구적인 체제에서 얻어진 이 값은 재료의 투과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결과들은 아래의 표 III 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9012343276-pct00005
본 발명의 구조체들은 비교 구조체의 연료 투과성보다 더 낮은 연료 투과성, 즉 비교 구조체의 배리어 특성보다 더 높은 배리어 특성을 보여준다.

Claims (37)

  1.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1) 을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 BACT는 20 내지 70%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BAC),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4-BA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는 30 내지 80 %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선형 지방족 디아민, 또는 C9, C10, C11 또는 C12 디아민이고, T는 테레프탈산, 또는 C10, C11 또는 C12 디카르복실 산이고,
    - 상기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카르복실 산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2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의 테레프탈산이 6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또는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방향족 (diaromatic), 디지방족 (dialiphatic) 또는 디(시클로)지방족 (di(cyclo)aliphatic) 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상기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총 디아민 양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2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의 BAC 및/또는 X 가 4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또는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아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상기 코폴리아미드에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가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 다만, 테레프탈산, BAC 및 X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또는 10 몰 %의 농도를 초과하지 않고,
    - 다만, BACT 및 XT 단위가 여전히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하고,
    상기 구조체는 강화 섬유가 없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3 (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용융 온도 Tm < 290 ℃, 또는 < 285 ℃, 또는 < 280 ℃ 를 갖는,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2: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 Tg > 120℃, 또는 > 130℃, 또는 > 140℃ 를 갖는,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결정되는,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간의 차이 Tm - Tc < 40℃, 또는 < 30℃ 를 갖는,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표준 ISO 11357-3:2013 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 의해 측정된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결정화의 엔탈피가 40 J/g 초과, 또는 45 J/g 초과, 또는 50 J/g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AC는 1,3-BAC 인,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AC 는 1,3-BAC 이고 XT 는 9T, 10T, 11T 및 12T 중에서 선택되는,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T 는 10T 이며, 10 은 1,10-데칸디아민에 대응하는,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테레프탈 산, BAC 및 X 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0과 동일한,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충격 개질제 및/또는 코어-쉘형 개질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단일 층 (1) 으로 형성되는, 구조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유기 안정화제, 무기 안정화제, 구리 함유 안정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카본 블랙 및 흑연으로부터 선택된 대전 방지 충전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산화 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윤활제, 무기 충전제, 난연제, 조핵제, 가소제 및 착색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층 (2) 이 존재하고, 층들 (1) 및 (2) 은 서로 접착할 수 있는, 구조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2) 은 지방족 폴리아미드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하나의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으로부터 나오고, 상기 디아민은 지방족 디아민, 방향족 디아민 및 지환족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디지방족산, 디방향족산 및 디(시클로)지방족 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층 (2) 의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PA11, PA12, PA1010, PA1012, PA610 및 PA612 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층 (2) 의 폴리아미드와는 상이한, 또 다른 폴리아미드가 층 (2) 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층 (2) 에 존재하는, 구조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제가 층 (2) 에 존재하는, 구조체.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2) 은 유기 안정화제, 무기 안정화제, 구리 함유 안정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유기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층 (2) 은 무기 안정화제, 또는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무기 안정화제, 또는 구리 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층 (2) 은 유기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2) 은 카본 블랙 및 흑연으로부터 선택된 대전 방지 충전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 (2) 은 산화 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흡수제, 광 안정화제, 윤활제, 무기 충전제, 난연제, 조핵제, 가소제 및 착색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구조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 은, 유체에 대한 배리어 층이고, 상기 유체는 연료, 오일, 브레이크 유체, 우레아 용액, 글리콜 함유 냉각 액체, 가스, 또는 압축 공기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연료는 가솔린, 바이오-가솔린, 가솔린과 알코올의 혼합물, 가솔린과 메탄올의 혼합물, 가솔린과 에탄올의 혼합물, 디젤, 또는 바이오-디젤인, 상기 배리어 층 (1) 이 상기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또한 층 (3) 을 포함하며, 상기 층 (3) 은 층 (1) 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층 (3) 은 층 (1) 과 상이하고, 결합 층이며 상기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상기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4) 이 존재하며, 상기 층 (1) 이 상기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층 (4) 은 EVOH 의 층인, 구조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4)//(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상기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
  33. 제 28 항에 있어서,
    결합 층 (3) 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결합 층 (3') 이 존재하는, 구조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다음의 층들: (2)//(3')//(4)//(3)//(1) 을 포함하고, 층 (1) 이 상기 유체와 접촉하는, 구조체.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로 제조된 병, 탱크, 컨테이너, 튜빙, 또는 용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물체.
  36.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로 제조된 패키징.
  37. BACT/XT 코폴리아미드로서,
    - BACT는 20 내지 70%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BAC 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BAC),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 (1,4-BA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T는 테레프탈산이고,
    - XT는 30 내지 80 % 범위의 몰 함량으로 존재하는 아미드 모티프를 갖는 단위이고, X는 C9 내지 C18 선형 지방족 디아민, 또는 C9, C10, C11 또는 C12 디아민이고, T는 테레프탈산, 또는 C10, C11 또는 C12 디카르복실 산이고,
    - 상기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디카르복실 산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2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의 테레프탈산이 6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또는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방향족 (diaromatic), 디지방족 (dialiphatic) 또는 디(시클로)지방족 (di(cyclo)aliphatic) 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상기 BACT 및/또는 XT 단위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총 디아민 양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2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의 BAC 및/또는 X 가 4 내지 36 개의 탄소 원자, 또는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디아민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 상기 코폴리아미드에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이하, 또는 10 몰 % 이하가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복실 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 다만, 테레프탈산, BAC 및 X를 치환하는 단량체들의 합은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사용된 단량체들의 총량에 대하여 30 몰 %, 또는 10 몰 % 의 농도를 초과하지 않고,
    - 다만, BACT 및 XT 단위가 여전히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존재하고,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가, 상기 BACT/XT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 (1) 을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다층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구조체는 강화 섬유가 없는, BACT/XT 코폴리아미드.
KR1020197003568A 2016-07-11 2017-07-10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KR102330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6623 2016-07-11
FR1656623A FR3053694B1 (fr) 2016-07-11 2016-07-11 Structure barriere a base de copolyamide bact/xt de haute tg
PCT/FR2017/051871 WO2018011493A1 (fr) 2016-07-11 2017-07-10 STRUCTURE BARRIERE A BASE DE COPOLYAMIDE BACT/XT DE HAUTE T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257A KR20190031257A (ko) 2019-03-25
KR102330137B1 true KR102330137B1 (ko) 2021-11-23

Family

ID=5704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568A KR102330137B1 (ko) 2016-07-11 2017-07-10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13828B2 (ko)
EP (1) EP3481890B1 (ko)
JP (1) JP7076427B2 (ko)
KR (1) KR102330137B1 (ko)
CN (1) CN109476839B (ko)
FR (1) FR3053694B1 (ko)
WO (1) WO2018011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4271B1 (fr) * 2017-03-24 2021-04-30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amide semi-cristallin de haute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et haute temperature de fusion pour materiau thermoplastiqu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FR3090450B1 (fr) * 2018-12-20 2022-01-21 Arkema France Materiau fibreux impregne de polymere thermoplastique de masse moleculaire et de viscosite optimum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CN110951248B (zh) * 2019-11-04 2022-05-17 江门市德众泰工程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黑色led支架料及制备方法
CN115485318A (zh) * 2020-05-07 2022-12-16 索尔维特殊聚合物美国有限责任公司 包含聚酰胺和聚(亚芳基硫醚)的聚合物组合物以及对应的制品
WO2022196711A1 (ja) * 2021-03-16 2022-09-22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アミド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5227A (en) 1954-03-15 1955-03-29 Du Pont Heat stabilization of polyamides
US3012994A (en) * 1956-10-24 1961-12-12 Eastman Kodak Co Polyamides derived from cyclohexanebis
DE1470866B2 (de) 1962-12-24 1971-01-21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Osaka (Japa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3657391A (en) 1969-03-12 1972-04-18 Borg Warner Graft copolymers of styrene acrylonitrile and methyl acrylate onto diene 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vinyl chloride resins
US3808180A (en) 1970-04-13 1974-04-30 Rohm & Haas Composite interpolymer and low haze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thereof
DE2060701A1 (de) * 1970-12-10 1972-06-22 Hoechst Ag Glasklare Polyamide
DE2225938A1 (de) * 1972-05-27 1973-12-13 Hoechst Ag Transparente polyamide
DE2256214A1 (de) * 1972-11-16 1974-05-22 Hoechst Ag Transparente polyamide
US3985704A (en) 1975-06-19 1976-10-12 Rohm And Haas Company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4096202A (en) 1976-06-09 1978-06-20 Rohm And Haas Company Impact modified poly(alkylene terephthalates)
US4180494A (en) 1977-08-15 1979-12-25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polyesters
US4260693A (en) 1979-08-27 1981-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299928A (en) 1980-03-14 1981-11-10 Mobay Chemical Corporation Impact modified polycarbonates
JP2967418B2 (ja) * 1989-10-09 1999-10-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用包装材料
GB9018144D0 (en) 1990-08-17 1990-10-03 Unilever Plc Polymerisation process
DE19933937A1 (de) 1999-07-20 2001-01-25 Bayer Ag Optisch aktive Thienylalkylamino-1,3,5-triazine
ES2437194T3 (es) * 2003-02-18 2014-01-09 Arkema France Utilización de nanotubos de carbono en mezclas de poliamida y de poliolefina
WO2005102694A1 (ja) 2004-04-27 2005-11-03 Ube Industries, Ltd. 積層構造体
US20090098325A1 (en) 2005-03-18 2009-04-16 Kuraray Co. Ltd. Semi-aromatic polyamide resin
FR2884518B1 (fr) * 2005-04-14 2007-09-21 Arkema Sa Structure barriere a base de polyamide mxd.10
ATE445660T1 (de) 2007-05-03 2009-10-15 Ems Patent Ag Teilaromatische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en
FR2928649A1 (fr) 2008-03-12 2009-09-18 Ceca Sa Sa Lubrifiant pour chaine transporteuse de recipients
FR2934865B1 (fr) 2008-08-08 2010-08-27 Arkema France Copolyamide semi-aromat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2010285553A (ja) * 2009-06-12 2010-12-24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耐熱性ポリアミド樹脂
EP2462195B1 (fr) * 2009-08-06 2013-10-02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renant un copolyamide et une polyolefine reticulee
KR101821310B1 (ko) * 2010-12-27 2018-01-23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아미드 조성물
FR2997089B1 (fr) 2012-10-23 2015-11-13 Arkema France Materiau composite thermoplastique a base de polyamide semi-cristallin et procede de fabrication
EP2767555A1 (en) * 2013-02-15 2014-08-20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Mobile electronic devices made of amorphous polyamides
EP2727951A1 (en) * 2012-11-06 2014-05-07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Mobile electronic devices made of amorphous polyamides
DE102013218957A1 (de) 2013-09-20 2015-03-26 Evonik Industries Ag Formmasse auf Basis eines teilaromatischen Copolyamids
WO2016058991A1 (en) * 2014-10-16 2016-04-21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mers featuring enhanced flow
FR3044956B1 (fr) 2015-12-10 2018-06-15 Arkema France Procede pour un materiau composite de matrice en polyamide, renforce fibres, a partir de composition precurseur reactive de prepolymere
FR3053695B1 (fr) * 2016-07-11 2018-07-06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amide semi-cristallin de haute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pour materiau thermoplastiqu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FR3053696B1 (fr) * 2016-07-11 2018-07-06 Arkema France Composition de polyamide semi-cristallin de haute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pour materiau composit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6427B2 (ja) 2022-05-27
FR3053694B1 (fr) 2018-07-06
US11813828B2 (en) 2023-11-14
CN109476839A (zh) 2019-03-15
WO2018011493A1 (fr) 2018-01-18
EP3481890B1 (fr) 2020-01-29
FR3053694A1 (fr) 2018-01-12
KR20190031257A (ko) 2019-03-25
CN109476839B (zh) 2021-11-02
US20190232628A1 (en) 2019-08-01
EP3481890A1 (fr) 2019-05-15
JP2019520464A (ja)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137B1 (ko) 고 Tg 를 갖는 BACT/XT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배리어 구조체
KR100855888B1 (ko) Evoh 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복합체
KR102634500B1 (ko) 열가소성 재료를 위한 높은 유리 전이 온도 및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반-결정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용도
US10513581B2 (en) Sulfonate-modified polyamide having improved barrier properties
CN104448810B (zh) 基于部分芳族的共聚酰胺的模塑料
CN104448794B (zh) 基于部分芳族的共聚酰胺的模塑料
JP7385559B2 (ja) バッテリーコンパートメント
KR102625372B1 (ko) 열가소성 재료를 위한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짧은 디아민-기반 반결정질 폴리아미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JP7393865B2 (ja) 高いTgを有するMPMDT/XTコポリ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バリア構造
US11351762B2 (en) Barrier structure made from MXDT/XT copolyamide with a high Tg
JP6896551B2 (ja) 視認性タンク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視認性タンク
TWI810165B (zh) 聚醯胺樹脂及成形品
JP6901935B2 (ja) 視認性タンク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視認性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