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085B1 -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085B1
KR102330085B1 KR1020200031784A KR20200031784A KR102330085B1 KR 102330085 B1 KR102330085 B1 KR 102330085B1 KR 1020200031784 A KR1020200031784 A KR 1020200031784A KR 20200031784 A KR20200031784 A KR 20200031784A KR 102330085 B1 KR102330085 B1 KR 10233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p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ap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378A (ko
Inventor
강민재
Original Assignee
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재 filed Critical 강민재
Priority to KR102020003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발명은 착신단말기의 위치를 발신단말기에 지도화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가 구축되는 단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의 단말기가 통화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지도서비스가 가입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이고, 통화 연결이 요청되거나 통화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가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서버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상기 지도서비스 가입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Map service-based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call connection}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간 통화 연결 시 지도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연결시 상대방의 위치를 지도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화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은 기본적으로, 1세대 이동통신(1G : 아날로그), 2세대 이동통신(2G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세대 이동통신(3G :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HSDPA))과 4세대 이동통신(4G) 및5세대 이동통신(5G)가 있다.
5G는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 많다. 강점인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가상현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은 이미 개인 필수품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고, 그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이외에 부가 서비스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로는 통화연결음 서비스, CID(Caller ID) 서비스, 레터링 서비스, 배경화면 서비스, 미아찾기 서비스 등이 있다.
사용자는 종래의 CID 서비스나 통화연결음 서비스, 레터링 서비스와 같이 통화전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단순 정보의 제공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착신측 식별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중 하나로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위치를 통화연결 전에 착신자에게 알리는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위치를 통화연결 전에 착신자에게 알리는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위치를 통화연결 전에 착신자에게 알리는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을 위한 시스템에서는 발신 단말(10)이 위치한 셀(cell)(또는 기지국)에서 전송한 호를 하기 위한 발신 교환기(30)와, 착신 단말(20)이 위치한 셀(또는 기지국)로 착신할 호를 처리하기 위한 착신 교환기(50)와, 발신 단말(10)와 착신 단말(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등록 내역을 관리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위치나 착신 단말의 위치를 통화연결 전에 HLR(40)을 통해 착신자의 착신 단말(20)이나 발신자의 발신 단말(10)로 음성을 통해 위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알림은 대략적인 예로써, 동, 번지 정도이므로 해당 지역을 모르는 경우 막연한 정도라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4008호 - 가입자의 위치에 근거한 통화 연결음 제공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5759호 - 위치 기반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1847호 -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기반 고객 연결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위치정보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화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 시 또는 착신 단말의 위치를 발신 단말기에 화면에 지도화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지도화면에서 안내받을 수 있음은 물론 안내된 지도 화면이 캡쳐되어 발신 단말기에 자동적으로 저장되고, 저장된 지도화면의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경로가 통화 요청 시점이나 통화 연결 시점의 일정 기간 단위로 지도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연결 요청 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지도화면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이 알지 못하는 지역 및 전화번호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화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호처리가 발생한 경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가입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n 통신사 서버로부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로 통화연결이 되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치정보는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GPS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가 구축되는 단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의 단말기가 통화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지도서비스가 가입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이고, 통화 연결이 요청되거나 통화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가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서버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상기 지도서비스 가입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 시 또는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발신 단말기에 화면에 지도화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어 상대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안내된 지도 화면이 캡쳐되어 단말기에 자동적으로 저장되고, 저장된 지도화면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대방 단말기의 이동경로가 통화 요청 시점이나 통화 연결 시점의 일정 기간 단위로 지도화면에 표시됨으로써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대방의 주요이동 경로를 정확히 알 수 있어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 아이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경로 파악에 따라 혹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불길한 경우에 해당 아동의 평소 이동경로가 아닌 곳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아이의 신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경찰에 신고 하거나, 직접 찾으러 가능 등)를 취할 수 있고, 청소년의 경우 불필요한 장소(PC 방 등)이나 불건전한 장소의 이동을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지도 편달을 할 수 있다.
셋째,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연결 요청 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지도화면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알지 못하거나, 받기 싫은 전화를 선택적으로 받지 않을 수 있다.
넷째, 구글 서비스를 이용한 지도서비스가 가능하므로 해외에 나가 있는 지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의 위치를 통화연결 전에 착신자에게 알리는 통화전 발신자 위치 알림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단말기(100, 110, 120)와, 통신망(200), 통신사 서버(300) 및 맵 제공 서버(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100, 110, 12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일명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단말기는 발신 시에는 발신 단말기가 되고, 착신 시에는 착신 단말기가 된다.
통신망(200)은 이동통신(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단말기(100, 110, 120) 들에 대하여 단말기(이동 단말기)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와의 통신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망으로.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 등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동(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사 서버(30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가입(또는 신청이나 지도서비스 제공 앱에서 선택)한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호처리가 발생한 경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을 참조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통신사 서버(300)에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310)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GPS 데이터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통해 지리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맵 제공 서버(400)는 통신사 서버(300)에서 지도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를 들면 구글지도, 네이버 지도, 다음카카오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구글서버, 네이버 서버, 다음 카카오 서버 또는 네비게이션사(파인디지털, 아이나비, 팅크웨어 등)의 지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도는 해당 맵 제공 서버(400)의 맵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300)로 제공되고, 통신사 서버(300)는 해당 통신사의 지도 데이터베이스(DB)(310)를 갱신한다. 그에 따라 정확한 지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통신사 서버(300)가 자체적으로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통신사 서버(300)는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지도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가입자가 발신 단말기이건, 착신 단말기이건 간에 관계없이 지도정보를 제공하며, 이때, 대략적인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지도 정보로 제공한다. 또한 지도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도 4 및 도 5 참고).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단말기(100, 110, 120)와, 통신망(200), 맵 제공 서버(400),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 및 제 1 내지 제n 통신사 서버(600, 610, 6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100, 110, 120)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일명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단말기는 발신 시에는 발신 단말기가 되고, 착신 시에는 착신 단말기가 된다.
통신망(200)은 이동통신(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단말기(100, 110, 120) 들에 대하여 단말기(이동 단말기)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와의 통신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망으로.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 등 단말기를 대상으로 이동(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맵 제공 서버(400)는 지도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를 들면 구글지도, 네이버 지도, 다음카카오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구글서버, 네이버 서버, 다음 카카오 서버 또는 네비게이션사(파인디지털, 아이나비, 팅크웨어 등)의 지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n 통신사 서버(600, 610, 620)로부터 지도서비스를 가입(또는 신청이나 지도서비스 제공 앱에서 선택)한 가입자에 대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지도 정보 제공을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은 지리정보 제공서버(510)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맵 제공 서버(400)의 맵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이를 제공받아 맵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에 따라 정확한 지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가 자체적으로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를 구축할 수도 있다.
제1내지 제n 통신사 서버(600, 610, 620)는 예를 들면 SK텔레콤, KT, LG U+는 물론, 헬로모바일 SK텔링크, 아이즈 비전, 에스원, U+ 알뜰모바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내지 제n 통신사 서버(600, 610, 620)는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를 통해 통화 연결 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로 설정된 단말기 가입자에 대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가입자가 발신 단말기이건, 착신 단말기이건 간에 관계없이 지도정보를 제공하여로 설정된 단말기에 대한 호처리가 요청되면 지도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상대방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로 제공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제1내지 제n 통신사 서버(600, 610, 620) 각각은 자신의 통신사에 가입된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을 참조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DB(601, 611, 621)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위치정보 DB(601, 611, 621)로부터 가입된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로 제공하고,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는 위치정보제공을 요청한 단말기로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앞에서와 같이 또한 지도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도 4 및 도 5 참고).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통화 연결시 상대방 단말기에 대한 지도정보(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통신사 서버(300)나,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에서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 시 제공되었던 지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된 데이터 요청 시 누적 기간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스마트폰)에서는 통화연결시 제공된 지도정보를 단말기의 '통화목록'과 유사하게, 통화연결 시의 '지도목록'으로 자동 캡쳐하여 자동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사 서버(300)나, 단말기 제조사나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500)에서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앱(App.)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저장된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의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이때, 하단에는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가 제공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대방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알 수도 있고, 시간 역시 알 수 있으므로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에 보호자의 단속이 쉬울 수도 있으며, 이동경로 파악에 따라 혹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불길한 경우에 해당 아동의 평소 이동경로가 아닌 곳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아이의 신상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경찰에 신고 하거나, 직접 찾으러 가능 등)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이 되지 않더라도 집에 있거나, 약속된 장소에 있는 것만으로도 보호자는 안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의 경우에는 네이버 지도를 참고하였지만, 구글 지도를 이용하는 경우 외국에서의 위치 역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도서비스 가입 시 가입자가 선호하는 지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통신사 서버 또는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를 구축한다(S100).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통화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가입(신청 또는 앱에서 선택)한다(S110).
그리고 서버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S120)하여 통화 연결이고, 통화 연결이 요청되거나 통화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가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서버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HLR, 위치정보 DB, GPS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130).
한편 이벤트 판단결과(S120), 통화연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단말기로부터통화 연결된 상대방에 대한 지도데이터가 요청된 것이라면 서버는 상대방 단말기의 번호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해당 번호의 단말기에 대한 통화연결 기간의 지도 데이터를 전송한다(S140).
그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한다(S150). 이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도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 단말기 200 : 통신망
300 : 통신사 서버 310 : 지도 데이터베이스(DB)
400 : 맵 제공 서버 410 : 지도 데이터베이스(DB)
500 :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 510 : 지리정보 제공서버
600, 610, 620 : 통신사 서버
601, 611, 621 :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DB)

Claims (5)

  1. 이동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및
    상기 단말기의 통화 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호처리가 발생한 경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GPS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이며,
    상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에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하단에는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2. 이동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 상호 간 및 단말기와 단말기 외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지국의 설정, 루트 설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들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가입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n 통신사 서버로부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로 통화연결이 되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기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지도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GPS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이며,
    상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에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하단에는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데이터가 구축되는 단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의 단말기가 통화연결 시 지도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지도서비스가 가입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이고, 통화 연결이 요청되거나 통화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가 지도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서버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와 함께 지도서비스가 가입된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지도서비스가 가입된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지도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구축된 지도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대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로부터의 위치정보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GPS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이며,
    상기 지도서비스를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지도화면에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되되, 하단에는 문자로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방법.
KR1020200031784A 2020-03-16 2020-03-16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33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84A KR102330085B1 (ko) 2020-03-16 2020-03-16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84A KR102330085B1 (ko) 2020-03-16 2020-03-16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378A KR20200035378A (ko) 2020-04-03
KR102330085B1 true KR102330085B1 (ko) 2021-11-23

Family

ID=7028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84A KR102330085B1 (ko) 2020-03-16 2020-03-16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231B1 (ko) * 2023-07-28 2023-12-27 최병술 레터 컬러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47B1 (ko) 2002-08-26 2006-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기반 고객 연결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위치정보 송수신 장치
KR20060124008A (ko) 2005-05-30 2006-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의 위치에 근거한 통화 연결음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166651B1 (ko) * 2010-11-29 2012-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KR101466818B1 (ko) * 2012-10-29 2014-11-28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65759B1 (ko) 2017-11-01 2019-08-13 주식회사 엑소게임즈 위치 기반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378A (ko)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0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social networking site with ring back tone information
US72157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selection from multiple predefined service profile sets
US9961522B2 (en) Provision of additional network addressable numbers on single mobile device
US20210329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e-populated second line service to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9979827B2 (en) Telecommunications device enabled with multiple network recognizable numbers
EP2661065A1 (en) Network nodes providing pre-call and during call advertising
US95542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SD services using cross-operator number
KR102330085B1 (ko) 통화연결시 지도서비스 기반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0562043C (zh) 显示主叫所呼叫的号码及回拨的方法
KR20110110403A (ko)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50087189A (ko) 이동통신망에서 위치기반 발신자 애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CN101601312B (zh) 暂停呼叫处理以实现信息的重放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US875084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filtering a request to communicate with a user
KR20090084253A (ko) 이동전화 착신 통화시 착신자 단말기 화면에 자동적으로착신자 번호 번역 표시 정보를 통하여 발신 번호 및 발신가입자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 구현 시스템 및 제어할 수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83287A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CN110278720B (zh) 来电呼叫控制设备、来电呼叫控制系统、来电呼叫控制方法和程序
WO2007129989A1 (en) A system, service provider unit, and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to a callee
US20200145529A1 (en) Management of a communication call between a caller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main call identifier and a secondary call identifier, and a called communications terminal
WO20131702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a second line service to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ing mixed protocols
FI106235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laajan tavoitettavuusketjun asetusten määrittämiseksi
KR20140032679A (ko)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9193A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