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76B1 -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76B1
KR102329976B1 KR1020200061279A KR20200061279A KR102329976B1 KR 102329976 B1 KR102329976 B1 KR 102329976B1 KR 1020200061279 A KR1020200061279 A KR 1020200061279A KR 20200061279 A KR20200061279 A KR 20200061279A KR 102329976 B1 KR102329976 B1 KR 10232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data
patient
category
classifying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삼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6/1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환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 유형에 대응되는 치료 방법을 제시하여,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 과정에서 존재할 수 있는 오류를 제거하면서도, 치료에 유연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CLASSIFICATING PATIENT TYP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자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교정 치료는 치아 교합의 기능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치아 배열을 개선하는 치료이다. 최근에는 심미적인 개선 효과를 위한 교정 치료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정 치료에는 다양한 환자의 데이터가 활용된다. 예를 들어, 활용되는 환자 데이터는 제1 대구치 위치 관계, 상악골, 하악골의 위치 관계 및 입술 돌출도 등이 있다.
종래의 교정 치료는, 교정 치료에 활용되는 다양한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의료진 간의 편차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데이터 계측의 오류, 데이터 분석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2078호 (2015.06.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환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 유형에 대응되는 치료 방법을 제시하여,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변경하여 변경된 규칙에 따라 환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 유형에 대응되는 치료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 관리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과 교정 치료의 진단 기준인 기준 항목을 자동적으로 계측하는 단계,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치료 방법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료 방법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방법에 의한 상기 기준 데이터의 변화를 예측하여 예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데이터는, 복수의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복수의 기준 데이터이고, 상기 복수의 기준 데이터는, 각각 안모, 골격 및 덴탈(dental)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제2 기준 데이터와 연계되어,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안모, 골격 및 덴탈 카테고리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최우선 순위가 부여된 제1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 차순위가 부여된 제2 카테고리에 속한 상기 제1 기준 데이터와 연관된 제2 기준 데이터 및 최후순위가 부여된 제3 카테고리에 속한 상기 제1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2 기준 데이터와 연관된 제3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표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표준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변경된 표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항목, 상기 환자 유형 및 상기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것이 상기 기준 항목인 경우, 변경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고, 변경된 것이 상기 환자 유형인 경우,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며, 변경된 것이 상기 출력인 경우, 상기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변경된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유형 분류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항목을 계측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 및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서 참조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의 일부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서 참조될 수 있는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개시된 환자 유형 분류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를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200a, 200b, 200c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00), 치과용 CT 장치(300) 및 3D 스캐너(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는 치과용 CT 장치(300), 3D 스캐너(400) 및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미리 설정된 규칙을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분류된 환자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사용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200)는 설정된 규칙을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설정된 규칙을 변경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는 분류된 환자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00)는 수신된 출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00)는 출력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출력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데스크탑(Desktop),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랩탑(Laptop), 태블릿(Tablet),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패블릿(Phablet)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또는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등과 같은 형태의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치과용 CT 장치(300)는 환자의 CT 이미지를 촬영하여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3D 스캐너(400)는 환자의 치아를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몇몇 순서도에서 설명될 단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00에서,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항목이 자동적으로 계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치과용 CT 장치(300)로부터 환자의 정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및 측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가 얻어지고, 카메라로부터 환자의 정모, 측모 이미지가 얻어지고, 3D 스캐너(400)로부터 환자의 치아 이미지가 얻어진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될 기준 항목을 계측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전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항목이 자동적으로 계측된다. 여기서, 기준 항목은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계측 가능한 대상으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기준 항목은 치과 교정 치료의 진단 기준이 될 수 있는 항목을 의미한다. 치과 교정 치료의 진단 기준인, 기준 항목을 자동적으로 계측함으로써,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가 얻어질 수 있다. 기준 항목의 구체적 예시는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치과용 CT 장치(3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정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에서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은 좌우 비대칭, 정중선 기울기, 교합면 기울기 등이 있다. 치과용 CT 장치(3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에서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은 상악골 위치, 상악골 각도, 하악골 각도, 상하악골 각도, 전치 위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정모 이미지에서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은 정중선 기울기, 교합면 기울기, 치아 표시 비율 등이 있다.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측모 이미지에서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은 상순 돌출도, 하순 돌출도, 비순각, 안모 돌출도 등으로, 사전에 정의된 기준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스캐너(4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치아 이미지에서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은 수평적 피개교합(Overjet), 개별치아 토크(Torque), 정중선 기울기, 상하악 치아 비율, 교합면 기울기, 개별 치아 앵귤레이션(Angulation), ALD(Arch Length Discrepancy), 개별치아 로테이션(Rotation), 변연융선(Marginal ridge), Curve of Spee, Curve of Wilson, 대구치 관계, 견치 관계, 교합점 관계 등이 있다.
앞서 설명된 용어는 치과 교정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 정의는 생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서 참조될 수 있는 기준 항목은 앞서 설명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측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이 전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복수의 기준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의 기준 데이터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복수의 기준 항목을 고려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성이 더욱 증대된다.
일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는 안모, 골격 및 덴탈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안모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는 안모 카테고리에 속한다. 예를 들어, 치과용 CT 장치(3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두부 방사선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는 골격 카테고리에 속한다. 예를 들어, 3D 스캐너(4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는 덴탈 카테고리에 속한다.
앞서 설명된 기준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몇몇 예시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서 참조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측모 이미지가 도시된다. 환자의 측모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의 예시 또한 도시된다.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안모 돌출도(31)를 계측하여, 165도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비순각(33)을 계측하여, 100도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순 돌출도(35)를 계측하여, -1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순 돌출도(37)를 계측하여, 2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만, 환자의 측모 이미지를 통해 계측할 수 있는 기준 항목 및 기준 수치는 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CT 장치(300)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가 도시된다.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의 예시 또한 도시된다.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하악골 위치(41)를 계측하여, 79.1도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상악골 위치(43)을 계측하여, 81.6도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만, 환자의 측모 두부 방사선 이미지를 통해 계측할 수 있는 기준 항목은 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3D 스캐너(4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치아 이미지가 도시된다. 환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의 예시 또한 도시된다.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Curve of Spee(51)를 계측하여, 2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변연융선(53, Marginal Ridge)을 계측하여, 0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개별 치아 토크(55, 57)를 계측하여, 대응되는 각각의 치아에 6도 및 3도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만, 환자의 치아 이미지를 통해 계측할 수 있는 기준 항목은 본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3D 스캐너(400)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치아 이미지 및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안모 이미지가 도시된다. 환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계측 가능한 기준 항목의 예시 또한 도시된다.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피개교합(61, Overjet)를 계측하여, 2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정중선 기울기(63, 상악 Midline)을 계측하여, 2.1mm 라는 기준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단계 S200에서, 계측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안모, 골격 및 덴탈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제2 기준 데이터와 연계되어,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복수의 기준 항목을 고려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켜, 사용자의 사용성이 더욱 증대된다. 더욱이,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한 기준 데이터를 연계하여 환자 유형 분류에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유형을 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할 수 있으므로,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안모, 골격 및 덴탈 카테고리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환자 유형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우선 순위가 부여된 제1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 차순위가 부여된 제2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와 연관된 제2 기준 데이터 및 최후순위가 부여된 제3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 및 제2 기준 데이터와 연관된 제3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 유형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적인 이유로 교정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덴탈 카테고리, 골격 카테고리, 안모 카테고리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미적인 이유로 교정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안모 카테고리, 골격 카테고리, 덴탈 카테고리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카테고리에 우선 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목적에 맞게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적인 이유로 교정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덴탈 카테고리에 속한 기준 항목을 계측한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카테고리의 기준 데이터를 고려하여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심미적인 이유로 교정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안모 카테고리에 속한 기준 항목을 계측한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카테고리의 기준 데이터를 고려하여 교정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변화가 요구되는 기준 항목을 계측한 기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교정치료를 수행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표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자 유형이 분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측된 안모 돌출도(31)와 표준값과의 차이는 -1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측된 하악골 위치(41)와 표준값과의 차이는 1.66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측된 변연융선(53)과 표준값과의 차이는 1.2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측된 피개교합(61)과 표준값과의 차이는 2.1이다. 미리 설정된 표준값과 기준 데이터의 차이를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명확한 기준에 의해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0에서,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의 일부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치료 방법이 디스플레이 된다. 분류된 유형에 가장 적합한 사전에 정의된 치료 방법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의료진 사이의 진단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명확한 기준에 의해 교정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20에서, 결정된 치료 방법에 의한 기준 데이터의 변화를 예측하여 예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결정된 치료 방법에 의한 예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최종 치료 결과를 사용자 및 환자가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및 환자는 교정 치료 목적에 적합한 치료가 진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환자 유형 분류 방법에서 참조될 수 있는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치아(81a) 및 예측 데이터(81b)가 도시된다. 현재 치아와 예측 데이터를 정렬(align)하여 2D또는 3D화면으로 도시함으로써, 교정 치료에 의한 변화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방법(83)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비발치가 표시된다. 제시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은 수술 교정 및 비수술 교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기준 항목, 환자 유형,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내용이 단계 S500에서 반영된다.
일 실시예에서, 변경된 것이 기준 항목인 경우, 변경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경된 것이 환자 유형인 경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경된 것이 출력인 경우,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변경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준 항목을 변경함으로써, 분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환자 유형을 변경함으로써, 환자 유형을 세분화하거나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출력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및 환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출력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정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면서도, 교정 치료에 유연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준 데이터와 비교되는 표준 값이 변경될 수 있다. 표준값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의견을 반영할 수 있고, 교정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면서도, 교정 치료에 유연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그 응용분야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500)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10), 버스(1550), 통신 인터페이스(1570), 프로세서(1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530)와,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51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5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을 로드 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5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컴퓨팅 장치(1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과 각종 데이터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91)은 메모리(153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15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 유형 분류 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항목을 계측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 및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컴퓨팅 장치(150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 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 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과 교정 치료의 진단 기준인 기준 항목을 자동적으로 계측하는 단계;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를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데이터는 복수의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복수의 기준 데이터이고,
    상기 복수의 기준 데이터 각각은 안모 카테고리, 골격 카테고리 및 덴탈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안모 카테고리, 상기 골격 카테고리 및 상기 덴탈 카테고리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최우선 순위가 부여된 제1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 차순위가 부여된 제2 카테고리에 속한 제2 기준 데이터 및 최후순위가 부여된 제3 카테고리에 속한 제3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데이터, 상기 제2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3 기준 데이터 각각은 상호 연관된 기준 데이터인,
    환자 유형 분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치료 방법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방법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방법에 의한 상기 기준 데이터의 변화를 예측하여 예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표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표준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변경된 표준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 항목, 상기 환자 유형 및 상기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것이 상기 기준 항목인 경우, 변경된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고, 변경된 것이 상기 환자 유형인 경우,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경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며, 변경된 것이 상기 출력인 경우, 상기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변경된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유형 분류 방법.
  9.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항목을 계측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 및
    분류된 유형에 대응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 데이터는 복수의 기준 항목을 계측하여 생성된 복수의 기준 데이터이고,
    상기 복수의 기준 데이터 각각은 안모 카테고리, 골격 카테고리 및 덴탈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은,
    상기 안모 카테고리, 상기 골격 카테고리 및 상기 덴탈 카테고리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최우선 순위가 부여된 제1 카테고리에 속한 제1 기준 데이터, 차순위가 부여된 제2 카테고리에 속한 제2 기준 데이터 및 최후순위가 부여된 제3 카테고리에 속한 제3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유형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데이터, 상기 제2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3 기준 데이터 각각은 상호 연관된 기준 데이터인,
    환자 유형 분류 장치.
KR1020200061279A 2020-05-22 2020-05-22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KR10232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79A KR102329976B1 (ko) 2020-05-22 2020-05-22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79A KR102329976B1 (ko) 2020-05-22 2020-05-22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976B1 true KR102329976B1 (ko) 2021-11-23

Family

ID=7869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79A KR102329976B1 (ko) 2020-05-22 2020-05-22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8263A (ja) * 2002-02-22 2005-06-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の選択
KR101138355B1 (ko)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치아 교정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예측 방법
US20140122027A1 (en) * 2012-10-31 2014-05-01 Ormco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perform digital orthodontics at one or more sites
KR20150072078A (ko) 2013-12-19 2015-06-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덴탈 정보 제공방법, 덴탈 정보 제공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50139465A (ko) * 2014-06-03 2015-12-11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환자의 치열교정 진단 분석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0140B1 (ko) * 2014-12-11 2016-01-29 주식회사 디오코 다중 방향에서의 치아 교합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06137414A (zh) * 2015-04-14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确定目标牙列布局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8263A (ja) * 2002-02-22 2005-06-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の選択
KR101138355B1 (ko)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치아 교정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예측 방법
US20140122027A1 (en) * 2012-10-31 2014-05-01 Ormco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perform digital orthodontics at one or more sites
KR20150072078A (ko) 2013-12-19 2015-06-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덴탈 정보 제공방법, 덴탈 정보 제공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50139465A (ko) * 2014-06-03 2015-12-11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환자의 치열교정 진단 분석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0140B1 (ko) * 2014-12-11 2016-01-29 주식회사 디오코 다중 방향에서의 치아 교합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06137414A (zh) * 2015-04-14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确定目标牙列布局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52B1 (ko) 치아 차트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US10595965B2 (en) Interproximal reduction planning
Chen et al. Enhanced speed and precision of measurement in a computer-assisted digital cephalometric analysis system
US20180360567A1 (en) Automatic detection of tooth type and eruption status
US9524374B2 (en) Dental occlusion analysis tool
US10460839B1 (en) Data mining of dental images
US20160124920A1 (en) Combination web browser based dental practice management software system with embedded web browser based dental imaging software
Nassif et al. Comparative study of root resorption of maxillary incisors in patients treated with lingual and buccal orthodontics
CN110785144A (zh) 辅助正畸的方法和正畸辅助系统
KR102407259B1 (ko) 전자차트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장치
McIntyre et al. Crown-root shape of the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
US20230225831A1 (en) Photo-based dental appliance fit
Zamrik et al.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an Android cephalometric smartphone applic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KR102329976B1 (ko) 환자 유형 분류 방법 및 장치
Lim et al. The predictability of maxillary curve of Spee leveling with the Invisalign appliance
Sakuda et al. Integrate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in clinical orthodontics: An approach with use of a computer network system
KR102329967B1 (ko) 치아 교정 모델 분석 방법 및 장치
EP4292557A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urgery simulation
KR102383109B1 (ko) 교정 치료 환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20230014806A (ko) 치아 분석 화면 개선을 위한 파노라마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odaka et al. Crown inclination measured by laser scanner
Sathler et al. Comparative study of dental cephalometric patterns of Japanese-Brazilian, Caucasian and Mongoloid patients
Ozeki et al. Change in clinical crown height in adult patients treated by means of the multi-bracket appliance with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KR102486053B1 (ko) 구강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68433B1 (ko) 치아교정 진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