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57B1 -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57B1
KR102329957B1 KR1020190076261A KR20190076261A KR102329957B1 KR 102329957 B1 KR102329957 B1 KR 102329957B1 KR 1020190076261 A KR1020190076261 A KR 1020190076261A KR 20190076261 A KR20190076261 A KR 20190076261A KR 102329957 B1 KR102329957 B1 KR 10232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forming
hole
mixed
knock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47A (ko
Inventor
정금희
Original Assignee
(주)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솔 filed Critical (주)시솔
Priority to KR102019007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20Extrusion means, e.g.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쑥정량성형장치는 상하관통된 포밍홀이 형성된 포밍다이; 포밍다이 밑을 받쳐주는 구조로, 전방에 녹아웃홀이 상하관통된 프레임; 포밍펀치가 형성된 프레스; 녹아웃펀치가 형성된 녹아웃; 녹아웃홀 밑에 구성된 트레이;를 포함하며, 쑥정량성형방법은 쑥과 물이 1:1인 혼합쑥을 포밍홀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우며, 포밍홀 속 혼합쑥을 포밍펀치로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하며, 가압성형된 혼합쑥을 트레이로 녹아웃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기계적 가압성형과 배출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moxa quantitative forming machine for quantitative molding of moxa and moxa quantitative forming method for quantitatively molding moxa}
본 발명은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쑥정량성형장치는 상하관통된 포밍홀이 형성된 포밍다이; 포밍다이 밑을 받쳐주는 구조로, 전방에 녹아웃홀이 상하관통된 프레임; 포밍펀치가 형성된 프레스; 녹아웃펀치가 형성된 녹아웃; 녹아웃홀 밑에 구성된 트레이;를 포함하며, 쑥정량성형방법은 쑥과 물이 약 1:1인 혼합쑥을 포밍홀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우며, 포밍홀 속 혼합쑥을 포밍펀치로 약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하며, 가압성형된 혼합쑥을 트레이로 녹아웃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기계적 가압성형과 배출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쑥이란 뜸을 뜨기 위하여 애엽의 섬유질을 골라 가공한 것으로, 불이 잘 붙고 열이 비교적 고르게 날 뿐만 아니라 연소 시, 국소 마비를 일으키는 물질이 나와 뜸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뜸쑥 성형은 쑥을 손으로 비벼서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거나, 원뿔 또는 원뿔대 형태로 음각된 뜸쑥 성형도구에 쑥을 밀어넣어 성형해 왔으며, 이러한 뜸쑥의 재료에 기능성 혼합물 또는 성형에 도움을 주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뜸쑥을 성형해왔다.
그 예로 국내특허등록 제1961286호에서는 대나무숯이 분쇄기를 통하여 분쇄되어 대나무숯 분말이 수득되는 대나무숯의 분쇄단계; 접착풀과 물이 일정 비율대로 혼합기를 통하여 혼합되어 점착물이 수득되는 접착풀과 물의 혼합단계; 상기 대나무숯 분말과 상기 점착물이 교반기를 통하여 균일한 상태로 혼합되어 배합물이 수득되는 교반단계; 상기 배합물이 몰드를 통해 성형되는 성형단계; 및 상기 배합물이 건조되어 탈형을 통하여 애주가 수득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등록번호/일자 1019612860000 (2019.03.18)
그러나 국내특허등록 제1961286호의 "뜸 제조방법" 및 이러한 특허와 같이, 성형되는 뜸쑥에 쑥과 물 이외의 혼합물이 첨가되는 경우, 쑥 본연의 뜸 치료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접착제로 사용되는 물질에서 유독성분이 배출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근래에 뜸 치료에 중국에서 생산된 뜸쑥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국산 뜸쑥의 경우, 고밀도로 압착성형됨으로써, 불이 잘 붙지 않으며, 성형된 뜸쑥 내부가 균일하지 않아 연소되는 뜸쑥의 온도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뜸쑥 성형도구의 음각된 부분에 쑥을 밀어넣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의 종래 뜸쑥 성형방법의 경우, 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성형된 뜸쑥의 탈거가 용이하지 않아,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못할뿐더러, 성형된 뜸쑥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하관통된 포밍홀이 형성된 포밍다이; 포밍다이 밑을 받쳐주는 구조로, 전방에 녹아웃홀이 상하관통된 프레임; 포밍펀치가 형성된 프레스; 녹아웃펀치가 형성된 녹아웃; 녹아웃홀 밑에 구성된 트레이;를 포함하는 쑥정량성형장치를 구성하여, 포밍펀치가 포밍홀에 채워진 혼합쑥을 일정깊이까지 가압성형 후, 이탈하고, 그 후, 포밍다이가 전방으로 이동한 다음, 녹아웃펀치가 포밍홀 속 혼합쑥을 트레이로 밀어낸 후, 이탈하고, 다시 포밍다이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포밍홀에 채워진 혼합쑥 성형을 반복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기계적 가압성형과 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쑥정량성형장치는 포밍다이 위에 케이스를 포함하되, 케이스는 상하로 개방된 통 구조이며, 내부로 와이어가 격자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의 이동수단이 구성되어, 후방에 위치한 포밍다이 위에 케이스가 위치하고, 혼합쑥이 담겨진 케이스가 속이 빈 다수개의 포밍홀 위를 다수회 반복이동하여, 와이어에 의해 덩어리진 혼합쑥을 잘게 나누면서 포밍홀 속에 혼합쑥을 뭉침없이 기계적 정량 채움하도록 한다.
아울러, 쑥정량성형방법은 쑥과 물이 약 1:1인 혼합쑥을 포밍홀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우며, 포밍홀 속 혼합쑥을 포밍펀치로 약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하며, 가압성형된 혼합쑥을 트레이로 녹아웃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기계적 가압성형과 배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쑥정량성형장치는 상하관통된 포밍홀에 채워진 혼합쑥을 프레임이 밑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포밍펀치로 가압성형하고, 포밍다이가 녹아웃홀로 이동한 후, 녹아웃펀치로 포밍홀 속 가압성형된 혼합쑥을 트레이로 밀어내고, 이러한 혼합쑥 가압성형을 기계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량의 혼합쑥이 일정 크기로 성형되어 제조된 뜸쑥의 품질이 균일하며, 성형된 혼합쑥의 녹아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혼합쑥이 담겨져 속이 빈 포밍홀 위를 반복이동하는 케이스에 의해 포밍홀 속에 혼합쑥이 고르게 정량 채움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에 와이어가 격자로 구성됨으로써, 덩어리진 혼합쑥이 잘게 나누어져 포밍홀 속에 뭉침없이 채워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혼합쑥은 쑥과 물이 약 1:1인 혼합됨으로써, 별도의 이물질이 첨가되지 않아 뜸 치료에서 뜸쑥 본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포밍홀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워진 혼합쑥이 포밍펀치에 의해 약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되어 약 0.75g/㎤의 밀도로 성형됨으로써, 차후 공정에 의해 건조된 뜸쑥은 불이 잘 붙으며 연소 온도가 비교적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쑥정량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케이스에 담긴 혼합쑥을 포밍홀에 채우는 쑥정량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케이스에 남겨진 혼합쑥을 비우는 쑥정량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포밍홀 속 혼합쑥을 가압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포밍다이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쑥정량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포밍홀 속 혼합쑥을 트레이 위로 녹아웃하는 쑥정량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쑥정량성형장치는 상하관통된 포밍홀이 형성된 포밍다이; 포밍다이 밑을 받쳐주는 구조로, 전방에 녹아웃홀이 상하관통된 프레임; 포밍펀치가 형성된 프레스; 녹아웃펀치가 형성된 녹아웃; 녹아웃홀 밑에 구성된 트레이;를 포함하며, 쑥정량성형방법은 쑥과 물이 1:1인 혼합쑥을 포밍홀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우며, 포밍홀 속 혼합쑥을 포밍펀치로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하며, 가압성형된 혼합쑥을 트레이로 녹아웃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기계적 가압성형과 배출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쑥정량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쑥정량성형장치 및 쑥정량성형방법에서 성형되는 혼합쑥을 먼저 설명한 후, 쑥정량성형장치의 구성 설명하고 이 쑥정량성형장치를 통해 혼합쑥이 성형되는 쑥정량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혼합쑥(10)은 뜸쑥용 쑥분말과 물을 1:0.9 내지 1:1.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혼합하는데, 이는 쑥분말에 비해 물이 많으면 혼합쑥(10)의 점성이 높아져 작업성이 떨어지며, 쑥분말에 비해 물이 적으면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의 형태 고정이 용이하지 않는 반면, 1:1 중량비의 혼합쑥(10)의 경우, 점성과 고정성의 균형을 이루어 후술되는 쑥정량성형장치(100)에서 기계적 정량채움, 가압성형, 녹아웃 등에서도 작업성과 고정성이 떨어지지 않게된다.
다음, 쑥정량성형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다이(110), 프레임(120), 케이스(130), 프레스(140), 녹아웃(150), 트레이(160)로 구성되며, 여기서 포밍다이(110)는 일정 두께의 판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 부근에 상하로 관통된 포밍홀(111)이 다수개 형성, 테두리 부근에 상하로 관통된 파일럿홀(112)이 다수개 형성, 좌우측면에 전후방향의 가이드라인(113)이 형성되며, 후미에 전후방향의 이동수단(114)이 구성된다.
이때, 포밍다이(110)는 두께가 63mm의 직사각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밍홀(111)은 직경 19mm, 깊이 63mm인 원기둥 형상의 구멍으로 적어도 9개 형성할 수 있으나, 포밍홀(111) 상단에서부터 깊이 44mm까지는 직경 19mm로 원기둥 형상이면서 그 밑으로는 직경 20 내지 21mm 까지 점차 넓어지는 원뿔대 형상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후방향의 이동수단(114)은 프레임(120) 위에 안착한 포밍다이(110)를 전방으로 이동,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모터식이 바람직하나 유압식 및 그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프레임(120)은 포밍다이(110) 밑을 받쳐주는 프레임 구조로, 전방으로 이동한 포밍다이(110)의 포밍홀(111) 위치에 모든 포밍홀(111)이 수용되는 면적의 녹아웃홀(121)이 상하로 관통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포밍다이(110) 좌우측면에 포밍다이(110)의 가이드라인(113)에 대응되는 가이드(122)가 구성되고, 녹아웃홀(121) 중, 트레이(160)의 높이에 내측 좌우측면를 따라 가이드라인(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녹아웃홀(121)은 전방으로 트이면서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직경 19mm의 포밍홀(111)을 10mm 이격시켜 3줄 3열 구성할 경우, 녹아웃홀(121)은 폭 120mm 길이 200mm의 사각으로 트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라인(123)은 녹아웃홀(121) 상단에서 60mm 밑에서 트레이(160)의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 케이스(130)는 상하로 개방된 통 구조로, 포밍다이(110) 위에 위치하고, 내부에 다수 줄의 와이어(131)가 격자로 구성되어, 전후 또는 전후좌우방향의 이동수단(132)이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스(130)는 평면상 사각 형상이며, 직경 19mm의 포밍홀(111)이 10mm 이격되어 3줄 3열 구성될 경우, 케이스(130)의 폭과 길이는 90mm, 높이는 63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131)는 폭방향 두줄 길이방향 두줄 씩 격자로 구성되되, 각 줄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후 또는 전후좌우방향의 이동수단(132)은 포밍다이(110) 위에 안착한 케이스(130)를 전후방향으로 반복이동 또는 전후좌우로 반복이동하되, 주로 다수개의 포밍홀(111) 위를 반복이동하다 녹아웃홀(121) 위로 이동시키고, 프레스(140)와 녹아웃(150)의 하향 이동 시,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모터식이 바람직하나 유압식 및 그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프레스(140)는 후방에 위치한 포밍다이(110) 위에서 포밍홀(111)에 대응되는 포밍펀치(141)가 다수개 형성되고, 파일럿홀(112)에 대응되는 파일럿(142)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부에 상하방향의 가압수단(143)이 구성된 프레스 구조이다.
여기서 포밍펀치(141)는 포밍홀(111)의 깊이가 63mm일 경우, 44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압수단(143)은 프레스(140)를 상하 이동시켜, 포밍홀(111) 속 혼합쑥(10)을 가압하는 장치로 모터식이 바람직하나 유압식 및 그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녹아웃(150)은 녹아웃홀(121) 위에서 포밍홀(111)에 대응되는 녹아웃펀치(151)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부에 상하방향의 이동수단(152)이 구성된 녹아웃 구조이다.
여기서 녹아웃펀치(151)는 포밍홀(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비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제작비용을 낮추면서 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때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수단(152)은 녹아웃(150)을 상하 이동시켜, 포밍홀(111) 속 혼합쑥(10)을 밑으로 밀어내는 장치로 모터식이 바람직하나 유압식 및 그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트레이(160)는 녹아웃홀(121)로 떨어지는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을 받는 쟁반구조로, 이동수단(161)이 구성되어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이 녹아웃될 때 녹아웃홀(121) 밑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쑥정량성형장치(100)는 도 2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혼합쑥(10)을 기계적으로 정량, 가압성형, 녹아웃 하게 되는데, 이를 각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0) 위에 안착한 포밍다이(110)가 후방에 위치하고, 이 포밍다이(110) 위에 케이스(130)가 안착하며, 이 케이스(130) 내부로 혼합쑥(10)이 담겨지면, 혼합쑥(10)이 담겨진 케이스(130)가 이동수단(132)에 의해 속이 빈 다수개의 포밍홀(111) 위를 다수회 반복이동하여, 포밍홀(111) 속에 혼합쑥(10)을 기계적 정량 채움한다.
이때, 케이스(130) 속 혼합쑥(10) 중, 덩어리진 부분은 케이스(130)의 반복이동과 와이어(131)에 의해 잘게 나눠짐으로써, 포밍홀(111) 속으로 혼합쑥(10)이 뭉침없이 고루 채워지게 되며, 직경 19mm, 깊이 63mm의 각 포밍홀(111) 속에 채워지는 혼합쑥(10)은 대략 쑥2g, 물2g인 약 4g으로 0.2 내지 0.25 g/㎤의 밀도로 채워진다.
다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홀(111)에 혼합쑥(10)을 다 채우면, 이동수단(132)에 의해 케이스(130)는 녹아웃홀(121)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스(130)에 남겨진 혼합쑥(10)은 놋아웃홀(121)로 비워지게 된다.
이때, 트레이(160)는 녹아웃홀(121) 밖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후,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을 녹아웃할때, 녹아웃홀(121) 밑으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수단(143)에 의해 프레스(140)가 하향하며, 그 중, 파일럿(142)이 먼저 파일럿홀(112)에 삽입되면서 포밍펀치(141)와 포밍홀(111)의 위치를 잡아주고, 뒤따라 내려온 포밍펀치(141)가 포밍홀(111)에 채워진 혼합쑥(10)을 일정깊이까지 가압성형하는데, 포밍홀(111) 속 혼합쑥(10)을 포밍펀치(141)로 27 내지 33%의 높이가 되도록, 즉 63mm 높이의 포밍홀(111) 속 혼합쑥(10)을 19mm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한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140)는 가압수단(143)에 의해 다시 상향이동하고, 그 후, 포밍다이(110)가 이동수단(114)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포밍다이(110)는 가이드라인(113)과 가이드(122)에 의해 직선으로 녹아웃홀(121)까지 이동하여, 평면상 다수개의 포밍홀(111)이 녹아웃홀(121) 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30)는 이동수단(132)에 의해 녹아웃(150)의 이동범위에서 벗어나고, 트레이(160)는 이동수단(162)에 의해 가이드라인(123)을 따라 녹아웃홀(121) 밑으로 이동한 후, 이동수단(152)에 의해 하향한 녹아웃펀치(151)가 포밍홀(111) 속 혼합쑥(10)을 트레이(160)로 밀어낸다.
그 후, 녹아웃(150)은 이동수단(152)에 의해 상향이동하고, 트레이(160)는 이동수단(162)을 따라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을 건조공정으로 이동시키며, 포밍다이(1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고, 케이스(130)에 새로운 혼합쑥(10) 담겨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6의 과정이 반복되어 혼합쑥(10) 성형을 반복성형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쑥정량성형장치(100)는 상하관통된 포밍홀(111)에 채워진 혼합쑥(10)을 프레임(120)이 밑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포밍펀치(141)로 가압성형하고, 포밍다이(110)가 녹아웃홀(121)로 이동한 후, 녹아웃펀치(151)로 포밍홀(111) 속 가압성형된 혼합쑥(10)을 트레이(160)로 밀어내고, 이러한 혼합쑥(10) 가압성형을 기계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량의 혼합쑥(10)이 일정 크기로 성형되어 제조된 뜸쑥의 품질이 균일하며, 성형된 혼합쑥(10)의 녹아웃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혼합쑥(10)이 담겨져 속이 빈 포밍홀(111) 위를 반복이동하는 케이스(130)에 의해 포밍홀(111) 속에 혼합쑥(10)이 고르게 정량 채움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130) 내부에 와이어(131)가 격자로 구성됨으로써, 덩어리진 혼합쑥(10)이 잘개 나누어져 포밍홀(111) 속에 뭉침없이 채워지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혼합쑥(10)은 쑥과 물이 약 1:1인 혼합됨으로써, 별도의 이물질이 첨가되지 않아 뜸 치료에서 뜸쑥 본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포밍홀(111)에 약 0.225 g/㎤의 밀도로 채워진 혼합쑥(10)이 포밍펀치(141)에 의해 약 30%의 높이가 되도록 가압성형되어 약 0.75g/㎤의 밀도로 성형됨으로써, 차후 공정에 의해 건조된 뜸쑥은 불이 잘 붙으며 연소 온도가 비교적 균일해지는 특징이 있다.
10: 혼합쑥 100: 쑥정량성형장치 110: 포밍다이
111: 포밍홀 112: 파일럿홀 113: 가이드라인
114: 이동수단 120: 프레임 121: 녹아웃홀
122: 가이드 123: 가이드라인 130: 케이스
131: 와이어 132: 이동수단 140: 프레스
141: 포밍펀치 142: 파일럿 143: 가압수단
150: 녹아웃 151: 녹아웃펀치 152: 이동수단
160: 트레이 161: 이동수단

Claims (5)

  1.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포밍홀(111)과 전후방향의 이동수단(114)이 구비된 포밍다이(110)와,
    포밍다이(110) 밑을 받쳐주는 구조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포밍다이(110)의 해당 위치에 다수의 포밍홀(111) 보다 큰 녹아웃홀(121)이 상하로 관통된 프레임(120)과,
    상하로 개방된 통 구조로, 포밍다이(110) 위에 위치하고, 적어도 두 방향의 이동수단(132)이 구성된 케이스(130)를 구성하되,
    내부에 다수 줄의 와이어(131)가 격자로 구비 된 이 케이스(130)는, 후방에 위치한 포밍다이(110) 위에서 혼합쑥(10)이 담겨진 다음, 포밍홀(111) 위를 수회 반복 이동하고, 와이어(131)에 의해 덩어리진 혼합쑥(10)이 잘게 나뉘어저 뭉침 없이 포밍홀(111) 속에 고루 정량 채움 하도록 구성되며,
    후방에 위치한 포밍다이(110) 위에서 포밍홀(111)에 대응되는 다수의 포밍펀치(141)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43)이 구비된 프레스(140)와,
    녹아웃홀(121) 위에는 포밍홀(111)에 대응되는 다수의 녹아웃펀치(151)가 구비되고, 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152)이 갖춰진 녹아웃(150)과,
    녹아웃홀(121) 밑으로는 가압성형 된 혼합쑥(10)을 받아내도록 이동되는 이동수단(161)이 구비된 트레이(160)가 구성되어,
    이 트레이(160)는 포밍다이(110)가 후방에 위치할 때, 녹아웃홀(121) 밖에 위치하고, 포밍다이(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녹아웃홀(121) 밑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스(130)는 포밍홀(111)에 혼합쑥(10)을 다 채우면, 녹아웃홀(121)로 이동하여 남겨진 혼합쑥(10)을 비우고, 프레스(140)와 녹아웃(150)의 하향이동을 피해 이동함으로써, 새로운 혼합쑥(10)을 공급받아 포밍홀(111)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10)을 일정 크기로 가압성형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혼합쑥을 가압성형하고 건조시켜 뜸쑥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에 해당하는 쑥정량성형장치(100)를 구성하여,
    쑥과 물을 1:0.9 내지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쑥(10)을, 내부에 다수 와이어(131)가 격자로 구비 된 케이스(130)에 담은 다음, 포밍홀(111)위를 수회 반복이동하면서 포밍홀(111)에 혼합쑥(10)이 골고루 정량 채움 되게 하여, 다수의 포밍홀(111)내에 0.2 내지 0.25 g/㎤의 밀도로 혼합쑥(10)을 채운 다음,
    포밍펀치(141)가 포밍홀(111)에 채워진 혼합쑥(10)을 가압성형 하여, 성형된 혼합쑥(10)은 포밍홀(111) 높이의 27 내지 33%의 높이가 되도록 성형한 후 포밍펀치(141)는 이탈되고, 포밍다이(110)는 전방의 녹아웃홀(121)까지 이동하여, 다수의 포밍홀(111)이 녹아웃홀(121) 안에 위치하도록 한 후, 하향한 녹아웃펀치(151)가 포밍홀(111) 속에 가압성형 된 혼합쑥(10)을 트레이(160)로 녹아웃 함으로써,
    정량의 혼합쑥을 일정 크기로 가압성형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KR1020190076261A 2019-06-26 2019-06-26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KR10232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61A KR102329957B1 (ko) 2019-06-26 2019-06-26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61A KR102329957B1 (ko) 2019-06-26 2019-06-26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47A KR20210000947A (ko) 2021-01-06
KR102329957B1 true KR102329957B1 (ko) 2021-11-23

Family

ID=7412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61A KR102329957B1 (ko) 2019-06-26 2019-06-26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296A (ja) 1999-05-21 2003-01-0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容器に製品を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86645B1 (ko) 2009-05-12 2011-11-25 김민주 인진 쑥봉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126A (ko) * 1988-03-31 1989-10-21 김흥지 숙 뜸 탄
JP4918999B2 (ja) * 2006-05-19 2012-04-18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粉体圧縮成形機及び該成形機を用いた粉体圧縮成形物の連続製造装置
KR20170021986A (ko) *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라온제나 단발 알약제조기
KR101961286B1 (ko) 2017-08-25 2019-07-17 정경균 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0296A (ja) 1999-05-21 2003-01-0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容器に製品を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86645B1 (ko) 2009-05-12 2011-11-25 김민주 인진 쑥봉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47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505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wooden product
KR102329957B1 (ko)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장치 및 뜸쑥을 정량 성형하는 쑥정량성형방법
WO2015117890A1 (de) System zur zubereitung eines brüherzeugnisses
CN210171390U (zh) 一种果蔬粉生产用混合装置
US3720738A (en) Method for producing compression-molded articles
CN104802436B (zh) 立式物料挤压脱水成饼设备
US2319291A (en) Mold box
JP5594471B2 (ja) 粉末成形金型装置
KR101895892B1 (ko) 강정 자동 제조장치
KR101889259B1 (ko) 고체연료 습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11802408U (zh) 一种农业种植用大豆分筛育种装置
CN111387234B (zh) 一种铜锣烧加工用压制成型设备
KR101452988B1 (ko) 주먹밥 성형틀
KR101579608B1 (ko) 양돈 사료 급이기용 습식급이기판의 제조방법
KR101914932B1 (ko) 펠릿가공장치
CN209889674U (zh) 一种带有碎料功能的螺旋上料装置
CN215615070U (zh) 一种压制刀片用推料盒
EP0205154B1 (de) Einrichtung zum Brikettieren von Altpapier oder dergleich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Einrichtung
CN204526203U (zh) 立式物料挤压脱水成饼设备
US2398267A (en) Apparatus for forming blocks of concrete or other hardening material
KR102035415B1 (ko) 사료와 물의 혼합부가 형성되는 양돈용 급이기판
US3832113A (en)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small sticks of dough-like material
CN213580344U (zh) 一种氯化聚乙烯试验用试片制备模具
CN220534622U (zh) 塑料混色机上料机构
JPH09327798A (ja) 粉末成形装置におけるフィ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