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575B1 -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575B1
KR102329575B1 KR1020200179588A KR20200179588A KR102329575B1 KR 102329575 B1 KR102329575 B1 KR 102329575B1 KR 1020200179588 A KR1020200179588 A KR 1020200179588A KR 20200179588 A KR20200179588 A KR 20200179588A KR 102329575 B1 KR102329575 B1 KR 10232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cylinder
air suction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칠원창호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칠원창호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칠원창호나라
Priority to KR102020017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800/11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의 설치가 간단하면서 안정된 개폐작용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공기흡착구가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어 제1창문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은 축핀으로 연결로드의 일단이 관절형으로 연결된 관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절부는 2개의 연결로드가 각각 연결된 다음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분기되어 연결로드의 양측 타단에 제2공기흡착구가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되게 구비되어 제2창문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windows for indoor ventilation}
본 발명은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닫이 창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의 설치가 간단하면서 안정된 개폐작용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도록 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 창문이 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문은 사람이 직접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문을 열거나 냉방 또는 보온 유지 등을 위해 문을 닫기 위해서는 사람의 수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사람의 수작업에 의한 창문의 개폐는 창문의 개폐 조작시 반드시 사용자가 창문까지 이동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대형 창문의 개폐에 따른 핸들의 수동 조작이 매우 힘겹다는 점과, 창문의 개폐 조작시 부주의로 인해 손가락이 끼이게 되는 신체 손상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창문의 제작과정에서 창문과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시스템에서 어느 일부분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보수 과정에서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한 창문 개폐 작업을 대체하기에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차지하는 부피, 무게, 비용 및 유지보수 등의 부담이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되며, 개폐장치의 탈부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동창문개폐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KR 제10-0738227호 KR 제10-1613239호 KR 제10-1265048호 (실용등록문헌 0004) KR 제20-040051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닫이 창문을 실린더 작동으로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실린더에 제1공기흡착구가 구비되어 제1창문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은 축핀으로 연결로드의 일측단이 관절형으로 연결되고 연결로드의 타측단은 제2공기흡착구가 구비되어 제2창문의 유리창에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에 제1공기흡착구가 구비되어 제1창문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은 축핀으로 연결로드의 일단이 관절형으로 연결된 관절부가 구비되고 연결로드의 타단은 제2공기흡착구가 구비되어 제2창문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는 제1공기흡착구는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공기흡착구가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로드 선단의 관절부에 연결로드의 일단이 연결되되 관절부에 2개의 연결로드가 각각 연결된 다음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분기되어 연결로드의 양측 타단에 구비되는 제2공기흡착구는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문의 구조변경이나 복잡한 구성부재의 설치없이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안정된 개폐작용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 수단으로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고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서 연결로드 및 제2공급흡착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서 연결로드 및 제2공급흡착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서 연결로드의 관절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전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전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통상의 미닫이 창문을 구조변경하거나 복잡한 설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미닫이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스위치(미도시) 또는 리모컨 등으로 원격제어하는 수단으로 창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린더(10)에 제1공기흡착구(50)가 구비되어 제1창문(A)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실린더(10)의 작동로드(20) 선단은 축핀(32)으로 연결로드(40)의 일단이 관절형으로 연결된 관절부(30)가 구비되고 연결로드(40)의 타단은 제2공기흡착구(60)가 구비되어 제2창문(B)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2공기흡착구(50)(60)는 고무 흡착패드 등으로 구비되어 유리 등의 매끄러운 표면에 밀착시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공기흡착구의 형태 및 구성 등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에 구비되는 제1공기흡착구(50)는 실린더(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공기흡착구(50)가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어 제1창문(A)의 유리창에 설치되는 실린더(10)의 힘이 가해지는 횡방향으로 안정된 지지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로드(20) 선단의 관절부(30)에 연결로드(40)의 일단이 연결되되 관절부(30)에 2개의 연결로드(40)가 각각 연결된 다음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분기되어 연결로드(40)의 양측 타단에 구비되는 제2공기흡착구(60)는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는 제1창문(A)의 유리창에 부착된 실린더(10)의 작동로드(20)와 연결되어 제2창문(B)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로드(40)는 제2공기흡착구(60)에 의해 제2창문(B)의 유리창 끝단부에 부착되되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된 제2공기흡착구(60)에 부착된 2개의 연결로드(40)에 의해 제2창문(B)을 밀거나 당기는 미닫이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제2창문(B)의 유리창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미닫이 창문은 제1창문(A)에 제2창문(B)이 서로 다른 이동선상에서 설치되어 펼쳐지거나 겹치는 형태로 이동하는 구성이므로 제1창문(A)의 유리창에 실린더(1)를 제1공기흡착구(50)로 부착하고, 제1창문(A)과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한 제2창문(B)의 유리창에는 작동로드(20)의 선단에 연결된 연결로드(40)의 타단을 제2공기흡착구(60)를 부착하게 될 때 작동로드(20) 선단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연결로드(40)의 관절작용으로 제2공기흡착구(6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미닫이 창문은 구조물의 형태나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창문의 크기나 두께가 달라지면서 제1,2공기흡착구(50)(60)의 설치 지점(깊이)은 많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연결로드(40)는 관절작용으로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제2공기흡착구(60)의 설치 지점(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기존의 미닫이 창문을 예시한 것으로, 건물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창문(A)과, 제1창문(A)의 바깥선상에 위치하는 제2창문(B)이 이동하면서 창문이 닫히거나 열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제1창문(A)의 유리창에는 실린더(10)에 구비된 제1공기흡착구(50)를 부착시켜 실린더(10)가 횡설된 상태로 설치하고, 작동로드(20)는 제1창문(A)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제2창문(B)에 놓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로드(20)의 선단에 연결된 연결로드(40)에 구비되어 있는 제2창문(B)의 유리장에 제2공기흡착구(60)를 부착하게 된다.
이때, 제2창문(B)의 유리창은 제1창문(A)의 바깥선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작동로드(20)의 관절부(30)를 기점으로 연결로드(40)의 설치각도를 임의조절하는 관절작용으로 제2창문(B)의 유리창에 연결로드(40)에 구비된 제2공기흡착구(60)를 긴밀하게 밀착시켜 견고한 부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에 개폐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한 다음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창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작동하거나 원격제어하는 수단으로 실린더(10)를 구동시켜 미닫이 창문의 슬라이딩 자동 개폐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창문 자동 개폐장치는 실내 오염을 검출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실린더(10)를 작동시켜 창문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주로 거주하는 건물 실내의 경우에 실내 공기의 오염 상태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감지센서가 검출한 실내 오염 등의 검출값이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창문 개방신호를 개폐장치의 실린더(10)에 인가하여 실린더(10)에 의해 창문 개방이 자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실내 오염의 검출값이 정상범위에 도달하면 실린더(10)의 작동에 의해 창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동 개폐 수단으로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고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의 제1창문(A)과 제2창문(B)에 실린더(10) 및 연결로드(40)를 포함하는 창문개폐수단을 제1,2공기흡착구(50)(60)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실린더(10)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로드(20)의 선단에 연결된 연결로드(40)의 관절작용으로 연결로드(4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제1창문(A)과 다른 선상에 위치한 제2창문(B)의 유리창에 제2공기흡착구(60)를 긴밀하게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창문(A)의 유리창에 실린더(10)를 부착시켜 제2창문(B)을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제1공기흡착구(50)는 실린더(10)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2개 이상이 부착된 제1공기흡착구(50)에 의해 안정된 지지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제2창문(B)에 부착되어 제2창문(B)을 밀거나 당기는 미닫이 작용을 수행하는 연결로드(40)는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된 제2공기흡착구(60)에 부착된 2개의 연결로드(40)에 의해 제2창문(B)의 유리창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미닫이 창문의 슬라이딩 자동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제1창문 B : 제2창문
10 : 실린더 20 : 작동로드
30 : 관절부 32 : 축핀
40 : 연결로드 50 : 제1공기흡착구
60 : 제2공기흡착구

Claims (3)

  1. 미닫이 창문의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실린더(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공기흡착구(50)가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어 제1창문(A)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실린더(10)의 작동로드(20) 선단은 축핀(32)으로 연결로드(40)의 일단이 관절형으로 연결된 관절부(30)가 구비되어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관절부(30)는 2개의 연결로드(40)가 각각 연결된 다음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분기되어 연결로드(40)의 양측 타단에 제2공기흡착구(60)가 수직으로 상하 병렬 배치되게 구비되어 제2창문(B)의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상기 실린더(10)는 실내 오염을 검출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창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9588A 2020-12-21 2020-12-21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232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88A KR102329575B1 (ko) 2020-12-21 2020-12-21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88A KR102329575B1 (ko) 2020-12-21 2020-12-21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75B1 true KR102329575B1 (ko) 2021-11-22

Family

ID=7871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88A KR102329575B1 (ko) 2020-12-21 2020-12-21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5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262A (ja) * 1994-08-29 1996-03-12 J Ee C K:Kk 窓の自動開閉装置
KR200400510Y1 (ko) 2005-08-25 2005-11-08 김승진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22524Y1 (ko) * 2006-03-02 2006-07-31 이준범 고무흡착식 창문 전동 개폐 장치
KR100738227B1 (ko) 2006-01-20 2007-07-12 광주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KR101265048B1 (ko) 2011-03-18 2013-05-16 (주)리츠엔 자동창문개폐장치
KR101574930B1 (ko) * 2015-11-13 2015-12-07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유리 파손 방지장치가 설치된 창호
KR101613239B1 (ko)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창문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262A (ja) * 1994-08-29 1996-03-12 J Ee C K:Kk 窓の自動開閉装置
KR200400510Y1 (ko) 2005-08-25 2005-11-08 김승진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0738227B1 (ko) 2006-01-20 2007-07-12 광주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KR200422524Y1 (ko) * 2006-03-02 2006-07-31 이준범 고무흡착식 창문 전동 개폐 장치
KR101265048B1 (ko) 2011-03-18 2013-05-16 (주)리츠엔 자동창문개폐장치
KR101613239B1 (ko)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창문자동 개폐장치
KR101574930B1 (ko) * 2015-11-13 2015-12-07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유리 파손 방지장치가 설치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20888A (zh) 玻璃结构建筑气候感应控制装置
KR102329575B1 (ko) 실내환기용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1226306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EP1811122A3 (en) Push button control for motorized coverings with light control
WO2018105826A1 (ko) 자동개폐를 통한 자동환기가 가능한 미닫이형 창호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0917167B1 (ko) 당김줄에 의한 당김식 원터치 개폐수단을 갖는 자연환기구
US3667161A (en) Shutter operating mechanism
KR102269170B1 (ko)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
CN205477082U (zh) 全自动磁力智能窗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CN205918327U (zh) 一种透气门
CN207849698U (zh) 一种中央空调导风装置
KR20110139435A (ko) 문의 중간부에 장착하는 자동문 작동장치
KR20200075632A (ko) 스마트 자동 개폐식 윈도우
EP2113623A3 (en) Bottom-hung window unit
CN205502952U (zh) 一种气压自平衡百叶窗
US9263214B2 (en) Make-up air intake system
CN219569920U (zh) 一种可调节打开方式的采光窗
CN214065161U (zh) 一种通风净风器的连杆操作装置
NO330068B1 (no) Anordning for a male verdier som pavirker brukerkomfort og/eller energiforbruk i en bygning
CN215169282U (zh) 一种新型智能窗户
AU2014100040A4 (en) A motorised window covering
CN220379895U (zh) 一种建筑节能通风装置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